KR20090010252A - 쿠폰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쿠폰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252A
KR20090010252A KR1020090004594A KR20090004594A KR20090010252A KR 20090010252 A KR20090010252 A KR 20090010252A KR 1020090004594 A KR1020090004594 A KR 1020090004594A KR 20090004594 A KR20090004594 A KR 20090004594A KR 20090010252 A KR20090010252 A KR 2009001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coupon
customer
wireless
ticket coup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주식회사 사이버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주식회사 사이버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9000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252A/ko
Publication of KR2009001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insert a coded card, e.g. a smart card carry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이 티켓 구매시, 티켓 발권 장치에서 구매 대상 티켓과 연결된 쿠폰 중 상기 고객이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발권 장치에서 상기 티켓을 고객에게 발권시, 상기 확인된 쿠폰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쿠폰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폰 제공단계는, 상기 쿠폰을 상기 고객의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티켓예매, 쿠폰, IC카드

Description

쿠폰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oupon}
도1은 고객이 티켓쿠폰 발권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2는 고객이 티켓쿠폰 발권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3은 고객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가공된 무선 전자 티켓을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4는 고객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가공된 전자티켓을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5는 도면4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객의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로 제공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티켓쿠폰 발권기에서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발권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6은 고객의 IC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티켓쿠폰 발권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발권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7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8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9는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이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에게 위치기반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10은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이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에게 위치기반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 105 : 티켓 D/B
110 : 쿠폰 D/B 115 : 티켓쿠폰 발권기
본 발명은 고객이 티켓 구매시, 티켓 발권 장치에서 구매 대상 티켓과 연결된 쿠폰 중 상기 고객이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발권 장치에서 상기 티켓을 고객에게 발권시, 상기 확인된 쿠폰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쿠폰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폰 제공단계는, 상기 쿠폰을 상기 고객의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쿠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티켓은 유형의 상품이나 무형의 서비스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권리를 표시하는 증명서로써, 유가증권과 같이 권리의 이전과 행사가 가능하지만, 일단 한번 사용하면 해당 권리가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티켓은 인쇄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티켓에는 제공받을 수 있는 유무형의 상품과 해당 상품에 대한 권리 및 유효 기간이나 시간 등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고객이 상기 티켓에 대응하는 권리를 행사하거나 티켓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티켓의 점유를 필요로 한다. 즉, 고객이 점유하고 있는 티켓은 종류에 상관없이 해당 고객이 점유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권리의 행사나 티켓의 사용이 가능하다.
최근, 인쇄된 형태로 제공되던 기존 티켓은 전자적으로 가공된 정보의 형태인 전자 티켓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전자 티켓은 기존 티켓에 비해 티켓의 발행과 사용을 자동화하고, 온라인 상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 티켓을 오프라인 상의 유무형의 상품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티켓에 비해 복잡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전자 쿠폰을 정보 기록 기능을 제공하는 IC카드나 무선 단말기에 전자적으로 저장되는 형태의 무선 전자 티켓은 인쇄되는 기존 티켓의 특징인 이동성(Mobility)과 휴대성(Portability)을 제공하며, 전자 티켓의 특징인 티켓의 발행과 사용을 자동화 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무선 전자 쿠폰은 온라인상의 유무형 상품은 물론, 오프라인 상의 유무형의 상품에 대한 권리를 증명하는 경우에도 비교적 간편한 시스템만으로도 운영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티켓 중에서 인쇄된 형태의 티켓과 정보 기록 기능을 제공하는 IC카드나 무선 단말기 등으로 제공되는 무선 전자 티켓 등은, 이동성과 휴대성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티켓 정보 이외에 유무형의 상품에 대한 할인 정보를 표시하는 쿠폰을 포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인쇄된 형태의 티켓에는 인쇄된 형태의 쿠폰 정보를 함께 인쇄하고,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제공되는 무선 전자 티켓에는 무선 전자 쿠폰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되는 쿠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티켓 제공방법 중에서 전자적으로 가공된 무선 전자 티켓에 사용되는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는 무선 전자 티켓의 저장매체 이외에 지급 결제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정보 기록 기능을 제공하는 IC 카드는 칩에 내장된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와, 연산 기능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스마트 카드는 최근 모바일 상거래의 발달과 함께 무선 단말기와 결합하여 모바일 지불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높은 보안성과 저장용량, 그리고 하나의 카드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다목적성을 제공하며, 단일 칩의 형태로 설계되어 내부 시그널을 감지하기가 매우 어렵고, 제작 단계에서 물리적 및 논리적으로 잠금 장치가 탑재되어 있어 임의로 잠금을 풀어 내부 구조를 재조성할 수 없는 특징에 의해 현존하는 어떤 종류의 카드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단일 칩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의 다목적성은 단일 스마트카드로 다양하고 복잡한 서비스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인 서비스와 연동되거나 연계된 패키지 형태의 부가 서비스도 제공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무선 단말기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기반 단말 장치로써, 음성 통화 이외에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e Service), 그리고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및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ME(Mobile Explorer) 등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 무선 지급 결제 시스템은 상기 무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대표적인 부가 서비스로써, 상기 무선 지급 결제 시스템에는 계좌간 이체 시스템, WBPP(Wireless Bill Presentation & Payment) 및 직불 카드 시스템, 무선 전자 지갑(e-Purse) 시스템, 그리고 이동통신요금 과금(Phone Bill) 시스템 등이 있다.
무선 지급 결제 시스템의 계좌간 이체 시스템은 유선 인터넷 상의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를 이용한 SSL(Secure Sockets Layer) 방식의 지급결제 시스템과 유사한 결제 시스템으로써, 고객이 무선 인터넷 상점에서 자신의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머천트 서버(Merchant Server)에서 P/G(Payment Gateway)를 통해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결제 시스템이다.
WBPP 및 직불 카드 시스템은 유선 인터넷 상의 EBPP(Electronic Bill Presentation & Payment)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하는 것으로써, EBPP 서버에서 과금 정보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에게 전송하면, 고객은 무선 단말기 화면을 통해 이것을 확인하고, 상기 고객이 무선 단말기를 통해 결제여부 및 방식 등을 결정하여 전송하면, EBPP 서버가 이를 처리하는 형태의 지급 결제 시스템이다.
무선 전자 지갑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에 착탈되는 스마트 카드와 같은 칩에 실질적인 가치를 저장시킨 후, 상기 저장된 가치를 이용한 지급 결제 시스템으로써, 고객은 상기 전자 지갑에 저장된 가치를 다른 사용자에게 이전이 가능하고, 유무선 인터넷 상의 상점 및 오프라인 상점 등에서도 직불 카드와 같은 형태의 지급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동통신요금 과금 시스템은 이동통신사업자가 은행 및 신용 카드 회사 등, 기존 금융권에 비해 비교우위를 갖는 지급 결제 시스템으로써, 이동통신사업 대 고객과의 이동통신요금 과금관계를 확장한 지급 결제 시스템이다. 고객이 유무선 인터넷 상의 상점 및 오프라인 상점 등에서 상품을 구입하고 상기 이동통신요금 과금 시스템을 통해 결제하면, 머천트가 상기 결제 정보를 이동통신사업자의 빌링 시스 템으로 전송하고, 이동통신사업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요금 이외의 별도 항목으로 만들어 과금을 대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급 결제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IC카드와 무선 단말기는 유무선 인터넷 상의 상점 및 오프라인 상점, 또는 키오스크(KIOSK)와 같은 무인 상점 등으로부터 무형의 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 즉 티켓을 예매하거나 구매하고 결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상기 티켓에 대한 정보와 가치를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종이에 인쇄된 형태의 기존 티켓을 대체할 수 있는 무선 전자 티켓 시스템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IC카드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매 및 발매 과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부가 서비스와 연동되거나 연계되는 형태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티켓 구매시, 티켓 발권 장치에서 구매 대상 티켓과 연결된 쿠폰 중 상기 고객이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발권 장치에서 상기 티켓을 고객에게 발권시, 상기 확인된 쿠폰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쿠폰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폰 제공단계는, 상기 쿠폰을 상기 고객의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쿠폰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 제공 방법은, 고객이 티켓 구매시, 티켓 발권 장치에서 구매 대상 티켓과 연결된 쿠폰 중 상기 고객이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발권 장치에서 상기 티켓을 고객에게 발권시, 상기 확인된 쿠폰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쿠폰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폰 제공단계는, 상기 쿠폰을 상기 고객의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쿠폰 제공단계는, 상기 쿠폰에 대한 사용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부가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다음의 도면과 설명은 본 발명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다음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고객이 티켓쿠폰 발권기와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티켓 예·발매 시스템을 통해 티켓을 예매하거나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상기 예매 및 구매하는 티켓과 함께 제공하는 단계에 대한 것이다.
도면1은 고객이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1은 고객이 키오스크(KIOSK)와 같은 무인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티켓을 구매하고, IC카드 또는 신용 카드를 통해 구매한 티켓을 결제하며, 티켓과 함께 제공되는 티켓쿠폰은 바코드(Bar Code)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인쇄된 티켓 및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이 도면1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키오스크와 같은 무인 티켓쿠폰 발권기(115)와 신용 카드 결제 시스템이 자동화된 티켓 및 쿠폰 예매 및 발매 과정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바코드 형태의 쿠폰이 발행과 회수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인쇄된 형태의 티켓을 발권할 수 있는 모든 장치와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티켓 구매에 대한 지급 결제 수단은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지급 결제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티켓쿠폰의 종류는 티켓과 함께 인쇄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쿠폰을 포함한다.
도면1에서 티켓 예매 및 발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는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는 무인 티켓쿠폰 발권기(115)로써, 고객에게 티켓과 함께 최적화된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티켓 발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종이나 플라스틱 카드 등과 같은 인쇄매체를 통해 고객이 예매 및 발매한 티켓을 발권하며, 상기 티켓쿠폰 역시 티켓 정보가 인쇄되는 동일한 인쇄매체를 통해 인쇄되어 제공된다.
특히, 상기 티켓쿠폰의 제공과정에서 상기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CRM 정보의 분석을 통해 고객에게 최적화된 쿠폰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고객이 제공받기 원하는 쿠폰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객에게 꼭 필요한 쿠폰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 티켓에 인쇄되어 제공되는 티켓쿠폰은 인쇄매체에 미리 인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티켓을 예매하거나 발매하는 단계에서 해당 고객에게 최적화된 쿠폰만을 동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며, 티켓을 구매하는 고객의 CRM정보나 실시간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쿠폰이 제공된다.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에게 예매 및 발매되는 티켓과,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써, 키오스크 같은 무인 티켓쿠폰 발권기(115)와 매표소와 같은 유인 티켓쿠폰 발권기(115)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발권되는 티켓 및 티켓쿠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발권된 티켓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을 관리하고, 상기 티켓쿠폰을 소지한 고객이 쿠폰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1에 따르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에는 티켓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티켓 D/B(105)와 쿠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쿠폰 D/B(105)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으로 연동되어 있다. 그러나,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에 탑재되어 있는 D/B가 상기 티켓 D/B(105)와 쿠폰 D/B(105)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고객의 CRM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CRM D/B와 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회원 D/B 등이 탑재될 수 있다.
티켓 D/B(105)는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티켓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로써, 기본적으로 쿠폰 D/B(105)와 RDBMS로 연동되어 있으며, 고객이 티켓을 구매하고 티켓쿠폰을 제공받는 단계에서 추가되고, 상기 티켓 및 티켓쿠폰을 사용하는 동안 관리 및 유지되며, 상기 티켓 및 티켓쿠폰의 유효기간이 경과하면 삭제된다.
쿠폰 D/B(105)는 티켓 D/B(105)를 통해 제공되는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저장하고 있는 D/B로써, 기본적으로 티켓 D/B(105)와 RDBMS로 연동되어 있으며, 쿠폰 D/B(105)에 저장되어 있는 쿠폰에는 상기 티켓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제작이나 광고 스폰서를 홍보하는 프로모션 쿠폰정보나, 상기 티켓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서 티켓 구매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상점 및 상품에 대한 할인 쿠폰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티켓 구매 고객은 상기 티켓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상기 티켓쿠폰을 통해 상기 티켓 서비스의 스폰서나, 상기 티켓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다른 상점으로부터 제공되는 할인 서비스와 같은 쿠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장 티켓 구매 고객이 도면1의 극장 관람권과 같은 형태의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티켓 구매 고객은 티켓에 영화를 관람하기 전, 극장 근처의 유료 주차장에 무료로 주차하고, 패스트푸드점에서 간단한 식사를 즐기고, PC방에서 컴퓨터 게임 등을 저렴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켓 구매 고객은 영화를 관람한 후, 커피숍에 들러 담소를 나누고, 레스토랑에서 근사한 저녁식사를 한 후, 극장 근처의 쇼핑센터에서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일련의 패키지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면2는 고객이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고객이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예매 및 발매하고자 하는 티켓을 결정하고(200), 신용카드를 통해 지급 결제 처리를 요청하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고객의 신용카드로부터 결제 정보를 추출하여 VAN과 금융전산망을 통해 지급 결제를 처리하며(205), 상기 결제 과정은 기존 신용카드 결제 과정과 동일하다.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와 같이 티켓 구매에 대한 지급 결제를 처리하기 전, 처리하는 동안, 또는 처리한 후, 상기 티켓 구매 고객에게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받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210). 만약 티켓 구매 고객이 티켓쿠폰을 제공받는 것을 거부한다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티켓 구매 고객이 구매한 티켓을 인쇄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 티켓을 발권한다.
그러나, 티켓 구매 고객이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받기를 원한다면(215),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고객의 IC카드, 신용카드, 또는 VAN(Value Added Network)과 금융전산망을 통해 신용기관이나 신용 카드사로부터 획득되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추출한 후(220), 상기 고객 정보를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하여 상기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켓쿠폰 정보를 요청한다(225).
티켓쿠폰 발권기(115)로부터 티켓 구매 고객 정보를 전달받은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티켓 D/B(105)로부터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쿠폰 중에서 상기 티켓 구매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켓쿠폰을 추출하여 티켓쿠폰 발권기(115)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티켓 구매 고객이 20세의 남자이고 두 장의 티켓을 예매하였다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연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켓쿠폰 정보를 추출하여 티켓쿠폰 발권기(115)로 전달하며, 티켓 구매 고객이 40세의 남자이고 4장의 티켓을 예매하였다면, 가족을 대상으로 제공할 수 잇는 티켓쿠폰 정보를 추출하여 티켓쿠폰 발권기(115)로 전달한다(230).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켓쿠폰 정보를 전달받은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티켓쿠폰 정보 중에서 티켓 구매 고객이 제공받기 원하는 티켓쿠폰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며, 티켓 구매 고객은 상기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제공받기 원하는 티켓쿠폰을 선택한다(235). 그러나, 티켓 구매 고객이 제공받을 티켓을 결정하지 않는다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티켓 구매 고객의 CRM 정보 등을 참조하여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티켓쿠폰을 자동 선택한다(240).
상기와 같이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티켓쿠폰이 선택되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선택된 티켓쿠폰이 티켓에 인쇄된 형태로 제공 가능한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티켓에 인쇄될 수 있는 티켓쿠폰의 수가 최대 6개로 제한되는 경우, 선택된 티켓 쿠폰이 6개를 초과한다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티켓 구매 고객에게 최대 6개의 티켓쿠폰을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티켓쿠폰에 대한 제공 가능성이 확인되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되는 티켓쿠폰에 고객정보를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245). 일반적인 쿠폰의 경우에는 티켓쿠폰에 고객정보가 포함되지 않지만, 티켓쿠폰에 대한 회수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경우에는 티켓쿠폰에 고객정보를 포함하여 인쇄한다.
만약 티켓쿠폰 발권기(115)가 고객 정보를 포함하여 티켓쿠폰을 인쇄하기로 결정하였다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고객에게 제공된 티켓쿠폰에 상기 과정에서 획득된 고객정보를 가공하여 발권되는 티켓에 포함 인쇄하여 구매 고객에게 제공한다(250). 그러나, 고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티켓쿠폰만을 발권되는 티켓에 포함 인쇄하여(255) 구매 고객에게 제공한다(260).
도면3은 고객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전자적으로 가공된 무선 전자 티켓을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3은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티켓 컨텐츠 제공자(305)와 같은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무선 전자 티켓을 예매하고, 상기 무선 전자 티켓을 구매하는 지급 결제 시스템으로 무선 전자 지갑(e-Purse) 시스템을 사용하며, 상기와 같이 구매된 전자 티켓과 함께 제공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단말기에 착탈되는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에 제공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전자적으로 가공된 무선 전자 티켓 및 상기 무선 전자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이 도면3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무선 전자 티켓을 예매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인터넷을 통해 티켓 컨텐츠 제공자(305)에 접속하여 제공받는 것이고, 무선 지급 결제 시스템 중에서 IC카드의 특징과 무선 단말기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지급 결제 시스템이 무선 전자 지갑 시스템이며,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처리 과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3 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즉, 고객이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는 방법은 온·오프라인 상의 모든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기 위해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지급 결제 시스템은 도면1의 경우와 같이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지급 결제 수단을 포함하며,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전자 티켓 및 전자 티켓쿠폰을 전달하는 방법은 SMS, EMS, 그리고 MMS 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이나 WAP, 그리고 M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예·발매된 전자 티켓 및 전자 쿠폰을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과, 이동 통신 시스템을 직접 경유하지 않고 예·발매된 전자 티켓 및 전자 쿠폰을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 등을 모두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을 직접 경유하지 않고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은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 Tooth), 무선랜(Wireless LAN), 그리고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을 포함한다.
도면3에서 티켓 컨텐츠 제공자(305)는 유무선 인터넷 상에서 고객에게 티켓의 예매 및 발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CP)로써, 유무선 인터넷 상에서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 자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고객이 키오스크와 같은 무인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는다면, 상기 키오스크 역시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3의 경우와 같은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티켓 컨텐츠 제공자(305))은 티켓 구매 고객에게 실제로 티켓을 예매 및 발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는 서버 시스템으로써,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한 고객(=클라이언트)에게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을 통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역할과, 상기 티켓 구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 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에는 티켓 구매 처리부(310)와 티켓 결제 처리부(315) 등이 탑재되어 있다.
티켓 구매 처리부(310)는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한 고객(=클라이언트)과 티켓 쿠폰 시스템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티켓 구매 고객이 티켓 컨텐츠 제공자(305)에 접속하여 티켓 구매 처리부(310)를 통 해 티켓의 구매를 요청하면, 상기 고객이 구매 요청한 티켓을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무선 전자 티켓의 형태로 가공하여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작업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티켓 구매 처리부(310)는 고객이 구매 요청한 무선 전자 티켓을 구매 과정에서 해당 고객에게 상기와 같이 구매한 무선 전자 티켓과 연동 및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티켓 구매 고객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전자 티켓을 제공받는 단계에서, 해당 무선 전자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티켓 구매 고객에게 소개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 전자 티켓과 함께 상기 고객에게 최적화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티켓 결제 처리부(315)는 상기와 같이 무선 전자 티켓을 구매한 고객에게 해당 무선 전자 티켓 구매에 대한 지급 결제 처리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결제 과정에서 획득되는 고객의 개인 정보를 통해 티켓 구매 처리부(310)가 고객에게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소개하고, 최적화된 무선 전자 티켓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고객 정보를 추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3의 경우 무선 전자 지갑 시스템을 통해 무선 전자 티켓 결제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급 결제 시스템이 무선 전자 지갑 시스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선 전자 지갑 시스템의 경우 무선 전자 티켓의 구매와 동시에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고객의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로 제공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결제 시스템은 무선 전자 지갑 결제 시스템을 통해 무선 전자 티켓을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 단말기를 IC카드 기록 장치로 이용하여 상기 IC카드에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기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만약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티켓 결제 처리부(315)가 신용카드 결제나 기타 다른 종류의 무선 지급 결제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와 같이 결제 처리되어 구매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면 어떤 종류의 결제 처리 시스템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에게 예매 및 발매되는 무선 전자 티켓과, 상기 무선 전자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써,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구매 요청되는 무선 전자 티켓을 고객의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와 같이 전달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관리하고,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소지한 고객이 해당 쿠폰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3에 따르면, 상기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에는 무선 전자 티켓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티켓 D/B(105)와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쿠폰 D/B(105), 그리고 고객에게 제공된 티켓쿠폰을 저장하고 있는 티켓쿠폰 D/B(320)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연동되어 있다.
티켓 D/B(105)는 고객에게 제공할 무선 전자 티켓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로써, 상기 티켓 D/B(105)에 저장되는 무선 전자 티켓 정보는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의 무선 전자 티켓 저장 공간으로 제공되며, 상기 티켓 D/B(105)는 고객이 상기 티켓을 구매하고 티켓쿠폰을 제공받는 단계에서 추가되고,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사용하는 동안 관리 및 유지되며,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유효기간이 경과하면 삭제된다.
쿠폰 D/B(105)는 상기 무선 전자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로써, 상기 티켓 D/B(105)에 저장된 무선 전자 티켓 정보가 전자적으로 가공되어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전달되는 단계에서, 상기 쿠폰 D/B(105)에 저장된 티켓쿠폰도 전자적으로 가공되어 무선 전자 티켓과 함께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전달된다.
티켓쿠폰 D/B(320)는 상기와 같이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제공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저장하고 있는 D/B로써, 티켓쿠폰 D/B(320)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된 티켓쿠폰을 관리하고, 운영하고, 회수하는 참조 정보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티켓쿠폰 D/B(320)에 저장된 정보는 고객에게 어떠한 티켓쿠폰이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참조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상기 고객에게 제공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관리하고, 고객이 해당 전자 티켓쿠폰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프로모션 진행에 필요한 참조 정보의 역할과, 해당 고객이 전자 티켓쿠폰을 사용하는 경우 어떤 고객으로부터 어떤 티켓쿠폰이 사용되었는지 확인하는데 필요한 참조 정보의 역할 등을 수행한다.
도면4는 고객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전자적으로 가공된 전자티켓을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구매하는 시점에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티켓 구매 처리부(310)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티켓을 결정하고(400), 티켓 결제 처리부(315)를 통해 무선 전자 지갑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티켓 결제 처리부(315)는 무선 전자 지갑 결제 시스템을 통해 상기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구매한 티켓의 결제 처리를 수행하며(405), 상기 무선 전자 지갑 결제 처리 과정은 기존 무선 전자 지갑 지급 결제 시스템의 결제 과정과 동일하다.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와 같이 티켓 구매에 대한 지급 결제를 처리하기 전, 처리하는 동안, 또는 처리한 후, 상기 티켓 구매 고객에게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받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410). 만약 티켓 구매 고객이 티켓쿠폰을 제공받는 것을 거부한다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티켓 구매 고객이 구매한 전자 티켓만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전달한다.
그러나, 티켓 구매 고객이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을 제공받기를 원한다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고객이 결제에 이용하는 무선 전자 지갑에 탑재되어 있는 IC카드로부터 획득되는 고객의 개인정보, 또는 고객의 무선 단말기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VLR(Visiting Location Register)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고객의 개인정보로부터 고객 정보를 추출하고(415),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티켓 구매 처리부(310)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 고객 정보를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하여 상기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켓쿠폰 정보를 요청한다(420).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티켓 구매 고객 정보를 전달받은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티켓 D/B(105)로부터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쿠폰 중에서 상기 티켓 구매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켓쿠폰을 추출하여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달한다(425). 예를 들어, 티켓 구매 고객이 30세의 남자이고 티켓을 사용할 날짜가 고객의 결혼 기념일이라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부부의 결혼 기념일을 기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티켓쿠폰 정보를 추출하여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달한다.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티켓쿠폰 정보를 전달받은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티켓쿠폰 정보 중에서 티켓 구매 고객이 제공받기 원하는 티켓쿠폰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며, 티켓 구매 고객은 상기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티켓 구매 처리부(310)를 통해 제공받기 원하는 티켓쿠폰을 선택한다(430). 그러나, 티켓 구매 고객이 제공받기 원하는 티켓을 결정하지 않는다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티켓 구매 고객의 CRM 정보 등을 참조하여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티켓쿠폰을 자동 선택한다(435).
상기와 같이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티켓쿠폰이 선택되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상기 선택된 티켓쿠폰이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제공 가능한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IC카드에 티켓쿠폰 저장을 위한 저장용량이 현재 선택된 티켓쿠폰을 모두 저장할 수 없다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의 티켓 구매 처리부(310)는 티켓 구매 고객에게 IC카드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만큼의 티켓쿠폰을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또는, IC카드에 저장된 티켓쿠폰을 소지한 고객이 키오스크와 같은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 쿠폰으로 발권하려는 경우,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제공된 티켓쿠폰이 인쇄된 형태로 발권이 가능하도록 티켓쿠폰을 선택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할 티켓쿠폰에 대한 제공 가능성이 확인되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티켓 구매 고객에게 제공되는 티켓쿠폰에 해당 고객 정보를 포함할 것인지 결정한다(440). 일반적인 쿠폰의 경우에는 티켓쿠폰에 고객정보가 포함되지 않지만, 티켓쿠폰에 대한 회수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경우에는 티켓쿠폰에 고객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고객이 선택된 티켓쿠폰에 고객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기로 결정하였다면,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고객에게 제공될 티켓쿠폰에 상기 과정에서 획득된 고객정보를 가공하여 전자 티켓에 포함시켜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한다(445). 그러나, 고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티켓쿠폰만을 전자 티켓에 포함시켜(450) 고객의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한다(455).
도면5는 도면4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객의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로 제공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티켓쿠폰 발권기(115)에서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발권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면4의 과정을 통해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고객은,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즉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무선 전자 티켓 서비스 제공 가맹점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 서비스 가맹점 등이 상기와 같은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확보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고객은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변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티켓 및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은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예매하고, 상기 티켓 서비스 제공 가맹점 근처의 키오스크와 같은 무인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발권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고객은 티켓쿠폰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저장하고 있는 IC카드나 무선 단말기로부터 키오스크와 같은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을 제공받는다.
상기 과정에서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반드시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고객이 소지한 IC카드 및 무선 단말기에 고객이 결제 처리를 완료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해당 IC카드나 무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 쿠폰으로 발권하기만 하면 된다.
도면6은 고객의 IC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티켓쿠폰 발권기(115)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발권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고객이 키오스크와 같은 무인 티켓쿠폰 발권기(115)에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저장되어 있는 IC카드를 삽입하고(600), 상기 티켓쿠폰 발권기(115)에 IC카드에 저장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인쇄 출력 명령을 입력하면(605),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고객의 IC카드에 저장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 정보를 추출한다(610).
상기와 같이 고객의 IC카드로부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 정보가 추출되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결제 처리된 것인지 확인한다(615). 도면4의 경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IC카드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결제 처리가 수행되었지만, 시스템의 구성 및 서비스 방법에 따라 결제 처리과정 없이 IC카드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 쿠폰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결제 처리된 것인지를 확인한 후, 만약 결제 처리되지 않은 경우라면 주어진 IC카드 결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자 티켓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결제 처리되거나, 이미 결제 처리된 것이라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인쇄 출력 가능한지 확인한다(620).
만약, IC카드로부터 추출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인쇄된 형태로 출력 가능하지 않다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고객으로 하여금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으로 인쇄 출력되도록 편집한다(625). 예를 들어,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100개의 티켓쿠폰이 저장되어 있지만, 실제로 인쇄된 형태로 제공하는 티켓쿠폰이 6개로 제한된다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 중에서 인쇄 출력할 티켓쿠폰을 선택하도록 한다. 또는, 고객이 이미 무선 전자 티켓을 사용한 상태에서 티켓쿠폰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인쇄된 형태로 출력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유효성을 확 인하고, 유효성이 확인된 티켓쿠폰만 인쇄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인쇄 가능하거나, 인쇄 가능한 형태로 편집되면, 티켓쿠폰 발권기(115)는 상기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 쿠폰을 인쇄된 형태의 티켓 및 티켓쿠폰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가공한 후(630), 상기와 같이 가공된 티켓 및 티켓쿠폰을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640).
다음은 티켓을 예매하거나 구매한 고객이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켓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티켓쿠폰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단계에 대한 것이다.
도면7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7은 인쇄된 형태의 티켓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을 무선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인쇄된 형태의 티켓에 포함되어 잇는 티켓쿠폰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 도면7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티켓쿠폰 정보 확인 환경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시스템을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무선 단말기 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으며,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기가 티켓쿠폰 정보를 자동 인식하는 방법과, 티켓쿠폰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입력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 전달된 티켓쿠폰 정보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된다.
무선 단말기로부터 티켓쿠폰에 대한 티켓쿠폰 정보를 요청 받은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티켓쿠폰 D/B(320)에 저장되어 있는 티켓쿠폰 정보로부터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또는 자동응답시스템을 통해 무선 단말기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가 지리정보(Geographical Information)와 위치정보(Positioning Information)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는 지도상에 티켓쿠폰 가맹점의 위치와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며, 현재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티켓쿠폰 가맹점까지의 최단 거리 등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티켓쿠폰 부가 정보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티켓쿠폰 가맹점의 연락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티켓쿠폰 부가 정보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티켓쿠폰 가맹점을 전화 연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고객이 무선 단말기를 통해 유료 주차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티켓쿠폰에 대한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 그 부가 서비스로써 무선 단말기와 티켓쿠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주차장을 전화연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의 확인과 동시에 해당 주차장에 전화를 걸어 사용 가능한 주차 공간이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으며, 주차 예약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면8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고객이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 정보를 입력하면(800),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티켓쿠폰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805).
상기 과정에서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 정보를 무선 단말기로 입력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티켓쿠폰 정보를 자동 인식하는 방법과, 티켓쿠폰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에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 정보를 자동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등이 탑재되어 있다면, 무선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을 자동 인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면, 고객은 인쇄된 티켓쿠폰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나 숫자와 같은 티켓쿠폰 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직접 입력해야 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무선 단말기로 입력된 티켓쿠폰 정보를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방법은, SMS, EMS, 그리고 MMS 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방법과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물론, 무선 단말기를 통해 티켓쿠폰 정보를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키오스크와 같은 터미널 장치를 통해 티켓쿠폰 정보를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시스템에 최적화된 티켓쿠폰 정보 전달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쿠폰에 포함되어 잇는 티켓쿠폰 정보가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티켓쿠폰 D/B(320)로부터 상기 전달된 티켓쿠폰 정보에 대응하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제공한다(810). 물론, 키오스크와 같은 터미널 장치를 통해 티켓 쿠폰 정보를 전달한 경우에는 해당 키오스크로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티켓쿠폰 부가 정보가 무선 단말기로 제공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해당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출력하고(815), 상기 티켓쿠폰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820). 만약 상기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정보 이외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면, 무선 단말기는 해당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인지를 확인한다(825).
만약 고객이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결정한다면, 무선 단말기는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한다(830). 그러나 상기 고객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 제공을 거부한다면, 무선 단말기는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출력을 완료한다.
도면9는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에게 위치기반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9는 무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대한 위치기반(Location Based) 무선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 쿠폰이 무선 단말기에만 저장되는 것은 아니며, 고객의 IC카드에도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티 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이동성과 휴대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과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고객의 IC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IC카드가 고객의 무선 단말기에 착탈되는 경우라면, 해당 IC카드를 무선 단말기에 탑재함으로써 도면9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무선 단말기에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는 다양한 무선 측위(Wireless Location) 기술을 통해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상기 위치 추적 정보를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일반화된 무선 측위 기술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과 무선 단말기에 탑재된 GPS 칩셋을 이용한 GPS 기반 무선 측위 기술과,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는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기술이 있으며, 상기 무선 측위 기술은 일정한 오차범위 내에서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다.
즉,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무선 측위 기술을 통해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저장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와 같이 추적되는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통해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지 않아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저장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단말기가 무선 전자 티켓쿠폰 서비스 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진입해 있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에게 최적화된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나, 해당 무선 단말기와 가장 인접해 있는 티켓쿠폰 가맹점 위치 등과 같은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위치기반 서비스로 가공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가 티켓쿠폰 가맹점으로 향하고 있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티켓쿠폰 가맹점에 대한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의 확인 과정을 거쳐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상기 티켓쿠폰 가맹점에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소지한 고객이 방문할 예정임을 통지할 수 있다.
도면10은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에게 위치기반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무선 전자 티켓 및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 받은 무선 단말기 중에서 해당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된 무선 단말기를 추출한 후(1000), 무선 측위를 통해 상기와 같이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한다(1005).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상기 무선 단말기를 무선 측위 하는 방법은 각각의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에 탑재되어 있는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따라 다르며, 본 실시예에서는 현존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단말기 무선 측위 방법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된 무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가 실시간 추적되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1010).
예를 들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이 무선 단말기로 제공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이 무선 전자 티켓이 사용되는 주변 지역의 상점에 대한 티켓쿠폰을 제공하였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 서비스 지역에 접근하고 있거나, 진입하고 있거나, 또는 이미 진입하여 있는 경우라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효성이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제공된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유효성이 확보되었다고 할지라도, 상기 무선 단말기가 무선 전자 티켓쿠폰 서비스 지역과 상관없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효성이 확보되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에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고할 수 없는 경우라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무선 단말기가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에 진입할 때까지 해당 무선 단말기에 대한 실시간 위치추적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시간 위치 추적되는 무선 단말기가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된다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 단말기로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1015).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는 상기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출력한 후, 상기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부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020). 만약 상기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부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무선 단말기에게 추가적으로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유효성을 확인하고(1025), 유효성이 확인된 경우에 해당 무선 단말기로 다른 종류의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부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면, 무선 단말기는 고객에게 해당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인지 확인한다. 만약 고객이 상기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 제공을 거부한다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무선 단말기에게 추가적으로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유효성을 확인하고, 유효성이 확인된 경우에 해당 무선 단말기로 다른 종류의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제공받은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고객이 상기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을 확인한다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해당 고객에게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1030). 예를 들어,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가 티켓쿠폰 가맹점에 예약을 부탁하는 것이라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티켓쿠폰 가맹점으로 직접 전화를 걸어 상기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소지한 고객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대행한다. 또는, 상기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서비스가 티켓쿠폰 가맹점에 전화 연결을 요청하는 것이라면, 상기 무선 단말기와 티켓쿠폰 가맹점을 전화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 전자 티켓쿠폰을 소지한 무선 단말기에게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 및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면, 상기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게 추가적으로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유효성을 확인하고(1035), 유효성이 확인된 경우에 해당 무선 단말기로 다른 종류의 위치기반 무선 전자 티켓쿠폰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의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유효성이 상실되었다면, 티켓쿠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전자 티켓쿠폰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추적작업을 종료한다(1040).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티켓쿠폰 발권 장치를 통해 인쇄된 형태의 티켓을 예매 및 발매를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티켓과 연동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쿠폰을 상기 티켓에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티켓 예매시에 입력하는 위치(극장 또는 공연장 등의 장소 등) 및 시간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쿠폰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사업자는 위치나 시간 등 보다 정확한 고객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홍보효과 및 수익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고객이 티켓 구매시, 티켓 발권 장치에서 구매 대상 티켓과 연결된 쿠폰 중 상기 고객이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의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쿠폰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발권 장치에서 상기 티켓을 고객에게 발권시, 상기 확인된 쿠폰을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쿠폰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쿠폰 제공단계는,
    상기 쿠폰을 상기 고객의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 제공단계는,
    상기 쿠폰에 대한 사용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 부가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 제공 방법.
KR1020090004594A 2009-01-20 2009-01-20 쿠폰제공방법 KR20090010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94A KR20090010252A (ko) 2009-01-20 2009-01-20 쿠폰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94A KR20090010252A (ko) 2009-01-20 2009-01-20 쿠폰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987A Division KR20070057752A (ko) 2007-05-22 2007-05-22 쿠폰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52A true KR20090010252A (ko) 2009-01-29

Family

ID=4048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594A KR20090010252A (ko) 2009-01-20 2009-01-20 쿠폰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2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3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functionality to merchant sales and facilitating data collection
US8788350B2 (en) Handling payment receipts with a receipt store
US7496527B2 (en) Remote purcha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JP5294176B2 (ja) モバイル・クーポンの方法及びモバイル・クーポンを使用するための携帯消費者デバイス
JP2018041495A (ja) 拡張コマー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70106941A (ko) Rfid 거래 방법
JP2008538463A (ja) 統合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および通信ゲートウェイ
KR2013007051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US201502788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store credit to a presented bill for a discount when paid in store or by mobile wallet
KR101625916B1 (ko)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및 장치
KR101275115B1 (ko) 결제 정보 처리 방법
JP2003091688A (ja) 車上無線商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2145983A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システム、及びアフィリエイトサーバー
KR102127431B1 (ko) 배달 주문 매출 정산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101646996B1 (ko) Nfc 태깅을 이용한 선불구매 방식의 쿠폰 결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9003163A (zh) 一种商城运营方法及系统
KR20070057756A (ko) 쿠폰 부가정보 제공 방법
KR20170064872A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88884B1 (ko) 쿠폰제공시스템
KR100990385B1 (ko) 쿠폰제공방법
KR20070057752A (ko) 쿠폰제공방법
KR20030090290A (ko) 티켓 예매 및 발매 서비스와 연동 또는 연계 서비스를제공하는 쿠폰 장치(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90010252A (ko) 쿠폰제공방법
KR20040052397A (ko) 인스턴트 쿠폰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16760A (ko) 티켓발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