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042A -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 Google Patents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042A
KR20090010042A KR1020087026876A KR20087026876A KR20090010042A KR 20090010042 A KR20090010042 A KR 20090010042A KR 1020087026876 A KR1020087026876 A KR 1020087026876A KR 20087026876 A KR20087026876 A KR 20087026876A KR 20090010042 A KR20090010042 A KR 20090010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s
purchase
shoppers
data
s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로버트 브루스 메브루어
Original Assignee
유-마케이팅 인터렉추얼 프로퍼티즈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마케이팅 인터렉추얼 프로퍼티즈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유-마케이팅 인터렉추얼 프로퍼티즈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8702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042A/en
Publication of KR2009001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0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is disclosed which provides inducement to shoppers with a view to increasing the value of a shopping basket to a shopper and the size of a shopping basket containing marketer's products. Data relating to purchases made by individual shoppers is collected and is analysed to determin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which show some correlation with the purchase of the core products. Promotional lists are created based on promotions which are desired by marketers to induce people to purchase related products to a particular core product. The purchase cycle for particular products is determined so that the cycle length of a promotion for a particular product can be determined and also the size of the pool of people who are likely to fall within that promotion cycle is considered to determine whether a promotion is worthwhile and the nature of the promotion.

Description

쇼핑 방법 및 시스템{A SHOPPING METHOD AND SYSTEM}Shopping method and system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쇼핑객들에게 쇼핑을 유도하기 위한 쇼핑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for inducing shopping to shoppers.

마케터들이 쇼핑객들에게 대규모로 혹은 특정 쇼핑객만을 타겟으로 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판촉 오퍼(promotional offers)는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대개, 상기 판촉 오퍼는 쇼핑객들에 의해 채택되지 않는다. 주요 문제점들 중 하나는 상기 오퍼의 시기(timing)이다. 적합한 구매자를 대상으로 하는 타겟 오퍼에서 조차도 알맞은 판촉 시기를 얻기가 어려운데, 이는 상기 판촉 오퍼가 구매 수요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약 소비자가 지난 주에 제품을 구입했고, 그 제품의 사용 사이클이 2개월이라고 한다면, 그 소비자는 상기 판촉 오퍼를 채택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판촉 오퍼는 차선책(sub-optimal)이며 판촉 계획과 제품 주문과 재고 관리에 있어서 비효율성을 야기한다. 마케터들에게, 이 비효율성은 광고 비용, 자재 비용, 그리고 판촉 발명 비용과 같은 연계된 판촉 비용에서의 기회 비용일 것이다. 소매상들에게, 더 최적화된 판촉이 더 나은 매출환액(sales returns)을 줄 수 있다. 쇼핑객으로서도, 판촉 이익은 실현될 수가 없다. 판촉의 시기 문제 외에도, 쇼핑객은 단지 한가지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제 품들을 한 바스켓으로 (basket of goods) 구매한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바스켓에는 최고로 가치있는 제품들(best value)이 담겨 있어야 할 것이다. 제품 바스켓에 담긴 제품들 사이의 구매 관계에 대한 이해 결핍은 쇼핑객들이 판촉 오퍼로부터 최선의 것을 얻을 수 없도록 하며, 차선의 가치(sub-optimal value)를 선택하게 하고, 불만족을 초래한다.Promotional offers that marketers offer to shoppers on a large scale or in a way that targets specific shoppers are common. Usually, the promotional offer is not adopted by shoppers. One of the main problems is the timing of the offer. Even in targeted offers targeted to the right buyer, it is difficult to get the right promotion time, because the promotion offer does not match the purchase demand. For example, if a consumer purchased a product last week and the product's use cycle is two months, the consumer will not try to accept the promotional offer. Thus, most promotional offers are sub-optimal and cause inefficiencies in promotional planning, product ordering and inventory management. For marketers, this inefficiency will be opportunity costs in associated promotional costs such as advertising costs, material costs, and promotional invention costs. For retailers, more optimized promotions can give better sales returns. Even as a shopper, promotional profits cannot be realized. In addition to the timing of promotions, shoppers do not just buy a single product, but a basket of goods. Ideally, the basket should contain the best valu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urcha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s in the product basket prevents shoppers from getting the best out of the promotional offer, choosing sub-optimal values, and causing dissatisfaction.

위의 또 다른 결과는 비효율성을 더 발생기키는 대량의 판촉 오퍼를 마케터들과 소매상들이 쇼핑객들에게 퍼붓는 방식으로, 손실이 매우 크다. 그 결과 쇼핑객들의 바스켓에는 좋은 물품이 담길 수가 없다. 즉, 싸구려 물품 및 가치가 없는 물품으로 채워지게 되며, 쇼핑객들은 이들을 어느곳에서든 구매할 수 가 있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은 비효율적이게 된다.Another consequence of the above is that marketers and retailers infuse large amounts of promotional offers that generate further inefficiencies to shoppers, which is very costly. As a result, shoppers' baskets cannot contain good goods. That is, they are filled with cheap and worthless goods, and shoppers can buy them anywhere. As a result, the overall system becomes inefficient.

한가지 알려진 방법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과거 구매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쇼핑객들을 타겟으로 하는 것이다. 즉, 쇼핑객들에게 전에 그들에 의하여 구매가 이루어져 왔던 것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시기 문제는 가장 추측이 필요한 영역에 있다. 마찬가지로, 바스켓에 담긴 상품들에서 최적의 가치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쇼핑객들은 더 구매할 동기를 갖지 않는다. One known method is to target shoppers using past purchase history to minimize losses. That is, to provide shoppers with things that have been made by them before. However, the timing problem is still in the most conjectured area. Likewise, it is impossible to obtain optimal value from the products in the basket. Thus, shoppers have no incentive to buy more.

또 다른 알려진 방법은 구매 상환을 위해 바우처로 변환될 수 있는 로열티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는 바우처/포인터의 상환으로부터 그들 구매의 가치를 낮추는 자유를 쇼핑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쇼핑객들의 구매가 마케터들의 목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마케터들이 최선의 상품을 제공하는 것과 함께 이루어지지 않는다. 구매 패턴과 습관들은 가치 를 제공하는 그러한 일반적인 방법(generic method)에서는 고려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바스켓에 담긴 물품의 총 가치는 여전히 매우 낮을 것이다. Another known method is to provide loyalty points that can be converted into vouchers for redemption of purchases. The idea is to give shoppers the freedom to lower the value of their purchases from redemption of vouchers / pointers. However, this is not done with marketers providing the best product, as shoppers 'purchases may not match the marketers' goals. Since purchase patterns and habits may not be considered in such a generic method of providing value, the total value of the items in the basket will still be very low.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쇼핑 트립(single shopping trip)에서 쇼핑 바스켓의 가치 및/또는 규모를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며 쇼핑객들이 보다 잘 선택할 유인물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dealing with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handouts for shoppers to better choose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and / or scale of a shopping basket in a single shopping trip. will be.

본 발명은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는 쇼핑 방법을 제시하며, 상기 쇼핑 방법에는,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pping method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the shopping method,

개인 쇼핑객들이 구매한 제품들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data about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고, 상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과 연관된 관련 제품 카테고리들을 확립하는 단계;Determining core product categories from the collected data and establishing relevant product categories associated with the core product categories;

핵심 제품들과 관련 제품들에 연관된 판촉 오퍼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리스트로부터 제품들을 구매하도록 쇼핑객들에게 유인물들을 제공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Generating a promotional offer list associated with th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And there may be a step of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to purchase products from the list.

핵심 제품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나서 관련 제품 카테고리들을 확립하는 것에 의해, 쇼핑객들 수요에 대한 아이템들의 관련성이 보다 적절하게 결정되고, 그러므로 개인이 상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 및 관련 제품 카테고리들로부터 많은 제품들을 구매하도록 하기 위한 유인물을 받아들일 가능성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이번에는 단일 쇼핑 트립에서 쇼핑객의 쇼핑 바스켓안에 담긴 물품들의 가치 및/또는 규모를 증대시킨다. 쇼핑객의 입장에서 이것은 이익인데, 상기 쇼핑객은 제공된 유인물로 인하여 구입한 제품보다 더 큰 가치를 얻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케터의 입장에서는, 더 많은 제품이 팔리므로 마케터에게로 돌아오는 이익이 증대된다. 이것은 차례로 가능한 소비자 만족을 증진시키며, 마케터들은 쇼핑객들이 채택하는 것에 대해서만 지불하므로 일반적인 대량 판촉의 선-재고 구매(forward inventory purchases)에서 기인한 디스카운트를 줄여준다.By determining the core products and then establishing relevant product categories, the relevance of the items to shoppers' demands is more appropriately determined, thus allowing an individual to purchase many products from the core product categories and related product categories. Promotional offers can be made based on the likelihood of accepting handouts. This in turn increases the value and / or scale of the items contained in the shopper's shopping basket in a single shopping trip. On the shopper's side, this is a benefit, since the shopper gets more value than the product purchased due to the handouts provided. And for the marketer, as more products are sold, the return to the marketer is increased. This in turn promotes possible customer satisfaction, and marketers pay only for what the shoppers adopt, thus reducing the discounts that are due to general inventory promo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는 상기 핵심 관련 제품들과 제품 카테고리들에서 쇼핑객들의 구매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들의 구매들을 판촉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 그룹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들과 판촉 유인물들을 생성하는 단계가 더 있을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shopper's purchase frequency in the core related products and product categories, classifying their purchases into a promotion cycle frequency and a group of recent purchases, and the cycle frequency and recent purchase. There may be further steps to generate promotional offer lists and promotional handouts based on the group.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는 각각의 핵심 제품 카테고리를 위해 구매된 제품의 규모와 양 및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가 더 있을 수 있다. Advantageously,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determining the size, quantity, and value of the product purchased for each core product catego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는 쇼핑객들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가 더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과거 구매 데이터, 그리고 지질-인구통계적 데이터(geo-demographic data)와 사회-경제학적 데이터(socio-economic data) 및 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 프로파일 데이타로 될 수 있다. Advantageously,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collecting data relating to shoppers, wherein said data comprises historical purchase data, and geo-demographic data and socio-economic data (socio). consumer profile data, including economic data and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쇼핑객 데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쇼핑객이 로열티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쇼핑객들에게 상기 데이터와 정보를 요청함에 의해 얻어진다.Advantageously, said shopper data is obtained at least in part by requesting said data and information from shoppers when shoppers participate in a loyalty program.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인물들은 하나 이상의 바우처, 리플렛, 쿠폰, 판촉 샘플, 포인트, 경마권(sweepstake tickets)과 선물들로 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outs may be one or more vouchers, leaflets, coupons, promotional samples, points, sweepstake tickets and gifts.

본 발명은 또한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쇼핑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쇼핑 시스템은,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hopping system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which shopping system,

개인 쇼핑객들이 구매한 제품들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안의 상기 데이터로부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과 관련된 관련 제품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와;A processor for analyzing data about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determining key product categories from the data in the database, and determining related product categories associated with the key product categories;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핵심제품들과 상기 관련 제품들에 관한 판촉 오퍼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상기 관련 제품들을 구매하기 위한 유인물을 쇼핑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ssor is also for generating a promotional offer list for the core products and the related products for providing to the consumers; And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shoppers with handouts for purchasing the related products.

상기 출력 장치는 핵심 제품들이 판매용으로 제공되는 장소에 위치한 카드 리더기와 프린터가 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장치는 쇼핑객이 상기 관련 제품들을 구매하도록 하는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The output device may be a card reader and a printer located at a location where key products are offered for sale and the device may thus be operated to provide a handout that allows a shopper to purchase the related products.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장치는 단지 프린터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output device may consist only of a printer.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은 상기 핵심 제품 카테고리로부터 제품들을 구매하는 쇼핑객들에게 리스트를 나누어 주는 사람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관련 제품들을 구매할 유인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may be provided by a person distributing a list to shoppers who purchase products from the core product category, thereby providing a handout to purchase the related products.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과거 구매 데이터, 그리고 지질-인구통계적 데이터와 사회-경제학적 데이터 및 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 프로파일 데이타가 될 수 있는 소비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Preferably, the processor collects consumer related data, which may be historical purchase data and consumer profile data including geological-demographic data and socio-economic data and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쇼핑객 데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쇼핑객들이 로열티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쇼핑객들에게 상기 데이터와 정보를 요청함에 의해 얻어진다.Advantageously, said shopper data is obtained at least in part by requesting said data and information from shoppers when shoppers participate in a loyalty program.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인물들은 하나 이상의 바우처, 리플렛, 쿠폰, 판촉 샘플, 포인트, 경마권과 선물들일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outs may be one or more vouchers, leaflets, coupons, promotional samples, points, race tickets and gifts.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핵심 관련 제품들 및 관련 제품의 카테고리들에서의 쇼핑객들의 구매 빈도를 결정하며, 이 구매들을 판촉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 그룹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 및 제공되는 유인물들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Advantageously, the processor also determines the purchase frequency of shoppers in the core relevant products and categories of related products, classifies these purchases into promotion cycle frequency and recent purchase group, and the cycle frequency and recent purchase group. To generate promotional offer lists and handout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각각의 핵심 제품 카테고리를 위해 구매된 제품의 규모와 양과 가치를 결정한다.Preferably, the processor also determines the size, quantity and value of the product purchased for each core product category.

본 발명은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쇼핑 방법을 여전히 더 제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쇼핑 방법에는,The present invention still further provides a shopping method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wherein the shopping method includes: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이루어진 구매를 분석하여 핵심 제품들과 상기 핵심 제품들에 관련된 관련 제품들을 결정하는 단계와;Analyzing the purchases made by individual shoppers to determin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related to the core products;

쇼핑객들에 의한 핵심 제품들의 구매 빈도를 근거로 하여,핵심 제품과 그것의 관련 제품들에 관한 판촉 오퍼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Generating promotion offer lists relating to the core product and its related products based on the frequency of purchase of the core products by the shoppers; And

핵심 제품을 구매하는 쇼핑객이 그 핵심 제품에 관련 제품들 역시 구매하는 경우, 핵심 제품 구매 쇼핑객에게 유인물을 제공하는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If a shopper purchasing a core product also purchases related products in that core product, there may be a step of outputting a list providing handouts to the core product purchase shopp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는 상관성(correlations)을 결정하기 위하여,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구매된 제품들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소정의 상관 포인트 아래인 관련 제품들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정의된 핵심 제품들 및 관련 제품들로부터 제거하는 단계가 더 있을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method comprises analyzing data relating to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to determine correlations, wherein the categories of related products that are below a predetermined correlation point are defined by the core products defined above. And further removing from related products.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는 쇼핑객들에 의한 핵심 제품들의 구매 사이클에 기반하여, 판촉을 위한 사이클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가 더 있을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determining a cycle period for promotion based on a purchase cycle of key products by shopp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는 사이클 기준을 이용하여 최근 구매일을 결정하고 소정의 시일내에 핵심 제품을 구매할 법한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을 결정하며, 허브 제품(hub product)을 구매할 것으로 기대되는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를 개발하는 단계가 여전히 더 있을 수 있다.Preferably, the method uses a cycle basis to determine a recent purchase date, to determine a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a core product within a given timeframe, and to select a shopper who is expected to purchase a hub product. There may still be further steps in developing promotional offer lists based on potential size or group.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는 과거 구매 데이터, 그리고 지질-인구통계적 데이터와 사회-경제학적 데이터 및 정보를 포함하는 쇼핑객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가 더 있을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collecting historical purchase data and data relating to shoppers, including geological-demographic data and socio-economic data and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쇼핑객 데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쇼핑객이 로열티 프로그램에 참가할때 쇼핑객에게 상기 데이터와 정보를 요청함에 의해 얻어진다.Preferably, the shopper data is obtained at least in part by requesting the shopper the data and information when the shopper participates in a loyalty program.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인물들은 하나이상의 바우처, 리플렛, 쿠폰, 판촉 샘플, 포인트, 경마권과 선물들로 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outs may be one or more vouchers, leaflets, coupons, promotional samples, points, race tickets and gifts.

본 발명은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쇼핑 시스템을 여전히 더 제공하며, 여기서 쇼핑 시스템은,The present invention still further provides a shopping system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wherein the shopping system,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이루어진 구매를 분석하여 상기 핵심 제품들과 상기 핵심 제품들에 관련된 관련 제품들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쇼핑객들에 의한 핵심 제품의 구매 빈도에 근거하여 핵심 제품과 그것의 관련 제품들에 관한 판촉 오퍼 리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A processor for analyzing the purchases made by individual shoppers to determine th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related to the core products, wherein the processor is also based on the frequency of purchase of the core product by the shoppers; To generate promotional offer lists for its related products; And

핵심 제품을 구매하는 쇼핑객이 그 핵심 제품에 관련 제품들 역시 구매하는 경우, 핵심 제품 구매 쇼핑객에게 유인물을 제공하는 리스트를 쇼핑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으로 될 수 있다.If a shopper who purchases a core product also purchases related products to that core product, the output may be provided to provide the shopper with a list of handouts to the key product shopp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관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구매된 제품들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소정의 상관 포인트 아래인 관련 제품들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정의된 핵심 제품들 및 관련 제품들로부터 제거한다. Advantageously, the processor analyzes data relating to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to determine correlations, and categories of related products that are below a predetermined correlation point from th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defined above. Rem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쇼핑객들에 의한 허브 제품들의 구매 사이클에 근거하여 판촉을 위하여 사이클 기간을 결정한다. Advantageously, the processor determines a cycle duration for promotion based on a purchase cycle of hub products by shopp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사이클 기준을 이용하여 최근 구매일을 결정하고 소정의 시일내에 핵심 제품을 구매할 법한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을 결정하며, 허브 제품을 구매할 것으로 기대되는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를 개발한다. Advantageously, the processor uses the cycle criteria to determine a recent purchase date and to determine a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a core product within a given time, and a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expected to purchase a hub product. Develop a promotional offer list based 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묘사하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depict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핵심은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을 결정하는데에 있는데, 하기 설명의 목적을 위해,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은 허브(hub) 카테고리로 칭하고, 관련 제품 카테고리들은 스포크(spoke) 카테고리로 칭하기로 한다.1,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The essence of this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determining the core product categories, for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re product categories will be referred to as the hub category and the related product categories as the spoke category. .

도 1과 관련하여, 개인 쇼핑객들이 구매한 제품들에 관련된 데이터가 수집되고 분석된다. 상기 데이터는 개인 쇼핑객들이 구매한 제품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스캔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수집하는 체크아웃 단말기에 의해 수집될 것이다. 그리고, 쇼핑객에 의해 구매된 제품들 모두는 이 체크아웃 단말기에서 상기의 특정한 쇼핑객과 관계지어질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FIG. 1, data related to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is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ill be collected by a checkout terminal that scans or otherwise collects data related to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And all of the products purchased by the shopper can be associated with the particular shopper above at this checkout terminal.

쇼핑객들은 상기 유인물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위해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쇼핑객을 식별(identifying)하는 어떤 방법이 제공되어, 소비자가 쇼핑을 가고 제품에 돈을 지불할 때 상기 쇼핑객은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상기 체크아웃 단말기에 의해 읽혀지는 식별 코드 또는 상기 쇼핑객과 연관된 다른 어떤 데이터를 포함한 카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기존의 로열티 프로그램들 또한 소비자에게 쇼핑객의 인구통계적 데이터, 쇼핑 습관 데이터, 라이프 스타일 데이터, 쇼핑객의 흥미를 끌만한 제품들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는 쇼핑객들과 관련된 다른 데이터와 같은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프로그램은 국제 특허 공보(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os. PCT/SG2005/000185/ 및 PCT/SG2005/000224)에 개시되어 있다. 이 2개의 국제 특허 공보의 내용은 본 문헌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다.Shoppers may register to participate in the handout program and some method of identifying the shopper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hopper may be identified when the consumer goes shopping and pays for the product. This can be done via a card containing an identification code read by the checkout terminal or any other data associated with the shopper. In alternative embodiments, existing loyalty programs may also be associated with shoppers that may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shopper demographic data, shopping habit data, lifestyle data, and products of interest to shoppers. It can be used to provide consumer information such as data. Such programs are disclosed in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os. PCT / SG2005 / 000185 / and PCT / SG2005 / 000224. The contents of these two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허브 제품들과 스포크 제품들은 쇼핑객들의 실제 구매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허브 제품들 및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들을 만들 높은 상관의 카테고리들(high correlation categories) 제품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개인 쇼핑객들의 쇼핑 바스켓 내용이 분석되고 모든 쇼핑객들의 바스켓 내용물의 전체가 분석될 것이다. 도 2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는 소매상의 전자적 판매시기관리시스템(EPOS;electronic point-of-sales system)(14)(도 2)에 의해 소매상의 데이터베이스안에 캡춰된다. 이번에는 허브 카테고리들과 스포크 카테고리들, 구매 빈도/사이클, 최근 구매일, 가치, 부피(volumes), 바스켓당 구매된 아이템의 수, 그리고 각각의 제품/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가 프로세서(30)(도 2)에서 분석되는 장소인 중앙 기관(central authority)으로 전자 데이터 전송을 통하여 전송된다. 이와는 독립적으로, 쇼핑객의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120)(도 3)는 쇼핑객들이 상기 쇼핑객들에 관련된 개인적인 데이터 및 다른 사회-경제적 정보를 포함하는 로열티/리워드 카드에 쇼핑객들이 서명할 때 성립된다. 그러므로, 이 개인적인 데이터베이스(120)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는 쇼핑객 식별자들을 포함하며, 동일 쇼핑객과 관련한 EPOS로부터의 구매 데이터와 합쳐질 수 있는 지질-인구통계적 데이터 및 다른 사회-경제적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다.Herbal products and spoke product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actual purchase of shoppers. In order to determine the high correlation categories products that will make the hub products and the spoke categories, the shopping basket contents of individual shoppers will be analyzed and the entirety of the basket contents of all shoppers will be analyzed.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FIG. 2, the data is captured in a retailer's database by a retailer's electronic point-of-sales system (EPOS) 14 (FIG. 2). This time, to determine hub categories and spoke categories, frequency of purchase / cycle, date of last purchase, value, volumes, number of items purchased per basket, and each product / category, It is transmitted via electronic data transmission to a central authority, which is the place to be analyzed in the processor 30 (FIG. 2). Independently, the shopper's profile database 120 (FIG. 3) is established when shoppers sign a loyalty / reward card that includes personal data and other socio-econom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opper. Therefore, the data contained in this personal database 120 includes shopper identifiers and will include geological-demographic data and other socio-economic data that may be combined with purchase data from an EPOS relating to the same shopper.

따라서, 허브 카테고리들과 스포크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데이터는 쇼핑객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질적 구매에 관한 데이터이다.Thus, the data used to determine hub categories and spoke categories is data relating to the actual purchase made by the shopper.

예를 들어, 허브 카테고리가 아기 기저귀일 수 있다. 제품의 허브 카테고리는 아기 기저귀를 또한 구입하는 사람들에 의해 구입된 다수의 스포크 카테고리들과 연계될 것이다. 도 1에 보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들은 유아용 우유, 아기 음식, 아기 목욕용품, 시리얼, 커피, 과자, 그리고 냉장육(chilled meat)으로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또 다른 예에서, 허브 카테고리는 허브차와 같은 허브(herbal) 제품일 수 있고, 세안제, 설탕, 시리얼, 천연 제품들과 같은 많은 스포크 카테고리들이 그 허브 카테고리와 연관될 것이다. 스포크 제품들이 실제의 쇼핑 바스켓안에서는 허브 제품들과 강한 상관성이 없다 하더라도, 스포크 제품들은 역시 포함될 것이다. 예를 들어, 시장에 소개될 예정인 새 아기 손수건과 같은 새 제품은 그것이 새 제품이므로 사람들이 전에 그 제품을 구입한 적이 없다고 하더라도, 스포크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rb category may be a baby diaper. The hub category of the product will b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spoke categories purchased by those who also buy baby diaper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spoke categories consist of infant milk, baby food, baby bath products, cereals, coffee, sweets, and chilled meat. In another example not shown, the herbal category may be a herbal product, such as herbal tea, and many spoke categories, such as face wash, sugar, cereal, natural products, will be associated with the herb category. Although spoke products may not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herbal products in the actual shopping basket, spoke products will also be included. For example, a new product, such as a new baby handkerchief to be introduced to the market, can produce spokes, even if people have never purchased it since it is a new product.

도 2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도 2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시스템의 블럭도가 보여진다. 출력 프린터 및 카드 리더기(10)는 기저귀 등의 허브 제품들을 포함하는 선반(12) 가까이에 보인다. 체크아웃 단말기(14)는 쇼핑객이 제품의 값을 지불하는 장소에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쇼핑객이 제품을 구매할때, 쇼핑객들은 체크아웃 단말기(14)에 위치할 것이며 쇼핑객들의 제품이 스캔될 것이고 이에 의해 구매된 제품이 식별될 수 있다. 특정 쇼핑객은 또한 상기 단말기(14)에서 카드 리더기(15)에 의한 카드 리드(card read)의 방식에 의해, 또는 소매 아웃렛(retail outlet)(70)에서 크레딧 카드 또는 동종의 것에의해 공급될 수 있는 입력코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쇼핑객의 특정한 식별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본질이 아니며 상기 실시예는 상기 쇼핑객의 특정한 식별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것은 특정 쇼핑객에 의해 구매되는 제품의 본질(the nature of the products)이 소매 아웃렛(70)에서 상기 단말기(14)에 의해 수집되고 원거리 소매상 중앙부(remote retailer central location) 또는 백엔드오피스(back end office)(80)에 있는 소매상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세서 시스템(a retailer data warehouse processor system)(60)에 공급되는 것이다. 하나의 백엔드오피스(80)는 백화점들 체인의 수 많은 서로다른 상점들, 혹은 이와 유사한 것과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2, a block diagram of a system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output printer and card reader 10 are visible near the shelf 12 containing hub products such as diapers. The checkout terminal 14 is provided where the shopper pays for the product. Typically, when a shopper buys a product, the shopper will be located at the checkout terminal 14 and the shopper's product will be scanned so that the purchased product can be identified. A particular shopper may also be supplied by way of a card read by the card reader 15 at the terminal 14 or by a credit card or the like at the retail outlet 70. Can be identified by an input code. However, the specific identification of the shopper is not the essen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 may be practiced without the specific identification of the shopper. What is required is that the nature of the products purchased by a particular shopper is collected by the terminal 14 at a retail outlet 70 and is located at a remote retailer central location or back end. supplied to a retailer data warehouse processor system 60 at office 80. One backend office 80 may be associated with many different stores, or the like, in a chain of department stores.

쇼핑객에 의해 이루어진 구매와 관련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14)에서 수집되고, LAN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는 통신링크(communication link)(28)에 의해 상기 소매 아웃렛(70)에서 유지되는 상점 프로세서(Store Processor)(51)와 소매 상점 서버(Retail Store Server)(50)로 공급된다. 상기 데이터는 이제 상기 서버(50)로부터 데이터베이스(62) 및 프로세서(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소매상 중앙부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세서 시스템(60)으로 공급된다. 상기 소매상 중앙부(80)는 또한 데이터베이스(120) 및 서버(140)를 포함하는 소매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90)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90)은 일반적인 로열티 리워드 시스 템과 판촉을 행하기 위하여 쇼핑객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60)에 의해 수집된 쇼핑 구매 데이터와 합쳐질 수 있으며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인터넷 통신 링크, 또는 다른 어떤 적합한 링크일 수 있는 통신 링크(communication link)(85)를 통해 원거리 오퍼레이터 중앙부(oprator central location)(100)로 공급될 수 있다.The data associated with the purchase made by the shopper is collected at the terminal 14 and maintained at the retail outlet 70 by a communication link 28, which may be a LAN or the like. Processor 51 and Retail Store Server 50 are supplied. The data is now supplied from the server 50 to the retailer central database and processor system 60, which comprises a database 62 and a processor 64. The retailer central portion 80 also includes a retail server and database system 90 that includes a database 120 and a server 140. The system 90 stores data about shoppers in order to promote promotions with a general loyalty rewards system, which data can be combined with shopping purchase data collected by the system 60 and is a wide area network. May be supplied to the remote operator central location 100 via a communication link 85, which may be an internet communication link, or any other suitable link.

그러므로, 상기 시스템(60)에 저장된, 쇼핑객에 관한 구매 데이터 및 기타의 데이터는 프로그램 공급자(program provider)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중앙부(100)의 데이터베이스(32)로 보내진다.Thus, purchase data and other data about the shopper, stored in the system 60, is sent to the database 32 of the central portion 100 operated by a program provider.

상기 중앙부의 프로세서(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2)의 상기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러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2)는 상기 구매 데이터를 분석하는 동안 상기 프로세서(30)에 의해 사용되는 동작하는(working)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2)에 의해 수신될때, 상기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되어 단일 바스켓 거래(a single basket transaction)에서 쇼핑객들에 의해 구매된 모든 제품들이 상관성 분석을 거치게 된다. 상기 제품들은 구매 빈도순으로 순위가 매겨지고 그러므로 이 데이터로부터 허브카테고리가 결정된다. 각각의 허브 카테고리는 보통 가장 자주 구매되는 제품이며, 미리 결정된 마케팅 의도에 따라 높은 소비자 침투력(high customer penetration)을 가진다. 각각의 허브 제품은 이제 다른 카테고리들과 상관되고(correlated), 초기 결과(outcome)는 상관성이 가장 센 것부터 가장 약한것까지의 상관성 점수의 리스트이다. 가장 약한 상관성은 삭제되고 무시될 수 있다. 소정의 상관성 포인트 또는 값을 참조하여 가장 약한 상관성 이 결정되고 따라서 그 포인트 또는 값 아래의 모든 상관성은 약한 상관성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허브 제품들 및 허브 제품에 연계된 스포크 제품들을 결정하기 위해 쇼핑객이 구매한 상기 제품들 사이의 상관성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프로세서(30)는 쇼핑객에 의해 이루어진 전체 구매를 조사한다(interrogated). 이것은 계속적으로 그것들의 스포크 제품들과 강한 상관성을 보이는 허브 제품들은 유지될 수 있게 해주며, 약한 상관성을 보이는 허브 제품들은 제거되게 해준다.The central processor 30 analyzes the data in the database 32. Therefore, the database 32 is a working database used by the processor 30 while analyzing the purchase data. When the data is received by the database 32, the data is analyzed by the processor such that all products purchased by shoppers in a single basket transaction undergo a correlation analysis. The products are ranked in order of purchase frequency and therefore the hub category is determined from this data. Each hub category is usually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product and has high customer penetration in accordance with predetermined marketing intent. Each herbal product is now correlated with other categories, and the initial outcome is a list of correlation scores from the strongest to the weakest. The weakest correlation can be deleted and ignored. The weakest correlation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a given correlation point or value and thus all correlations below that point or value are considered to be weak correlations. Therefore, the processor 30 interrogates the entire purchase made by the shopper so that a correlation can be made between the shopper's purchases to determine hub products and spoke products associated with the hub product. ). This continually allows herb products that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ir spokes to be retained and herb products that are weakly correlated.

그리고 나서, 상기 프로세서(30)는 허브 제품들 및 관련 제품들의 선호 리스트들(favorite lists)을 생성할 수 있으며, 특정 쇼핑객들에 의해 이루어진 구매품을 바탕으로한 사이클 내에서 쇼핑객의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이제 특정 허브 제품들에 관련된 구매 사이클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것으로부터 특정 판촉을 위한 기간이 결정될 수 있다.The processor 30 may then generate preference lists of hub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and determine groups of shoppers in a cycle based on purchases made by specific shoppers. . The decision can now be made in purchasing cycles related to specific herbal products, from which a period for a particular promotion can be determined.

상기 프로세서(30)는 또한 최근 구매를 결정하고 이것을 사이클 기준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기저귀의 구매 사이클이 개인 쇼핑객에게 보통 약 2주일 때, 판촉의 시기는 상기 구매 사이클과 같아질 수 있으며, 판촉을 위한 기간 역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주 기반으로 구매된 제품에 있어서, 상기 판촉은 2주 동안 제공될 것이다. The processor 30 also determines a recent purchase and compares it to a cycle basis. For example, when the purchase cycle of a diaper is usually about two weeks for an individual shopper, the timing of the promotion may be the same as the purchase cycle, and the period for promotion may also be determined. For example, for a product purchased on a two-week basis, the promotion will be provided for two weeks.

제품들 각각의 허브 카테고리 위해, 다음의 소정 기간(2주와 같은)내에 상기 허브 제품을 구매할 법한 구매자 그룹의 잠재적 규모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 진다. 쇼핑객 그룹의 잠재적 규모가 충분히 크다면, 허브 제품을 구매하고 또한 관련된 스포크 제품들을 구매를 위하여 어떤 유인물들을 제공받게될 사람들을 위하여 판촉 이 개발 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0)는 그러므로 상기 허브 제품들과 스포크 제품들을 위한 판촉 오퍼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마케터들이 만들 준비가 된 오퍼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허브 카테고리 및 스포크 카테고리를 위한 선호 리스트 판촉 오퍼들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유인물 제공들은 가격 할인, 별도의 비용없이 별도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 또는 경품(giveaways), 샘플, 경마권, 나중의 쇼핑을 위한 보너스 포인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일 수 있다. 상기 선호 리스트들은 커뮤니케이션 링크(36)를 통해 프로세서(30)에 의해 소매상 서버(50)로 포워딩 된다.For each hub category of products, a determination is made regarding the potential size of a group of buy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the hub product within the next predetermined period (such as two weeks). If the potential size of the shopper group is large enough, promotions can be developed for those who will be provided with some handouts to buy herbal products and also to purchase related spoke products. The processor 30 may therefore generate promotion offers for the hub products and spoke products, and generate preference list promotion offers for each hub category and spoke category based on offers ready for marketers to make. do. As noted above, such handout offers may be price reductions, offering separate products at no extra cost, or giveaways, samples, horse racing tickets, bonus points for later shopping, or the like. . The preference lists are forwarded by the processor 30 to the retailer server 50 via the communication link 36.

대안적으로, 상기 EPOS 데이터 프로세서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60)은 상기 통신 링크(35)을 통해 상기 리스트들을 상기 소매 상점 서버(50)으로 포워딩 할 수 있도록, 상기 리스트들은 상기 통신 링크(85)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30)에 의해 소매상 중앙부(80)로 거꾸로 포워딩 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lists may be rou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k 85 such that the EPOS data processor and database system 60 may forward the lists to the retail store server 50 via the communication link 35. It may be forwarded backwards to the retailer central portion 80 by the processor 30.

그리고 나서, 상기 상점 프로세서(51)는 상기 리스트를 상기 리더/프린터(10)와 상기 EPOS 체크 아웃 단말기(14)로 로드(load) 한다.The store processor 51 then loads the list into the reader / printer 10 and the EPOS checkout terminal 14.

상기 선호 리스트들은 통신 링크(38)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51)로부터 상기 프린터(10)에 로딩되거나, 플래시카드 저장 장치에 의해 수동적으로 상기 프린터(10)에 로딩된다.The preference lists are loaded from the processor 51 to the printer 10 by a communication link 38 or manually loaded into the printer 10 by a flashcard storage device.

그러므로, 구매자가 기저귀를 구매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12)에 위치할 때, 상기 구매자는 제품들의 그 허브 카테고리에 관한 상기 선호 리스트를 받기 위하여 상기 프린터(10)를 활성화 시키는 옵션을 가진다. 상기 선호 리스트는 상기 구매자 가 도 1에 보여진 추가적인 제품들을 모두들 구매하면, 그 특정 유인물이 제공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것이다. 상기 스포크 제품들의 단지 일부만이 구매될 경우에는 다른 유인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프린터(10)을 제공하는 대신에, 상시 선호 리스트는 상기 선반(12)에 위치한 사람에 의해 기저귀를 구매하는 모든 사람에게 간단하게 건네질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when a buyer is placed on the shelf 12 to purchase a diaper, the buyer has the option of activating the printer 10 to receive the preference list regarding that hub category of products. The preference list will indicate that if the buyer purchases all of the additional products shown in Figure 1, that particular handout will be provided. Other handouts may be provided if only some of the spoke products are purchased.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instead of providing a printer 10 for generating the preference list, the permanent preference list may simply be passed to everyone who purchases a diaper by a person located on the shelf 12. will be.

그러므로, 상기 쇼핑객이 실제로 구매한 것에 기반한 유인물을 받을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상기 쇼핑객이 상기 체크아웃 단말기(14)에 위치할 때 상기 쇼핑객에 의해 구매된 제품들이 결정되며 상기 출력 장치(10)가 제공하는 상기 유인물과 비교될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enable the shopper to receive handouts based on what they actually purchased, the products purchased by the shopper when the shopper is located at the checkout terminal 14 are determined and provided by the output device 10. Will be compared to the handout.

쇼핑객 데이터베이스(120)와 서버(140)는 또한 지질-인구통계적 데이터, 사회-경제적 데이터, 쇼핑객 프로파일 정보, 과거 구매 경력 데이터, 그리고 동종의 데이터와 같은 개인 쇼핑객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데이터는 쇼핑객들이 실제로 무슨 허브 제품을 구매했는지와 함께 그들 자신의 선호, 인구통계적 데이터, 기타에 근거하여 상기 판촉을 다양한 클래스의 쇼핑객들에게로 보다 잘 이끌어 주기 위한 선호 리스트들과 판촉 오퍼 리스트들에서 사용될 용도로 상기 프로세서(3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쇼핑 시스템 또는 다른 타입의 로열티 프로그램의 일부로써 제공되는 로열티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신청하는 사람들에게 질문지 조사(questionnaires)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hopper database 120 and server 140 may also provide input data about individual shoppers such as geological-demographic data, socio-economic data, shopper profile information, past purchase history data, and similar data. . The data is based on their own preferences, demographic data, etc., along with what herbal products they actually bought, preference lists and promotion offer lists to better direct the promotion to different classes of shoppers. It may be supplied to the processor 30 for use in the. The data may b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o those who apply to participate in a loyalty program offered as part of the shopping system or other type of loyalty program.

도 2에서 보인 구조는 단지 예시이다. 다수의 다른 소매 아웃렛들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이 제공된다면, 각각의 상점 위치에서 우리의 출력 장치 프린터(10)와 통신하는 하나의 중심 프로세서(a single central processor)(30)와 데이터베이스(32)가 제공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나아가서, 다수의 그러한 프린터들(10)은 각각의 상점 소재지에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30)는 상점 기지 프로세서들(store base processors)과 차례로 통신하는 중심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shown in FIG. 2 is merely an example. If the system is provided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retail outlets, a single central processor 30 and database 32 will be provided that communicate with our output device printer 10 at each store location. It is obvious. Furthermore, a number of such printers 10 may be provided at each store location. Furthermore, the processor 30 may be generated by a central processor that in turn communicates with store base processors.

도 2의 상기 실시예가 실제 상점에 관련한 것이라 하더라도, 상기 상점은 인터넷 또는 다른 원격 접속 장치, 메일, 푸드 아웃렛,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해 접속되는 상점과 같은 가상의 상점(virtual store)일 수 있으며, 상기 상점의 본질은 특정 물품이 구매되는 장소라기 보다는 예를 들어, 체육관, 엔터테인먼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제공하는 라이프스타일 엔터프라이즈일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FIG. 2 relates to an actual store, the store may be a virtual store, such as a store connected via the Internet or other remote access device, mail, food outlets, and the like, and the store May be a lifestyle enterprise that provides, for example, a gym, entertainment or the like rather than a place where a particular item is purchased.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은 도 3의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보다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The method of this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more fully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

도 3과 관련하여, 단계(301)에서 쇼핑객에 의해 구매되고 있는 제품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위의 내용을 참조한 방식으로 상기 프로세서(30)에 의해 쇼핑객의 바스켓 구성이 결정된다. 단계(301)에서 상기 프로세서(30)는 상기 허브 카테고리와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들 사이에 강한 상관성이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위에 참조된 예시를 사용하면, 여러 쇼핑객들로부터의 다수의 쇼핑 바스켓들을 분석하는 것은 특정한 수의 사람들이 아기 기저귀를 구매하며, 그 사람들에게서 다수의 다른 제품들 또한 구매된다는 것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허브 제품은 아기 기저귀일 수 있으며,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들은 마찬가지로 아기 기저귀를 구매하는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구매된 제품일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 3, the basket 30 of the shopper is determined by the processor 30 in a manner referred to above to identify the products being purchased by the shopper at step 301. In step 301 the processor 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hub category and the spoke categories. Using the example referenced above, analyzing multiple shopping baskets from different shoppers may show that a certain number of people buy baby diapers, and that many other products are also purchased from them. Thus, the herbal product may be a baby diaper, and the spoke categories may likewise be a product purchased by a number of people who purchase a baby diaper.

상기 프로세서(30)는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쇼핑객들에 의해 구매된 상기 제품들을 각각의 단일 거래로 처리한다. 희망한다면 다른 분석 툴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품들은 구매 빈도 순서대로 순위매겨지고 카테고리들이 결정된다. 각각의 허브 카테고리는 보통 가장 자주 구매되는 것이거나 미리 결정된 마케팅 의도에 따라 높은 소비자 투과성을 가지는 것이다. 각각의 허브는 이제 다른 카테고리들과 서로 관련된다. 최초의 결과물(initial outcome)은 가장 강한 것에서 가장 약한 것 까지의 상관성 점수들의 리스트이다. 가장 강한것과 가장 약한 것 사이 어딘가에서 상관성 포인트가 결정되며 약한 상관성으로부터 강한 상관성을 분리(cut-off)하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processor 30 processes the products purchased by shoppers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into each single transaction. Other analysis tools can be used if desired. Howev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products are ranked in order of purchase frequency and categories are determined. Each hub category is usually one that is most often purchased or has high consumer permeability depending on a predetermined marketing intent. Each hub is now associated with other categories. The initial outcome is a list of correlation scores from the strongest to the weakest. A correlation point is determined somewhere between the strongest and the weakest and is used to cut-off strong correlations from weak correlations.

상기 허브카테고리들과 스포크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몇가지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방법들에는, Several method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hub categories and spoke categories, which include:

(a) 단순히 가장 높은 투과성을 갖는 카테고리 또는 자주 구매된 카테고리와 상관을 맺게하는 방법과; 여기서 이 방법은 다양한 제품의 구매들 사이에서 현저한 상관성을 보여주는 쇼핑 바스켓들은 포함될 수 있도록 해주고 단계(304)에서 처럼 약한 상관성의 쇼핑 바스켓은 배제될 수 있게 해주며, 그리고(a) simply correlating with the category with the highest permeability or frequently purchased category; The method here allows shopping baskets to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urchases of various products, and allows for the removal of weakly correlated shopping baskets as in step 304, and

(b) 다른 통계적이고 분석적인 툴이 상관성 분석에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b) There may be ways in which other statistical and analytical tools can be used together in correlation analysis.

상기 허브 카테고리들과 스포크 카테고리들이 결정되는 방식은 상기 마케터 들이 요구하는 최종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단지 허브 카테고리와 스포크 카테고리들에 대해 단순히 이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과 시스템을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얼마나 많은 최적의 허브 카테고리들이 있어야 하는지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다.The manner in which the hub categories and spoke categories are determined depends on the final result required by the marketers. For example, it may only be necessary to simply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hub category and spoke categories, or additionally need to know how many optimal hub categories there should be in order to operate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preferred embodiment most effectively. There can be.

예를 들어, 허브 카테고리들은 다음의 것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hub categories may be the following.

(a) 구매 빈도;(a) frequency of purchase;

(b) 주요 아이템 또는 기본 아이템;(b) the main item or base item;

(c) 높은 쇼핑객 투과성;(c) high shopper permeability;

(d) 주제에 의해 이끌린 것 또는 특정한 관심, 예를 들어, 아기 - 따라서, 허브로써의 아기 기저귀, 건강-음식, 기타;(d) to be led by the subject or to a particular interest, such as a baby-thus, a baby diaper as a herb, health-food, etc .;

(e) 목표 카테고리(destination category).(e) Destination category.

모든 다른 카테고리들은 상기 상관성의 강도에 기반하여 순서대로 랭크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 카테고리가 아기 기저귀인 경우, 마케팅 의도는 기저귀를 사는 쇼핑객들(엄마들)의 바스켓 규모를 증가시키는 것이 되는데, 이는 바스켓 규모가 작은 경우 엄마들이 추가로 필요로 할 수도 있는 관련 제품들을 챙기지 못할 수도 있기(underperforming) 때문이다. 상기 상관성 포인트 또는 값은 스포크 제품이 허브 제품과 함께 구매되었을 때 강한 관련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들은 상기 허브 카테고리 아기 기저귀의 구매와 서로 연관되어 소정의 상관성 퍼센티지보다 높은 그러한 카테고리들, 예를 들어,All other categories will be ranked in order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correlation. For example, if the herb category is baby diapers, the marketing intent is to increase the basket size of shoppers (mothers) who buy diapers, which may be additionally needed by moms if the basket size is small. That's because they might be underperforming. The correlation point or value is strongly related when the spoke product is purchased with the hub product. Therefore, the spoke categories are related to the purchase of the hub category baby diaper, and those categories which are higher than a certain correlation percentage, for example,

(a) 아기 우유;(a) baby milk;

(b) 아기 음식;(b) baby food;

(c) 시리얼;(c) cereal;

(d) 커피;(d) coffee;

(e) 냉동육/아침식사 햄;(e) frozen meat / breakfast ham;

(f) 과자류 - 예를 들어 비스킷;(f) sweets-for example biscuits;

(g) 아기 파우더;(g) baby powder;

(h) 소금.(h) salt.

일 수 있다. Can be.

단계(301)에서의 분석 결과는 단계(302)에서 고려된다. 강한 상관성의 경우, 상기 프로세스는 단계(303)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만약 상관성이 약한 경우에, 상기 프로세스는 단계(304)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약한 상관성인 것들 또는 관련성이 전혀 없는 경우들이 무시되며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된다.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step 301 are considered in step 302. In the case of strong correlation, the process may move to step 303. If the correlation is weak, the process moves to step 304 where relatively weak correlations or cases where there is no correlation at all are ignored and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system.

단계(303)에서는 판촉 오퍼를 위하여 허브 및 스포크 카테고리들에 대한 결정이 고려된다. 이제는 최근 판촉들이 고려되고, 만약 아기 파우더가 최근 판촉의 주제(the subject)였다면, 이 제품은 단계(303)에서 상기 허브 카테고리들 및 스포크 카테고리들을 분석하는 동안 상기 제안된 판촉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In step 303, decisions on hub and spoke categories are considered for the promotional offer. Recent promotions are now considered, and if baby powder was the subject of a recent promotion, the product can be removed from the proposed promotion while analyzing the hub categories and spoke categories in step 303.

단계(303)에서, 상기 분석은 허브 카테고리들을 자주 구매된 제품 카테고리들로써 또는 높은 소비자 투과성을 가진 제품들로써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쇼핑객들이 이러한 제품 카테고리들을 시도하거나 구입해 왔다. 일반적으로, 상기 허브 제품들은 일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1년 동안 모든 쇼핑객에 의해 구매 되는 탑 아이템들을 대표하는 쇼핑객들 바스켓 각각의 주요한 아이템들일 것이다. 그러나, 특정한 변형들 또한 결정될 수 있는데, 상기 변형들은 여성의 필요에 특별히 관련된 여성의 바스켓과, 예를 들어 소스, 고기, 또는 와인이 허브(hub)가 될 수 있는 요리 또는 식사등의 라이프 스타일 제품들과 관계된 라이프 스타일 바스켓등과 같이 더 분할하는 것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In step 303, the analysis may determine the hub categories as frequently purchased product categories or as products with high consumer permeability. For example, many shoppers have tried or purchased these product categories. In general, the herbal products will be major items in each of the shoppers' baskets representing top items purchased by all shoppers for a period of time, for example, for one year. However, certain variations may also be determined, such as the women's baske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needs of women and lifestyle products such as dishes or meals where sauces, meat, or wine may be hubs. It can be something like dividing it further, such as the lifestyle basket associated with the field.

단계(305)에서, 단계(303)의 상기 분석을 근거로 하여 초기의 선호 리스트가 컴파일된다(compiled). 자격있는 쇼핑객들(qualifying shoppers)의 잠재적 규모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스트는 잠재적 마케터들이 상기 특정한 판촉에 참여하도록 리크루팅 하는 리스트인가?' '소매상들이 상기 판촉에 참여하도록 선발 후보자 명단에 올려진(short-listed) 상기 마케터들에게 동의 하는가?' '어떤 판촉 전략들이 이용될 수 있는가?'와 같은 이슈들.In step 305, the initial preference list is compiled based on the analysis of step 303. The potential size of qualifying shoppers is determined. For example, 'Is the list a list that recruits potential marketers to participate in that particular promotion?' 'Do you agree with the marketers that are short-listed to allow retailers to participate in the promotion?' Issues such as 'What promotion strategies can be used?'

(307)에서 (309)의 단계들과 동시에, 단계(306)에서 사이클과 함께 상기 쇼핑객의 그룹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 진다.Concurrent with the steps of 307 to 309, a determination is made regarding the group of shoppers with a cycle in step 306.

허브 및 스포크 카테고리들의 상기 그룹으로부터, 상기 시스템은 이제 쇼핑객들의 수를 식별한다. (그리고 카드 리더기가 선반(12)에서 사람들을 식별하는데에 사용되는 경우, 필요하다면 쇼핑객들을 식별한다.) 단계(307)에서 상기 쇼핑객들의 구매 사이클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그러므로 상기 시스템은 단계 (308)에서 처럼 상기 판촉을 위한 사이클 기간을 결정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허브 카테고리 아기 기저귀가 쇼핑객에 의해 매 2주마다 구매되며 어제는 어느 쇼핑객도 기저귀를 구입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판촉 사이클 기간 역시 2주가 되어야 할 것이다. 단계 (306)에서, 소금이 매 8주마다 구매된다면, 이 스포크 카테고리는 탈락될 수 있도록 모든 스포크 카테고리들이 그 2주 사이클안에 떨어지는지 또한 결정된다. From the group of hub and spoke categories, the system now identifies the number of shoppers. (And if a card reader is used to identify people on shelf 12, it identifies shoppers, if necessary.) In step 307, an analysis of the shopper's buying cycle is performed, so that the system may perform step ( As in 308, the cycle duration for the promotion can be determined. If the hub category baby diapers were purchased every two weeks by shoppers and yesterday no shoppers bought them, the promotion cycle period would also have to be two weeks. In step 306, if salt is purchased every eight weeks, it is also determined whether all spoke categories fall within the two-week cycle so that this spoke category can be dropped.

그러므로, 단계(305)에서, 초기의 선호 리스트는 단계(30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컴파일 된다. 상기 초기의 선호 리스트는 적절한 허브 카테고리들 및 스포크 카테고리들의 초기의 개괄(view)이다. 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관점은 상기 카테고리들 각각을 위해 자격있는 쇼핑객들을 결정하고 특정 그룹의 규모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들을 카운트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step 305, the initial preference list is compil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step 301. The initial preference list is an initial view of the appropriate hub categories and spoke categories. The most important aspect at this stage is to determine qualified shoppers for each of the categories and count them to assess the size of a particular group.

단계(306)에서, 상기 쇼핑객의 그룹은 평균 구매 사이클안에서 구매하는 그러한 쇼핑객들로 줄어들 것이고 그 사이클 바깥의 쇼핑객들은 특정 판촉들을 위한 기회와 그러한 판촉들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적당한 가치(the likely value)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거될 것이다. In step 306, the group of shoppers will be reduced to those shoppers making purchases within the average purchase cycle and shoppers outside the cycle will have an opportunity for specific promotions and the likely value for providing such promotions. Will be removed to determine.

단계(307)과 동시에, 보통 주(weeks)단위로 표현되는 평균 구매 사이클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구매 패턴들이 분석될 것이다. 개인 쇼핑객들 자신은 식별될 필요가 없으나,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쇼핑객은 그들의 구매 사이클 패턴을 위하여 분석될 수 있다.Simultaneously with step 307, purchase patterns for each of the categories will be analyzed to determine the average purchase cycle, usually expressed in weeks. Individual shoppers themselves do not need to be identified, but shoppers of that particular category can be analyzed for their purchase cycle patterns.

단계(308)에서, 특정 판촉을 위한 상기 사이클 기간에 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클 기간은 제품을 위한 상기 구매 사이클 기간과 동일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판촉이 보통 2주 사이클로 구매되는 아기 기저귀에 관한 것이면, 상기 판촉의 사이클 기간은 2주 일 것이다. 단계(308)에서의 판촉의 사이클 기간은 주로 2가지 요소-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한 쇼핑객의 최근 구매일, 그리고 특정 판촉을 실행할 여유(affordibility)-에 의존한다. 이상적으로, 만약 여유가 제약요소가 아니며 상기 구매 사이클이 2주라면, 상기 사이클 기간은 2주이다. 이것은 어제 구매한 쇼핑객과 다음의 2주안에 구매하러 돌아올것 같은 쇼핑객 모두를 커버한다. 그러므로, 판촉 사이클이 쇼핑객들의 대부분(the bulk of shoppers)을 커버할 기한 마감(cut-off)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하여 최근 구매일이 필요하다.In step 308, a determination is made regarding the cycle period for the particular promotion. The cycle period will be the same as the purchase cycle period for the product. For example, if the promotion relates to a baby diaper that is usually purchased in a two week cycle, the cycle period of the promotion will be two weeks. The cycle duration of the promotion in step 308 depends mainly on two factors: the shopper's last purchase date for each category, and the affordibility to execute a particular promotion. Ideally, if the margin is not a constraint and the purchase cycle is two weeks, the cycle period is two weeks. This covers both shoppers who bought yesterday and shoppers who are likely to return in the next two weeks. Therefore, a recent purchase date is needed to determine the cut-off point for which the promotion cycle will cover the bulk of shoppers.

단계(309)에서, 특정 허브 제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최근 구매일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수집된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허브 제품을 단지 며칠 전에 구매하였고, 그러므로 상기 쇼핑객이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 제품들 전부를 구매하려 하지 않으려 할 것이라는 결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매가, 일주일전과 같이, 최근보다 이전에(less recent) 있었다면 상기 구매자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다른 제품들을 또한 구매하기를 원할 것이다. 그러나, 마케터들의 예산상의 제약이 또한 고려된다. 예산상의 제약은 마케터들이 프로그램을 단지 7일동안 제공하기를 원하게 할 것이고, 그리고 일주 전에 구입한 쇼핑객들은 상기 7일 의 판촉 프로그램 사이클 이내에는 구입을 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특정 카테고리의 모든 쇼핑객들이 고려되며 상기 판촉 사이클이 최근에 구매한 이 쇼핑객들을 커버할 여지가 있는지 혹은 그들을 놓치게 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구매 사이클 내에서 확장(spread) 및 최근에 얼마나 많은 구매가 있었는지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허브 카테고리와 스포크 카테고리의 초기 쇼핑객 그룹은 구매 사이클, 최근 구매일, 그리고 판촉 사이클과 대조하여(against) 체크되고 스크 린될 때 줄어들 것이다.In step 309, a determination is made regarding the last purchase date of a purchaser who purchases a particular herbal product. Therefore, from the collected data, there may be a decision that the herbal product was purchased only a few days ago and therefore the shopper would not want to purchase all of the spoke category products. However, if the purchase was less recent, such as a week ago, the buyer would also want to purchase the other products shown in FIG. However, the budgetary constraints of marketers are also considered. Budgetary constraints will make marketers want to offer the program for only seven days, and shoppers who have purchased a week ago will not make a purchase within the seven-day promotional program cycle. All shoppers of the particular category are considered and the spread and how many purchases have been made within the purchase cyc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romotion cycle is likely to cover or miss them. It was decided whether there was. Therefore, the initial shopper group for each hub category and spoke category will be reduced when checked and screened against the purchase cycle, recent purchase date, and promotion cycle.

그러므로, 단계(310)에서, 특정한 판촉에 의해서 유인물될것같은 쇼핑객들의 잠재적인 규모 또는 그룹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서 판촉을 제공하는 것이 가치있는 것인지 또는 상기 그룹의 규모가 너무 작아서 그러한 판촉 오퍼가 어떤 이익도 줄 수 없을 것 같을지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단계(310)에서 특정 판촉에 의해 유인물될 것 같은 쇼핑객들의 잠재적인 규모가 충분하다고 결정되면 허브 제품과 스포크 제품 각각을 위한 판촉 오퍼 리스트가 단계(311)에서 확립된다. 상기 판촉 오퍼 리스트는 각각의 허브 카테고리 또는 스포크 카테고리를 위해 적당한 전략을 결정하기 위하여 마케터들과 소매상들에게 작동하는 리스트(working list)이다. 이 리스트는 마케터들 모두에게 동의되며 활성화를 위해 상기 소매상에 의해 승인된다.Therefore, in step 310, a decision is made regarding the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likely to be attracted by a particular promotion and accordingly it is worthwhile to provide the promotion or the size of the group is so small that such promotion offers Consideration may be given as to whether or not any benefit is likely to be provided. If it is determined at step 310 that the potential size of shoppers likely to be attracted by a particular promotion is sufficient, then a promotional offer list for each of the herbal and spoke products is established at step 311. The promotional offer list is a working list that works for marketers and retailer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trategy for each hub category or spoke category. This list is agreed to all marketers and is approved by the retailer for activation.

단계(311)에서 상기 허브 카테고리들을 근거로 한 판촉 오퍼 리스트(아기 기저귀 및 위에서 언급된 스포크 카테고리 (a)-(f))는 이 그룹안 쇼핑객들의 쇼핑 바스켓 규모를 늘리기 위한 마케터들의 판촉 전술과 함께 이제 상기 소매상들에 의한 승인을 위한 마지막 형태에 있다. 이것은 상기 EPOS단말기(14)의 상기 소매상들의 판촉 리스트에 포함되기 위하여 상기 소매상에게 보내지고 따라서 상기 제공과 매칭될 수 있으며 쇼핑객들이 상기 유인물들 중 어떤 것을 취할 때 상기 단말기(14)에서 보상(redemption)이 확인 될 수 있다. In step 311 a promotional offer list based on the hub categories (baby diapers and spoke categories (a)-(f) mentioned above) along with the marketing tactics of marketers to increase the shopping basket size of shoppers in this group. Now in final form for approval by the retailers. This can be sent to the retailer and matched with the offer for inclusion in the retailer's promotional list of the EPOS terminal 14 and redemption at the terminal 14 when shoppers take any of the handouts. This can be confirmed.

단계(312)에서 허브 제품이 구매되었을 때 쇼핑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허브 카테고리 및 스포크 카테고리들을 위한 제공 리스트가 생성된다. 선호 리 스트는 제공 리스트를 포함하고, 바우처 또는 쿠폰 또는 쇼핑객들에게 이용가능한 스포크 제공들을 알려주는 유사한 핸드아웃 세트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허브 카테고리 제품과 동일한 시간에 구매되어야만 한다.In step 312 a provision list is created for each hub category and spoke categories to provide to shoppers when the hub product is purchased. The preference list includes a list of offers and a similar set of handouts that informs vouchers or coupons or spoke offers available to shoppers. They must be purchased at the same time as the hub category product.

단계(313)에 보인바 처럼, 리스트를 제공하는것은 리스트의 프린트아웃 또는 수동 공급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린터는 허브 카테고리 제품이 판매를 위해 제공된 장소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허브 카테고리를 구매한 쇼핑객은 카드 또는 쇼핑객을 식별해 주는 유사한 것을 넣을 수 있으며 스포크 카테고리 제품의 구매시 제공되고 있는 유인물들의 프린트아웃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오퍼는 어떤 사람이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 제품들 각각을 구매하면 그 사람은 그 제품의 가격의 특정 퍼센티지를 디스카운트 받게 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유인물은 그 사람이 추가의 제품을 받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유인물들은 상기 쇼핑객 역시 사고 싶어하는 그 제품들을 구매하도록 상기 쇼핑객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마권 발행과 다른 구매를 위한 보너스 포인트와 공짜 선물 또는 다른 경품들 일 수 있다. As shown in step 313, providing a list can be accomplished by way of a printout or manual feed of the list. The printer may be located where the hub category product is offered for sale, so that a shopper who purchases the hub category may insert a card or similar to identify the shopper and may print out the handouts that are being offered when purchasing the spoke category product. You can get it. For example, the offer would be that if a person purchases each of the spoke category products, that person will be discounted a certain percentage of the price of that product. Alternatively, the handout may be that person receives additional products. Other handouts may be bonus points and free gifts or other giveaways for ticketing and other purchases to provide handouts to the shopper to purchase those products that the shopper also wants to buy.

그러므로, 단계(314)에서의 결과는 이루어지고 있는 상기 유인물 제공 때문에 그리고 또한 상기 쇼핑객이 어느 경우에서나 그 제품들을 필요로 하기 쉽다는 사실때문에 쇼핑객들이 상기 관련된 스포크 카테고리들로 부터 제품을 구매하기 쉽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늘어난 바스켓 규모 또는 쇼핑객에 의한 특정날짜의 상기 쇼핑 트립의 총 가치는 증대되기 쉽다. 이것은 명백히 상기 스포크 카테고리 제품들을 판매하는 상기 마케터에게 이익이며, 상기 쇼핑객에게 이익이다. 왜냐하면 상 기 쇼핑객은 상기 쇼핑객이 어느 경우에서나 필요로 할 법한 추가 제품 구매를 위한 유인물을 제공받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상기 쇼핑객이 채택된 판촉 오퍼로부터 최선의 가치를 받게 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소비자 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시점 근처에서 쇼핑객과 관련된 오퍼를 통하여, 제공되는 유인물들로 인해 상기 쇼핑객은 더 많은 제품을 구매하려 할 것이고 상기 구매에서 최선의 가치를 얻게 될 것이다. 단계(314)는 또한 판촉 과정 중 쇼핑객들에 의해 실제로 구매된 허브 제품들과 스포크 제품들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4)에서 수집된 데이터로 구매된 제품들을 분석하여, 상기 판촉의 성공을 기준(measure)을 결정할 수 있게 해준다. Therefore, the result in step 314 is that shoppers are likely to buy products from the related spoke categories because of the handout being made and also because of the fact that shoppers are likely to need the products in any case. will be. Therefore, the total value of the shopping trip on an increased basket size or on a particular date by the shopper is likely to increase. This is clearly a benefit to the marketer selling the spoke category products and a benefit to the shopper. This is because the shopper is provided with a handout for purchasing the additional product that the shopper may need in any case. This may allow the shopper to receive the best value from the adopted promotional offer and thus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through offers associated with the shopper near the appropriate point in time, the handouts provided will allow the shopper to purchase more products and get the best value from the purchase. Step 314 also analyzes the products purchased with the data collected at the terminal 14 to determine the amount of hub products and spoke products actually purchased by the shoppers during the promotion process to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promotion. Allows you to determine a measure.

그러므로, 이 제품들의 레퍼런스는 체육관 가입 및 영화, 스포츠 이벤트등의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서비스의 구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reference to these product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urchase of services such as joining a gym and entertainment such as movies, sporting event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취지과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쉽게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윗 글의 예시로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 되지 않는다.Modifications can be readily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본 발명의 상술된 설명과 뒤따라올 청구항에서, 언어 표현 또는 필요한 함축으로 인해 문맥이 달리 필요로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포함한다(comprise/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어미변화는 모든 것을 포괄한다(inclusive)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언급된 특징들이 있음을 특정화 하기 위해서이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다른 특징들을 제외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in the claims that follow, such term as "comprises / comprises" or "comprising", except where the context otherwise requires, due to language expression or necessary implications. Change has been used to mean everything inclusive. That is, to characterize the mentioned features and not to exclude other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쇼핑객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쇼핑 방법으로서, As a shopping method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개인 쇼핑객에 의해 구매된 제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Collecting data related to the product purchased by the personal shopper;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고 상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에 관련된 관련 제품 카테고리들을 확립하는 단계와;Determining core product categories from the collected data and establishing relevant product categories related to the core product categories; 핵심 제품들 및 관련 제품들에 관련된 판촉 오퍼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Generating promotional offer lists related to th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And 상기 리스트로부터 제품을 구매하도록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Providing a handout to shoppers to purchase a product from the lis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법은 상기 핵심 관련 제품들과 제품 카테고리들내의 쇼핑객의 구매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이 구매들을 판촉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 그룹을 근거로 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들과 유인물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shopper's purchase frequency in the core related products and product categories, classifying the purchases into a promotional cycle frequency and a recent purchase group, and based on the cycle frequency and the recent purchase group. To generate promotional offer lists and handou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법은 핵심 제품 카테고리 각각을 위하여, 구매된 제품의 규모와 양과 가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for each of the core product categories, the size, quantity and value of the purchased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법은 과거 구매 데이터와, 그리고 지질-인구통계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비자 프로파일 데이터, 사회-경제학적 데이터 그리고 정보로 구성된 쇼핑객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The method further comprises collecting data relating to the shopper consisting of past purchase data and consumer profile data, including socio-economic data and socio-economic data and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쇼핑객 데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쇼핑객이 로열티 프로그램에 참가할때 쇼핑객에게 상기 데이터와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The shopper data is obtained at least in part by requesting the shopper the data and information when the shopper participates in a loyalty progra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인물들은 하나이상의 바우처, 리플렛, 쿠폰, 판촉 샘플, 포인트, 경마권과 선물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Wherein said handouts comprise one or more vouchers, leaflets, coupons, promotional samples, points, race tickets and gifts.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쇼핑 시스템으로서,As a shopping system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구매된 제품들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상기 데이터로부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고, 상기 핵심 제품 카테고리들에 관련된 관련 제품 카테고리들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여기 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핵심제품들과 상기 관련 제품들에 관한 판촉 오퍼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A processor for analyzing data about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determining key product categories from the data in the database, and determining relevant product categories related to the key product categories; Wherein the processor is also for generating a list of key products to provide to consumers and promotional offer lists for the related products, and 상기 관련 제품들을 구매하기 위한 유인물을 쇼핑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 And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shoppers with handouts for purchasing the related product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출력 장치는 핵심 제품들이 판매용으로 제공되는 장소에 위치한 카드 리더기와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상기 장치는 쇼핑객이 상기 관련 제품들을 구매하도록 하는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output device may comprise a card reader and a printer located at a location where the core products are offered for sale and the device may therefore be operated to provide a handout that allows a shopper to purchase the related products. system.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출력 장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And the output device comprises a printer.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핵심 관련 제품들 및 관련 제품의 카테고리들에서의 쇼핑객들의 구매 빈도를 결정하며, 이 구매들을 판촉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사이클 빈도와 최근 구매 그룹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 및 제공되는 유인물들을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processor also determines the purchase frequency of shoppers in the core related products and categories of related products, categorizes these purchases into promotion cycle frequency and recent purchase group, and promotes based on the cycle frequency and recent purchase group. Shopping system characterized by generating offer lists and handouts provide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각각의 핵심 제품 카테고리를 위한 제품 규모, 양, 그리고 가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processor further determines product size, quantity, and value for each core product categor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로세서는 공급자 중앙부에 위치하며 소매 상점의 소매 상점 서버에 통신 링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통신 링크를 통하려 소매상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는,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소매상점 서버에 연결되어 EPOS 체크아웃 단말기와 상기 저장 서버를 통하여 구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소매 상점 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자 중앙부의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EPOS 체크아웃 단말기에 로딩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세서 시스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processor is located at a supplier center and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link to a retail store server of a retail store, the processor is also connected to a retail center via a communication link, and the centr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tail store server via a communication link. Connect to receive purchase data via an EPOS checkout terminal and the storage server, provide the data to the processor in the provider central portion so that the processor generates the list for presentation to the retail store server, and And a database and a processor system for loading the EPOS checkout terminal.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쇼핑 방법으로서, As a shopping method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이루어진 구매를 분석하여 핵심 제품들과 상기 핵심 제품들에 관련된 관련 제품들을 결정하는 단계와;Analyzing the purchases made by individual shoppers to determin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related to the core products; 쇼핑객들에 의한 핵심 제품들의 구매 빈도를 근거로 하여,핵심 제품과 그것의 관련 제품들에 관한 판촉 오퍼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Generating promotion offer lists relating to the core product and its related products based on the frequency of purchase of the core products by the shoppers; And 핵심 제품을 구매하는 쇼핑객이 그 핵심 제품에 관련 제품들 역시 구매하는 경우, 핵심 제품 구매 쇼핑객에게 유인물을 제공하는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And if the shopper purchasing the core product also purchases related products in the core product, outputting a list providing handouts to the core product purchase shopper.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방법은 상관성(correlations)을 결정하기 위하여,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구매된 제품들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소정의 상관성 포인트 아래인 관련 제품들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정의된 핵심 제품들 및 관련 제품들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nalyzing data relating to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to determine correlations, and the categories of related products that are below a certain point of correlation to th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defined above. And removing from the field.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방법은 쇼핑객들에 의한 핵심 제품들의 구매 사이클에 기반하여, 판촉을 위한 사이클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The method further comprises determining a cycle period for promotion based on a purchase cycle of key products by shoppers.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사이클 기준을 이용하여 최근 구매일을 결정하고 소정의 시일내에 핵심 제품을 구매할 법한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을 결정하며, 허브 제품을 구매할 것으로 기대되는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를 개발하는 단계를 여전히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Cycle criteria are used to determine the latest purchase date, determine the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a core product within a given timeframe, and generate a promotional offer list based on the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expected to purchase a hub product. A shopp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veloping.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방법에는 과거 구매 데이터, 지질-인구통계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비자 프로파일 데이터, 사회-경제학적 데이터 및 정보를 포함하는 쇼핑객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The method further comprises collecting data relating to the shopper including past purchase data, consumer profile data including geological-demographic data, socio-economic data and information.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바람직하게는, 상기 쇼핑객 데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쇼핑객이 로열티 프로그램에 참가할때 쇼핑객에게 상기 데이터와 정보를 요청함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Advantageously, the shopper data comprises at least in part obtained by requesting the shopper the data and information when the shopper participates in a loyalty program.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유인물들은 하나 이상의 바우처, 리플렛, 쿠폰, 판촉 샘플, 포인트, 경마권과 선물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방법.Wherein the handouts comprise one or more vouchers, leaflets, coupons, promotional samples, points, race tickets and gifts. 쇼핑객들에게 유인물을 제공하기 위한 쇼핑 시스템으로서,As a shopping system for providing handouts to shoppers,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이루어진 구매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핵심 제품들과 상기 핵심 제품들에 관련된 관련 제품들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쇼핑객들에 의한 핵심 제품의 구매 빈도에 근거하여 핵심 제품 및 그것의 관련 제품들에 관한 판촉 오퍼 리스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A processor for determining th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related to the core products by analyzing purchases made by individual shoppers; Wherein the processor is also for generating promotional offer lists relating to the core product and its related products based on the frequency of purchase of the core product by shoppers; And 핵심 제품을 구매하는 쇼핑객이 그 핵심 제품에 관련된 제품들 또한 구매하 는 경우, 핵심 제품 구매 쇼핑객에게 유인물을 제공하는 리스트를 쇼핑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And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the shopper with a list providing handouts to the core product purchase shopper if the shopper purchasing the core product also purchases products related to the core product.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프로세서는 상관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개인 쇼핑객들에 의해 구매된 제품들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소정의 상관성 포인트 아래인 관련 제품들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정의된 핵심 제품들 및 관련 제품들로부터 제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processor analyzes data relating to products purchased by individual shoppers to determine correlation and removes categories of related products that are below a predetermined correlation point from the core products and related products defined above. Shopping system.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쇼핑객들에 의한 허브 제품들의 구매 사이클에 근거하여 판촉을 위한 사이클 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processor is further to determine a cycle period for promotion based on a purchase cycle of hub products by shoppers.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프로세서는 사이클 기준을 이용하여 최근 구매일을 결정하고 소정의 시일내에 핵심 제품을 구매할 법한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허브 제품을 구매할 것으로 기대되는 쇼핑객들의 잠재적 규모 또는 그룹에 근거하여 판촉 오퍼 리스트를 개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processor is intended to determine a recent purchase date using a cycle basis and to determine a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a core product within a given timeframe, and to a potential size or group of shoppers expected to purchase a hub product. A shopping system for developing a promotional offer list based on that. 제 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프로세서는 공급자 중앙부에 위치하며 소매 상점의 소매 상점 서버에 통신 링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통신 링크를 통하려 소매상 중앙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부는,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소매상점 서버에 연결되어 EPOS 체크아웃 단말기와 상기 저장 서버를 통하여 구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소매 상점 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자 중앙부의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EPOS 체크아웃 단말기에 로딩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세서 시스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시스템.The processor is located at a supplier center and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link to a retail store server of a retail store, the processor is also connected to a retail center via a communication link, and the centr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tail store server via a communication link. Connect to receive purchase data via an EPOS checkout terminal and the storage server, provide the data to the processor in the provider central portion so that the processor generates the list for presentation to the retail store server, and And a database and a processor system for loading the EPOS checkout terminal.
KR1020087026876A 2008-10-31 2006-03-31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KR200900100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6876A KR20090010042A (en) 2008-10-31 2006-03-31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26876A KR20090010042A (en) 2008-10-31 2006-03-31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42A true KR20090010042A (en) 2009-01-28

Family

ID=4048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876A KR20090010042A (en) 2008-10-31 2006-03-31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0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3594B2 (en) Targeted incentives based upon predicted behavior
US11995680B2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erce system using share grabber to leverage shopping list
US8650065B2 (en) Assumed demographics, predicted behavior, and targeted incentives
US20130066740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erce System Using Personalized Shopping List and Trip Planner
US200401389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coupons during a transaction
NZ552420A (en) A shopping system and method
WO2013003064A1 (en)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ystem using performance based pricing, promotion and personalized offer
WO201213877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erce system by generating individualized discounted offers to consumers
AU2006341411B2 (en)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KR20090010042A (en)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Zhong et al. An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price promotions and consumer purchase behavior
CA23957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d performing multiple purchase installment contracts
Kučerová et al. Methodology for planning a successful store flyer campaign based on a case study from a Czech retail market
NZ571562A (en) A shopping method and system
Jauch Uniform Across-the-Board Promotions
JP2004500638A (en) How to distribute supplemental information about recently purchased items
Jauch et al. Conceptual Framework
KR20050035903A (en) Service process of service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mmission to the special service
Farris et al. Ukrop's Savings Spot
Chaudhry Copyright Alexander Chaudhry 2014
CA267021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ash register information by the internet
JP20005106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urchase incentive mailing based on previous purchase his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