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972U - An alarm device - Google Patents

An alarm device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972U
KR20090009972U KR2020080004117U KR20080004117U KR20090009972U KR 20090009972 U KR20090009972 U KR 20090009972U KR 2020080004117 U KR2020080004117 U KR 2020080004117U KR 20080004117 U KR20080004117 U KR 20080004117U KR 20090009972 U KR20090009972 U KR 200900099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witch
sound
snap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1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 황보
Original Assignee
민 황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 황보 filed Critical 민 황보
Priority to KR2020080004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972U/en
Publication of KR20090009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72U/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급상황 발생시 주위에 위급상황을 인지시켜 신속하게 구난 또는 구조될 수 있도록 한 이중 안전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음향발생부와, 상기 음향발생부와 연결되어 음향발생부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전원과 음향발생부 사이에 작동 선택을 위하여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는 스냅의 삽입과 이탈에 의하여 전원을 인가와 단락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경보기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safety alarm that can be quickly rescued or rescued by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 sound generating unit is operated by the power supplied to the case is provid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the sound generation A speaker connected to the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provid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to the outside, a switch provided for selecting an operation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and the switch is supplied with power by inserting and removing a snap. An alarm configured to select a short;

상기 경보기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고리에 목걸이줄을 연결하여 경보기를 항상 이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와 결합 되는 스냅에는 보조경보수단으로 호루라기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Connecting the necklace to the hook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alarm so that the alarm can always be carried on the user's neck, and the snap coupled to the switch is configured to connect a whistle as an auxiliary alarm means. It is characteristic.

Description

이중 안전 경보기{AN ALARM DEVICE}Dual safety alarms {AN ALARM DEVICE}

본 고안은 이중 안전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위급한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주변에 위험을 알리면서 구조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이중 안전 경보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safety alarm,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n improved double safety alarm that can generate a rescue signal while promptly informing the surroundings of dange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o the body.

어린이나 청소년 또는 노약자 및 여성의 경우 외출 과정에서 강도, 치한 등에 의하여 신체적인 위급상황 또는 물품의 도난 또는 위험지역에서의 조난 등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신속하게 긴급상황임을 주위에 알려 위험을 알리고 구조요청을 목적으로 경보기를 휴대하여 다니게 된다.In the case of children, adolescents, senior citizens, and women, when they go out, they are urgently informed of dangers when they are urgent, such as physical emergencies, theft of goods, or distress in dangerous areas. Carry an alarm for rescue purposes.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경보기(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Conventional alarm 1 as described above is as shown in Figure 5 and look at this in detail as follows.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2)의 내부에 전원(3)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음향발생부(4)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발생부(4)와 연결되어 음향발생부(4)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5)를 구비한다.A sound generating unit 4 is provided to operate by receiving power 3 inside the case 2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is connected to the sound generating unit 4 and provid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4. A speaker 5 for outputting sound to the outside is provided.

상기 전원(3)과 음향발생부(4) 사이에는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6)를 구비하는 데, 상기 스위치(6)는 삽입되는 스냅(7)에 의하여 이격되어 전원(3)이 인가되지 않고, 스냅(7)이 분리 됨으로서 접촉하여 전원(3)이 도통 되도록 한다.A switch 6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3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4 to select an operation, the switch 6 being spaced apart by a snap 7 to be inserted so that the power source 3 is applied. Instead, the snaps 7 are contacted to allow the power supply 3 to conduct.

상기 스냅(7)에는 걸고리(8)를 구비하여 이용자의 열쇠, 휴대폰, 기타 장신구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snap (7) is provided with a hook (8) is configured to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user's keys, mobile phones, other jewelry.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경보기를 이용자가 휴대하여 다니면서 위급상황 발생 시 경보가 발생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처 또는 구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나 하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게 된다.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alarm should be generated when an emergency occurs while the user carries the alarm,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cope with or rescue the emergency.

즉, 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경보기를 잡고 스위치에 삽입된 스냅을 분리시킴으로서 경보음을 발생시게 되므로 주위에 알리게 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operate the alarm, the alarm is generated by holding the alarm and releasing the snap inserted into the switch.

이러한 경보기를 통상적으로 열쇠고리 또는 신변잡화와 장신구 등에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찾아서 스냅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작동에 상당한 시간이 지연되고, 이와 같이 경보기를 찾는 과정에서 납치, 물건의 탈취 등의 행위가 종결 됨으로서 경보기를 휴대한 의미가 사라지게 된다.Since these alarms are usually connected to key chains, personal goods, and jewelry, they have to find them and remove the snaps, which leads to a considerable delay in operation, and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alarms, the hijacking and the takeover of objects are terminated. The meaning of carrying an alarm disappears.

그리고, 경보기를 찾은 상태에서도 위급한 상황에서 대처하다 보니 신변잡화 또는 장신구와 연결된 스냅은 이용자가 잡고 있는 상태가 되고, 경보기는 이용자의 몸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보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nd in response to an emergency even in the state of finding an alarm, the snaps connected with various miscellaneous goods or trinkets are held by the user, and the alarm is often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 problem arises.

또한, 경보기만 독립적으로 구비하는 형태가 되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판단 잘못 등으로 인하여 경보기가 신체로부터 탈락 되거나 분실되었을 경우에는 재차 경보 또는 위급상황임을 인식시키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지 않음으로서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alarm is provided independently, if an alarm is dropped from the body or lost due to a misjudgment in an emergency, no means for recognizing the alarm or an emergency situation are taken again.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being unable to cope.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음향발생부와, 상기 음향발생부와 연결되어 음향발생부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전원과 음향발생부 사이에 작동 선택을 위하여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는 스냅의 삽입과 이탈에 의하여 전원을 인가와 단락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경보기에 있어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operates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inside the cas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th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ound generating unit. And a switch provided for selecting an operation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and the switch configured to apply power and a short circuit by inserting and removing a snap;

상기 경보기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는 걸고리에 목걸이줄을 연결하여 경보기를 항상 이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에 결합 되는 스냅에는 보조경보수단으로 호루라기를 연결하여 구성하여;By connecting the collar to the hook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alarm so that the alarm can always be carried on the user's neck, the snap coupled to the switch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whistle as an auxiliary alarm means ;

위급상황 발생시 주위에 위급상황을 인지시켜 신속하게 구난 또는 구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main purpose is to be aware of the emergency situation so that it can be rescued or rescued quickly.

본 고안은 통상적인 경보기를 통하여 1차 경보를 발생시키고 경보기와 함께 구비하는 호루라기를 통하여 2차 경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나 여성 또는 노약자들의 신변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first alarm through a normal alarm and enables a second alarm through a whistle provided with the alarm, so that a user can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and easily protect a child, a female or an elderly person. It is devised to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can.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safety alarm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를 도시한 전체 단면 구성도.Figure 2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uble safety alarm system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의 경보기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alarm of the double safety alarm technolog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ouble safety alarm applied to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경보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5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larm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경보기100; alarm

106; 스냅106; snap

111; 목걸이줄111; Necklace

112; 호루라기112; Whistl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를 도시한 전체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의 경보기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이중 안전 경보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1 is a fu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safety alarm system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uble safety alarm system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double safety alarm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alarm of FIG. 4 will be described together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ouble safety alarm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통상적인 경보기(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전원(102)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음향발생부(103)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발생부(103)와 연결되어 음향발생부(103)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4)를 구비한다.A typical alarm 100 is provided with a sound generating unit 103 that operates by receiving a power supply 102 inside the case 101 is provid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is connected to the sound generating unit 103 to generate sound A speaker 104 for outputting sound provided from the unit 103 to the outside is provided.

상기 전원(102)과 음향발생부(103) 사이에는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05)를 구비하는 데, 상기 스위치(105)는 삽입되는 스냅(106)에 의하여 이격되어 전원(102)이 인가되지 않고, 스냅(106)이 분리 됨으로서 접촉하여 전원(102)이 도통 되도록 구성한다.A switch 105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102 and the sound generating unit 103 to select an operation, the switch 105 being spaced apart by a snap 106 to be inserted so that the power source 102 is applied. Instead, the snap 106 is contacted by being separated, so that the power supply 102 is turned on.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경보기(100)에 이중 안전을 위한 보조수단을 더 가지도록 하고, 경보기(100)를 상시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device 100 may further have an auxiliary means for double safety, and the alarm device 100 may be easily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alarm device 100 is always worn on the body.

상기 경보기(100)를 구성하는 케이스(101)의 일 측에는 걸고리(110)를 형성하여 이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목걸이줄(111)을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105)에 결합 되는 스냅(106)에는 보조경보수단으로 호루라기(112)를 연결하여 구성한다.One side of the case 101 constituting the alarm 100 forms a hook 110 to connect the neckband 111 so as to be carried on the user's neck, and snaps coupled to the switch 105 ( 106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whistle 112 as an auxiliary alarm mean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이중 안전 경보기는,Dual safety alar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경보기(100)를 구성하는 케이스(101)에 구비되는 걸고리(110)에 연결된 목걸이줄(111)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목에 걸어서 외출할 때 휴대하여 다니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경보기(100)와 호루라기(112)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경보함으로서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When carrying out walking out of the user's neck by using the collar 111 connected to the hook 110 provided in the case 101 constituting the alarm 100, and carry an emergency situation in this process By quickly alarming by using the alarm 100 and the whistle 112,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an emergency.

즉,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이용자의 목에 걸려진 상태에 있는 경보기(100)의 스냅(106)을 분리함으로서 스위치(105)가 작동하여 스피커(104)를 통하여 경보음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switch 105 is operated by releasing the snap 106 of the alarm device 100 which is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user's neck to generate an alarm sound through the speaker 104.

특히, 스냅(106)에는 호루라기(11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냅(106)을 분리한 상태에서 동시에 호루라기(112)를 입에 물고 불어 줌으로서 경보기(100)의 경보와 호루라기(112)의 소리가 동시에 발생하여 위급상황을 주위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whistle 112 is connected to the snap 106, the alarm of the alarm 100 and the sound of the whistle 112 are generated by blowing the whistle 112 into the mouth at the same time while the snap 106 is removed. It will happen at the same time and will be able to quickly communicate the emergency situation around.

이러한 본 고안은 경보기(100)가 몰걸이줄(111)에 이용자의 목에 착용 된 상태이므로 스냅(106)을 분리하더라도 경보기(100)가 이용자의 신체를 벗어나는 일이 없이 경보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스냅(106)에 연결되는 호루라기(112)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경보함으로서 경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alarm 100 is worn on the user's neck in the mole hanger 111, even if the snap 106 is removed, the alarm 100 does not escape the user's body without causing a bad alarm By using the whistle 112 connected to the snap 106, the alarm effect can be increased by double alarming.

Claims (1)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케이스(101) 내부에 전원(102)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음향발생부(103)와;A sound generating unit 103 which is operated by being supplied with a power source 102 in the case 101 provided with various shapes; 상기 음향발생부(103)와 연결되어 음향발생부(103)에서 제공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104)와;A speaker 104 connected to the sound generator 103 to output a sound provided by the sound generator 103 to the outside; 상기 전원(102)과 음향발생부(103) 사이에 작동 선택을 위하여 구비되는 스위치(105)와;A switch 105 provided for selecting an opera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102 and the sound generator 103; 상기 스위치(105)는 스냅(106)의 삽입과 이탈에 의하여 전원을 인가와 단락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경보기(100)에 있어서;The switch (105) in the alarm (100) configured to be powered and shorted by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snap (106); 상기 경보기(100)를 구성하는 케이스(101)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고리(110)에 목걸이줄(111)을 연결하여 경보기(100)를 항상 이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Connecting the collar 111 to the hook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01 constituting the alarm 100 so that the alarm 100 can always be carried on the user's neck; 상기 스위치(105)와 결합 되는 스냅(106)에는 보조경보수단으로 호루라기(112)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전 경보기.Dual safety alar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nect the whistle (112) as a secondary alarm means to the snap 106 is coupled to the switch 105.
KR2020080004117U 2008-03-28 2008-03-28 An alarm device KR2009000997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117U KR20090009972U (en) 2008-03-28 2008-03-28 An alarm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117U KR20090009972U (en) 2008-03-28 2008-03-28 An alarm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72U true KR20090009972U (en) 2009-10-01

Family

ID=4153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117U KR20090009972U (en) 2008-03-28 2008-03-28 An alarm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97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5661A (en) * 2019-02-01 2019-04-19 张国欣 A kind of safety of student school 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5661A (en) * 2019-02-01 2019-04-19 张国欣 A kind of safety of student school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6225B2 (en) Digital wearable monitoring device with dual locking system
US10198929B2 (en) Water safety 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2240534B1 (en) Garment with an emergency device and associated emergency method
US9000913B2 (en) Wearable low pressure warning device with audio and visual indication
WO2013062475A1 (en) A mobile device arranged with a safety application and method for initiating an alarm for use in the device.
EP3488432B1 (en) Alarm triggering device and circuitry therefor
US6133831A (en) Purse arm alarm system
KR20090009972U (en) An alarm device
JP6656401B2 (en) Anti-theft tag
KR200481898Y1 (en) Missing child prevention shoes with sunglass guard
CN204612179U (en) A kind of water heater anti-dazzle warning device
JP3121699U (en) Security buzzer
CN201732453U (en) Bluetooth pendant
KR200344627Y1 (en) Portable alarm for self-protection
KR20180066614A (en) Smart phone using risk notification system
KR102096238B1 (en) Prevention System based AI
JP2008117356A (en) Preliminary bell method
KR200482676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missing child
KR20190080118A (en) Missing and kidnapping suspenders
KR20230042166A (en) Safety bracelet to prevent kidnapping
IT201700011880A1 (en) HELMET WITH ELECTRONIC DEVICE TO ALLOW THE USE AND A CONTEXTUAL ANTI-THEFT SYSTEM OF ASSOCIATED OBJECTS AND ACTIVITIES IN CONNECTION TO A SMARTPHONE.
KR19990033247U (en) Security bag
KR200428681Y1 (en) Accesories for self-protection
JP2005141707A (en) Crime prevention signal smoke pot
KR101380844B1 (en) Safty earphone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