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197U - Drainage plate for wall - Google Patents

Drainage plate for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197U
KR20090009197U KR2020080003136U KR20080003136U KR20090009197U KR 20090009197 U KR20090009197 U KR 20090009197U KR 2020080003136 U KR2020080003136 U KR 2020080003136U KR 20080003136 U KR20080003136 U KR 20080003136U KR 20090009197 U KR20090009197 U KR 20090009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ace
decorative panel
unit cover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13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홍
Original Assignee
(주)세방피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방피엘 filed Critical (주)세방피엘
Priority to KR2020080003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197U/en
Publication of KR20090009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9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하층 벽면을 따라 사방 연속으로 설치되어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결로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벽체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drain plate that is installed in all directions continuously along the basement wall of the building to prevent condensation and induce drainage of condensation water.

본 고안은 건물 지하층 벽체에 배수판을 시공하는 경우 단위 커버 패널에 공간을 조성하고, 이 공간을 활용하여 로고나 색상 등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탈착식의 장식 패널을 설치하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판 시공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배수판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색상 또는 무늬, 로고 등의 디자인으로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벽체용 배수판을 제공한다.This design creates a space in the unit cover panel when the drain board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wall of the building, and implements a new type of drain board construction method by installing a detachable decorative panel that can produce various designs such as logos or colors by utilizing the space. By doing so, the overall design of the drain board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nd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ll drain board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design such as a different color, pattern, or logo.

지하층, 결로 현상, 벽체용 배수판, 단위 커버 패널, 장식 패널, 착탈식, 로고, 색상, 디자인 Basement, condensation, wall drainage, unit cover panel, decorative panel, removable, logo, color, design

Description

벽체용 배수판{Drainage plate for wall}Drainage plate for wall

본 고안은 벽체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층 벽면을 따라 사방 연속으로 설치되어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결로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벽체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drainage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drainage plate installed in all directions continuously along the basement wall of the building to prevent condensation and induce drainage of condensation water.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지상으로 축조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에 옹벽을 쳐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In general, the building is secured by hitting the retaining wall in the basement as a means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built on the ground.

이와 같이 지하에 건설되는 옹벽은 구조물 자체의 중력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As such,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underground plays a role of secur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gravity of the structure itself.

한편, 상기와 같이 시공된 옹벽은 지하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지하공간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space in the basement, the underground space is usefully utilized.

이렇게 활용되는 지하공간은 땅속에 매립되어 있는 공간이어서 옹벽을 통해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underground space used in this way is a space buried in the ground, so it is important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retaining wall.

따라서,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몰탈에 방수제를 첨가하여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Therefore,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adding a waterproofing agent to the mortar.

이와 같이 방수제를 첨가한 몰탈을 이용해 옹벽을 건설함으로써, 땅속에 존재하는 수분(물) 침투를 예방할 수 있다. 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mortar to which the waterproofing agent is added in this way, the penetration of water (water) existing in the ground can be prevented.

하지만, 지하층 벽체에는 지하공간 내의 습기유입 및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백화현상 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basement wall, whitening or condensation may occur due to moisture inflow and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underground space.

이러한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은 출입구가 항시 개방되어 있는 주차공간에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 중의 습도가 온도차이로 인해 응결되면서 내벽에 결로수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결로수는 내벽에 곰팡이 발생을 초래하여 지하공간에서 메케한 냄새는 물론 외관이 지저분해지고, 또 내벽의 부식을 촉진시켜 백화현상까지도 초래한다. Such bleaching and condensation are common in parking spaces where the entrance is always open. The reason is that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humidity in the air condense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condensation water is generated on the inner wall, and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is way causes the mold to form on the inner wall. The appearance becomes messy, and the corrosion of the inner wall is accelerated, causing whitening.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지하공간 내벽에 발생하는 결로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것이 벽체용 배수판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of a wall drainage plate is perform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building.

상기 지하공간의 내벽에 시공되는 벽체용 배수판은 그 형태가 다양하고, 상기 벽체용 배수판은 앵커핀을 직접 지하공간 벽체에 박아 고정시켜 시공하는 타입이 있고, 별도의 고정매개물을 앵커핀으로 벽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 고정매개물에 고정시켜 시공하는 타입이 있다.The wall drainage plate constructed on the inner wall of the underground space has a variety of forms, and the wall drainage plate has a type in which anchor pins are directly driven to the underground space wall to be fixed and installed, and a separate fixing medium is anchored to the wall. There is a type which is fixed to this fixed medium in the fixed state and constructed.

지하공간 내벽에 벽체용 배수판을 직접 고정시켜 시공하는 타입의 경우를 예로 들면 베이스 프레임을 벽체에 배치하고 고정컵을 관통하여 앵커핀을 벽체에 박아 고정시킨 후,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에 단위 커버 패널을 체결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struction by directly fixing the wall drainage plate to the inner wall of the underground space, the base frame is placed on the wall, the anchor pin is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fixing cup, and the unit cover panel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base frame. Construct by fastening and attaching.

이때의 단위 커버 패널은 외관을 고려한 마감 부재로서, 그 표면에는 회사 로고나 무늬, 색상 등 다양한 디자인이 연출된다. At this time, the unit cover panel is a finishing member considering the appearance, and various designs such as a company logo, a pattern, and a color are produced on the surface thereof.

그러나, 종전에는 외관을 위한 디자인 연출부분이 인쇄나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단위 커버 패널에 일체로 되어 있어서, 즉 단위 커버 패널 전면에 직접 디자인이 되어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past, the design direction for appearance is integrated into the unit cover panel in the form of printing, embossing, or intaglio, that is, the design is directly in front of the unit cover panel, thereby limiting the expression of various designs.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설치된 색상 등의 디자인에 식상함을 느끼는 경우에도 설치시에 고정된 색상이나 무늬 등의 디자인으로만 연출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For example, even when the user feels a lack of taste in a design such as an installed colo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user can only produce a design such as a fixed color or a patter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물 지하층 벽체에 배수판을 시공하는 경우 단위 커버 패널에 공간을 조성하고, 이 공간을 활용하여 로고나 색상 등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탈착식의 장식 패널을 설치하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판 시공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배수판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색상 또는 무늬, 로고 등의 디자인으로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벽체용 배수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when the drainage plate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wall of the building, a space is formed in the unit cover panel, and a detachable decoration that can produce various designs such as a logo or color by utilizing this space.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drainage panel installation method, the overall design of the drainage plate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nd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ll drainage plat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nother color, pattern, or logo design. The purpos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벽체용 배수판은 지하공간의 벽체에 발생하는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을 해소함과 동시에 벽체의 인테리어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한편, 전체적인 형상이 격자(格子)형상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격자 공간 내에서 다수의 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고정컵,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격자 공간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단위 커버 패널, 상기 각 단위 커버 패널에 조성되는 공간부 내에 탈착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시각적인 디자인 연출 효과를 나타내는 장식 패널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ll drainage plate provi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interior of the wall while eliminating the whitening and condensation phenomenon occurring on the wall of the underground space, while the overall shape is lattice ( A base frame having a shape, a plurality of fixed cup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ibs in each of the grid spaces of the base frame, and a unit cover panel mounted in a form in which the grid is spaced one by one into the grid spaces of the bas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orm including a decorative panel and the like mounted in a removable structure formed in the space portion formed in the unit cover panel showing a visual design effect.

여기서, 상기 장식 패널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색상과 형상 및 음각ㆍ양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ecorative panel is preferably used to have a variety of colors and shapes and intaglio, embossed in order to make the appearance beautiful.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벽체용 배수판의 경우 단위 커버 패널에 디자인 연출을 위한 장식 패널을 손쉽게 떼었다 붙혔다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치된 색상 등의 디자인에 식상함을 느낄 때마다 수시로 다른 색상 등의 디자인으로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식상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때와 장소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색상 등을 배열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wall drainage plat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decorative panel for directing a design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a unit cover panel, so that whenever a user feels tired of the installed color or the like, the design of a different color is often used. It can be replaced with, so that the viewer does not feel nausea, and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produce a variety of designs by arranging the color, such as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1 and 2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drai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용 배수판은 다수의 고정컵(12)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0), 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면을 격자 공간 단위로 마감하는 각 단위 커버 패널(13), 이 단위 커버 패널(13)상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장식 패널(15)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wall drainage plate has a base frame 10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cups 12, each unit cover panel finishing the front of the base frame 10 in a grid space unit (13), the decorative panel 15 etc. which produce various designs on this unit cover panel 13 are included.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사각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 면적이 다수의 사각 단위체로 구분되면서 상하 및 좌우로 구획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격자(格子)형상을 이룬다.The base frame 1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divided into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while the entire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ctangular unit pieces to form a grid shape.

상기 격자(格子) 형상을 이루도록 구획 형성된 구간 내에는 다수의 리브(11)를 매개로 하여 지지되는 고정컵(12)이 일체 형성된다. A fixed cup 12 supported through a plurality of ribs 11 is integrally formed in the section formed to form the lattice shape.

즉, 사각 판체의 베이스 프레임(10)에 원통형의 고정컵(12)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고, 고정컵(12)이 속해 있는 격자 공간에 대응하여 단위 커버 패널(13)이 결합된다.That is, the cylindrical fixing cups 12 are arranged in a constant pattern on the base frame 10 of the rectangular plate body, and the unit cover panel 13 is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lattice space to which the fixing cup 12 belongs.

여기서, 고정컵(12)의 역할은 벽체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곳으로 못, 앵커핀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벽체와 고정되게 되며, 단위 커버 패널(13)은 고정컵(12)과 그 주변에 구조적으로 형성된 공동(空洞) 부분을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높이 내외로 평등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베이스 플레임(10)에 모서리 4곳 정도의 볼트나 나사 체결구조로 장착된다. Here, the role of the fixing cup 12 is directly coupled to the wall is fixed to the wall in a conventional manner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nails, anchor pins, unit cover panel 13 is fixed cup 12 ) And the cavity formed structurally around the same to serve to equalize the inside and outside the height of the base plate 10, and is mounted to the base frame 10 with a bolt or screw fastening structure of about four corners.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은 한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컵(12)의 바닥쪽을 벽체면에 근접 위치시킨 상태에서 벽체면에 앵커핀 등으로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되는 형식으로 벽체면을 따라 사방 연속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with anchor pins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ide of the fixing cup 12 protruding to one side is placed close to the wall surface, and is continuous in all directions along the wall surface in such a fixed manner. It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arranged.

특히, 상기 장식 패널(15)은 시각적인 미를 제공하는 부분이며, 본 고안에서는 장식 패널(15)에 탈착식 구조를 부여하여 필요시 손쉽게 탈거 및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particular, the decorative panel 15 is a part that provides a visual beauty, in the present design to give a decorative structure to the decorative panel 15 to be easily removed and attached when necessary.

즉, 종전과 같이 단위 커버 패널을 직접 이용하는 디자인 연출이 아니라, 단위 커버 패널(13)에 별도의 탈착식 장식 패널(15)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언제든지 교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at is, instead of directing the design using the unit cover panel as before, a separate detachable decorative panel 15 is provided on the unit cover panel 13 so that the user can replace it at any time as desired, thereby producing various designs. It was made.

이를 위하여, 상기 단위 커버 패널(13)에는 중앙쪽에 소정의 공간부(14)가 조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공간부(14) 내에 장식 패널(15)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To this end, a predetermined space 1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nit cover panel 13, and the decorative panel 15 is inserted into the space 14.

이때, 상기 공간부(14)는 완전히 뚫린 구조, 또는 요입부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여기에 장착되는 장식 패널(15) 또한 공간부(14)가 갖는 형태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ace portion 14 may be formed of a fully perforated structure, or concave portion structure, etc., may b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ular or polygonal, and the decorative panel 15 is also mounted on the space portion 14 It may have the same form as in the form.

예를 들면, 공간부(14)의 형태가 원형이면 장식 패널(15)의 형태도 원형으로 이루어져 서로의 형상에 꼭맞게 끼워질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shape of the space portion 14 is circular, the shape of the decorative panel 15 may also be circular to fit the shape of each other.

이러한 장식 패널(15)은 벽체용 배수판의 외관을 시각적으로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색상, 다양한 형상,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 등으로 된 로고나 무늬 등의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The decorative panel 15 may visually make the exterior of the wall drainage plate visible, and may have a design such as a logo or a pattern having various colors, various shapes, intaglio or embossed shapes.

상기 장식 패널(15)의 탈착식 구조는 손쉽게 떼었다 붙혔다 할 수 있는 구조라면 제약없이 적용할 수 있다.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decorative panel 15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본 고안에서는 일 예로 클립(16)을 이용한 탈착식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structure using the clip 16 as an example.

예를 들면, 장식 패널(15)의 측면부 또는 저면부에 다수 개의 클립(16)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단위 커버 패널(13)의 공간부(14)에도 턱이나 홀과 같은 다수 개의 걸림부(17)가 구비된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clips 16 are provided at the side portion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orative panel 15, and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such as a jaw or a hole are also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14 of the unit cover panel 13. (17) is provided.

이에 따라, 클립(16)을 걸림부(17)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형태로 장식 패널(15)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끼울 때에는 그대로 눌러 끼울 수 있고, 빼낼 때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틈새에 걸어 젖히면 쉽게 장식 패널(15)을 탈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ecorative panel 15 can be detachably mounted in a form of fixing the clip 16 to the locking portion 17, and can be pressed as it is, and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when being removed. When it is bent down, the decorative panel 15 can be easily removed.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에서 단위 커버 패널 및 장식 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cover panel and a decorative panel in the wall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커버 패널(13)에 색상을 갖는 장식 패널(15)이 장착되므로서, 시각적인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장식 패널(15)이 별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떼어내어 새로운 색상이나 형상 등의 디자인을 갖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since the decorative panel 15 having color is mounted on the unit cover panel 13, a visual aesthetic can be provided, and in particular, since the decorative panel 15 is separately mounted, It can be removed at any time and replaced with a new color or shape design.

이와 같이 장식 패널을 포함하는 벽체용 배수판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u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ll drainage plate containing a decorative panel is as follows.

지하 벽체의 벽면에 베이스 프레임(10)의 고정컵(12)을 밀착시킨 다음, 컵 바닥을 관통하여 벽면에 앵커핀을 체결하면 베이스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요령으로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10)을 사방 연속하여 벽체에 배열하면서 고정시킨 다음, 계속해서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면에 장식 패널(15)을 갖는 단위 커버 패널(13)을 부착하면 벽체용 배수판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If the fixing cup 12 of the base frame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basement wall, and then anchored to the wall by penetrating through the bottom of the cup, the base frame can be fixed. 10) is fixed to the wall in succession in all directions, and then the unit cover panel 13 having the decorative panel 15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se frame 10 which is fixed to the wall. Can be completed.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 프레임 간의 접하는 부분은 공지의 후크를 서로 끼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따라 지하 벽체의 전체 면적에 걸쳐 벽체용 배수판을 연접시킨 형태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Here,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adjacent base frame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hooking known hooks, and thus, the construction can be completed in a form in which the wall drainage plate is connec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underground wall.

이때, 벽체용 배수판의 전면에는 다양한 색상이나 로고 등의 디자인이 연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지하 공간의 미관을 살릴 수 있으며, 또 경우에 따라서는 탈착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장식 패널(15)만 손쉽게 교체하여 지하 공간의 벽 체 디자인을 새롭게 바꿀 수도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design of various colors or logos are produced on the front of the wall drainage plate, the beauty of the underground space can be visually enhanced, and in some cases, only the decorative panel 15, which is detachably mounted, can be easily replaced. You can also redesign the wall design of the underground spac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설치된 색상 등의 디자인에 식상함을 느낄 경우나, 또는 사용자가 때와 장소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색상 등의 디자인을 연출하기 위한 경우에 기존의 장식 패널을 떼어낸 후, 새로운 디자인의 장식 패널을 붙힐 수 있는 등 벽체용 배수판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feels tired of the design of the installed color or the like, or if the user wants to produce a design such as the color desired by the user at any time and place, remove the existing decorative panel and then add a new design. Wall drainage can be created in various design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을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wall drai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을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에서 단위 커버 패널 및 장식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cover panel and a decorative panel in the wall drainag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베이스 프레임 11 : 리브10: base frame 11: rib

12 : 고정컵 13 : 단위 커버 패널12: fixed cup 13: unit cover panel

14 : 공간부 15 : 장식 패널14: space part 15: decorative panel

16 : 클립 17 : 걸림부16: clip 17: locking part

Claims (3)

지하공간의 벽체에 발생하는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을 해소함과 동시에 벽체의 인테리어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벽체용 배수판에 있어서,In the wall drainage plate which is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interior of the wall while eliminating the whitening and condensation which occur in the wall of the underground space, 전체적인 형상이 격자(格子)형상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각 격자 공간 내에서 다수의 리브(11)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고정컵(1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각 격자 공간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단위 커버 패널(13)과, 상기 각 단위 커버 패널(13)에 조성되는 공간부(14) 내에 탈착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시각적인 디자인 연출 효과를 나타내는 장식 패널(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배수판. A base frame 10 whose overall shape is in a lattice shape, a plurality of fixed cups 12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ibs 11 in each lattice space of the base frame 10, and the base The unit cover panel 13 mounted in a form in which the grid 10 of the frame 10 is assigned to the grid space one by one, and the detachable structure in the space 14 formed in the unit cover panel 13, the visual design Drain board for walls,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15) exhibiting a directing eff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 패널(15)은 다수 개의 클립(16)을 이용하여 단위 커버 패널(13)의 공간부(1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17)에 끼워지는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배수판. The decorative panel (15) of claim 1, wherein the decorative panel (15)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gaging portion (17) formed in the space portion (14) of the unit cover panel (13) using a plurality of clips (16). Wall drai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식 패널(15)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색상과 형상 및 음각ㆍ양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배수판.The wall drainage boar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corative panel (15) is formed to have various colors, shapes, and intaglios and embossments in order to enhance the appearance.
KR2020080003136U 2008-03-10 2008-03-10 Drainage plate for wall KR2009000919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36U KR20090009197U (en) 2008-03-10 2008-03-10 Drainage plate for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36U KR20090009197U (en) 2008-03-10 2008-03-10 Drainage plate for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97U true KR20090009197U (en) 2009-09-15

Family

ID=4153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136U KR20090009197U (en) 2008-03-10 2008-03-10 Drainage plate for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197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413A (en) * 2016-10-27 2018-05-09 주식회사 씨엠케미칼 finishing material integrated wall drain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00143807A (en) 2019-06-17 2020-12-28 엄재현 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KR20210148688A (en) 2020-06-01 2021-12-08 엄재현 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413A (en) * 2016-10-27 2018-05-09 주식회사 씨엠케미칼 finishing material integrated wall drain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00143807A (en) 2019-06-17 2020-12-28 엄재현 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KR20210148688A (en) 2020-06-01 2021-12-08 엄재현 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9197U (en) Drainage plate for wall
KR100955520B1 (en) Finishing member for underground wall
KR100544604B1 (en) Decoration panel anchor
KR20070090133A (en) Drainage plate for wall
KR100639708B1 (en) Art wall
KR20110005459U (en) Pattern changes panels for easy construction
KR100900508B1 (en) Drainage plate for wall
KR101804929B1 (en) Moulding materials for interior used in remodeling
KR20090003342U (en) Manhole
CN211582200U (en) Decorative column and storage cabinet
KR102569942B1 (en) Construction panel
KR100964345B1 (en) Fixing Structure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KR20070094716A (en) Combination part of cover panel for wall drainage plate
KR200448355Y1 (en) Uupper frame connecting structure for a partition and the connector
KR200438121Y1 (en) Fixing Structure of Shape Cap of Drain Board for Wall Structure
KR102372532B1 (en) Artificial marble bathroom shelf
KR20080015041A (en) Drainage plate for wall
KR20080101528A (en) The finishing members for underground wall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KR20110008339U (en) structure of wall assembly
CN202117272U (en) Aluminum alloy wall panel with specific specification
KR200434162Y1 (en) Artificial Stone and Anchor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463881Y1 (en) Door
KR200283640Y1 (en) a variable window frame
KR20100002171U (en) The ceiling panel for Bathroom
KR200301203Y1 (en) the outsider cover for a tank of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