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680A -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680A
KR20090008680A KR1020070071815A KR20070071815A KR20090008680A KR 20090008680 A KR20090008680 A KR 20090008680A KR 1020070071815 A KR1020070071815 A KR 1020070071815A KR 20070071815 A KR20070071815 A KR 20070071815A KR 20090008680 A KR20090008680 A KR 2009000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ssword
control unit
detection sensor
loc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446B1 (ko
Inventor
강판규
권치호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Priority to KR102007007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4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문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걸쇠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도어 외측면의 해정 조작부를 제어부 본체에 포함시켜 상기 제어부 본체를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하고, 데드 볼트의 위치는 도어의 손잡이와 다른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입실이 감지되면, 제어부 본체가 고유식별 암호인 키신호를 외부의 휴대용 RF 키로부터 입력받고,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제어부 본체가 잠금장치를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어의 훼손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며, 사용자의 고유 식별 암호 유출이나 정전기를 포함한 전기적 고압 쇼크(ESD) 인가로 인한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내측면의 데드볼트의 위치를 추정할 수가 없어 강제로 도어 이격에 의한 잠금장치의 파손을 어렵게 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71815
도어락, RF 키, 입실감지, 퇴실감지, 해정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Electronic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입문에 설치되고 출입을 편리하게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산 및 신변을 보호하고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 보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정이나, 아파트, 기업체, 정부 기관 등에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락 시스템이 널리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 자물쇠에서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을 가진 고가의 기계적 장치와 기계적 메커니즘에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기계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기계 전자적 장치에는 키패드 입력 방식, 마그네틱(Magnetic) 카드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방식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계전자식 도어락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중에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전자식 도어잠금장치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 잠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식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1)와,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해정의 수단으로 키입력 장치 또는 마그네틱센서 리더기 등을 구비하는 해정 조작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는 데드볼트(2)와 모티스(3)를 구비하고, 문틀에 설치되는 걸쇠(50)에 데드볼트(2)가 삽입 또는 삽출되어 잠금 및 해제를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도어잠금장치는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된 해정 조작부(20)에 해정의 수단으로 키입력 장치 또는 마그네틱센서 리더기 대신 수동형 RFID Tag(전자화폐 또는 교통카드 포함) 리더기를 구비한 제품도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도어잠금장치는 상기 도어(10)의 외측면에 설치된 해정 조작부(20)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어부(1)를 연결하여 상호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외측면에 설치된 해정 조작부(20)를 도어로부터 강제 이탈시키면 내측면에 설치된 제어부(1)가 도어로부터 분리되어 잠금장치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잠금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큰 구멍(11)을 뚫어야 하므로 도어를 상당히 훼손시켜 다른 잠금장치로 교체 시 도어를 교체하거나 다른 수단으로 도어를 보수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키입력 장치 또는 RFID Tag 리더기 등의 해정을 위한 조작부(20)가 존재하므로 CCTV 촬영 또는 직접 해정 목격을 통한 사용자의 암호번호 유출이나 외측면 해정 조작부(20)에 정전기를 포함한 전기적 고압 쇼크(ESD) 인가로 인해 잠금 기능이 해제되어 잠금장치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단 침입자가 내측면 제어부(1)의 데드볼트(2) 위치를 정확히 파악 할 수가 있어 장도리 등의 도구로 데드볼트(2)의 록킹 지점을 강제로 이격시켜 도어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부에서 내부로 입실을 위한 잠금장치 해제 시 암호번호를 일일이 입력하거나 사전에 등록된 전자태그(RFID Tag)를 가까이 갖다 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내부에서 외부로 퇴실할 때 모티스(3)의 잠금해제 버튼을 누르거나 잠금해제 놉(knob)을 조작해서 잠금 해제를 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도어의 내측면만을 이용하여 제어부를 고정하여 도어의 훼손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며, 사용자의 고유 식별 암호 유출이나 정전기를 포함한 전기적 고압 쇼크(ESD) 인가로 인한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내측면의 데드볼트의 위치를 추정할 수가 없어 강제로 도어 이격에 의한 잠금장치의 파손을 어렵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문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걸쇠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도어에 소정의 거리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입실 감지센서;
출입자가 휴대한 RF 키의 암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안테나;
내부에서 도어에 소정의 거리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퇴실 감지센서;
상기 걸쇠에 삽입 또는 삽출되는 데트볼트;
상기 걸쇠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의 설치되며, 상기 입실 감지센서에 의해 입실이 감지되거나 상기 퇴실 감지센서에 의해 퇴실이 감지되면,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내부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 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데드 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본체는,
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소정의 암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데트볼트를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입실 감지센서에 의해 입실이 감지되거나, 상기 퇴실 감지센서에 의해 퇴실이 감지되면,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데드 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문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걸쇠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가 휴대한 RF 키의 암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안테나;
상기 걸쇠에 삽입 또는 삽출되는 데트볼트;
상기 걸쇠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의 설치되며,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데드 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본체는,
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소정의 암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데트볼트를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데드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본체는 소정 개수의 나사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문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걸쇠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에서 입실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실이 감지되면, 고유식별 암호인 키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소정의 거리에서 퇴실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퇴실이 감지되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소정의 거리에서 퇴실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퇴실이 감지되면, 고유식별 암호인 키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RF 키를 인증하는 해정 기능을 제어부 본체에 구비하여 도어의 내측면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 본체를 고정함으로서 종래의 외측면에 설치되던 해정 조작부의 강제 이탈에 의한 내측면 제어부의 분리를 방지하게 하여 잠금장치의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외측면 해정 조작부설치를 위해 상당히 크게 관통되어야하는 구멍이 필요치 않아 도어의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고유 식별 암호 유출이나 외측면 해정 조작부에 정전기를 포함한 전기적 고압 쇼크(ESD) 인가로 인한 잠금이 해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전성을 더욱 극대화하도록 하며, 내측면 제어부의 데드볼트 위치를 추정할 수가 없어 강제로 도어 이격에 의한 잠금장치의 파손을 어렵게 할 수 있다. RF 안테나 겸용 입실 감지센서는 도어 외측면의 도어핸들에 설치하거나 외측면에 소형구멍을 뚫어 설치하되 제어부 본체의 고정구조 및 위치와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 해정 조작부에 해정의 수단으로 키입력 장치 또는 수동형 전자태그(RFID Tag) 리더기 대신에 입실 감지 센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키를 구비하여 외측면에 설치된 입실 감지센서 감지부에 인체 또는 물체가 소정의 거리에 근접하면 내측면 제어부 본체가 입실 감지센서로부터 소정의 수신거리에 있는 RF 키의 고유 식별 암호를 고주파 신호로 수신하여 미리 저장 된 고유 식별 암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잠금장치가 자동 해제되어서 종래의 키입력 장치를 수동 조작하거나 전자태그를 가까이 갖다 대는 등의 별도의 번거로운 조작 없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줌과 동시에 최근의 RF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소형화되고 저렴해진 전자식 RF 키로서 도어의 외측면 해정 조작부를 대신하게 하여 상당한 비용 절감효과가 발생하도록 하고, 도어의 내측면 제어부 본체에 퇴실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인체나 물체가 퇴실 감지센서의 소정의 거리에 근접하면 잠금장치가 자동해제 되게 하여 편리함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 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은,
입실 감지센서(40), RF 안테나(42), 퇴실 감지센서(33), 데드볼트(32), 제어부 본체(30)를 포함한다.
입실 감지센서(40)는 외부에서 도어에 근접함을 감지하며 적외선 등을 이용한다. RF 안테나(42)는 출입자가 휴대한 RF 키의 암호를 수신하며, 고주파를 이용한다. 퇴실 감지센서(33)는 내부에서 도어에 근접함을 감지하며, 적외선 등을 이용한다.
데드볼트(32)는 걸쇠(50)에 삽입 또는 삽출되는 구조로 제어부 본체(30)에 장착된다. 제어부 본체(30)는 상기 걸쇠(50)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10)의 내측면의 설치되며, 상기 입실 감지센서(40)에 의해 입실이 감지되면, 상기 RF 안테나(42)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내부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데드볼트(32)를 상기 걸쇠(50)에서 삽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 본체는, 소정의 암호를 저장하는 메모리(35), 상기 데드볼트를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37), 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8), 상기 입실 감지센서에 의해 입실이 감지되면, 상기 RF 안테나(42)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35)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데드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하는 제어부(36)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 본체(30)는 4개의 나사(61~64)를 통해 도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구조로서, 외부에는 어떠한 표시도 나지 않고, 커다란 구멍도 필요없다.
이로 인해 외측면에서 강제로 제어부 본체를 도어(10)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되고, 도어(10)의 훼손을 최소화한다.
또한, 사용자의 고유 식별 암호 유출이나 정전기를 포함한 전기적 고압 쇼크(ESD) 인가로 인한 잠금이 해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전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면 제어부본체(30)의 데드볼트(32) 위치를 추정할 수가 없어 강제로 도어 이격에 의한 잠금장치의 파손을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RF 안테나(42)가 겸용으로 설치된 입실 감지센서(40)는 도어 외측면에 소형구멍을 뚫어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10) 외측면의 도어 손잡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 키(60)를 출입자가 구비하여 외측면에 설치된 입실 감지센서(40)에 인체 또는 물체가 소정의 거리로 근접하면 내측면 제어부 본체(30)가 입실 감지센서(40)로부터 소정의 수신거리에 있는 RF 키(60)의 고유 식별 암호를 고주파로 수신하여 미리 저장 된 고유 식별 암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데트볼트(32)를 걸쇠(50)로부터 삽입 또는 삽출시켜 종래의 키입력 장치를 수동 조작하거나 RFID Tag를 가까이 갖다 대는 등의 별도의 번거러운 조작 없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동시에 종래의 도어 외측면 해정 조작부 대신에 최근의 RF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소형화 되고 저렴해진 전자식 RF 키(60)를 이용하여 상당한 비용 절감효과가 발생하도록 하고, 도어의 내측면 제어부 본체(30)에 퇴실 감지센서(33)를 구비하여 인체나 물체가 퇴실 감지센서(33)에 근접하면 잠금이 해제 되게 하여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도 4는 손잡이(12)에 입실 감지센서(40) 및 RF 안테나(42)가 장착된 모양을 보인 도면으로서, 입실 감지센서(40)의 감지부(41)가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비상전원 공급단자(4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입실 감지 센서(4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주파를 수신하는 RF 안테나(42)와 겸용 또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실 감지센서를 장착한 도어를 보인 외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의 외부에서 도어를 바라볼 때, 입실 감지센서(40)는 도어 손잡이(12)보다 상단에 설치되고, 제어부 본체(30)와 데드볼트(32)는 그 보다 더 상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데드볼트(32)의 위치를 전혀 알 수 없어 강제로 도어를 해정하기는 어렵게 된다.
도 6은 입실 감지센서를 도어 손잡이(12)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외관이 보다 간단하고 깨끗해 보인다. 이 경우에도 데드볼트의 위치가 손잡이와 다르므로 강제 해정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퇴실할 때 RF 키(60)의 인증과 관계없이 소정의 거리에서 퇴실 감지센서(33,비접촉식 센서에 한정)의 검출신호만을 검출하여 잠금장치가 해제되게 하거나, 소정의 거리에서 퇴실 감지센서(33, 비접촉식 센서에 한정)의 검출신호 존재 후 RF 키(60)의 인증절차를 마쳐야지 잠금장치가 자동 해제되게 하거나, 상기 두 가지 해제모드 모두 갖춘 후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입실 감지센서(40)는 비접촉식 감지센서에만 한정하지 않고, 버턴의 누름식 또는 터치식 스위치 센서와 도어 손잡이의 터치식 또는 누름식 또는 당김식 또는 회전력을 이용한 스위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입실(40) 또는 퇴실 감지센서(33)로 비접촉 감지센서를 사용 할 경우 적외선을 이용하여 적외선을 인체(또는 물체)에 방사하여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소자(Photo diode 또는 Photo Transistor)를 이용하는 검출하는 광전센서(Photoelectric Sensor), 인체(또는 물체)와 대지와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형 센서(Capacitive Sensor), 인체에서 방사되는 근적외선을 검출하는 인체감지 센서(pyroelectric sensor), 검출물체의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한 고주파 발진형 인덕티브 센서(Inductive Sensor), 초음파을 이용한 초음파 센서(Ultra-soinc Sensor)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어 외측면에 나사머리를 이용하여 내측면 제어부 본체가 고정구조일 때, 입실 감지센서를 장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10) 외측면에 나사(70) 머리에 입실 감지센서 감지부(41), RF 안테나(42), 비상전원 공급단자(43)를 구비하여 이 나사(7)의 몸체를 이용해서 내측 제어부 본체(30)와 고정된다. 여기서 입실 감지센서(40)는 입실 감 지센서 감지부(41)와 일체형이므로 도면부호로는 하나만 표현하였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어(10) 외측면에 입실 감지센서(40), RF 안테나(42), 비상전원 공급단자(43)를 구비하고, 내측 제어부 본체(30)는 내측면만 이용해서 따로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측면 도어 핸들에 입실 감지센서(40), RF 안테나(42), 비상전원 공급단자(43)를 배치하고 내측 제어부 본체(30)는 내측면만 이용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 외에도 입실 감지센서는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제어부 본체가 RF 키의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입실 또는 퇴실 감지센서(33, 40)에서 인체가 접근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한다(S101).
그러면, 제어부 본체(30)의 제어부(36)에서 인체가 접근했는지 판단한다(S102).
인체가 접근했다고 감지되면, 제어부(36)는 주변의 RF 키(60)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03, S104).
RF 키(60)가 존재하면, 제어부(36)는 고유 식별 암호인 키신호를 요청하고(S105), RF 키(60)로부터 고유식별 암호인 키신호를 수신한다(S106).
그리고 나서, 제어부(36)는 메모리(35)에 미리 저장된 고유식별 암호와 수신된 고 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S107),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면, 구동부(37)를 구동하여 데드볼트(32)를 걸쇠(50)로부터 분리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퇴실의 경우 암호일치여부에 관계없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잠금장치가 해제된 경우 입실이나 퇴실 동작을 완료 후 소정의 시간이 흐르거나, RF 키(60)가 소정의 수신거리를 벗어나거나, 입실완료 후 퇴실 감지센서가 신호를 감지하거나, 퇴실완료 후 입실 감지센서가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제어부(36)는 구동부(37)를 구동하여 데드볼트(32)가 걸쇠(50)에 삽입되어 잠금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도어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실시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실 감지센서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실 감지센서를 도어에 장착한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실시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실 감지센서를 도어 외측면 핸들에 장착한 모양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외측면에 나사머리 이용 내측면 제어부의 고정 구조일 때 입실 감지센서의 실시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15)

  1.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문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걸쇠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도어에 소정의 거리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입실 감지센서;
    출입자가 휴대한 RF 키의 암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안테나;
    내부에서 도어에 소정의 거리로 근접함을 감지하는 퇴실 감지센서;
    상기 걸쇠에 삽입 또는 삽출되는 데드볼트;
    상기 걸쇠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입실 감지센서에 의해 입실이 감지되거나 상기 퇴실 감지센서에 의해 퇴실이 감지되면, 출입자가 휴대한 상기 RF 키로부터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내부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데드 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출 또는 삽입되도록 하는 제어부 본체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본체는,
    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소정의 암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데트볼트를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입실 감지센서 또는 상기 퇴실 감지센서에 의해 소정의 거리에서 입실 또는 퇴실이 감지되면, 출입자가 휴대한 상기 RF 키로부터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데드 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출 또는 삽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본체의 설치 위치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와 높이가 다르거나, 상기 도어의 내측면 만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실 감지센서에 RF 안테나를 구비하거나,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실 감지센서는,
    버턴의 누름식 또는 터치식 스위치 센서와 도어 손잡이의 터치식 또는 누름식 또는 당김식 또는 회전력을 이용한 스위치 센서와 인체 또는 물체의 비접촉식 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외측면에 나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나사 머리에 입실 감지센서 또는 RF 안테나 또는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구비하거나, 상기 나사의 몸체를 이용해서 상기 도어 내측의 상기 제어부 본체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손잡이에 상기 입실 감지센서 또는 RF 안테나 또는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설치하거나, 상기 제어부 본체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만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8.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문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걸쇠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가 휴대한 RF 키의 암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안테나;
    상기 걸쇠에 삽입 또는 삽출되는 데트볼트;
    상기 걸쇠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의 내측면의 설치되며,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내부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데드 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본체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본체는,
    각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소정의 암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데트볼트를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암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데드 볼트를 상기 걸쇠에서 삽입 또는 삽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본체는 소정 개수의 나사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어부 본체의 설치 위치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의 위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가 해제된 경우 입실이나 퇴실 동작을 완료 후 소정의 시간이 흐르거나, 상기 RF 키가 소정의 수신거리를 벗어나거나, 입실완료 후 퇴실 감지센서가 신호를 감지하거나, 퇴실완료 후 입실 감지센서가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걸쇠(50)에 삽입되어 잠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12.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에 대응되는 문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걸쇠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에서 입실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실이 감지되면, 제어부 본체가 고유식별 암호인 키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고유식별 암호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 본체가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에서 퇴실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퇴실이 감지되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에서 퇴실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퇴실이 감지되면, 고유 식별 암호인 키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고유 식별 암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고유 식별 암호가 일치하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본체는 소정 개수의 나사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어부 본체의 설치 위치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의 위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70071815A 2007-07-18 2007-07-18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99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15A KR100899446B1 (ko) 2007-07-18 2007-07-18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15A KR100899446B1 (ko) 2007-07-18 2007-07-18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80A true KR20090008680A (ko) 2009-01-22
KR100899446B1 KR100899446B1 (ko) 2009-05-27

Family

ID=4048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15A KR100899446B1 (ko) 2007-07-18 2007-07-18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4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3025A2 (en) * 2009-11-17 2011-05-26 Q Developments, Llc Lock control system using rfid
WO2014092260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858925B2 (en) 2009-06-05 2018-01-02 Apple Inc.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550A (ko) * 2002-11-19 2004-05-24 아이원디지털(주) 도어락 장치
KR20060132054A (ko) 2005-06-17 2006-12-21 정재영 디지털 휴대 장치 기반의 전자키
JP2007122435A (ja) * 2005-10-28 2007-05-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Rfidを利用した進入通知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8925B2 (en) 2009-06-05 2018-01-02 Apple Inc.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WO2011063025A2 (en) * 2009-11-17 2011-05-26 Q Developments, Llc Lock control system using rfid
WO2011063025A3 (en) * 2009-11-17 2011-09-15 Q Developments, Llc Lock control system using rfid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WO2014092260A1 (ko) * 2012-12-14 2014-06-19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446B1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access to safe deposit boxes
US20080055040A1 (en) Passive disarming transceiver for security systems
KR100899446B1 (ko)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20298828A1 (en) Magnet in bolt
KR100564996B1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JP2012188828A (ja) 電気錠システム
JP2010185263A (ja) 施解錠システムおよび施解錠方法
KR100728656B1 (ko) 조작부와 잠금 장치가 분리된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방법
US20220251874A1 (en) Bolt identity
KR101045103B1 (ko) 보안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 방법
KR200380748Y1 (ko) 도어 천공 감지 센서를 이용한 무단 해정 방지용 디지털도어락
KR100649483B1 (ko) 원격 보안 수단을 내장한 도어록 시스템과 장치
US20200362592A1 (en) Striking plate assembly
JP6125816B2 (ja) 電気錠システム
JP4560326B2 (ja) 入退室管理装置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JP6917601B1 (ja) 扉開閉制御装置
KR101970706B1 (ko)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378836Y1 (ko) 불법 해정을 센싱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 록
JP7163042B2 (ja) 扉制御システム
KR20100021746A (ko) 장기 부재를 위한 보안용 디지털 도어락
KR20100070191A (ko) 디지털 도어락
Faisal et al. Door Security System Using e-KTP RFID Reading and Passive Infrared Sensor
KR100624118B1 (ko) 비접촉 방식의 신원 확인 카드 시스템의 출입자 관리 장치
KR101633393B1 (ko) 보안성이 향상 듀얼키패드를 채택한 3중 락킹시스템
KR101633390B1 (ko) 보안성이 향상된 3중 락킹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