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495U - 노트북 받침대 - Google Patents

노트북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495U
KR20090008495U KR2020080002220U KR20080002220U KR20090008495U KR 20090008495 U KR20090008495 U KR 20090008495U KR 2020080002220 U KR2020080002220 U KR 2020080002220U KR 20080002220 U KR20080002220 U KR 20080002220U KR 20090008495 U KR20090008495 U KR 200900084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otebook
groove
hous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상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주)위드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위드씨엔에스
Priority to KR2020080002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495U/ko
Publication of KR20090008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4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노트북(1)이 안치되도록 받침 하우징(121)을 형성한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받침 하우징(121) 상면에 노트북(1)을 안치하여 노트북 모니터부를 지지 힌지(132)를 중심으로 회동한 지지대(131)를 형성한 지지부(13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후단부에 손목받침대(141)를 형성한 안착부(140)로 구성한다.
노트북, 노트북 받침대, 유에스비 포트, 받침 하우징

Description

노트북 받침대{Notebook Computer Stand}
본 발명은 노트북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는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된 컴퓨터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한 노트북은 그 제작 특성을 통해 휴대하면서 필요시 언제 어디서든 문서작성 및 정보의 입,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노트북의 일측면에는 기존의 시리얼 포트나 패럴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사용하여 마우스, 카메라, 조이스틱과 같은 주변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노트북이 소형화되어 유에스비 포트를 다수 형성하지 못하고 한개 내지 두개 정도만 형성되어 최근 들어 유에스비 커넥터를 이용하여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 프린트, 스캐너, 마우스, 조이스틱, MP3 플레이어 등의 주변장치를 동시에 접속시키지 못하고, 교체하면서 접속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에스비 허브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에스비 허브는 노트북 주변에 놓고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에스비 허브를 노트북 주변에 놓고 사용하게 되면서 고정되지 않아 외부에서 유에스비 허브를 실수로 충격을 가하게 되면 움직이게 되며 이때 유스비 허브에 접속된 주변장치의 유에스비 케넥터가 이탈되면서 접속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렇게 유에스비 커넥터의 접속이 불량하게 되면서 데이터 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유에스비 허브를 노트북에 주변에 별도로 놓고 사용하게 되면서 분실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유에스비 허브를 재차 구입하게 되면서 분실에 대한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목적은; 노트북과 같이 사용되는 부대장비로는 대표적으로 노트북 받침대의 일측으로 유에스비 허브를 장착 할 수 있도록 장착공을 구비하여 유에스비 허브의 분실을 방지하여 외부 충격에도 유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어 데이터 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노트북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을 안치하도록 상면에 평면 형태의 안치면을 구비한 받침 하우징을 형성하되, 받침 하우징의 상면 중앙에 상하 관통되어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냉각공간부를 형성하면서, 받침 하우징의 외주연에 유에스비 허브를 장착하도록 장착공을 양측으로 복수 형성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냉각공간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지지대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대를 접첩하여 노트북을 지지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지지대의 일측에 접첩힌지를 형성한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에 안치면 보다 상부측으로 더 돌출되어 안치면에 안치된 노트북의 선단부가 밀착되도록 한 밀착턱을 구비한 손목받침대를 형성시킨 안착부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상기 하우징부의 냉각공간부 양측면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첩힌지로 접첩되는 지지대가 접첩되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 도록 지지대 하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홈을 복수 구성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상기 안착홈에 선단부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과 대향되는 지지대의 하단부 양측으로 결착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결착홈을 형성하여 결착돌기 삽입으로 안착홈에 안착되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 지지대가 노트북의 지지 하중에 의해서 안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상기 안착부의 손목받침대에 상단면이 개방된 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덮개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상기 덮개의 일측면 중앙에 텐션가압력을 갖도록 복수 절곡된 고정구를 형성하여 고정구의 선단부가 텐션력에 의하여 수납홈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덮개를 수납홈에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이 안치된 받침대에 주변장치를 접속시킬 수 있는 유에스비 허브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공이 형성되어 유에스비 허브의 분실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외부 충격에도 유동 되지 않아 테이터 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유에스비 허브가 노트북이 안치된 받침대의 장착공이 장착되면서 유에스비 허브의 보관성과 동시에 여러 종류의 주변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첩힌지로 접첩된 지지대가 냉각공간부 양측에 형성한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면서 지지대가 안착된 안착홈의 위치에 따라 지지대의 경사 각도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첩힌지로 접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지지대가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면서 지지대의 결착홈으로 결착돌기가 삽입 고정되면서 지지대를 고정하게 되어 지지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 사용자의 손목이 안착되는 손목받침대에 노트북의 마우스 케이블, 메모리, 사무용품 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어 용품의 분실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안착부의 손목받침대에 손목을 올려놓게 노트북의 자판을 이용하게 되면서 손목의 피로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노트북 사용 습관 및 선택에 따라 지지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키보드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게 되면서 이용자의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 이용시 노트북 본체에 내장한 팬의 압력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받침대의 바닥면을 통하여 냉각공간부로 유입되면서 노트북 본체에 냉각공기가 원활히 공급되어 노트북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의 지지대가 접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 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제 1도 내지 제 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100)는; 받침 하우징(121)을 형성시킨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받침 하우징(121) 상면에 노트북(1)을 안치하여 노트북 모니터부를 지지 힌지(132)를 중심으로 회동한 지지대(131)를 형성한 지지부(13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전면에 손목받침대(141)를 형성한 안착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노트북 받침대(100)의 하우징부(120)는; 상기 노트북(1)을 안치하도록 상면에 평면 형태의 안치면(122)을 구비한 받침 하우징(1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 하우징(121)의 상면 중앙에 상하 관통되어 냉각공기가 유 입되는 냉각공간부(123)를 형성하여 안치면(122)에 안착된 노트북(1)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아울러, 받침 하우징(121)의 외주연에 각종 주변장치가 접속되는 유에스비 허브(110)를 장착하도록 장착공(126)을 양측으로 복수 형성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부(120)의 냉각공간부(123) 양측면에 안착홈(124)을 복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안착홈(124)에는 선단부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착돌기(125)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노트북 받침대(100)의 지지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20)의 냉각공간부(123)에 선단부에 형성한 힌지(13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지지대(13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31)의 일측에 접첩힌지(133)를 형성하여 접첩힌지(133) 중심으로 지지대(131)가 접첩되어 노트북을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경사각을 형성하는 지지대(131)는, 접첩힌지(133)를 중심으로 지지대(131)를 접첩시 지지대(131)의 하단부가 하우징부(120)의 안착홈(124)에 안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안착홈(124)에 안착된 지지대(131)의 하단부에 결착돌기(125)가 삽입 고정되는 결착홈(134)을 형성하여 안착홈(124)에 안착된 지지대(131)가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노트북의 하중의 하중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 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트북 받침대(100)의 안착부(140)는; 상기 하우징부(120)의 받침 하우징(121) 전면에 노트북(1)이 안착되는 안치면(122) 보다 상부측으로 더 돌출시켜 안착된 노트북(1)의 선단부가 밀착되도록 밀착턱(146)을 구비한 손목받침대(141)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손목받침대(141)에 상단면이 개방된 수납홈(142)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홈(142)에 힌지축(14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덮개(143)를 구성하여 수납홈(142)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덮개(143)의 일측면 중앙에 텐션가압력을 갖도록 복수 절곡된 고정구(145)를 형성하여 고정구(145)의 텐션력에 의하여 덮개(143)에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나아가, 고정구(145)의 선단부를 후방 측으로 가압시 텐션력이 제거되어 수납홈(142)에서 덮개(143)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노트북 받침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노트북(1)을 받침대(100)에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부(130)의 지지대(131)를 힌지(132)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시키며, 이때 지지대(131)를 접첩힌지(133)를 중심으로 접첩시켜 지지대(131)의 하단부가 안착홈(124)과 대향되도록 한다.
이렇게 접첩된 지지대(131)의 하단부를 하우징부(120)에 복수 형성한 안착 홈(124) 중 어느 하나의 안착홈(124)에 고정되도록 안착시켜 지지대(131)가 노트북을 지지하는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31)의 결착홈(134)으로 하우징부(120)의 결착돌기(125)가 삽입되도록 하여 안착홈(124)에 안착된 지지대(131)가 안착되는 노트북의 하중에 의하여 안착홈(12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접첩힌지(133)를 중심으로 접첩된 지지대(131)의 하단부를 복수형성한 안착홈(124) 중 지지대(131)의 힌지(132)와 근거리에 위치한 안착홈(124)에 안착시키게 되면 지지대(131)의 경사면이 급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힌지(132)와 원거리에 위치한 안착홈(124)에 안착시키게 되면 완만한 경사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31)가 힌지(13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접첩힌지(133)로 접첩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지지대(131)의 접첩으로 냉각공간부(123)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냉각공간부(123)가 개방된 안치면(122)에 노트북을 안치시키되, 노트북의 후단부측이 접첩힌지(133)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선단부측을 안착부(140)의 밀착턱(146)에 밀착되하여 미끄럼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안착된 노트북은 안치면(122)에 안치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착부(140)의 손목받침대(141) 상면에 손목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자판을 이용하게 되며, 이때 노트북의 경사각도가 이용자와 맞지 않을 시 지지대(131)의 하단부를 복수 형성한 안착홈(124)에 선택적으로 유치시켜 경사각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노트북의 하중에 의하여 지지대(131)를 가압게 되면 지지대(131)의 결착홈(134)으로 결착돌기(125)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결착돌기(125)와 결착홈(134)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대(131)가 안착홈(124)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어 경사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노트북 이용시 노트북 본체에 내장한 팬의 압력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받침대의 바닥면을 통하여 냉각공간부(123)로 유입되면서 노트북 본체에 공급되어 노트북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다수의 주변장치를 노트북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할 때에는 유에스비 허브(110)를 하우징부(120)의 받침 하우징(121) 외주연에 형성한 장착공(126)에 장착하도록 한다.
이렇게, 유에스비 허브(110)가 장착공(126)에 장착되면서 디지털 카메라, 프린트, 스캐너, 마우스, 조이스틱, MP3 플레이어 등의 다수의 주변장치를 각기 접속시킬 수가 있어 주변장치의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유에스비 허브(110)를 장착공(126)에서 분리 결합되어 보관이 용이하여 분실을 예방하게 된다.
더불어, 안착부(140)의 수납홈(142)에 고정구(145)의 텐션력에 의하여 고정된 덮개(143)를 개방하도록 고정구(145)를 후방측으로 가압하면, 이때 고정구(145)의 텐션력이 제거되면서 덮개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143)를 힌지축(144)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수납홈(142)이 개방되며, 개방된 수납홈(142)의 내부로 마우스, 케이블, 메모리 등의 노트북 용품 및 사무용품을 보관하여 분실을 예방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의 지지대가 접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노트북 받침대 110: 유에스비 허브
120: 하우징부 121: 받침 하우징
122: 안치면 123: 냉각공간부
124: 안착홈 125: 결착돌기
126: 장착공 130: 지지부
131: 지지대 132: 힌지
133: 접첩힌지 134: 결착홈
140: 안착부 141: 손목받침대
142: 수납홈 143: 덮개
144: 힌지축 145: 고정구
146: 밀착턱

Claims (5)

  1. 노트북(1)을 안치하도록 상면에 평면 형태의 안치면(122)을 구비한 받침 하우징(121)을 형성하되, 받침 하우징(121)의 상면 중앙에 상하 관통되어 냉각공기가 유입되는 냉각공간부(123)를 형성하면서, 받침 하우징(121)의 외주연에 유에스비 허브(110)를 장착하도록 장착공(126)을 양측으로 복수 형성한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냉각공간부(123)에 힌지(132) 결합되어 힌지(13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지지대(131)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대(131)를 접첩하여 노트북을 지지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지지대(131)의 일측에 접첩힌지(133)를 형성한 지지부(13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전면에 안치면(122) 보다 상부측으로 더 돌출되어 안치면(122)에 안치된 노트북(1)의 선단부가 밀착되도록 한 밀착턱(146)을 구비한 손목받침대(141)를 형성시킨 안착부(14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20)의 냉각공간부(123) 양측면에 힌지(1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첩힌지(133)로 접첩되는 지지대(131)가 접첩되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대(131) 하단부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홈(124)을 복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노트북 받침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24)에 선단부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결착돌기(125)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124)과 대향되는 지지대(131)의 하단부 양측으로 결착돌기(125)가 삽입 고정되는 결착홈(134)을 형성하여 결착돌기(125) 삽입으로 안착홈(124)에 안착되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 지지대(131)가 노트북의 하중에 의해서 안착홈(12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40)의 손목받침대(141)에 상단면이 개방된 수납홈(142)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142)에 힌지축(14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덮개(14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받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덮개(143)의 일측면 중앙에 텐션가압력을 갖도록 복수 절곡된 고정구(145)를 형성하여 고정구(145)의 선단부가 텐션력에 의하여 수납홈(142) 내측면 에 밀착되면서 덮개(143)를 수납홈(142)에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받침대.
KR2020080002220U 2008-02-19 2008-02-19 노트북 받침대 KR200900084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20U KR20090008495U (ko) 2008-02-19 2008-02-19 노트북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220U KR20090008495U (ko) 2008-02-19 2008-02-19 노트북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95U true KR20090008495U (ko) 2009-08-24

Family

ID=4129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220U KR20090008495U (ko) 2008-02-19 2008-02-19 노트북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49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798A (zh) * 2018-10-12 2019-02-19 江苏聚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温功能的手机支撑架
US20220322823A1 (en) * 2021-04-09 2022-10-13 Anfu Ce Link Limited Laptop st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798A (zh) * 2018-10-12 2019-02-19 江苏聚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温功能的手机支撑架
US20220322823A1 (en) * 2021-04-09 2022-10-13 Anfu Ce Link Limited Laptop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775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over device with a stand unit for supporting a user interface device
US8727290B1 (en) Flat touch screen mounting system and method
KR200150952Y1 (ko) 허브 수용부가 구비된 모니터 스탠드
US8264834B2 (en) Removable module for a console
US6290517B1 (en) Fold out port group for portable computer
US20090134285A1 (en) Monitor Support Device
US20070101544A1 (en) Rotational casing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device
TWM317596U (en) Hard disk removable device
US20080288701A1 (en) Method for protecting a connection interface in a computer-docking assembly
US20090303680A1 (en) Electronic device
US6995977B2 (en) Strap buckle apparatus for a notebook computer
US2012006951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539645U (zh) 用於電子裝置的鉸鏈
KR20090008495U (ko) 노트북 받침대
KR200426000Y1 (ko) 노트북 케이스
US20040001305A1 (en) Base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at different inclinations
US112693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hinge module
US20050141182A1 (en) Image picking device
WO2000028510A2 (en) Z-configuration structure for computers, scanners, and communications and video devices
US20070191115A1 (en) Back-mounted battery for palm-top video game
TWI382297B (zh) 電子裝置
TWI382296B (zh) 電子裝置
KR100869079B1 (ko) 노트북 컴퓨터용 받침대
TWI426850B (zh) 電子裝置
US9696761B1 (en) Modular computing device displa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