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126U -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 Google Patents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126U
KR20090008126U KR2020080001742U KR20080001742U KR20090008126U KR 20090008126 U KR20090008126 U KR 20090008126U KR 2020080001742 U KR2020080001742 U KR 2020080001742U KR 20080001742 U KR20080001742 U KR 20080001742U KR 20090008126 U KR20090008126 U KR 200900081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circular frame
decorative paper
lamp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열
Original Assignee
(주)동화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조명 filed Critical (주)동화조명
Priority to KR2020080001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126U/ko
Publication of KR20090008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1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관공서, 연회장 등의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있어서 반복의 장식무늬가 타공 형성된 원형틀체에 대한 것으로, 특히 반복으로 타공된 장식무늬를 갖는 원형틀체의 내면에 상,하로 이격된 취부링을 형성하되, 이들 취부링은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에 경사홈을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이들 취부링의 경사홈을 통해 두께를 갖는 장식지를 밀어넣어 고정되게 함으로써,
원형틀체의 내면에 장식지를 끼워넣는 과정만으로도 원형틀체의 내면에 그 장식지가 밀착 고정되므로 작업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이며, 끼워넣는 방식이므로 불량률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원가 절감이 가능한 것이며,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능히 고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품질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 원형틀체, 장식링체,

Description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Sylinderical frame for illuminating lamp with easy grip on its ornamen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관공서, 연회장 등의 실내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에 있어서 반복의 장식무늬가 타공 형성된 원형틀체에 대한 것으로, 특히 원형틀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장식지를 용이하게 삽입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게 한 취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원형틀체를 갖는 조명등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내부의 장식지가 균일하게 삽입 고정되게 한 조명등용 원형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떠는 학교나 관공서 및 각종 로비나 연회장 등의 실내에는 그 실내 공간을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천정 직착등이 있으며, 샹들리에와 같은 장식 조명등은 물론 천정 하부면으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일정 높이 하향 현수되게 한 천정 매다는 조명등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천정 직착등은 단조로운 외관 및 형상으로 인하여 장식성 이 떨어지면서도 쉽게 식상해하는 문제점이 있어 근자에 들어서는 다양한 형태로 된 조명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장식성이 뛰어난 매다는 조명등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매다는 조명등에 있어서도 본체와 반사판이 일체로 된 형태의 것을 와이어를 통해 천정 하부에 매달아 설치하는 형태의 조명등이 있고, 육면체로 된 프레임 상 틀체에 크리스탈과 같은 장식구를 링에 의해 늘어트려 장식하는 형태의 조명등이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틀체를 이용한 조명등의 경우에는 매다는 조명등의 특성과 샹들리에의 특성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근자에 들어 각광받고 있는 형태의 것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천정 직착등의 경우에도 다양한 구조를 갖는 형태의 것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형의 금속 링체의 측면에 반복의 장식무늬를 타공 형성한 원형링체로 된 조명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원형링체로 된 조명등의 경우에는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반복되는 장식무늬에 의해 고급스럽고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므로 그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이다.
이와 같은 원형링체로 된 조명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원형으로 제작된 링체의 내면에 필름지나 한지 등을 부착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장식지를 부착하는 이유로는 원형링 전체에 타공에 의한 장식무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장식무늬의 타공을 통해 조명등 내부가 그대로 드러나게 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투광성 장식지를 부착하여 원형틀체의 고유한 디자인은 그대로 살리면서도 장식지를 통해 내부가 은폐되게 하는 것이며, 장식지 자체의 투광성과 색감을 통해 더욱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원형링체로 된 조명등의 경우 원형링체의 내면에 장식지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매우 까다로운 작업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극히 떨어지는 것이며, 비숙련자의 경우 장식지의 부착 상태가 고르지 못하여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즉, 전기한 바와 같이 반복의 타공무늬로 된 원형틀체의 내면에는 조명등의 내부가 드러나지 않게 하는 장식지를 부착하여야 하는 것인데, 필름지 또는 한지 등으로 된 장식지는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부착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그 원형틀체 자체가 원형의 내면을 갖고 있으므로 그 내면을 따라 장식지를 부착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상기한 장식지를 부착하는 작업 시간이 매우 길어질 뿐만 아니라 원형의 내면에 부착되므로 빈번하게 구겨짐이나 쏠림 또는 겹침 등이 발생하므로 조명등의 품질을 크게 떨어트리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제품 불량률을 낮추고자 숙련된 작업자에 의존하고 있어 생산 효율성은 물론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인한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반복으로 타공된 장식무늬를 갖는 원형틀체의 내면에 상하로 이격된 취부링을 형성하되, 이들 취부링은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에 경사홈을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이들 취부링의 경사홈을 통해 두께를 갖는 장식지를 밀어넣어 고정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원형틀체가 갖는 장식지의 부착공정을 크게 단순화하면서도 품질 안전성은 물론 생산성을 높인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는, 원형틀체의 내면에 장식지를 끼워넣는 과정만으로도 원형틀체의 내면에 그 장식지가 밀착 고정되므로 작업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이며, 끼워넣는 방식이므로 불량률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원가 절감이 가능한 것이며,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능히 고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품질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를 갖는 조명등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조명등용 원형틀체는 천정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그 원형틀체의 저면에는 통상의 반사판을 결합하여 되는 것이다.
이때의 원형틀체는, 상하로 이격된 원형링(11)(11')을 구비하고 그 원형링(11)(11')의 내면에 별도의 장식링체(1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한 원형링(11)(11')과 장식링체(10)는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한 장식링체(10)에는 반복적으로 연속하는 타공무늬(12)(12')를 형성하여 외관상 우수한 장식성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장식링체(10)의 내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별도의 취부링(20)(20')을 고정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장식링체(10)와 취부링(20)(20') 역시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일체화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의 취부링(20)(2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단면상 반원형의 형태를 갖고 있어 상,하로 이격된 취부링(20)(20')의 대응면에는 반원형의 곡면부에 의한 틈새가 형성되므로, 상측 취부링(20)의 단면상 하부곡면과 하측 취부링(20')의 단면상 상부곡면을 이용하여 별도의 장식지(30)를 끼워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장식지(30)는 취부링(20)의 곡면부에 의해 장식링체(10)의 내면에 밀착 상태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하측 또는 상측을 우선하여 끼워넣은 상태에서 나머지의 단부를 취부링(20)(20')에 의한 틈새로 밀어넣으면 안정된 삽입상태와 동시에 그 장식링체(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얻게 된다.
이때의 장식지(30)는 반투명의 필름지 또는 한지 등을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램프가 점등되면 장식지(30)를 통해 빛의 투과가 이루어지는 반면 그 조명등의 내부는 직접 관찰되지 않을 정도의 투광성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취부링(20)(20')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통해 동일한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단면상 사각형태로 된 취부링(20)(20')을 결합 형성한 상태에서 이들 취부링(20)(20')의 서로 마주하면 대응면에 각각 삽입홈(21)을 형성함으로써, 상하의 삽입홈(21)을 이용하여 그 장식지(30)를 끼워 삽입하면 되는 것이며, 도 5의 도시와 같이 단면상 원형으로 된 취부링(20)(20')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이들 취부링(20)(20')의 원형 곡면부를 통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식지(30)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취부링(20)(20')의 상,하 대응면에 장식링체(10)를 향하는 경사홈부(22)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이들 경사홈부(22)를 이용한 장식지(30)의 용이한 삽입과 밀착 고정이 가능하므로 그 원형틀체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기한 바와 같은 타공무늬(12)(12')에 의한 장식링체(10)를 갖는 원형틀체를 생산함에 있어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신속하고 안정된 품질로 장식지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품질 안정성이 크게 높아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를 갖는 조명등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에 장식지를 삽입하는 과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의 취부링을 보인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의 취부링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틀체의 취부링을 보인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식링체 11,11' : 원형링
12,12' : 타공무늬
20,20' : 취부링 21,21' : 삽입홈
22,22' : 경사홈부
30 : 장식지

Claims (6)

  1. 상,하로 이격된 원형링(11)(11')의 내면에 상기 원형링(11)(11')을 서로 연결하는 원판 형태의 장식링체(10)를 형성하고, 그 장식링체(10)에는 반복의 타공무늬(12)(12')를 형성하여 된 조명등용 원형틀체에 있어서,
    상기 장식링체(10)의 내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취부링(20)(20')을 고정 형성하여, 이들 취부링(20)(20')을 통해 별도의 장식지(30)가 장식링체(1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2. 제 1항에 있어서,
    취부링(20)(20')은 단면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반원형 취부링(20)(20')의 곡면부가 장식링체(10)를 향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써,
    장식링체(10)의 수직 내면과 취부링(20)(20')의 곡면부 사이로 장식지(30)가 끼워져 밀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된 취부링(20)(20')이 서로 마주하는 대응면에는 삽입홈(21)을 각각 형성하여, 이들 삽입홈(21)을 통해 장식지(30)를 끼워 밀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4. 제 1항에 있어서,
    취부링(20)(20')은 단면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장식링체(10)의 수직 내면과 취부링(20)(20')의 곡면부 사이로 장식지(30)가 끼워져 밀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된 취부링(20)(20')이 서로 마주하는 대응면에는 장식링체(10)를 형하는 경사홈부(22)를 형성하여, 이들 경사홈부(22)를 통해 장식지(30)를 끼워 밀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6. 제 1항에 있어서,
    장식지(30)는, 합성수지재 필름지 또는 한지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KR2020080001742U 2008-02-05 2008-02-05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KR200900081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742U KR20090008126U (ko) 2008-02-05 2008-02-05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742U KR20090008126U (ko) 2008-02-05 2008-02-05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126U true KR20090008126U (ko) 2009-08-10

Family

ID=4130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742U KR20090008126U (ko) 2008-02-05 2008-02-05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1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56B1 (ko) * 2013-09-26 2014-09-17 오인숙 한지 전등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356B1 (ko) * 2013-09-26 2014-09-17 오인숙 한지 전등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147B1 (ko) 조명등용 조립형 커버틀체
KR101089055B1 (ko)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 매다는 등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KR200413753Y1 (ko) 천정등
KR200411570Y1 (ko) 조명등용 전등커버
KR101777162B1 (ko)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KR20090008126U (ko) 장식지의 용이한 취부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원형틀체
KR101260449B1 (ko) 돌출형 엘이디 광 장식부를 갖는 천장매입등
KR200396890Y1 (ko) 스팽글 샹들리에
KR101181492B1 (ko) 빛 장식부가 연출되게 한 천정직착등
KR200468543Y1 (ko) 투톤 칼라로 조사되는 엘이디 조명등
CN205025056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收边装饰条
KR101553523B1 (ko)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KR100715258B1 (ko) 천정등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101136050B1 (ko) 장식성이 뛰어난 천장 매다는 등
KR101180147B1 (ko) 호형 날개를 갖는 꽃 모양의 천정등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CN208123972U (zh) 一种新型的灯体结构
KR20080003589U (ko) 장식부재가 구비된 조명등커버
KR100798770B1 (ko) 장식 및 발광성이 뛰어난 조립식 천정용 조명등
CN201348183Y (zh) 矩形整体式led组合微能照明灯灯具
KR200411213Y1 (ko) 조명등 장식구조
KR20100004455U (ko) 조명등의 장신구 설치구조
KR101778000B1 (ko) 칵테일 잔 형태로 된 장식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