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492U -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492U
KR20090007492U KR2020080000880U KR20080000880U KR20090007492U KR 20090007492 U KR20090007492 U KR 20090007492U KR 2020080000880 U KR2020080000880 U KR 2020080000880U KR 20080000880 U KR20080000880 U KR 20080000880U KR 20090007492 U KR20090007492 U KR 200900074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lower support
pin portion
support ang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아
Original Assignee
김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아 filed Critical 김미아
Priority to KR2020080000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492U/ko
Publication of KR20090007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4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Abstract

고정핀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고정 상태가 견고하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고정핀의 이탈을 예방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킨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제1높이조절공(41a)이 형성되고 제1높이조절공(41a)의 반대면에 그에 대응된 제2높이조절공(41b)이 형성된 중공의 상부지지각(41)(42)과; 상부지지각(41)(42)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공(51a)(52a)이 형성된 중공의 하부지지각(51)(52)과; 관통공, 제1높이조절공 및 제2높이조절공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각(41)(42)을 하부지지각(51)(52)에 위치고정시키는 내측핀부(61)와, 내측핀부(6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하부지지각(51)(52)의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외측핀부(62)를 구비하는 고정핀(6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장치는 하부지지각의 외주면에 지지홈을 형성함으로써, 고정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지지각, 높이조절, 고정핀, 지지홈

Description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furniture}
본 고안은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 및 의자 등과 같은 사무용 가구의 다리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고정핀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고정 상태가 견고하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고정핀의 이탈을 예방하고 외관미를 향상시킨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책상 및 의자 등과 같은 사무용 가구에는 복수의 다리(지지각)가 구비되어 있고, 실내 바닥면의 환경 및 주변 가구 등과의 배치 상태에 따라 그 지지각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높이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는 중공 상태를 이루는 하나의 지지각을 분할 중첩시킨 후 그 길이를 신축 조절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높이조절장치는 별도의 공구가 요구되어 높이조절작업이 불편하고, 고정핀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저해할 뿐만아니라 어린이의 부주의로 인한 상해의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높이조절장치를 본원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1-2487호에 개시하여 등록된 바 있다. 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지지각(1)의 각 높이조절공(3) 및 하부 지지각(5)의 관통공(7)이 상/하부 지지각(1)(5)의 중공부를 지나 반대편 외주면까지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고, 고정핀(30)이 각 높이조절공(3) 및 관통공(7) 내에 헐겁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고정핀(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호 나사결합되는 상/하부소켓(10)(20)에 의해 마감되어 있다.
상/하부 소켓(10)(20)은 상/하부 지지각(1)(5)의 외주에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며, 고정핀(30)에 의해 각 지지각(1)(5)이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결합됨으로써 삽입된 고정핀(30) 및 자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
또한, 상, 하부 지지각(1)(5)은 중첩 후 신축조작시 각 높이조절공(3) 및 관통공(7)이 용이하게 일치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정합안내부(2)(6)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높이조절장치는 별도의 공구없이도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하부 소켓(10)(20)에 의해 고정핀(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고정핀(30)의 이탈방지 및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부 소켓(10)(20)이 채용되므로 상/하부 소켓(10)(20)의 결합/분리 후 조절작업이 요구되므로 높이조절작업이 번거롭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종 가구의 다리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 및 하부지지각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고정핀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으며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관리에 유리하고 부품의 분실을 대폭 경감토록 한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높이조절장치는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제1높이조절공의 반대면에 그에 대응된 제2높이조절공이 형성된 중공의 상부지지각과;
상기 상부지지각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2높이조절공에 대응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하부지지각과;
상기 관통공, 제1높이조절공 및 제2높이조절공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각을 상기 하부지지각에 위치고정시키는 내측핀부와, 상기 내측핀부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하부지지각의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외측핀부를 구비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장치는 상기 내측핀부와 외측핀부의 경계부분에 상호 분리된 간극을 형성하여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장치는 상기 상/하부지지각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핀부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각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핀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높이조절장치는 가느다란 핀형상의 고정핀을 구비함으로써, 상/하부높이조절공 및 관통공의 구멍크기를 작게 하여 외부 노출을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이에따라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에 손잡이를 형성시킴으로써 조립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지지각의 외주면에 지지홈을 형성함으로써, 고정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예시된 도면은 사무용 가구중 교육용 의자에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를 채용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의자(30)를 나타낸다. 이 의자(30)는 엉덩이받이(31)와 등받이(32)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부지지각(41)과 하부지지각(51)의 높이조절구조와 그리고 상부지지각(42)과 하부지지각(52)의 높이조절구조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엉덩이받이(31)의 저면에는 상부지지각(41)(42)이 고정되며, 이 상부지지각(41)(4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높이조절공(41a)(42a)이 형성되고 제1높이조절공(41a)(42a)의 반대면에 그에 대응된 제2높이조절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각(41)(42)에는 하부지지각(51)(52)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하부지지각(51)(52)에는 상기 제1,2높이조절공(41a,42a)(41b)에 대응되는 관통공(51a,52a)(51b)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 실시예의 장치에는 상부지지각(41)(42)을 하부지지각(51)(52)에 대하여 일정높이로 고정시키는 고정핀(6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60)은 상기 관통공(51a), 제1높이조절공(41a), 제2높이조절공(41b) 및 관통공(51b)에 순차적으로 진입되어 상부지지각(41)(42)을 상기 하부지지각(51)(52)에 위치고정시키는 내측핀부(61)와, 상기 내측핀부(6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하부지지각(51)(52)의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외측핀부(62)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핀부(61)와 외측핀부(62)의 경계부분에는 상호 분리된 간극(64)을 형성하여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6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각(51)(52)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핀부(62)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51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지지각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외측핀부(62)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서 하부지지각(51)(5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며, 상기 지지홈(51c)은 하부지지각(51)(52)의 외주면 일부를 흠집을 내어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측핀부(6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하여서 상기 하부지지각(51)(52)의 지지홈(51c)에 탄력적으로 밀착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의 높이조절방법은, 상부지지각(41)(42)에 대해 하부지지각(51)(52)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제1,2높이조절공(41a,42a)(41b)과 관통공(51a,52a)(51b)을 상호 일치시키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핀부(61)를 관통공(51a), 제1높이조절공(41a), 제2높이조절공(41b) 및 관통공(51b)에 순차적으로 진입시켜서 상부지지각(41)(42)을 상기 하부지지각(51)(52)에 위치고정시킨다.
이때 외측핀부(62)는 내측핀부(61)가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질때 하부지지각(51)(52)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내측핀부(6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지지홈(51c)이 끼이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핀부(62)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지지각(51)(52)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서, 내측핀부(6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고정핀(60)을 제거시키려면 손잡이(63)를 잡고 잡아빼도 되고, 고정핀(60)이 작게 형성되어 손잡이(63)를 파지하기 불편한 경우 간극(64)에 송곳과 같은 첨예도 구를 삽입하여 잡아 당김으로써 고정핀(6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가 채용된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요부 횡단면도이다.

Claims (3)

  1.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높이조절공(41a)이 형성되고 제1높이조절공(41a)의 반대면에 그에 대응된 제2높이조절공(41b)이 형성된 중공의 상부지지각(41)(42)과;
    상기 상부지지각(41)(42)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2높이조절공(41a)(41b)에 대응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51a)(52a)이 형성된 중공의 하부지지각(51)(52)과;
    상기 관통공, 제1높이조절공 및 제2높이조절공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각(41)(42)을 상기 하부지지각(51)(52)에 위치고정시키는 내측핀부(61)와, 상기 내측핀부(6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하부지지각(51)(52)의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외측핀부(62)를 구비하는 고정핀(6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핀부(61)와 외측핀부(62)의 경계부분에 상호 분리된 간극(64)을 형성하여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6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각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핀부(62)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각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핀부(62)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홈(51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80000880U 2008-01-21 2008-01-21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0900074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880U KR20090007492U (ko) 2008-01-21 2008-01-21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880U KR20090007492U (ko) 2008-01-21 2008-01-21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92U true KR20090007492U (ko) 2009-07-24

Family

ID=4129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880U KR20090007492U (ko) 2008-01-21 2008-01-21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4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03B1 (ko) * 2015-03-26 2016-06-27 권혁호 다기능 제품받이 치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03B1 (ko) * 2015-03-26 2016-06-27 권혁호 다기능 제품받이 치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7101S1 (en) Furniture handle
USD894623S1 (en) Furniture (bench)
USD859021S1 (en) Chair
USD905864S1 (en) Apparatus for massage
USD767291S1 (en) Adjustable toilet footrest assembly
USD806441S1 (en) Massage chair cushion
USD858128S1 (en) Chair argus
USD863471S1 (en) Carriage sit box for reformer exercise apparatus
USD719368S1 (en) Park bench on the central leg with backrest and armrests
USD815450S1 (en) Wooden chair
USD913384S1 (en) Pelvic exercise apparatus
USD787862S1 (en) Mattress core
US7314252B2 (en) Chair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s
USD824682S1 (en) Chair with inflatable seat
USD813968S1 (en) Bowl shaped trampoline
USD791527S1 (en) Conical grill with four legs
USD816784S1 (en) Exercise bench
USD882831S1 (en) Sleeve for a post
USD816357S1 (en) Wood rocking chair
USD818279S1 (en) Stool
USD787613S1 (en) Pelvic floor exerciser
USD869303S1 (en) Milling machine measurement apparatus
KR20090007492U (ko)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USD786105S1 (en) Level and guide
USD879862S1 (en) Sports simulato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