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350U -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7350U KR20090007350U KR2020090005457U KR20090005457U KR20090007350U KR 20090007350 U KR20090007350 U KR 20090007350U KR 2020090005457 U KR2020090005457 U KR 2020090005457U KR 20090005457 U KR20090005457 U KR 20090005457U KR 20090007350 U KR20090007350 U KR 2009000735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mobile device
- protrusion
- portable device
- hoo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은: 일측에 휴대기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접속 플러그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기기 접속부재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탈착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용 후크와; 상기 제 2 하우징에 상기 걸림용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용 후크와 마주보는 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리용 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와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되어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라 함은, 휴대폰, 엠피쓰리 플레이어, 휴대용 텔레비젼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나열할 수 있다.
휴대기기용 커넥터는 상기와 같은 휴대기기로부터 컴퓨터로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컴퓨터의 데이터를 휴대기기로 이동하기 위해 휴대기기와 컴퓨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아답터와 휴대기기를 연결하여 휴대기기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이 아답터로부터 공급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은 제 1 하우징(20)과, 상기 제 1 하우징(2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40)과,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기기에 결합되는 접속 단자(30)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단자(30)에는 케이블(50)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40)의 결합구조는, 제 2 하우징(40)에 관통홀(41)을 형성하고, 볼트(60)가 상기 관통홀(41)을 관통하게 하며, 관통된 볼트(60)가 상기 제 1 하우징 내의 결합용 홀(21)에 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의 제조과정은 볼트(60)를 준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이 볼트(60)에 의해 고정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제조시간을 감소시켜서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은: 일측에 휴대기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접속 플러그와, 타측에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기기 접속부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탈착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용 후크와; 상기 제 2 하우징에 상기 걸림용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용 후크와 마주보는 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리용 홀;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결합시 걸림용 후크와 걸림턱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볼트로 결합시키는 종래의 구조보다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제조시간이 적게 걸리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은, 미도시된 공구가 분리용 홀에 삽입되게 하고, 공구의 끝 부분이 걸림용 후크의 경사면과 접촉하게 하여 걸림용 후크가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은 정비하는 과정도 종래의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에 비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IV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V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휴대기기 접속부재 111..접속 플러그
112..케이블 113..고정돌기 수용홀
120..제 1 하우징 122..걸림용 후크
123..위치고정돌기 124..걸림 돌기
130..제 2 하우징 132..걸림턱
133..접속부재 고정돌기 134..위치고정홈
138..이탈방지부재 136..수용홈
150..분리용 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은: 일측에 휴대기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접속 플러그와, 타측에는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기기 접속부재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탈착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용 후크와; 상기 제 2 하우징에 상기 걸림용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용 후크와 마주보는 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리용 홀;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하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IV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는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과,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휴대기기 접속부재(110)는 그 일측에 휴대기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접속 플러그(111)를 구비하고, 그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112)을 구비한다. 케이블(112)은 휴대기기와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거나, 휴대기기로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하우징(120)은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 1 하우징(120)은 상기 제 2 하우징(130)을 향하도록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된 제 1 측벽(121)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 1 측벽(121)은 상기 접속 플러그(11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케이블(112)이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에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 1 홈(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하우징(120)은 유격보정부(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유격보정부(125)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격보정부(125)는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110)가 상기 제 2 하우징(130)과 상기 제 1 하우징(120)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20)과 휴대기기 접속부재(11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하우징(130)은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하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하우징(130)은 상기 제 1 하우징(120)을 향하도록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측벽(121)와 접촉되는 제 2 측벽(131)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 2 측벽(131)는 상기 접속 플러그(11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케이블(112)이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에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13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이 탈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결합수단은 걸림용 후크(122)와, 걸림턱(132)과, 분리용 홀(150)을 구비한다.
걸림용 후크(122)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이다.
걸림턱(132)은 제 2 하우징(130)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용 후크(1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분리용 홀(150)은 상기 제 2 하우징(130)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120)과 상기 제 2 하우징(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용 후크(122)와 마주보는 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용 홀(150)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분리용 홀(150)은 얇고 긴 미도시된 공구가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분리용 홀(150)을 통해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이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도시된 공구가 분리용 홀(150)에 삽입되고, 공구의 끝부분이 걸림용 후크(122)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걸림용 후크(122)를 이동방향으로 밀면, 걸림용 후크(122)는 걸림턱(13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은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걸림용 후크(122)는 제 1 하우징(120)에 형성되고, 걸림턱(132)은 제 2 하우징(130)에 형성되어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결합시 제 1 하우징(120)이 제 2 하우징(13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분리용 홀(150)은 제 2 하우징(13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와 반대로 걸림용 후크(122)가 제 2 하우징(130)에 형성되고, 분리용 홀(150)은 제 1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분리용 홀(150)이 제 1 하우징(120)에 형성된 경우, 사용자에게 분리용 홀(150)이 보이게 되어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먼지가 분리용 홀(150) 내에 가라앉아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후자보다 전자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의 조립과정과 분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의 조립과정은,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의 일부가 제 2 하우징(130) 내에 수용되게 하고, 상기 제 1 하우징(120)이 상기 제 2 하우징(130)에 결합되게 한다. 이 경우, 걸림용 후크(122)는 걸림턱(132)에 걸쳐져서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이 서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게 한다.
다음으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의 분리과정은, 얇고 긴 도구가 분리용 홀(150)에 삽입되게하고 걸림용 후크(122)가 걸림턱(132)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면,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이 서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는,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결합시 걸림용 후크(122)와 걸림턱(132)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을 볼트로 결합시키는 종래의 구조보다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제조시간이 짧게 소요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를 정비하기 위해 분리하는 과정도 종래의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한편,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100)는 접속부재 고정돌기(133)와, 고정돌기 수용홀(1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접속부재 고정돌기(133)는 제 2 하우징(130)의 내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고정돌기 수용홀(113)은 상기 접속부재 고정돌기(133)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접속부재 고정돌기(133)는 제 2 하우징(130)에 형성되고, 고정돌기 수용홀(113)은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접속부재 고정돌기(133)가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에 형성되고, 고정돌기 수용홀(113)은 제 1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속부재 고정돌기(133)와 고정돌기 수용홀(113)은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110)가 상기 제 2 하우징(120) 내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휴대기기 접속부재(110)와 제 2 하우징(1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 접속부재(110)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 사이에 조립된 후, 외력에 의해 휴대기기 접속부재(110)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 사이에서 흔들거리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 1 하우징(120)은 위치고정돌기(123)를 더 구비하고, 제 2 하우징(130)에는 위치고정홈(1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돌기(123)와 위치고정홈(134)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위치고정돌기(123)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위치고정홈(134)은 제 2 하우징(130)으로부터 상기 위치고정돌기(123)를 향하도록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위치고정돌기(123)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앙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위치고정홈(134)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측벽(13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위치고정돌기(123)와 위치고정홈(134)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위치가 적당히 맞춰지기만 하면, 위치고정돌기(123)가 위치고정홈(134)에 끼워지게 되어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결합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고정돌기(123)와 위치고정홈(134)은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 1 하우징(120)은 걸림 돌기(124)를 더 구비하고, 제 2 하우징(130)은 이탈방지부재(13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124)와 이탈방지부재(138)는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V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 돌기(124)는 상기 제 1 하우징(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탈방지부재(138)는 상기 제 2 하우징(130)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부(135)와, 상기 걸림 돌기(124)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35)의 둘레를 따라 인입되게 형성된 수용홈(136)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 돌기(124)와 이탈방지부재(138)는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경우, 걸림 돌기(124)가 수용홈(136)에 안착되게 함으로서,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의 결합력을 더욱 강하게 한다. 한편, 걸림 돌기(124)와 이탈방지부재(138)는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재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걸림 돌기(124)와 이탈방지부재(138)가 탄성 변형되어 결합될 수 있다.
Claims (3)
- 일측에 휴대기기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접속 플러그를 구비하고, 타측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휴대기기 접속부재;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 및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탈착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을 구비하고,상기 결합수단은: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용 후크;상기 제 2 하우징에 상기 걸림용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 및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용 후크와 마주보는 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리용 홀;을 구비하며,상기 제 2 하우징은 내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재 고정돌기를 구비하고,상기 휴대기기 접속부재에는, 상기 접속부재 고정돌기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고정돌기 수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하우징은, 그 내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위치고정돌기를 구비하고,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향하도록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앙이 인입되게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2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인입되게 형성된 수용홈이 형성된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457U KR20090007350U (ko) | 2009-05-06 | 2009-05-06 |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457U KR20090007350U (ko) | 2009-05-06 | 2009-05-06 |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70075755A Division KR20090011803A (ko) | 2007-07-27 | 2007-07-27 |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350U true KR20090007350U (ko) | 2009-07-21 |
Family
ID=4365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5457U KR20090007350U (ko) | 2009-05-06 | 2009-05-06 |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7350U (ko) |
-
2009
- 2009-05-06 KR KR2020090005457U patent/KR2009000735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2079B2 (en) |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interface | |
US7989696B2 (en) |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 |
US7628628B2 (en) | Connector having floating structure | |
US7118399B1 (en) | Electronic device with replaceable plug | |
US7677936B2 (en) | Plug connector having retainer attached mold case | |
US7422466B1 (en) | Connector with cover for a latching part | |
US11277678B2 (en) | Handle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 |
US8398414B2 (en) | Locking mechanisms and locking caps for connectors | |
CN103606783A (zh) | 公连接器、母连接器和连接器组件 | |
US8573990B2 (en) | Cover structure | |
TWI328319B (en) |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 |
US6575781B2 (en) | Power supply apparatus with power cord securing device | |
US6508669B2 (en) | Socket-and-plug assembly | |
CN201708366U (zh) | 连接器组件 | |
US7195524B1 (en) |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having a detachable coupling head detachable from a terminal by inserting a tool into the coupling head | |
KR20040064153A (ko) |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 | |
KR20050098078A (ko) | 전기접속용 커넥터 | |
KR20090011803A (ko) |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
KR20090007350U (ko) | 휴대기기용 커넥터 하우징 | |
CN211150980U (zh) | 一种插座用面板安装结构及一种插座 | |
US20150162708A1 (en) | Non-standard slim lock connector system | |
CN102214872A (zh) | 连接器组件 | |
US20130161162A1 (en) | Electronic connection unit and socket thereof | |
KR100924596B1 (ko) | 조립이 용이한 커넥터 | |
KR200453572Y1 (ko) | 플러그형 직류전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