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959A - 필터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필터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959A
KR20090006959A KR1020070070458A KR20070070458A KR20090006959A KR 20090006959 A KR20090006959 A KR 20090006959A KR 1020070070458 A KR1020070070458 A KR 1020070070458A KR 20070070458 A KR20070070458 A KR 20070070458A KR 20090006959 A KR20090006959 A KR 2009000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all portion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wall
filt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
Priority to KR102007007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959A/ko
Publication of KR2009000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이나 연료의 압력에 대해서도 여과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면서 폐기도 용이한 필터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터에 사용되는 필터 엘리먼트로 서, 내측에 코어가 삽입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 캡 및 하부 캡을 구비하며, 상기 코어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외주 벽부와, 상기 외주 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 벽부에는 여과부에서 코어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먼트 코어에는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서 코어를 종이 등의 약한 소재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여과지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필터 엘리먼트에서 코어는 물론 상부 캡 및 하부 캡도 종이소재이며 여과부도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필터 엘리먼트 전체를 완전히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부 캡 및 하부 캡 중앙부에 환형 밴드 형상의 실링부를 캡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실링체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폐기에 있어 더욱 유리하며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하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
도 1 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코어가 적용된 필터 엘리먼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1실시예에서 오목부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은 본 발명의 코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3실시예에서 오목부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여과부 12:상부 캡 13:하부 캡 20,30,40:코어 21,31,41:중공부 22,32,42:외주 벽부 22a,32a,42a:관통홀 23,33,43:오목부
본 발명은 필터 엘리먼트 코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일이나 연료 등의 유체 압력에 대해 여과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면서 완전소각이 용이한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것이다.
필터 엘리먼트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이나 연료가 종이로 이루어진 중공 원통형상의 여과부 (100) 를 측방에서 직경방향으로 유입되어 통과하면서 여과작용이 이루어지며, 여과된 오일이나 연료는 여과부 (100) 내부의 중공부에서 하방 또는 상방으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오일이나 연료는 내부가 중공형태인 여과부 (100) 의 측방에서 유입되는 바, 유입압력에 의한 여과부 (100) 의 형상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부 (100) 의 내부에는 여과부 (100) 를 지지하기 위한 코어 (200) 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코어 (200) 는 중공 원통형상이며 외주둘레부에는 여과된 오일이나 연료의 유출을 위한 다수의 관통홀 (201) 이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과부 (100) 의 상면 및 하면에는 여과부 (100) 를 지지하기 위해 금속소재의 캡 (300) 이 고정되며, 캡 (300) 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 (301) 에는 각각 중앙부가 개구된 고무소재의 실링체 (400) 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터 엘리먼트는 차량이나 산업용 엔진 등에 사용되는 것인데 한번 장착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기간 사용되면 정기적 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소모품인 바, 사용된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폐기가 문제시된다.
그런데, 필터 엘리먼트는 중심부의 코어가 금속소재이며 여과부의 상부 및 하부에 장착되는 상부 캡 및 하부 캡도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완전폐기가 용이하지 않아 많은 산업폐기물을 양산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어를 종이로 만든 기술이 공지되어 있는 데, 이러한 종이 코어의 경우 유입되는 오일이나 연료 등의 압력을 지지하지 못하여 여과지의 형상이 변경됨으로써 필터 엘리먼트의 여과작용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이나 연료의 압력에 대해서도 여과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면서 폐기도 용이한 필터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터에 사용되는 필터 엘리먼트로서, 내측에 코어가 삽입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 캡 및 하부 캡을 구비하며, 상기 코어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외주 벽부와, 상기 외주 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 벽부에는 코어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오목부는 선 형상 또는 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선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원주방향 둘레에 형성된 환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환형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환형 형상 오목부의 높이는 외주 벽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선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직선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원주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점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원주방향으로 원형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원형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복수 개의 원형 형상 오목부의 높이는 외주 벽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점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코어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수지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상부 캡 및 하부 캡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수지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서 상기 상부 캡 및 하부 캡은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코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형 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코어가 적용된 필터 엘리먼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코어를 포함하는 필터 엘리먼트는 여과부 (10), 이 여과부 (10) 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 캡 (12) 및 하부 캡 (13) 과, 여과부 (10) 의 내측에 삽입되는 코어 (20) 로 이루어진다.
여과부 (10) 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종이를 여러 층 접어서 구성되며, 여과부 (10) 에 사용되는 종이 표면에는 필터의 사용 용도에 따라 별개의 적절한 표면처리를 한다.
상부 캡 (12) 및 하부 캡 (13) 은 종이나 플라스틱 수지를 소재로 하며 대략 원판형상으로 중앙에는 코어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환형 밴드 형상의 개구부 (12a,13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환형 밴드 형상의 개구부 (12a,13a) 는 여과부 (10) 및 외주 벽부 (22) 의 단부를 둘러싸며 실링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제1실시예]
도 4a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1실시예에서 오목부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코어 (20) 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소재로 하며 종이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재활용 펄프를 이용하는 것이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코어 (20) 는 내부에 중공부 (21) 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외부는 다수의 관통홀 (22a) 이 형성된 외주 벽부 (22) 로 이루어진다.
외주 벽부 (22) 는 여과부 (10) 의 내측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외주 벽부 (22) 에서 코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23) 는 외주 벽부 (22) 의 둘레에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어 (20) 의 길이방향으로 하나만 형성되거나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각 환형 형상 오목부 (23) 의 높이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도 4a 에서와 같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b 에서와 같이 오목부 (23) 사이의 외주 벽부 (22) 의 간격은 일정하게 하면서 복수 개의 환형 형상 오목부 (23) 의 높이를 외주 벽부 (22) 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외주 벽부 (22) 의 상측 및 하측 단부는 상부 캡 (12) 및 하부 캡 (13) 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반면에 외주 벽부 (22) 의 중앙부는 지지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인 바, 측방으로 유입되는 오일이나 연료의 압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어 이를 보강하는 작용을 하기 위함이다.
[제2실시예]
도 5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코어 (30) 는 재활용 펄프를 이용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소재로 하며, 내부에 중공부 (31) 가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주 벽부 (32) 로 이루어진다.
외주 벽부 (32) 에는 코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오목부 (33) 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오목부 (33) 는 코어 (30) 의 원주방향으로 하나만 형성되거나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 (32a) 은 외주 벽부 (32) 에서 길이방향 오목부 (33) 가 형성된 부분에 대하여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부 (33) 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a 은 본 발명의 코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코어의 제3실시예에서 오목부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코어의 제3실시예에서 코어 (40) 는 재활용 펄프를 이용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소재로 하며, 내부에 중공부 (41) 가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외주 벽부 (42) 로 이루어진다.
외주 벽부 (42) 에는 코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점 형상 오목부 (43) 가 형성되어 있으며, 점 형상 오목부 (43) 는 하나만 형성되거나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점 형상 오목부 (43) 는 외주 벽부 (42) 의 원주방향으로 배열하여 원형 형상으로 하거나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원형 형상 오목부 (23) 의 높이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도 6a 에서와 같이 일정하게 형성되거나, 도 6b 에서와 같이 오목부 (43) 사이의 외주 벽부 (42) 의 간격은 일정하게 하면서 복수 개의 원형 형상 오목부 (43) 의 높이를 외주 벽부 (42) 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원형 형상 오목부 (43) 의 높이를 불균등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제1실시예의 코어 (20) 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외주 벽부 (43) 의 중앙부에서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주 벽부 (42) 에서 점 형상 오목부 (43) 가 형성된 부분 이외에는 여과된 오일이나 연료의 출입을 위한 관통홀 (42a) 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코어 (20,30,40) 에서는 오목부 (23,33,43) 가 형성되어 구조물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단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 오일이나 연료의 유입압력에 대한 지지강도가 향상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종이 등의 약한 소재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여과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코어가 종이 등의 재질일 뿐 아니라 상부 캡 및 하부 캡도 모두 종 이로 형성되고 여과지도 종이로 형성되는 바, 사용된 필터 엘리먼트의 완전폐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 단면형상이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는 오일 필터 경우는 물론 연료 필터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먼트 코어에는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서 코어를 종이 등의 약한 소재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여과지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필터 엘리먼트에서 코어는 물론 상부 캡 및 하부 캡도 종이소재이며 여과부도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필터 엘리먼트 전체를 완전히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부 캡 및 하부 캡 중앙부에 환형 밴드 형상의 실링부를 캡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실링체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폐기에 있어 더욱 유리하며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하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4)

  1. 필터에 사용되는 필터 엘리먼트로서,
    내측에 코어가 삽입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 캡 및 하부 캡을 구비하며,
    상기 코어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외주 벽부와, 상기 외주 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 벽부에는 코어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선 형상 또는 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원주방향 둘레에 형성된 환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환형 형상 오목부의 높이는 외주 벽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원주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원주방향으로 원형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원형 형상 오목부의 높이는 외주 벽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 형상 오목부는 외주 벽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수지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 및 하부 캡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 수지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14.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 및 하부 캡은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코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형 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
KR1020070070458A 2007-07-13 2007-07-13 필터 엘리먼트 KR20090006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458A KR20090006959A (ko) 2007-07-13 2007-07-13 필터 엘리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458A KR20090006959A (ko) 2007-07-13 2007-07-13 필터 엘리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59A true KR20090006959A (ko) 2009-01-16

Family

ID=4048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458A KR20090006959A (ko) 2007-07-13 2007-07-13 필터 엘리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9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121B1 (ko) * 2015-12-31 2016-07-22 정철식 필터 유니트
CN110125287A (zh) * 2018-06-26 2019-08-16 浙江核芯泵业有限公司 一种石化渣油过滤滤芯生产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121B1 (ko) * 2015-12-31 2016-07-22 정철식 필터 유니트
CN110125287A (zh) * 2018-06-26 2019-08-16 浙江核芯泵业有限公司 一种石化渣油过滤滤芯生产设备
CN110125287B (zh) * 2018-06-26 2024-01-16 浙江核芯流体装备有限公司 一种石化渣油过滤滤芯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2329B2 (ja) フィルタ装置
CN101184544A (zh) 具有开口流入口的离心式过滤器
US9884275B2 (en) Spin-on filter without a nut plate
CN110270155B (zh) 包含过滤筒的过滤器组件
JP2020517450A (ja) フィルタ装置
KR20090006959A (ko) 필터 엘리먼트
CN107126741A (zh) 一种过滤设备
DE60207698D1 (de) Filterpatrone für eine filteranordnung
MXPA06010548A (es) Ensamble de filtro no metalico y metodo para producir el mismo.
US20140311961A1 (en) Filter device
KR20090006963A (ko) 필터 엘리먼트용 코어
WO2018003580A1 (ja) フィルタ装置
US20220016550A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device
WO2016171040A1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装置
KR101706529B1 (ko) 공작기계용 냉각수 필터
KR20090006956A (ko) 필터 엘리먼트용 코어 및 이 필터 엘리먼트 코어가 장착된필터 엘리먼트
KR200432281Y1 (ko) 교체형 원통 에어 필터
KR101193732B1 (ko)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KR102234959B1 (ko) 여과 모듈용 케이싱의 제조 방법, 및 여과 모듈용 케이싱
US20070169445A1 (en) Filter flow turbine
JP4018948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CN105903235B (zh) 滤芯
KR200384552Y1 (ko) 뚜껑 없는 여과기 엘레멘트
WO1987001957A1 (en) Nonmetallic clean side spin-on filter
KR100944714B1 (ko) 필터 엘리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