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800U - 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 Google Patents

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800U
KR20090006800U KR2020070021128U KR20070021128U KR20090006800U KR 20090006800 U KR20090006800 U KR 20090006800U KR 2020070021128 U KR2020070021128 U KR 2020070021128U KR 20070021128 U KR20070021128 U KR 20070021128U KR 20090006800 U KR20090006800 U KR 200900068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jig
hook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1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1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800U/en
Publication of KR20090006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80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지그는, 메인하우징의 걸림돌기가 하부하우징의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L)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것으로, 하강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구비된 로킹부분(22a)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18)을 구비하는 몸체(14)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면은, 몸체(14)의 하단부(19)가 걸림후크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는 걸림돌기와 걸림후크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for disassembling the housing. The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isassembly of a housing having a locking part (L) which maintains an engaged state by engaging a locking protrusion of the main housing with a locking hook of a lower housing. It is provided with a body 14 having an inclined surface 18 to open the locking portion 22a provided on the outside; The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hook until the lower end 19 of the body 14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컨넥터 하우징, 분해용지그, 전기컨넥터 Connector housing, jig for disassembly, electrical connector

Description

하우징 분해용 지그{Jig for disassembling housing}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본 고안은 전기 컨넥터 하우징을 쉽게 분해할 수 있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로 결합된 하우징의 로킹상태를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분해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that can easily disassemble 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disassembly jig configured to more easily separate the locked state of the two coupled housing.

전기컨넥터 및 전기 부품 등이 내장되는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전체적인 하우징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수리 등의 필요시에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각각을 분리하여 내부의 부품을 교환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는 바, 이러한 경우 하우징의 각각의 분리하여야 한다. Housings in which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components are embedded are generally composed of two or more part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one overall housing. And when the repair, etc., each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o take measures to replace the internal parts, such as, in this case, each of the housing should be separated.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구성하는 각각은 실질적으로 로킹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걸림턱과 걸림후크가 각각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이들이 결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로킹상태의 하우징이 완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general, since each of the housings must be substantially locked, the locking jaws and the hooks are provided on either side, and the housings in the locked state can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m.

이와 같이 복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분해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문적인 지그가 없었다. 따라서 수리 등의 경우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걸림후크 또는 걸림턱을 외측으로 벌리는 등의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의 분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전문적인 공구 없이,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을 분 해하는 것은,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지거니와 하우징의 부품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As such, there has been no conventional jig to disassemble the hous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Therefore, in the case of repair or the like, it was common to disassemble the housing by an operation such as opening the hook or the locking jaw to the outside using a screwdriver. It is true that disassembling the housing using a screwdriver or the like without a professional tool may reduce work efficiency and may damage parts of the housing.

본 고안에서는 복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해시 하우징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 분해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 that can be easily disassembled a hous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 for disassembling the housing which can prevent the housing from being damaged during disassembly.

본 고안에 의한 하우징 분해용 지그는, 메인하우징의 걸림돌기가 하부하우징의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것으로, 하강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구비된 로킹부분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면은, 몸체의 하단부가 걸림후크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는 걸림돌기와 걸림후크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housing disassembly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isassembly of a housing having a locking part that maintains an engaged state by engaging a locking protrusion of the main housing to a locking hook of a lower housing, and by lowering the locking protrusion inside. It is provided with a body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 open the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side; The incline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features are configured to release the engag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hook until the lower end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하우징의 걸림돌기가 하부하우징의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지그로써; 하강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구비된 로킹부분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면은, 그 상부에서 연속되는 몸체면이 메인하우징의 걸림부분의 내측면에 접촉할 때 걸림돌기와 걸림후크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main housing is fastened to the locking hook of the lower housing, as a jig for disassembly of the housing having a locking portion to maintain a coupled state; By lowering, the locking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 body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 spread out the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side; The inclined surface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engag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hook when the body surface continuous at the upper portion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main housing.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andle formed for the user's grip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로킹부를 통하여 로킹된 상태의 하우징을, 메인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disassemble the housing in the locked state through the locking portion into the main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지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의 분해시 메인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 등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In addition, by using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main housing or lower housing when disassembling the housing.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분해용 지그(10)가 하우징(20)을 분해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하우징(20)은, 메인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을 포함하고 있으며, 편의상 상기 메인하우징(22)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하우징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1 exemplari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assembling ji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assembles the housing 20. The housing 20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cludes a main housing 22 and a lower housing 24. For convenience, an illust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housing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22 is omitted.

일반적으로 하우징(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22) 및 하부하우징(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메인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 그리고 상부하우징은 서로 로킹된 상태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하우징을 완성하게 되는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내부에 내장된 전기 부품의 보호 등의 목적을 위하여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In general, the housing 20 includes a main housing 22 and a lower housing 24 as shown. In addition, the main housing 22, the lower housing 24, and the upper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locked state to complete the overall housing, and the housing is solidly secured for the purpose of substantially protect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embedded therein. It must remain coupled.

상기 메인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은, 도 1에 도시된 로킹부(L)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부(L)의 구성은,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22)의 일측에서 돌 출성형된 로킹부분(22a)에는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걸림돌기(2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24)의 일측에 형성되는 로킹부분(24a)에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걸림후크(24b)가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ocking portion L shown in FIG. 1 to maintain a firm coupling stat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L),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locking projection 22b extending inward to the locking portion 22a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main housing 22 ) Is formed. A locking hook 24b extending toward the outer side is formed at the locking portion 24a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housing 24.

따라서 상기 메인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이 결합되면, 상기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a)이 하부하우징(24)의 로킹부분(24a)의 외측면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 걸림돌기(22b)가 걸림후크(24b)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로킹된다. 이 때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a)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2b)와 걸림후크(24b)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걸림후크(24b)의 외측상면에는 경사면(24c)을 형성하고, 걸림돌기(22b)의 하측에도 대응하는 경사면(22c)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22b)와 걸림후크(24b)의 체결시, 상기 양측의 경사면(22c,24c)이 서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b)이 원활하게 외측으로 탄성변형하고, 이어서 상기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가 서로 탄성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Accordingly, when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are coupled, the lock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22 descend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24a of the lower housing 24. Both of the locking protrusion 22b is locked by being elastically fastened to the locking hook 24b.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lock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22 is elastically open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ly engage the engaging protrusion 22b and the engaging hook 24b, an inclined surface 24c is forme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hook 24b, and the inclined surface 22c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engaging protrusion 22b. ). Therefore,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22b and the engaging hook 24b are engaged, the inclined surfaces 22c and 24c on both sides contact each other, so that the locking part 22b of the main housing 22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outside smoothly. Then, the locking hook 24b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b ar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fasten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2b)와 걸림후크(24b)가 서로 체결되면, 실질적으로 메인하우징(22)와 하부하우징(24)의 결합이 완료되며 양자는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킹부(L)은 실질적으로 메인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 사이에 복수개가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When the locking protrusion 22b and the locking hook 24b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is substantially completed, and both of them maintain a secure fastening state.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generally configured between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다음에는 상기 로킹부(L)를 용이하게 분해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지그(1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ji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asily disassembling the locking part L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은 로킹상태를 분해 또는 해체하기 위해서는, 도 3을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a)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야 한다. 즉 메인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을 서로 체결하는 로킹부(L)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로킹부분(22a)이 외측으로 벌어져야, 상기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의 결합관계가 해제되어, 메인하우징(22)에서 하부하우징(24)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disassemble or disassemble the locked state as described above,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3, the lock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22 should be elastically deformed to the outside. That is, among the locking parts L for fastening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to each other, the locking part 22a located at the outside should be open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locking hook 24b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b are opened. Is released, the lower housing 24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housing 22.

이러한 로킹상태의 해제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지그(10)는 로킹상태의 해제를 위한 해제단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해제단부(16)는 실질적으로 지그(10)의 몸체(14)(도 1 참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그(10)의 몸체(14)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다. In order to release the locked state, as shown in FIG. 3, the ji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end 16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The release end 16 is substanti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4 (see FIG. 1) of the jig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4 of the jig 10 is formed with a handle 12 to facilitate the user's grip.

즉, 본 고안의 지그(1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12)와, 상기 손잡이(12)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몸체(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14)의 단부에는 하우징의 로킹상태의 해제를 위한 해제단부(16)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the ji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ndle 12 for the user's grip and a body 1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12, the end of the body 14 of the housing It can be seen that the release end 16 is provided for the release of the locked state.

다음에는 본 고안의 해제단부(16)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해제단부(16)는, 경사면(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18)은, 사용시 외측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a)을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기 위한 거이다. Next, a look at the release end 16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release end 16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clined surface 18. The inclined surface 18 is intended to substantially open the lock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22 outward by facing outward in use.

상기 해제단부(16)의 경사면(18)은 테이퍼면과 같이 거의 직선으로 형성되는 면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되 어느 정도의 곡 률을 가지는 곡률면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8)의 경사도는, 몸체(14)의 하단부(19)가 상기 하부하우징(24)의 걸림후크(24b)의 상면(24d)에 거의 접촉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로킹부분(22a)를 충분히 외측으로 벌려서, 상기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와의 결합관계가 해제될 수 있는 정도의 경사면을 가져야 한다. The inclined surface 18 of the release end 16 may be formed into a surface tha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such as a tapered surface, or may be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as a whole but having a certain curvature. Do. Here,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8 is substantially the locking portion 22a when the lower end 19 of the body 14 is almos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4d of the locking hook 24b of the lower housing 24. ) Should be wide enough to have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hook hook 24b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b can be released.

또는 상기 경사면(18)의 상부에서 연속되는 몸체면(17)이, 로킹부분(22a)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면[도 3의 (c)단계],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와의 로킹관계가 해제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경사면(18)의 경사도를 설정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f the body surface 17 continuou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22a (step (c) of FIG. 3), the hooking hook 24b and the hooking protrusion 22b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8 to such an extent that the locking relationship with () can be released.

상기 경사면(18)의 조건을 정리하면, 하단부(19)가 걸림후크(24b)의 상면(24d)에 적어도 접촉하기 전에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거나, 몸체면(17)이 걸림부(22a)의 내측면에 접촉하면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When the conditions of the inclined surface 18 are summarized,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hook hook 24b and the hooking protrusion 22b may be released before the lower end portion 19 at least contacts the upper surface 24d of the hook hook 24b. If the body surface 17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22a, the body surface 17 should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hook 24b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b.

다음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지그(10)의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use of the ji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상기 메인하우징(22)과 하부하우징(24)의 관계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킹부(L)의 로킹상태, 즉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와의 결합관계가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지그(1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로킹부(L)에 접근시킨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a)가 통상 외측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24)의 로킹부분(24a)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을 구성하는 것이 방수 및 조립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일반적인데, 만일 하부하우징(24)의 로킹부분(24a)가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a) 보다 외측에 위치한다면, 상기 지그(10)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로킹부(L)로 접근시켜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In order to rele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L, that i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hook 24b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b should be released. To this end, the ji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pproaches the locking portion L from above to below as shown in FIG. 1. In general,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configure the housing such that the lock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22 is generally located at the outer side, and the locking portion 24a of the lower housing 24 is located at the inner side. If the locking portion 24a of the lower housing 24 is located outside the lock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22, the jig 10 approaches the locking portion L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t is natural to have to.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10)가 로킹부(L)로 접근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0) 몸체(14)의 경사면(18)이 상기 메인하우징(22)의 로킹부분(22a)와 먼저 접촉하게 된다[도 3의 (a)부분 참고].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지그(10)를 하방으로 눌러내림에 따라서, 상기 경사면(18)은 로킹부분(22a)를 더욱 외측으로 벌어지게 할 것이고, 이러한 상태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jig 10 approaches the locking part L, as shown in FIG. 3, the inclined surface 18 of the body 14 of the jig 1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ortion 22a of 22) (see part (a) of FIG. 3). And as the user pushes down the jig 10 downward, the inclined surface 18 will further open the locking portion 22a outward, which is shown in FIG. 3 (b).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0)의 하단부(19)가 걸림후크(24b)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거나, 지그(10)의 몸체면(17)이 메인하우징(22)의 걸림부분(22a)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부분(22a)는 완전히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걸림돌기(22b)와 걸림후크(24b)의 로킹상태가 해제된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이는 도 3의 (c)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nd as shown in (c) of Figure 3, the lower end 19 of the jig 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hook 24b, or the body surface 17 of the jig 10 is the main housing (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2a of 22 is contacted, the locking portion 22a is substantially completely outward. And this state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projection 22b and the locking hook 24b, which can be seen in Figure 3 (c).

이와 같이 걸림후크(24b)와 걸림돌기(22b)의 결합상태(로킹상태)가 해제되면, 실질적으로 메인하우징(22)와 하부하우징(24)는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메인하우징(22)와 하부하우징(24)를 서로 분리하여 하우징 내부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engagement stat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hook 24b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b is released,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are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main housing 22 and the lower housing 24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erform the necessary work inside the hous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면을 가지는 몸체를 구 비하여, 상기 경사면이 메인하우징(22)의 걸림부분(22a)을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걸림돌기(22b)와 걸림후크(24b)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elastically deforms the engag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22 to the outside, the engaging projection 22b and the hook hook 24b You can see that the basic theme is to be configured to release the combined state of th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메인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구조적 관계가 서로 반대인 경우에도 본 고안의 지그(10)를 이용하면 메인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로킹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을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even w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s opposite to each other, the locking state of the main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may be easily released by using the ji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그를 사용하는 하우징을 분해하는 것을 보인 예시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disassembling the housing using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그와 하우징의 요부를 보인 요부 예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jig and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그에 의하여 하우징이 분해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 단면도. Figure 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that the housing is disassembled by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메인하우징의 걸림돌기가 하부하우징의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L)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지그로써;As the jig for disassembling the housing having a locking portion (L)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by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main housing is fastened to the locking hook of the lower housing; 하강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구비된 로킹부분(22a)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18)을 구비하는 몸체(14)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면은, 몸체(14)의 하단부(19)가 걸림후크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는 걸림돌기와 걸림후크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분해용 지그. By lowering, provided with a body (14) having an inclined surface (18) to open the locking portion (22a)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 The inclined surface, the housing disassembly ji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lease the engag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hook until the lower end (19) of the body 14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메인하우징의 걸림돌기가 하부하우징의 걸림후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L)를 구비하는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지그로써;As the jig for disassembling the housing having a locking portion (L)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by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main housing is fastened to the locking hook of the lower housing; 하강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내측에 구비된 로킹부분(22a)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18)을 구비하는 몸체(14)를 구비하되; 상기 경사면은, 그 상부에서 연속되는 몸체면(17)이 메인하우징의 걸림부분(22a)의 내측면에 접촉할 때 걸림돌기와 걸림후크의 결합관계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분해용 지그. By lowering, provided with a body (14) having an inclined surface (18) to open the locking portion (22a)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 The inclined surface is disassembled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surface 17 continuous in the upper portion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engag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hook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2a of the main housing is contacted. Dragon ji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 분해용 지그. The housing disassembly jig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handl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for holding the user.
KR2020070021128U 2007-12-31 2007-12-31 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KR2009000680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28U KR20090006800U (en) 2007-12-31 2007-12-31 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28U KR20090006800U (en) 2007-12-31 2007-12-31 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800U true KR20090006800U (en) 2009-07-03

Family

ID=4133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128U KR20090006800U (en) 2007-12-31 2007-12-31 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800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9521A (en) * 2017-08-22 2018-02-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ixed structure of male end plug-in jacket and female end plug-in jacket
WO2022071711A1 (en)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휴맥스 Electronic device, and disassembling device for disassembl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9521A (en) * 2017-08-22 2018-02-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ixed structure of male end plug-in jacket and female end plug-in jacket
WO2022071711A1 (en)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휴맥스 Electronic device, and disassembling device for disassembl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508U (en) Multidirectional outlet with cover
US20080041746A1 (en) Toolbox
JPH10176738A (en) Cable drag chain
US7407402B2 (en) Detaching apparatus for connector
KR20090006800U (en) Jig for disassembling housing
KR20120131882A (en) Shackle easily combinable and disassemble
KR101059518B1 (en) Pipe closure fastener
WO2007072631A1 (en) Reinforcing-bar connector
JP2004204926A (en) Joint structure
CN106919265B (en) External keyboard device
JP3175277U (en) Furniture connecting member
EP2219349A3 (en) Cas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KR200424302Y1 (en) Battery cover combination structure
JP2006012861A (en) Repair implement for lock lever destruction of lan connector
JP2008270060A (en) Controller with plug falloff prevention structure
TWI688456B (en) Toolbox hanger
CN217751065U (en) Connector disassembling pliers
JP2007301367A (en) Release buckle
KR200472303Y1 (en) Lever for connector
JP3130022U (en) Bicycle folding device
KR200447088Y1 (en) Lamp holder
KR20100002921A (en) Connector housing
JP2006342615A (en) Scaffold forming unit and scaffold forming tool
KR20080003662U (en) A contracting band
KR19990021014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