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460A -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460A
KR20090006460A KR1020070069823A KR20070069823A KR20090006460A KR 20090006460 A KR20090006460 A KR 20090006460A KR 1020070069823 A KR1020070069823 A KR 1020070069823A KR 20070069823 A KR20070069823 A KR 20070069823A KR 20090006460 A KR20090006460 A KR 20090006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touch unit
input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근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460A/en
Publication of KR2009000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input device for inputting one or more signals according to touch pressure is provided to input a first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of a touch key. A first touch(50) is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body by outside.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A second touch(60) is located under the first touch and non-conductive layer(70). If a user more suppresses the first touch, the first signal and the other signal are generated. One or mor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irst touch.

Description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a touch method.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ing,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and is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It is becoming.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one's personality,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현재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푸시 타입, 터치 타입 등이 사용되고 있고, 이 중 터치 타입은 단말기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고 디스플레이를 대형화하는 추세에 따라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Currently, a mobile terminal is used as a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push type and a touch type, and among these, the touch type has been increasing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increasing the design of the terminal and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본 발명은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a touch method.

또한, 본 발명은 터치하는 압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device that can input one or more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sure to touch.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그 표면을 터치하면 제1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터치부와, 제1터치부의 하측에 제1터치부와 비전도층을 두고 배치되어 제1터치부를 누르면 제1터치부와 접촉되고 제1터치부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제1신호와 다른 다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터치부로 구성되어 터치하는 압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 touch unit for generating a first signal when the surface is touched, and the first touch unit below the first touch unit And a non-conductive layer, and when the first touch part is pressed, the second touch part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touch part and to generate a plurality of signals different from the firs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irst touch part. There is a feature that can generate one or more signals.

상기 제2터치부의 하면에는 터치 키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A display unit displaying a touch key area may be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ouch unit.

상기 제1터치부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터치부는 저항압 방식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ouch uni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pad that generates a signal by a capacitive method, and the second touch unit may be configured by a touch pad that generates a signal by a resistive pressure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는 터치하는 압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를 구현하여, 터치 키를 터치하면 제1신호가 입력되고, 터치된 터치키를 누를 압력에 따라 제1신호와 다른 다수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터치키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mplements a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t least on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ure to be touched, and when the touch key is touched, the first signal is input and the pressure to press the touch key is touched. Accordingly, a plurality of signals different from the first signal may be input,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nd reducing the number of touch key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20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20.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 the audio output unit 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The first manipulation unit 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Like the first body 10, 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20.

제2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 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or 2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 specifically, on the front face of the front case 21.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manipulation unit 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and the interface 26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ors 16, 23, and 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or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operation unit 16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또한, 제3 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24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26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26 may be wired or wireless,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26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rear case 22 side, a power supply unit 27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27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 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22 of the second body 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see FIG. 1)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 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29 and the mirror 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flash 29 emit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The mirror unit 30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ing) by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하부 커버(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31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lower cover 22.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하부 커버(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3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cover 2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32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from the second body 20.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33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20 to the rear case 12 side of the first body 10 is disposed.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3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21 side of the second body 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하부 커버(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28 to 3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lower cover 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 mainly the lower cover 12.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lower cover 1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photography can be taken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28.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부(13)의 표면에 설치되어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에 적용된다. 하지만,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키패드 등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입력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3 and applied to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a touch method. However, the touch input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een but may be applied to any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touch method such as a touch keypad.

터치 입력장치는 단말기 바디(10)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터치하면 제1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터치부(50)와, 상기 제1터치부(50)와 비도전층(70)을 두고 위치되어 제1터치부(50)를 더 누르면 제1터치부(50)와 접촉되어 제1신호와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터치부(50)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2터치부(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ouch input device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10 to generate a first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touch part 50, the first touch part 50, and the non-conductive layer 70. When the first touch unit 50 is further pressed, the first touch unit 50 is contacted with the first touch unit 50 to generate a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signal, and one or more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irst touch unit 50 are pressed.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2nd touch part 60 etc.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이러한 터치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부(13)의 상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13)에서 표시되는 키 영역을 터치하면 정보가 입력된다. The touch input device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3 and touches a key reg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to input information.

상기 제1터치부(5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제1터치패드(52)와, 제1터치패드(52)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1터치패드(52)를 보호하는 제1보호필름(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touch unit 50 is attached to the first touch pad 52 to which information is input by a user's touch opera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ouch pad 52 to protect the first touch pad 52. It comprises a first protective film (54).

여기에서, 제1터치패드(52)는 정전용량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은 제1터치패드(52)의 표면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 즉, 손가락이 접촉되면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정전기를 인식해 터치된 부위에 해당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Here, the first touch pad 52 may be a capacitive type. In the capacitive method, when a part of a user's body, ie, a finger contacts a surface of the first touch pad 52, a static electricity flowing out of a finger is recognized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touched portion.

상기 보호필름(54)은 PET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54 may be a PET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상기 제2터치부(60)는 제1터치부(50)와 접촉되면 제1터치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터치패드(62)와, 제2터치패드(62)의 하면에 부착되어 제2터치패드(62)를 보호하는 보호필름(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When the second touch unit 6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ouch unit 50, the second touch pad 6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ouch unit 50 to generate a signal, and the second touch pad And a protective film 64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62 to protect the second touch pad 62.

여기에서, 상기 제2터치패드(62)는 저항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터치패드(60)를 제2터치패드(6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Here, the second touch pad 62 may be a resistive pressure method. The second touch pad 60 may generate one or more signal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touch pad 60.

상기 저항압 방식은 손이나 펜 등으로 터치패드를 누르면 터치패드가 눌러지면서 직접 접촉되어 전기회로에 흐르는 전압을 바꿔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In the resistive pressure method, when the touch pad is pressed by a hand or a pen, the touch pad is pressed while being directly contacted to change a voltage flowing in an electric circuit to generate a signal.

상기 비도전층(70)은 제1터치부(50)와 제2터치부(60)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채워져서 제1터치부(50)와 제2터치부(60) 사이가 절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비도전층(70)은 공간에 공기를 채워 넣는 방식과, 비전도성 액체를 채워넣는 방식, 비전도성 점성체를 채워넣는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non-conductive layer 70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60, and is filled in the space so that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60 are filled. Keep the insulation insulated. The non-conductive layer 70 may be one of a method of filling air into a space, a method of filling a non-conductive liquid, and a method of filling a non-conductive viscous body.

상기 비도전층(70)이 제1터치부(50)와 제2터치부(60)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채워 넣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제1터치부(50)와 제2터치부(6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리막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터치부(50)와 제2터치부(60) 사이의 공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높이를 갖는 분리박들이 설치되어 제1터치부(50) 와 제2터치부(6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When the non-conductive layer 70 uses a method of filling air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60, between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60. A plurality of separators may be installed to space the gaps. That is, separation foil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6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between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60. To maintain the spacing.

상기 비전도층(70)은 위의 방식 이외에 제1터치부(50)와 제2터치부(60) 사이를 절연시키고 제1터치부(50)를 누르면 제1터치부(50)와 제2터치부(60)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물질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non-conductive layer 70 insulates between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60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nd when the first touch unit 50 is pressed, the first touch unit 50 and the second touch unit 50 are pressed. Any material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unit 60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된 터치 입력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1터치패드(52)의 표면을 터치하면 정전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는 정전기가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터치된 부위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터치패드(52)가 터치된 부위의 정전기를 인식하여 그에 해당되는 제1신호를 발생시킨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first touch pad 52 mount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the static electricity flowing in the user's body in a capacitive manner is touched through the user's body. The first touch pad 52 recognizes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touched portion and generates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그리고, 사용자가 제1터치패드(52)를 터치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여 누르게 되면 제1터치패드(52)가 하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제1터치패드(52)가 제2터치패드(62)의 접촉된다. 그러면 제2터치패드(62)의 가압된 부위의 전압이 바꿔 그에 해당하는 제2신호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by applying pressure while touching the first touch pad 52, the first touch pad 52 is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and the first touch pad 52 is the second touch pad 62. Is in contact. Then, the voltage of the pressed portion of the second touch pad 62 is changed to generate a second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그리고, 제2터치패드(62)를 누르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signals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second touch pad 62.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의 표면을 터치하면 터치된 부위에 해당되는 제1신호가 입력되고,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장치의 표면을 누르게 되면 제1신호와는 다른 제2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터치 입력장치를 누르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가 입력 될 수 있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touch input device, a fir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art is input,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touch input device while touching the surface of the touch input device, A second signal different from the one signal is input. In addition, one or more signals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touch input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터치 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touch input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lide type illustrated in FIG. 1, but may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nd a swing type.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41)와,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42)와, 음향 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43)와,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44)와,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부(45)와,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5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 input unit 42 for inputting data or control information, and audio or video information. An output unit 43, a memory 44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programs or data, a broadcast receiving unit 45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

무선 통신부(41)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에는 음성, 화상 및 데이터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Wireless communications may include voice, video and data communicatio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입력부(42)는 조작부(16,23,24), 영상 입력부(15,28), 음향 입력부(25) 및 센싱부 등을 포함한다. The input unit 42 includes an operation unit 16, 23, 24, an image input unit 15, 28, a sound input unit 25, a sensing unit, or the like.

조작부(16,23,2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를 제어부(40)에 인가한다. The operation units 16, 23, and 24 generate signal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apply the signals to the control unit 40.

영상 입력부(15,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 등에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40)에 인가된다. The image input unit 15 or 28 capture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and the captured image data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40.

음향 입력부(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시켜서 그 신호를 제어부(40)에 인가한다.The sound input unit 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40.

센싱부는 단말기의 개폐 상태 또는 단말기 위치 또는 인체 접촉 여부 등과 같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40)에 인가한다. The sensing unit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terminal, a terminal position, or whether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applie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40.

출력부(43)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31), 진동부, 광발생부 등을 포함한다. The output unit 43 includes a display unit 13,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a vibration unit, a light generation unit,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3)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의 각종 상태정보 및 기능 수행 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The display 13 displays an image output when various status information of a terminal and a function ar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음향 출력부(14,31)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에서 수신된 음향신호 또는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각종 기능들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The sound output units 14 and 31 output sound signals received from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or sound signals related to various functions performed in the terminal.

진동부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광발생부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발광되어 조명용으로 사용되거나 인디케이터로 사용된다. The vibrator serves to vibrate the terminal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and the light generating unit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 and is used for lighting or as an indicator.

메모리(44)는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방송 수신과 인터넷 접속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프로그램 또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44)는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을 포함한다.The memory 44 may store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or a user interface (UI) program for receiving a broadcast and accessing the Internet, or input / output data. This memory 44 includes a hard disk,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부(45)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방송 수신부(45)는 방송에 관련된 부가정보(예 :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채널 리스트, 타임 테이블 등)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er 4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er 45 may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a channel list, a time table, etc.) or URL information.

인터페이스(26)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단말기로 전달하거나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The interface 26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terminal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or transmits a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전원 공급부(27)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7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80)에 표시되는 터치 키들(81) 중 "1/A" 키를 터치하면 제1터치패드(52)에서 터치된 터치 키 영역에 해당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는 제어부로 입력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80)에 "1"이 표시된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A, when the “1 / A” key of the touch keys 8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0 is touched, the touch key area touched by the first touch pad 52 corresponds to the touch key area. A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And "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0.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A" 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누르면 제1터치패드(52)가 눌려지면서 제2터치패드(62)와 접촉되어 제2터치패드(62)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는 제어부로 입력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80)에 "A"가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6B, when the "1 / A" key is touched and pressed, the first touch pad 52 is pressed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touch pad 62 so that the second touch pad 62 is touched. A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Then, "A"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0.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치 입력장치의 다른 적용예로,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80)에 표시되는 다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터치하면 제1터치패드(52)에서 터치된 영역에 해당하는 아이콘(84)이 선택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아이콘(84)을 터치한 상태에서 누르는 압력을 점차적으로 세게 하면 제2터치패드(62)에 가해지는 압력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아이콘(84)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커지게 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A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touch input device, first, when one of a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0 is touched as illustrated in FIG. 7A,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area of the first touch pad 52 ( 84) is selected. As shown in FIG. 7B, when the pressure applied while the selected icon 84 is touched is gradually increase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touch pad 62 is gradually increas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icon 84. A signal that gradually increases is input.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80)에 표시되는 다수의 사진들을 터치하여 드레그(drag) 하다가 어느 한 사진(82)을 터치하면 제1터치패드(52)에서 터치된 영역에 해당하는 사진(82)이 확대되면서 터치 스크린(80)에 표시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8A, when a plurality of picture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0 are dragged and dragged, any one of the pictures 82 is touched on the touched area of the first touch pad 52. The corresponding picture 82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80.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사진(82)을 터치한 상태에서 누르는 압력을 점차적으로 세게 하면 선택된 사진의 점차적으로 확대될 수 있고, 다시 누르는 압력을 점차적으로 작게 하면 사진이 점차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B, if the pressure to be pressed while the selected picture 82 is touched gradually is increased, the selected picture may be gradually enlarged, and if the pressure to be pressed again is gradually reduced, the picture is gradually reduced. Can be.

다른 예로 카메라 촬영시 셔터 키를 터치하면 초점 맞춤 기능이 수행되고, 셔터 키를 설정압 이상으로 누르면 사진촬영 기능이 수행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camera is photographed, the focus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ouching the shutter key, and the photographing function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shutter key above the set pressure.

이러한 기능 이외에 하나의 터치 키를 사용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기능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se functions, it is possible to apply to any function that can generate at least two signals using one touch ke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 여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It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by the one who h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작동 상태도.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 입력장치의 또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still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그 표면을 터치하면 제1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터치부와; A first touch unit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generating a first signal when the surface is touched; 상기 제1터치부의 하측에 제1터치부와 비전도층을 두고 배치되어 제1터치부를 누르면 제1터치부와 접촉되고, 제1터치부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제1신호와 다른 다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The first touch unit and the non-conductive layer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touch unit, and when the first touch unit is pressed, the first touch unit contacts the first touch unit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signals different from the firs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irst touch unit.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second touch unit to mak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터치부의 하면에는 터치 키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장치.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a touch key area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ouch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터치부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장치. The first touch unit is a touch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uch pad for generating a signal by the capacitive metho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터치패드의 전면에는 터치패드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장치. The touch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touch pad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touch pa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터치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장치.The first touch unit is a touch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터치부는 저항압 방식에 의해 제2터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다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장치. The second touch unit is a touch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d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touch unit by the resistive pressur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전도층은 제1터치부와 제2터치부 사이의 공간에 공기 또는 비전도성 액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장치. The non-conductive layer is a touch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ouch portion and the second touch portion is filled with air or non-conductive liquid. 단말기 바디와;A 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 바디에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그 표면을 터치하면 제1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터치부와; A first touch part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generating a first signal when the surface thereof is touched; 상기 제1터치부의 하측에 제1터치부와 비전도층을 두고 배치되어 제1터치부를 누르면 제1터치부와 접촉되고, 제1터치부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제1신호와 다른 다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The first touch unit and the non-conductive layer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touch unit, and when the first touch unit is pressed, the first touch unit contacts the first touch unit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signals different from the firs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irst touch unit.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touch unit to mak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2터치부의 하면에는 터치 키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ouch key area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ouch unit.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터치부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first touch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uch pad for generating a signal by a capacitive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터치패드의 전면에는 터치패드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front of the touch pad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touch pad is mounted.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터치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irst touch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2터치부는 저항압 방식에 의해 제2터치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다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second touch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d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touch unit by the resistive pressure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비전도층은 제1터치부와 제2터치부 사이의 공간에 공기 또는 비전도성 액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non-conductive lay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ouch portion and the second touch portion is filled with air or non-conductive liquid.
KR1020070069823A 2007-07-11 2007-07-11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064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23A KR20090006460A (en) 2007-07-11 2007-07-11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23A KR20090006460A (en) 2007-07-11 2007-07-11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60A true KR20090006460A (en) 2009-01-15

Family

ID=4048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823A KR20090006460A (en) 2007-07-11 2007-07-11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46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206A1 (en) * 2009-04-01 2010-10-07 주식회사 애트랩 Touch sensor device
KR20110026817A (en) * 2009-09-08 201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403300B1 (en) * 2009-02-02 2014-06-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touch screen pannel using Portable Device and touch screen
WO2016204568A1 (en) * 2015-06-18 2016-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having input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300B1 (en) * 2009-02-02 2014-06-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touch screen pannel using Portable Device and touch screen
WO2010114206A1 (en) * 2009-04-01 2010-10-07 주식회사 애트랩 Touch sensor device
KR101035967B1 (en) * 2009-04-01 2011-05-23 주식회사 애트랩 Touch sensor device
CN102369502A (en) * 2009-04-01 2012-03-07 艾勒博科技股份有限公司 Touch sensor device
KR20110026817A (en) * 2009-09-08 201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16204568A1 (en) * 2015-06-18 2016-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having inpu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674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85392B1 (en) Portable terminal
EP3930298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US20190196589A1 (en) Mobile terminal
US10372171B2 (en) Keyboard and terminal system comprising same
US8704647B2 (en) Haptic feedback case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17012629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298726A1 (en) Display device for smart phone
US20210278942A1 (en) Mobile terminal,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KR20130025979A (en) Portable terminal with optical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KR20160143029A (en) Mobile terminal
KR20090127633A (en) Portable terminal
CN112369005B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9762714B2 (en) Mobile terminal
EP3731508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bile terminal
US20220291829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KR20090006460A (en) Touch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22735B1 (en) Portable terminal
CN209015125U (en) A kind of touching display screen keyboard
KR102053198B1 (en) Mobile terminal
KR102053197B1 (en) Mobile terminal
KR101409872B1 (en) Portable terminal
KR102076510B1 (en) Mobile terminal
KR20110021477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34659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