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029A -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029A
KR20090006029A KR1020080103151A KR20080103151A KR20090006029A KR 20090006029 A KR20090006029 A KR 20090006029A KR 1020080103151 A KR1020080103151 A KR 1020080103151A KR 20080103151 A KR20080103151 A KR 20080103151A KR 20090006029 A KR20090006029 A KR 2009000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lide member
cover plate
slid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7720B1 (en
Inventor
김성빈
하종원
Original Assignee
(주)애니캐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캐스팅 filed Critical (주)애니캐스팅
Priority to KR102008010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720B1/en
Publication of KR2009000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7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Abstract

A slide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reduce the whol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and guarantee the whole reli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slide member is fixed to a lower-side main body, and has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second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upper-side main body, and is slidably combined with the first slide member. A long hole and a connection pin are formed to combine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The torsion assembly(60) is comprised of the first spring(61), the second spring(62), a combining member(63), a separating plate(64).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The combining member couple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with the other ends of the second coil. The separating plate is formed with a board of a ring shape in which the center is open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asy to assemble and excellent in durability.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중에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기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플립방식, 폴더방식 및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2개의 슬라이드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각 슬라이드 파트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버튼이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01)가 마련된 상부본체(100)와 키버튼(111)이 마련된 하부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본체(110)는 상부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슬라이드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the terminal and communicate while moving.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ay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a flip method, a folder method, and a slide method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or operation method. Among them,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wo slide parts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a display unit and a key button face the same direction in each slide part, and are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n upper body 100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101 and a lower main body provided with a key button 111. The lower body 1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100 can be moved by a slide device.

상기 슬라이드장치는, 상기 상부본체(100)에는 디스플레이부(101)가 마련되 어 있으며, 상기 하부본체(110)는 상기 상부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키버튼(111)이 마련된다.The slide device, the uppe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01, the lower body 110 is disposed below the upper body 100 and the key button 111 is provided.

상기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110)는 슬라이드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슬라이드장치에 의하여 상기 상부본체(100)가 하부본체(110)에 대하여 직선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110 are fastened in a slide manner by a slide device, and the upper main body 100 can slide in a lin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main body 110 by the slide device.

이러한 슬라이드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10)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부재(130)와, 상기 상부본체(1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3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부재(140)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140)가 제1슬라이드부재(13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140)에 토션을 제공하는 토션조립체(150)로 구성된다. 상기 토션조립체(150)는 한 쌍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각 스프링은 원형으로 권선되는 코일(151)과 코일(15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연장부(152)가 마련된다. 각 연장부(152)의 끝단은 슬라이드부재(130) 및 제2슬라이드부재(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the slide device includes a first slide member 130 fixed to the lower main body 110 and a slide movement to the first slide member 130 fixed to the upper main body 100. A torsion assembly for providing a torsion to the second slide member 14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140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140 sl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e member 130. 150). The torsion assembly 150 is composed of a pair of springs, and each spring is provided with a coil 151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extensions 152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il 151. The ends of each extension part 152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 member 13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140.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슬라이드장치의 동작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슬라이드부재(140)가 상승함에 따라 각각의 스프링의 연장부(152)들사이의 간격은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되어 제2슬라이드부재(140)에 제공되는 토션이 증가된다. 제2슬라이드부재(140)가 전체 상승높이의 중간지점에 이르게 되며, 연장부들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면서 제2슬라이드부재(140)에 제공되는 토션이 최대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부재(140)를 조금만 상측으로 이동시켜도 상기 토션조립체(150)에 의하여 제공되는 토션(연장부들 사이의 간격을 넓히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140)는 별다른 외력 없이도 최대한 이동할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3 and 4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slide device of FIG. 2, and as the second slide member 140 rises, the interval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s 152 of each spring gradually decreases to form the second slide member 140. The torsion provided to the slide member 140 is increased. The second slide member 140 reaches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overall rising height, and the torsion provid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140 is maximized while the gap between the extension parts is minimized. Even if the second slide member 140 is moved upward slightly in this state, the second slide member 140 is provided by the torsion provided by the torsion assembly 150 (a force to widen the gap between the extension parts). It will rise to the height that can move as much as possible without any external force.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is conventional slide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술한 슬라이드 장치에서는 한 쌍의 스프링을 제1슬라이드부재와 제2슬라이드부재 사이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전체적인 조립시간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조립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면, 토션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slide device, a pair of springs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which increases the overall assembly time. At this time, if one spring is used to reduce the assembly time, the torsional force is weakened, and thus the smooth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또한, 한 쌍의 스프링은 서로 대칭관계를 갖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동시에도 상호 대칭관계를 갖지 않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 각각에 동일한 토션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각각의 토션 스프링에 동일한 내구성이 확보되지 못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pair of springs not only have symmetry with each other, but also have no symmetry with each other in operation, so that the same torsion does not act on each of the torsion spring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wered because the same durability is not secured in each torsion spring.

또한, 한 쌍의 스프링이 마련됨에 따라 제1슬라이드부재 및 제2슬라이드부재의 폭이 적어도 25mm 정도가 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전체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를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dth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should be at least about 25 mm as a pair of springs are provided. This becomes a factor that hinders the slimming of the over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조립이 간편하면서 전체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to assemble an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provide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over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o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부본체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부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토션을 제공하는 토션조립체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조립체는, 원형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 및 그 제1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 원형으로 권선되며 상기 제1코일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제2코일 및 그 제2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의 타단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된다.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lide is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es on the first slide member.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torsion assembly configured to provide a torsion to the second slide member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slides relative to the first slide member. The torsion assembly includes a first coil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oil,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nd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 first spring coupl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A second coil that is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coil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il,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 second spring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은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코일에서 제2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는 제1덮개판; 상기 제1덮개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지지돌기; 상기 제2코일에서 제1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으며, 상기 제1덮개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덮개판; 및 상기 제2덮개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지지돌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upl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il is not laminated on the first coil;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 second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il is not laminated in the second coil,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cover plate;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상기 제1지지돌기에는 상기 제1코일의 타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돌기에는 상기 제2코일의 타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rst slot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Preferably, a slot is form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제1코일에서 제2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는 제1덮개판; 상기 제1덮개판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코일의 타단 및 제2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지지돌기; 상기 제2코일에서 제1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으며, 상기 제1덮개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덮개판;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upling member comprises: a first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il is not laminated on the first coil;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il covers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il is not laminated and is fitted to the first cover plate to be fix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상기 제1덮개판에는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덮개판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렸을 때 상기 제2덮개판이 제1덮개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cover plate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the second cover plate is provid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and when the second cover plate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is first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jaw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over plat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서, 상기 토션조립체에는,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판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orsion assembl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paration plate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to separate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from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는, 조립이 간편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is easy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에서 토션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토션조립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5의 토션조립체가 설치된 슬라이드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작동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rsion assembly in the sl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and FIG.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torsion assembly shown in FIG. 5, and FIG. 8. 5 is a plan view of the slide device in which the torsion assembly of FIG. 5 is installed, and FIGS. 9 and 10 are operation views of FIG. 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장치는 제1슬라이드부재(40), 제2슬라이드부재(50), 토션조립체(60)로 구성된다.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lide member 40, a second slide member 50, and a torsion assembly 60.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40)는 하부본체(1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진다.The first slide member 40 is fixed to the lower body 110, and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는 상부본체(100)에 고정되고, 제1슬라이드부재(4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와 제1슬라이 드부재(40)를 결합하기 위하여, 장공홀(51) 및 연결핀(52)이 마련된다. The second slide member 50 is fixed to the upper body 100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40. In order to couple the second slide member 50 and the first slide member 40, a long hole 51 and a connection pin 52 are provided.

상기 장공홀(51)은 제2슬라이드 부재의 모서리를 따라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멍으로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핀(52)은 일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40)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장공홀(51)을 관통하여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의 배면에 걸린다. 상기 연결핀(52)이 상기 장공홀(51)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는 제1슬라이드부재(4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The long hole 51 is a hole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slide member, and a pair i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52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4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in 52 penetrates the long hole 51 to be caught by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lide member 50. As the connecting pin 52 slides the long hole 51 relatively, the second slide member 50 may sl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e member 40.

상기 토션조립체(60)는 제1스프링(61), 제2스프링(62), 결합부재(63), 분리판(64)으로 구성된다.The torsion assembly 60 includes a first spring 61, a second spring 62, a coupling member 63, and a separation plate 64.

상기 제1스프링(61)은 제1슬라이드부재(40)와 제2슬라이드부재(50) 사이에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제1스프링(61)의 소선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제1스프링(61)은 제1코일(611)과 제1연장부(612)로 구성된다. The first spring 6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4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50, and the element wire of the first spring 61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a whole. The first spring 61 is composed of a first coil 611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612.

상기 제1코일(611)은 원형으로 권선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내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제1연장부(612)는 상기 제1코일(6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이다. 이러한 제1연장부(612)의 끝단은 제2슬라이드부재(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coil 611 is wound in a circular shape,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coil 611.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50.

상기 제2스프링(62)은 제1슬라이드부재(40)와 제2슬라이드부재(5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소선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제2스프링(62)은 제2코일(621)과 제2연장부(622)로 구성된다. The second spring 6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4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50, and the element wire of the spring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second spring 62 is composed of a second coil 621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622.

상기 제2코일(621)은 원형으로 권선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내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제2코일(621)은 상하방향으로 제1코일(611)에 적층되도록 위치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코일(611)의 하측에 배치되었다. 상기 제2연장부(622)는 상기 제2코일(6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끝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4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스프링(61)과 제2스프링(62)은 압연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il 621 is wound in a circular shape,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side. The second coil 621 is positioned to be stacked on the first coil 611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il 621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il 611. The second extension part 62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il 621, and an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40.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spring 62 is preferably used a rolling spring.

상기 결합부재(63)는 상기 제1코일(611)의 타단 및 제2코일(621)의 타단을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코일(611) 및 제2코일(621)의 타단을 결합하여 고정함에 따라 상기 제1코일(611) 및 제2코일(621)이 하나의 토션조립체(60)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부재(63)는 제1덮개판(631), 제1지지돌기(632), 제2덮개판(633) 및 제2지지돌기(634)로 구성된다.The coupling member 6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61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621,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611 and the second coil 621 to be fixed. As a result, the first coil 611 and the second coil 621 may operate as one torsion assembly 60. The coupling member 63 includes a first cover plate 631, a first support protrusion 632, a second cover plate 633,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634.

상기 제1덮개판(631)은 제1코일(611)에서 제2코일(621)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는 것으로서, 상기 제1덮개판(631)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절곡된 절곡면(631a)이 마련되고, 상기 절곡면(631a)에는 패여진 걸림홈(631b)이 마련된다.The first cover plate 631 covers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il 621 is not stacked in the first coil 611, and a bent surface bent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631a is provided, and a recessed groove 631b is provided in the bent surface 631a.

상기 제1지지돌기(632)는 상기 제1덮개판(631)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코일(611)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 제1지지돌기(632)에서 상기 제1코일(611)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1슬롯(632a)이 형성된다.The first support protrusion 632 protrude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611. A first slot 632a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632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coil 611.

상기 제2덮개판(633)은 제2코일(621)에서 제1코일(611)이 적층되지 않는 개방면을 덮는 것으로서, 그 제2덮개판(633)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절곡된 절곡면(633a)이 마련된다. 상기 절곡면(633a)에는 상기 걸림홈(63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절곡면(633a)로부터 돌출된 걸림턱(633b)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633b) 이 상기 걸림홈(631a)에 끼워걸림에 따라 상기 제2덮개판(633)이 제1덮개판(631)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걸림턱(633b)이 걸림홈(631b)으로부터 걸림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덮개판(633)의 제1덮개판(631)에 대한 위치고정은 해제된다.The second cover plate 633 covers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il 611 is not laminated on the second coil 621, and a bent surface ben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633a is provided. The bending surface 633a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633b protruding from the bending surface 633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631b. The second cover plate 633 is fixed to the first cover plate 631 as the locking jaw 633b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631a. On the other hand, as the locking step 633b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631b, the position fixing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is released.

상기 제2지지돌기(634)는 상기 제2덮개판(633)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코일(621)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 제2지지돌기(634)에서 상기 제2코일(621)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2슬롯(634a)이 형성된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634 protrudes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621. A second slot 634a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634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coil 621.

상기 분리판(64)은 중앙이 개구된 고리형상의 판으로서, 적층된 제1코일(611)과 제2코일(621)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원형판의 바깥지름은 상기 제1코일(611) 또는 제2코일(621)의 바깥지름과 거의 동일한 정도이다.The separating plate 64 is an annular plate having an open center, and is fitted between the stacked first coil 611 and the second coil 621. The outer diameter of the circular plate is about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il 611 or the second coil 621.

이러한 탄성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제1덮개판(631)과 제2덮개판(633) 사이에 제1스프링(61), 분리판(64), 제2스프링(62)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제1덮개판(631)과 제2덮개판을 고정한다. 이때, 제1덮개판(631)과 제2덮개판(633)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1덮개판(631)의 걸림홈(631b)을 제2덮개판(633)의 걸림턱(633b)에 끼워 걸리도록 한다.Such an elastic assembly may be assembled as follows. 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the first cover 61, the separating plate 64, and the second spring 62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the second cover plate 633. Secure the second cover plate. At this time, in order to fix 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the second cover plate 633, the locking groove 631b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step 633b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Take it.

한편, 제1스프링(61)은 그 제1스프링(61)의 제1코일(611)의 타단이 제1덮개판(631)의 제1지지돌기(632)의 제1슬롯(63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제2스프링(62)은 제2스프링(62)의 제2코일(621)의 타단이 제2덮개판(633)의 제2지지돌기(634)의 제2슬롯(634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1스프링(61)과 제2스프링(62) 사이에는 분리판(64)을 끼워넣는다. 이와 같이 분리판(64)을 끼워넣는 이유는 상기 제1코일(611)과 제2코일(621)이 감기거나 풀릴때 서로 간섭을 하지 않 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조립체(60)의 조립은 별도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립라인과는 별도의 스프링 제작공정에서 별도로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611 of the first spring 61 is fitted to the first slot 632a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632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To be combined. In addition, the second spring 62 is coupled by fitt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621 of the second spring 62 to the second slot 634a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634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The separation plate 64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spring 62. The reason for inserting the separator 64 as described above is to prevent the first coil 611 and the second coil 621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y are wound or unwound.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y of the torsion assembly 60 is made separately in a separate spring production process from the assembly line of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도 8에서 토션조립체(60)는 제1슬라이드부재(40)와 제2슬라이드부재(5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4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연장부(612)와 제2연장부(622)사이의 간격은 점차적으로 좁아지면서 제2슬라이드부재(50)에 증가된 토션을 제공하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드부재(50)가 이동거리의 절반을 이동하게 되면, 제1연장부(612)와 제2연장부(622)의 간격은 최대한으로 좁아지게 되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에 최대한의 토션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일측으로 제2슬라이드부재(50)를 약간만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연장부(612)와 제2연장부(622)의 간격을 넓히려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는 외력이 없이도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에는 제2슬라이드부재(50)가 일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50)를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술한 작용과 동일한 작용이 반복된다.In FIG. 8, the torsion assembly 60 is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4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50. As the second slide member 50 moves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e member 40,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622 is gradually narrowed and the second slide is reduced. It will provide increased torsion to the member 50. As shown in FIG. 9,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50 moves half of the moving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622 becomes narrow as much as possible. The two slide members 50 provide the maximum torsion. In this state, if the second slide member 50 is slightly moved to one side, the second slide member 50 is caused by a force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622. Will move to one side without external force. 1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lide member 50 is moved to one side as much as possible. Meanwhile, even when the second slide member 50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the same operation as that described above is repeated.

이러한 본 실시예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slide device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는 제작이 간편하다. 즉, 종래의 슬라 이드 장치의 토션조립체는 한 쌍의 스프링을 각각 제1슬라이드부재 및 제2슬라이드부재에 결합하였기 때문에, 조립하는 데 비교적 시간이 많이 걸린다.First, the sl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asy to manufacture. That is, the conventional torsion assembly of the slide device is relatively time-consuming to assemble because a pair of springs are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respectively.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는 하나의 조립체만을 제1슬라이드부재 및 제2슬라이드부재에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이때 하나의 조립체내에 2개의 코일(제1코일 및 제2코)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토션의 감소는 없게 된다.On the contrary, in this embodiment, since only one assembly needs to be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the assembly time can be shortened. In particular, since two coils (first coil and second nose) are provided in one assembly, there is no reduction in the overall torsi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는 상하 적층된 한 쌍의 스프링에 동일한 토션이 작용하므로, 스프링에 동일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는 한 쌍의 스프링이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되지 않아 스프링 각각에 동일한 토션이 작용하지 못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는 상하적층된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에 동일한 토션이 작용한다.In addition, in the sl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ame torsion acts on a pair of springs stacked up and down, the same durability can be secured to the springs and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mproved. In the prior art, a pair of springs are not symmetrically instal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ame torsion cannot be applied to each spring. On the contrary, in this embodiment, the same torsion acts on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stacked up and dow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에서 스프링의 소선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슬라이드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element wire of the spring in the sl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shape can contribute to the slimming of the slide device.

소선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1.0mm 의 지름을 가지도록 제작을 해야 한다면, 사각단면의 경우에는 0.7mm 이하의 높이까지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사각단면의 경우에는 폭을 넓히고 높이를 줄이는 방식으로 토션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높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선의 단면을 원형 대신 높이가 낮은 사각단면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토션조립체(60)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f the cross section of the element wire is circular, it should be manufactured to have a diameter of 1.0 mm. In the case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ight to 0.7 mm or less. (In the case of the square section, the width can be reduced and the height can be reduc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orsion is kept intact.)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element wire is made into a low square section instead of a circular s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overall torsion assembly 6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는 스프링을 하나만 사용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작동을 위한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슬라이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이는 전체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슬라이드 장치에서는 스프링을 2개 마련하였고, 그 2개의 스프링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슬라이드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없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l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only one spring, the width for operating the spring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overall slide device can be miniaturized, which can lead to a slimm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contrary, in the conventional slide device, two springs are provided, and since the two springs need a space for operating at the same time, the slide device cannot be miniaturiz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s follows.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1코일(611)의 타단은 제1덮개판(631)에 마련된 제1지지돌기(632)에 결합되고, 제2코일(621)의 타단은 제2덮개판(633)에 마련된 제2지지돌기(634)에 결합되는 것을 구현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덮개판(631)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2덮개판(633)에 마련된 지지돌기(635)에 제1코일(611) 및 제2코일(621)의 타단이 함께 결합되는 제2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스프링(61) 및 제2스프링(62)은 제2덮개판(633)의 주위에 마련된 걸림편(633c)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2)가 제2덮개판(633)의 절곡면(633a) 한쪽 선단에 걸려서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제2스프링(62)의 제1연장부(622)가 제2덮개판(633)의 절곡면(633a) 다른쪽 선단에 걸려서 고정된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611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632 provided on 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621 is the second cover plate ( Although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634 provided on the 633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 11, the support protrusion 635 provided on the second cover plate 633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ver plate 631 is removed. ) Can be changed to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611 and the second coil 621 are coupled together.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spring 62 is fixed by the engaging piece 633c provided around the second cover plate 633.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612 of the first spring 61 is fixed to the one end of the bent surface 633a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whil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62 622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ent surface 633a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한편, 제3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링(61)과 제2스프링(62)이 결합수단인 제1,2덮개판(631,633)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3실시예는 제2덮개판(633)의 구조가 제2실시예와 유사한 구조 즉 제1코일(611) 및 제2코일(611)의 타단이 제2덮개판(633)에 마련된 지지돌기(635)에 함께 결합하는 구조 되어 있다. 다만, 제1덮개판(631)의 구조가 제1,2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2, the thir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spring 62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631 and 633 which are coupling means. The thir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is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supporting protrusions having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611 and the second coil 611 provided on the second cover plate 633. 635 is structured to join together.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상기 제1덮개판(631)은 일정 원호를 갖는 제1,2절곡면(631a,6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절곡면(631a,631a´)에 각각 복수의 걸림홈(631b,63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덮개판(631)은 중앙에 절개부(63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631c)의 선단에 1쌍의 절개편(631d)이 상기 제1덮개판(631)의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덮개판(631)이 제2덮개판(633)과 결합될 때, 상기 1쌍의 절개편(631d)은 상기 제2덮개판(633)의 중앙에 마련된 지지돌기(635)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돌기(635)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cover plate 631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and 631a 'having a predetermined arc,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and 631a'. 631b, 631b ') are formed. The first cover plate 631 has a cut portion 631c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air of cut pieces 631d at the tip of the cut portion 631c has an inner side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It is formed by bending. When the first cover plate 631 is coupled to the second cover plate 633, the pair of cut pieces 631d is adjacent to the support protrusion 635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Disposed so as to prevent the support protrusion 635 from being deformed.

여기서, 상기 제1절곡면(631a)은 상기 제2절곡면(631a´)과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절곡면(631a´)에 비하여 큰 원호를 갖도록 되어 있다. The first bent surface 631a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ent surface 631a ', and has a larger arc than the second bent surface 631a'.

상기 제2덮개판(633)은 상기 제1덮개판(631)의 제1,2절곡면(631a,631a´)에 각각 대응되는 제1,2절곡면(633a,63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절곡면(633a,633a´) 선단을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홈(631b,631b´)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편(633c,633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절곡면(633a)은 상기 제2절곡면(633a´)과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절곡면(633a´)에 비하여 큰 원호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덮개판(633)은 중앙에 상기 제1코일(611) 및 제2코일(611)의 타단이 함께 삽입되어 결합되는 지지돌기(6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돌기(635)에 이웃하게 절개부(633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돌기(635)는 상기 절개부(633d)를 형성할 때 절개편을 이용하여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cover plate 633 has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3a and 633a ′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and 631a ′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respectively. A plurality of locking pieces 633c and 633c ′ are formed to be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631b and 631b ′ along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3a and 633a ′, respectively. Here, the first bent surface 633a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ent surface 633a ', and has a larger arc than the second bent surface 633a'. 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late 633 has a support protrusion 635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611 and the second coil 611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protrusion 635. A cutout portion 633d is formed adjacent to (). Here, the support protrusion 635 is formed by using the cut pieces when forming the cut portion 633d.

상기 제1덮개판(631)과 제2덮개판(633)은 서로 맞물려 결합하되, 상기 제1덮개판(631)의 제1,2절곡면(631a,631a´)이 상기 제2덮개판(633)의 제1,2절곡면(631a,631a´)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덮개판(631)과 제2덮개판(633)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제1덮개판(631)의 제1,2절곡면(631a,631a´)에 형성된 걸림홈(631b,631b´)에, 상기 제2덮개판(633)의 제1,2절곡면(631a,631a´)에 형성된 걸림편(633c,633c´)을 끼워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the second cover plate 63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and 631a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633 is preferably coupled in a state accommod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631a '). Herein, when 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the second cover plate 63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and 631a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631b and 631b ', and engaging pieces 633c and 633c'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and 631a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are fitted.

상기 제2덮개판(633)의 제1절곡면(633a)은 그 선단부가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2)와 제2스프링(62)의 제2연장부(622)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로 이용된다.The first bent surface 633a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has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612 of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622 of the second spring 62. It is used as a stopper for positioning.

즉 도 13a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2)를 당겨서 상기 제2덮개판(633)의 제1절곡면(633a) 한쪽 선단에 걸어서 고정하는 한편, 상기 제2스프링(62)의 제2연장부(622)를 당겨서 상기 제1절곡면(633a)의 다른쪽 선단에 걸려서 고정함으로써, 도 13b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611)와 제2코일부(621)는 각각 압축되면서 제1연장부(612)와 제2연장부(622)가 위치결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부(611)와 제2코일부(621)는 각각 감겨진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That is, in the state of FIG. 13A,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of the first spring 61 is pulled to be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bent surface 633a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and the second spring is fixed. The first coil part 611 and the second coil part 621 are pulled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surface 633a by pulling the second extension part 622 of 62. Each of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622 is positioned while being compressed. Here, the first coil portion 611 and the second coil portion 621 are respectively compressed in the wound direc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토션조립체를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torsion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먼저, 제2덮개판(632)의 지지돌기(635)에 제1스프링(61)의 제1코일(611)의 타단을 결합하고, 상기 지지돌기(635)에 제2스프링(62)의 제2코일(621)의 타단을 결합한다. 이 때,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링(61)의 제1코일(611)은 제2덮개판(632)의 바닥면에 닿게 되고, 제2스프링(62)의 제2코일(621)는 상기 제1스프링(61)과 포개어지게 된다. 또한,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2)와 제2스프링(62)의 제2연장부(622)는 서로 교차되게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2스프링(62)을 제2덮개판(632)의 바닥에 배치하고 제2스프링(62) 위에 제1스프링(61)을 배치되게 하여도 무방하다.Firs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611 of the first spring 61 is coupled to the support protrusion 635 of the second cover plate 632, and the second spring 62 of the second spring 62 is coupled to the support protrusion 635. The other end of the two coils 621 are coupl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3A, the first coil 611 of the first spring 61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late 632, and the second coil of the second spring 62 ( 621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spring (61).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612 of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extension 622 of the second spring 62 are positioned to cross each other. Here, the second spring 62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cover plate 632 and the first spring 6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pring 62.

그 다음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2)를 당겨서 상기 제2덮개판(633)의 제1절곡면(633a) 한쪽 선단에 걸어서 고정하고, 상기 제2스프링(62)의 제2연장부(622)를 당겨서 상기 제1절곡면(633a)의 다른쪽 선단에 걸려서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제1코일부(611)와 제2코일부(621)는 각각 감겨진 방향으로 압축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3B, the first extension part 612 of the first spring 61 is pull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bent surface 633a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The second extension part 622 of the second spring 62 is pulled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surface 633a. At this time, the first coil portion 611 and the second coil portion 621 are respectively compressed in the wound direction.

마지막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덮개판(633)에 제1덮개판(631)을 맞물리게 결합한다. 즉 제1덮개판(631)의 제1,2절곡면(631a,631a´)에 형성된 걸림홈(631b,631b´)에, 상기 제2덮개판(633)의 제1,2절곡면(631a,631a´)에 형성된 걸림편(633c,633c´)을 끼워서 결합한다. 이 때, 1쌍의 절개편(631d)은 상기 제2덮개판(633)의 지지돌기(635)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돌기(635)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cover plate 631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ver plate 633 by engagement.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in the engaging grooves 631b and 631b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631a and 631a' of the first cover plate 631. And engagement pieces 633c and 633c´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631a '. In this case, the pair of cut pieces 631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upport protrusion 635 of the second cover plate 633 to prevent the support protrusion 635 from being deformed.

한편,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이외에도 제1코일의 타단과 제2코일의 타단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various things can be used as long as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한편, 제3실시예서 변형된 실시예로서 제4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the fourth to fifth embodiments are shown in FIGS. 15 to 17 a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third embodiment.

제4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 제2스프링(62)의 제2연장부(622)는 그 길이(l2)가 상기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1)의 길이(l1)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슬라이드부재(40)와 제2슬라이드부재(50) 사이에서 토션조립체(60)의 회전반경을 줄여서 주변부재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제2연장부(622)의 길이(l2)를 제1연장부(611)의 길이(l1) 보다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fourth embodiment has a second extension portion 622 of the second spring 62 having a length? 2 of the first spring 61 of the first spring 61.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 1 ) of the extension part 611. In this case, the rotation radius of the torsion assembly 60 may be reduc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4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50 to reduce interference with the peripheral member. Of course, the two may form a length (l 2) of the extension (622) longer than the length (l 1)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611.

제5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1)와 제2스프링(62)의 제2연장부(622)는 일정한 각도로 꺾여지는 절곡부(611a,62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6실시예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링(61)의 제1연장부(611)와 제2스프링(62)의 제2연장부(622)는 일정한 각도로 꺾여지는 2개의 절곡부(611a,611b,622a,622b)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fifth embodiment is a bent portion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611 of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622 of the second spring 62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611a and 622a are formed. In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first extension 611 of the first spring 61 and the second extension 622 of the second spring 62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wo bent portions 611a, 611b, 622a, and 622b are formed.

여기서, 상기 절곡부(611a,611b,622a,622b)는 제2연장부(611,622)가 제2덮개판(633)에 간섭되어 일어나는 크랙을 줄이면서 스프링 자체의 탄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Here, the bent parts 611a, 611b, 622a, and 622b serve to increase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itself while reducing cracks caused by the second extension parts 611 and 622 interfering with the second cover plate 633.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선이 사각형의 단면을 사용하는 것을 설시하였으나, 원형 기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element wire use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circular or other polygon.

이상에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have.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sl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동작도,3 and 4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에서 토션조립체의 분리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rsion assembly in the sl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I-VI of FIG. 5;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토션조립체의 결합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rsion assembly shown in FIG.

도 8 은 도 5의 토션조립체가 설치된 슬라이드 장치의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the slide device is installed the torsion assembly of FIG.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작동도,9 and 10 are the operation of Figure 8,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의 토션조립체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rsion assembly of the sl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장치에서 토션조립체의 분해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assembly in a slid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에 도시된 토션조립체를 가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13A and 13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rsion assembly shown in FIG. 12 is temporarily assembled;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토션조립체의 결합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torsion assembly shown in FIG. 12.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션조립체의 결합사시도이다.15 to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torsion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40...제1슬라이드부재40. First slide member

50...제2슬라이드부재 51...장공홀50 ... 2nd slide member 51 ... long hole

52...연결핀 60...토션조립체52 ... connection pin 60 ... torsion assembly

61...제1스프링 611...제1코일61 ... 1st spring 611 ... 1st coil

612...제1연장부 62...제2스프링612 ... Extension 1st 62 ... Second Spring

621...제2코일 622...제2연장부621 2nd coil 622 2nd extension

63...결합부재 631...제1덮개판63 ... coupling member 631 ... first cover plate

631a...절곡면 631b...걸림홈631a ... Bent surface 631b ...

632...제1지지돌기 632a...제1슬롯632 ... first support protrusion 632a ... first slot

633...제2덮개판 633a... 절곡면633 ... 2nd cover plate 633a ... bending surface

633b...걸림턱 634...제2지지돌기633b ... Jang Jaw 634.Secondary Supporting Projection

634a...제2슬롯 64...분리판634a ... slot 2 64 ... separator

100... 상부본체 101... 디스플레이부100 ... upper body 101 ... display

110... 하부본체 111... 키버튼 110 ... Lower body 111 ... Key button

Claims (17)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부본체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부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토션을 제공하는 토션조립체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A first slide member fixed to the low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slide member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being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 torsion assembly that provides a torsion to the second slide member when the slide is moved relative to the slide member, 상기 토션조립체는, The torsion assembly is, 원형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 및 그 제1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A first coil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oil,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being the second A first spring coupled to the slide member; 원형으로 권선되며 상기 제1코일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제2코일 및 그 제2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 및A second coil that is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coil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il,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 second spring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의 타단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Slider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소선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element wires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재는,The coupling member, 상기 제1코일에서 제2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는 제1덮개판;A first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il is not laminated on the first coil; 상기 제1덮개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지지돌기;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상기 제2코일에서 제1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으며, 상기 제1덮개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덮개판; 및A second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il is not laminated in the second coil,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cover plate; And 상기 제2덮개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지지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ver plate to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지지돌기에는 상기 제1코일의 타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슬롯이 형성되고,The first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with a first slo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상기 제2지지돌기에는 상기 제2코일의 타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is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lo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부본체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부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 는 제2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토션을 제공하는 토션조립체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A first slide member fixed to the low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slide member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s 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 torsion assembly for providing a torsion to the second slide member when the slide moves relative to the first slide member, 상기 토션조립체는, The torsion assembly is, 원형으로 권선되는 제1코일 및 그 제1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A first coil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oil,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being the second A first spring coupled to the slide member; 원형으로 권선되며 상기 제1코일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제2코일 및 그 제2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 및A second coil that is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coil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il,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 second spring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의 타단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고,Combination member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상기 결합부재는,The coupling member, 제1코일에서 제2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는 제1덮개판;A first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il is not laminated in the first coil; 상기 제2코일에서 제1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으며, 상기 제1덮개판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덮개판;A second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il is not laminated in the second coil,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cover plate; 상기 제2덮개판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코일의 타단 및 제2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돌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ver plate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제1덮개판에는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덮개판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렸을 때 상기 제2덮개판이 제1덮개판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 catch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first cover plate, and a catching jaw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tching groove in the second cover plate and the second cover plate is fixed to the first cover plate when the catching groove is caught.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션조립체에는,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torsion assembly,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late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to separate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from each other.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부본체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부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토션을 제공하는 토션조립체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A first slide member fixed to the low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slide member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being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 torsion assembly that provides a torsion to the second slide member when the slide is moved relative to the slide member, 상기 토션조립체는, The torsion assembly is, 일단으로부터 그 중심의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나선형으로 감기어 두께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제1코일 및 그 제1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 며,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It consists of a first coil which is wound in a spiral that the diameter is small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er and the same thickness and the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coil,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first A first spring disposed between the two slide members, the first spring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art coupl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일단으로부터 그 중심의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나선형으로 감기어 두께가 동일하게 유지되며 상기 제1코일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제2코일 및 그 제2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연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 및It consists of a second coil that is wound up in a spiral that has a smaller diameter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er thereof, and maintains the same thickness, and a second coil that is stacked up and down on the first coil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il. A second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nd having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코일 및 제2코일의 타단을 함께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되, Consists of a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for coupling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together,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소선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Slide element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결합부재는, 제1코일에서 제2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는 제1덮개판;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ver plate covering an open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il is not laminated on the first coil; 상기 지지돌기가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코일에서 제1코일이 적층되지 않은 개방면을 덮으며, 상기 제1덮개판과 결합하는 제2덮개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nd a second cover pl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covering the open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il is not stacked in the second coil, a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plate. Slide devic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덮개판은 일정 원호를 갖는 제1,2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절 곡면에 각각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The first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c,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r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urved surface, 상기 제2덮개판은 상기 제1덮개판의 제1,2절곡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2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절곡면 선단을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second cover plate has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s of the first cover plate, respectively, and are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bent surface ends, respectively. Slider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ngaging pieces are formed to be coupl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2덮개판은 각각 상기 제1절곡면과 상기 제2절곡면이 대향하게 배치되고,The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ar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ent surface and the second bent surface, respectively, 상기 제1절곡면이 상기 제2절곡면에 비하여 큰 원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nd the first bent surface has a larger arc than the second bent surface.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or 10, 상기 제1덮개판이 상기 제2덮개판에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first cover plate is a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cover plate.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or 10, 상기 제2덮개판은 상기 제1절곡면의 한쪽 선단에 상기 제1스프링의 제1연장부가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제1절곡면의 다른쪽 선단에 상기 제2스프링의 제2연장부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The second cover plate is fastened by fastening the first extension of the first spring to one end of the first bent surface, and fastening the second extension of the second spring by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surface. Slide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가 상기 제2덮개판의 제1절곡면 선단에 각각 걸려질 때, 상기 제1코일부와 제2코일부가 각각 감겨진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hook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bent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late, respectively,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are wound in the wound direction Slide device fo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덮개판은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절개부의 선단에 1쌍의 절개편이 상기 제1덮개판의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고,The first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cutout in the center and a pair of cut pieces are bent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ver plate at the tip of the cutout, 상기 제1덮개판과 제2덮개판이 결합될 때, 상기 1쌍의 절개편은 상기 제2덮개판의 지지돌기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When the first cover plate and the second cover plate are coupled, the pair of cut piece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second cover plate to prevent the support protrusion from being deformed. Device.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or 8, 상기 제2스프링의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스프링의 제1연장부에 비해 그 길이가 짧게 또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is shorter or longer in length tha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spring.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or 8, 상기 제1스프링의 제1연장부와 제2스프링의 제2연장부에는 일정한 각도로 꺾여지는 절곡부가 1개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 이드 장치. And at least one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spring.
KR1020080103151A 2008-10-21 2008-10-21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277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51A KR101027720B1 (en) 2008-10-21 2008-10-21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51A KR101027720B1 (en) 2008-10-21 2008-10-21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328A Division KR100887952B1 (en) 2007-07-10 2007-07-10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29A true KR20090006029A (en) 2009-01-14
KR101027720B1 KR101027720B1 (en) 2011-04-12

Family

ID=4048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51A KR101027720B1 (en) 2008-10-21 2008-10-21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7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17B1 (en) * 2009-08-07 2012-01-31 (주)애니캐스팅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106A (en) * 2004-03-03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Spring damper device
KR20050097863A (en) * 2004-04-02 2005-10-10 손태양 Word lock
KR100719518B1 (en) * 2005-01-17 2007-05-17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Simple type slide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17B1 (en) * 2009-08-07 2012-01-31 (주)애니캐스팅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720B1 (en) 201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952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87644B1 (en) Elastic device, part for the device and sliding apparatus utilizing the device
KR100924079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1109354A (en) Mobile terminal
KR100903444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7622B1 (en) Sliding assembly
KR101027720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161848U (en) Spring unit and slide mechanism
WO2010124612A1 (en) Spring and spring assembly
KR100913368B1 (en) Movement spring of sliding hinge module
KR101108917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17355Y1 (en) Sliding assembly
EP2020804A1 (en) Slider mechanism with zigzag springs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CN102102721B (en) There is the mobile terminal device spring of non-deformed line part and possess hinge component and the mobile terminal device of this spring
KR20110066562A (en) Spring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912634B1 (en) Movement spring for sliding type personal cellular phone
KR101156627B1 (en) Elastic module
JP4987657B2 (en) Small step-up transformer
KR20090132480A (en) Spring device for sliding module
KR200411611Y1 (en) Elastic spring for a slim type slide module
KR101005918B1 (en) Wire spring link module for slide type mobile phone
KR20110007916A (en) Spring for a slide-type mobile phone
KR20110005139A (en) A double spring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203884B1 (en) Hinge module for portable device
KR101037891B1 (en) Candle of slide style Handheld Terminal Unit style hing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