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967A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5967A KR20090005967A KR1020080055170A KR20080055170A KR20090005967A KR 20090005967 A KR20090005967 A KR 20090005967A KR 1020080055170 A KR1020080055170 A KR 1020080055170A KR 20080055170 A KR20080055170 A KR 20080055170A KR 20090005967 A KR20090005967 A KR 200900059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light
- plate
- layer
-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층이나 액정층 등의 전기 광학층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que of displaying an image using electro-optical layers, such as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전기 광학층의 배면측에 형성된 반사층에서의 반사광을 관찰측에 출사시켜 표시에 이용하는 표시체에 있어서는, 관찰측으로부터 표시체에 입사한 외광이 반사층에서 반사해 관찰측으로 출사하여, 표시체의 관찰측의 경치가 본래의 화상에 중첩되는(배경이 비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321381호나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27885호에는, 전기 광학층의 관찰측에 배치된 원 편광판에 의해 배경의 비침(reflection)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display body which reflects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reflection layer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electro-optical layer to the observation side and uses it for display,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body from the observation side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layer and exits to the observation s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enery of is superimposed on the original image (the background is reflect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321381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27885 disclose a technique of suppressing background reflection by a circularly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an observation side of an electro-optical layer.
(발명의 개요)(Summary of invention)
표시체에는 대(大)화면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표시체의 대형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조 비용의 증대나 수율의 저하, 나아가서는 구동 회로의 대형화나 소비 전력의 증가라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표시체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Large display is required for the display body.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enlargement of the display body, it is necessary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 decrease in yield, and a further increase in driving circuit and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one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enlarge the area of an external display area, without making a display large.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층으로부터의 출사광을 관찰측으로 반사하는 광반사층이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된 표시체와, 표시체의 주연(periphery)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을 갖는 판 형상의 외장체와, 표시 영역과 테두리 영역에 걸쳐 연속하여 양자를 피복하는 판재로서, 관찰측으로부터 입사하여 광반사층 또는 테두리 영역에서 반사한 외광의 관찰측으로의 출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판을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이 표시 영역과 테두리 영역에 걸쳐 연속하기 때문에, 표시체와 외장체와의 경계는 눈에 띄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체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종의 전자 기기에 채용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is a display apparatus in which the light reflection layer which reflects the emission light from an electro-optical layer to an observation side is formed in a display area, A plate-shaped exterior member having an edge region including a portion located outside, and a plate member which continuously covers both the display region and the edge region, wherei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from the observation side and reflected from the light reflection layer or the edge region. It is provided with the antireflection plate which suppresses emission to an observation side. In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antireflection plate is continuous over the display area and the edge area, the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body and the exterior body is inconspicuou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area of the apparent display area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bod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제1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의 테두리 영역에 있 어서의 광학적인 특성과 표시체(전(全) 화소를 비(非)점등으로 한 경우)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광학적인 특성과는 실질적으로 일치(대략 일치)한다. 더욱 상술하면, 외장체의 테두리 영역에 대하여 반사 방지판을 통하여 측정광을 조사(照射)했을 때의 반사율(%)과, 표시체의 표시 영역에 대하여 반사 방지판을 통하여 측정광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율(%)과의 동일한 파장에 있어서의 차분치(difference;예를 들면 도4 의 차분치(Δ))의 최대치는, 측정광의 파장이 500nm 이상 600nm 이하인 범위 내에 있어서 3% 이하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표시체와 외장체와의 경계를 특별히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1st aspect, the optical characteristic in the edge area | region of an exterior body, and the display area of a display body (when all pixels are made into non-lighting etc.) It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approximately) the optical characteristic. More specifically, the reflectance (%) when the measurement light is irradiated to the edge region of the exterior body through the antireflection plate, and when the measurement light is irradiat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object through the antireflection plate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erence (e.g., the difference value Δ in FIG. 4) at the same wavelength as the reflectance (%) is 3% or less in the range where the wavelength of the measurement light is 500 nm or more and 600 nm or less.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boundary between a display body and an exterior body can be made inconspicuous especially.
제1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는, 표시체의 표시 영역이 내주연(inner periphery)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틀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표시체는, 각 화소의 간극을 차광하는 차광층을 구비하고, 차광층의 외주연(outer periphery)은, 외장체의 내주연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외장체의 내주연의 외측에 차광층의 외주연이 위치하기 때문에, 외장체의 내주연과 차광층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간극(예를 들면 도5 의 영역(GB))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표시체와 외장체와의 경계를 더욱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1st aspect, the exterior body is a frame-shaped member in which the opening part was formed so that the display area of a display body may be located inside inner periphery. In addition, the display body includes a light shielding layer for shielding the gap of each pixel,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shielding layer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periphery of the exterior body.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shielding layer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periphery of the exterior body, a gap (for example, the area GB of FIG. 5)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y of the exterior body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shielding layer.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with), it is possible to make the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body and the exterior body more inconspicuous.
제1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는,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에 접합되고, 반사 방지판은, 외장체의 관찰측의 표면에 접합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이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표시체로부터 반사 방지판으로의 열의 전달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열에 기인 한 반사 방지판의 열화가 억제된다. 단, 반사 방지판이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구성에 있어서는,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이나 반사 방지판의 배면측의 표면에서 광반사가 발생한다. 그래서, 제1 형태의 매우 적합한 구체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반사 방지판에 있어서의 표시체와의 대향면 및 표시체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판과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AR(Anti Reflection) 코트층을 구비한다. 또한,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과 반사 방지판과의 간극의 공간에 충전된 광투과성의 충전재를 구비한다. 이상의 각 형태에 의하면,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이나 반사 방지판의 배면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가 억제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1st aspect, the exterior body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viewing side of the display body, and the antireflection plate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viewing side of the exterior body.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ntireflection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n the observation side of the display body, heat transfer from the display body to the antireflection plate is suppressed. Therefore, deterioration of the antireflection plate due to heating is suppressed.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tireflection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n the observation side of the display body, light reflection occurs on the surface on the observation side of the display body or on the back side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plate. Thu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articularly suitable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is an AR (Anti Reflec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opposing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plate and an opposing surface of the display element. ) A coat layer is provided. Moreover,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nother form is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filler filled in the space of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surface of the display side of the display body, and an anti-reflective plate.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forms,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reflection in the surface on the observation side of a display body, or the surface on the back side of an anti-reflective plate is suppressed.
제1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는, 표시체의 배면측에 배치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외장체와 표시체와의 접합이 용이화됨과 아울러 표시체의 기계적인 강도가 외장체에 의해 보강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1st aspect, the exterior body is a plate-shaped memb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a display bod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onding between the exterior body and the display body is facilitat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display body is reinforced by the exterior body.
제1 형태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반사 방지판 중 표시체와의 대향면에는, 표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차광성의 특성 조정층(예를 들면 도13 이나 도14 의 특성 조정층(80))이 형성된다. 이상의 형태에 의하면, 외장체의 테두리 영역의 광학적인 특성이 표시체의 표시 영역의 광학적인 특성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여도, 특성 조정층과 표시체의 표시 영역에서 광학적인 특성을 합치시킴으로써, 표시체의 주연(표시 영역과 특성 조정층과의 경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 특성 조정층은, 반사 방지판의 배 면측의 표면에 형성된 제1층과, 제1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2층을 포함하고, 제2층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다. 이상의 형태에 의하면, 제2층의 각 개구의 형태나 분포(총 수나 조밀(粗密))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특성 조정층의 광학적인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체로부터의 출사광이 충분히 투과할 정도로 충분히 얇은 막두께로 제1층 및 제2층의 한쪽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반사 방지판 중 표시 영역의 외측 및 내측의 쌍방(반사 방지판에 있어서의 표시체와의 대향면의 전역)에 당해 층을 형성한 구성도 채용된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a light-shielding property adjusting layer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FIGS. 13 and 14) including a portion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anti-reflective plate with a display body on an outer side of the display area. The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층으로부터의 출사광을 관찰측으로 반사하는 광반사층이 각각의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된 복수의 표시체와, 각 표시체의 주연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예를 들면 도8 의 부분(A2a)이나 도9 의 부분(A2b))을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을 갖는 판 형상의 외장체와, 복수의 표시체의 표시 영역과 테두리 영역에 걸쳐 연속하여 양자를 피복하는 판재로서, 관찰측으로부터 입사하여 각 표시체의 광반사층 또는 테두리 영역에서 반사한 외광의 관찰측으로의 출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판을 구비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이 복수의 표시 영역과 테두리 영역에 걸쳐 연속하기 때문에, 각 표시체와 외장체와의 경계는 눈에 띄지 않는다. 따라서, 각 표시체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종의 전자 기기에 채용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bodies each having a light reflection laye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electro-optical layer toward the observation side, and a portion located outside the periphery of each display body. For example, a plate-shaped exterior body having a border area including a portion A2a in FIG. 8 or a portion A2b in FIG. 9, and the display area and the border area of a plurality of display bodies are successively provided. As a board | plate material to coat | cover, it is provided with the antireflection plate which suppresses the emission to the observation side of the external light which entered from the observation side and reflected in the light reflection layer or the edge area | region of each display body. In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antireflection plate is continuous over the plurality of display regions and the edge regions, the boundary between each display body and the exterior body is inconspicuou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area of the apparent display area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each display bod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s employ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제2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체는,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외장체는, 서로 인접하는 각 표시체의 간극 내에 위치하는 부분(예를 들면 도9 의 부분(A2b))을 포함한다. 이상의 형태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각 표시체와 양자간의 외장체와의 경계를 눈에 띄게 하는 일 없이, 각 표시체를 서로 떨어뜨림으로써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2nd aspect, the some display body is arrange | position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xterior body is the part located in the clearance gap of each display body which adjoins mutually (for example, part A2b of FIG. 9). )). According to the above aspect, the area of an apparent display area can be further enlarged by separating each display body from each other, without making the boundary between each display bod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exterior body mutually noticeable.
제2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의 테두리 영역에 대하여 반사 방지판을 통하여 측정광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율(%)과, 각 표시체의 표시 영역에 대하여 반사 방지판을 통하여 측정광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율(%)과의 동일한 파장에 있어서의 차분치(예를 들면 도4 의 차분치(Δ))의 최대치는, 측정광의 파장이 500nm 이상 600nm 이하인 범위 내에 있어서 3% 이하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각 표시체와 외장체와의 경계를 특별히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2nd aspect, the reflectance (%) at the time of irradiating a measurement light with the anti-reflection plate with respect to the edge area of an exterior body, and an anti-reflection plat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of each display body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for example, the difference value Δ in FIG. 4) at the same wavelength as the reflectance (%) when irradiated with the measurement light is 3 within the range of 500 nm to 600 nm. % Or less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boundary between each display body and an exterior body can be made inconspicuous especially.
제2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는, 각 표시체의 표시 영역이 내주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판재이다. 또한, 표시체는, 외장체의 내주연의 외측에 외주연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각 화소의 간극을 차광하는 차광층을 구비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외장체의 내주연의 외측에 차광층의 외주연이 위치하기 때문에, 외장체의 내주연과 차광층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간극(예를 들면 도5 의 영역(GB))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각 표시체와 외장체와의 경계를 더욱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2nd aspect, the exterior body is a board | plate material in which the some opening part was formed so that the display area of each display body may be located inside inner periphery. In addition, the display body includes a light shielding layer which is formed so that the outer periphery is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periphery of the exterior body and shields the gap of each pixel.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shielding layer is located outside the inner periphery of the exterior body, a gap (for example, the area GB of FIG. 5)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y of the exterior body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shielding layer.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ith), it is possible to make the boundary between each display body and the exterior body more inconspicuous.
제2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는, 복수의 표시체의 각각의 관찰측의 표면에 접합되고, 반사 방지판은, 외장체의 관찰측의 표면에 접합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이 각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표시체로부터 반사 방지판으로의 열의 전달이 억제된다. 따라 서, 가열에 기인한 반사 방지판의 열화가 억제된다. 단, 반사 방지판이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구성에 있어서는, 각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이나 반사 방지판의 배면측의 표면에서 광반사가 발생한다. 그래서, 제2 형태의 매우 적합한 구체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반사 방지판에 있어서의 각 표시체와의 대향면 및 각 표시체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판과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AR 코트층을 구비한다. 또한,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각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과 반사 방지판과의 간극의 공간에 충전된 광투과성의 충전재를 구비한다. 이상의 각 형태에 의하면, 각 표시체의 관찰측의 표면이나 반사 방지판의 배면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가 억제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2nd aspect, the exterior body is bonded to the surface of each observation side of a some display body, and the antireflection plate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observation side of the exterior body.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ntireflection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n the observation side of each display body, transfer of heat from the display body to the antireflection plate is suppressed. Thus, deterioration of the antireflection plate due to heating is suppressed.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tireflection plate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n the observation side of the display body, light reflection occurs on the surface on the observation side of each display body or on the surface of the back side of the antireflection plate.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which concerns on the very suitable specific example of a 2nd aspect is AR coat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opposing surface with each display body in an antireflection plate, and the opposing surface with the antireflection plate in each display body. With layers. Moreover,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nother form is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filler filled in the space of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surface of the observation side of each display body, and an anti-reflective plate. According to each form mentioned above,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the reflection in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observation side of each display body, or the surface of the back side of an anti-reflective plate is suppressed.
제2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외장체는, 복수의 표시체의 배면측에 배치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외장체와 복수의 표시체와의 접합이 용이화됨과 함께 각 표시체의 기계적인 강도가 외장체에 의해 보강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a 2nd aspect, the exterior body is a plate-shaped memb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side of a some display bod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onding between the exterior body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bodies is facilitat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each display body is reinforced by the exterior body.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각 요소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작용이나 기능이 공통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ach element with the same code | symbol is common in function and function except the case where there is no notice.
<A: 제1 실시 형태><A: First Embodiment>
도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A)의 구성을 나타내 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는, 표시 장치(100A)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A)는, 표시체(D)와, 외장체(40)와, 반사 방지판(60)을 적층한 평면형의 구조체이다. 표시체(D)는, 표시 영역(A1) 내에 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에 의해 각종의 화상을 표시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체(D)는, 광투과성의 접착층(25)으로 접합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구비한다.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의 관찰측(즉 표시체(D)에 의한 표시 화상을 시인하는 관찰자측)에 위치한다. 제1 기판(10) 중 제2 기판(20)과의 대향면에는, 각 화소(P)에 대응하는 복수의 광반사층(11)이 서로 떨어져 형성된다. 각 광반사층(11)은, 광반사성의 재료로 형성된 막체이다. 또한, 광반사층(11)이 표시 영역(A1)의 전역에 걸쳐 연속하는 구성도 채용된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body D includes a
제1 기판(10)의 표면에는, 각 광반사층(11)을 덮는 광투과성의 절연층(12)이 형성된다. 절연층(12)의 표면에는, 각 화소(P)에 대응한 복수의 제1 전극(14)이 서로 떨어져 형성된다. 각 제1 전극(14)은, ITO(Indium Tin Oxide)로 대표되는 광투과성의 도전 재료(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된 전극이다.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기판(10)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아 광반사층(11)과 제1 전극(14)과는 서로 겹친다.On the surface of the
절연층(12)의 표면상에는 격벽층(partition layer;뱅크층)(13)이 형성된다. 격벽층(13)은, 제1 기판(10)의 표면상의 공간을 화소(P)마다 구분하는 형상(격자 형상)의 절연층이다. 격벽층(13)의 내주면에 포위되어 제1 전극(14)을 저면(底面) 으로 하는 공간 내에는 발광층(15)이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재료로 형성된다. 격벽층(13) 및 발광층(15)은 제2 전극(16)으로 덮여진다. 제2 전극(16)은, 복수의 화소(P)에 걸쳐 연속하는 광투과성의 도전막이다. 발광층(15)은, 제1 전극(14)(양극) 및 제2 전극(16)(음극)으로부터 부여되는 전기 에너지에 따른 광량의 백색광을 방사한다. 발광층(15)으로부터 관찰측으로의 출사광과, 광반사층(11)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제2 전극(16)을 투과하여 관찰측으로 출사함으로써 각종의 화상이 표시된다. 제1 기판(10) 상의 각 요소는 광투과성의 밀봉(seal)체(17)에 의해 밀봉된다.A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 차광층(21) 및 복수의 착색층(22)(22R, 22G, 22B)이 형성된 광투과성의 판재이다. 차광층(21)은, 각 화소(P)에 대응한 영역(제1 전극(14)이나 광반사층(11)에 겹치는 영역)이 개구하는 격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각 화소(P)의 간극을 차광한다.The 2nd board |
도3 은, 표시 장치(100A)의 각 요소의 평면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단, 도3 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6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2 및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층(21)의 외형의 치수는 표시 영역(A1)과 비교하여 크다. 따라서, 차광층(21)의 외주연(outer periphery;Q1)은 표시 영역(A1)의 외측에 위치한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lanar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the display device 100A. 3, the illustration of the
도2 의 각 착색층(22)은, 복수의 표시색(적색(22R), 녹색(22G), 청색(22B))중 어느 하나로 착색된 광투과성의 막체로서 차광층(21)의 각 개구의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착색층(22)은 표시 영역(A1) 내에 면 형상으로 배열한다. 발광층(15)으로부터의 출사광이 각 착색층(22)을 투과한 후에 관찰측으로 출사함으로써 관찰자는 컬러 화상을 지각한다.Each colored layer 22 in Fig. 2 is a light-transmissive film body colored with any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colors (red 22R, green 22G, blue 22B), and is used for each opening of the
도1 및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40)는,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42)가 형성된 불투명한 틀 형상의 판재이다. 외장체(40)는, 표시체(D)의 관찰측의 표면(즉 제2 기판(20)의 관찰측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30)로 접합된다. 예를 들면, 흑색으로 도장된 알루미늄의 판재가 외장체(40)로서 매우 적합하게 채용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도2 및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40)의 외형의 치수(외주연(R1)의 각 변의 치수)는 표시체(D)의 외형의 치수(제1 기판(10)이나 제2 기판(20)의 각 변의 치수)와 비교하여 크다. 외장체(40)와 표시체(D)는, 외장체(40)의 외주연(R1)이 표시체(D)(제1 기판(10) 또는 제2 기판(20))의 주연(periphery;Q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즉, 외장체(40)의 관찰측의 표면(이하 「테두리 영역」이라고 함)(A2)은, 표시체(D)의 주연(Q2)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영역(A1)은 개구부(42)(외장체(40)의 내주연(inner periphery;R2))의 내측에 위치하고, 차광층(21)의 외주연(Q1)은 개구부(42)(외장체(40)의 내주연(R2))의 외측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dimens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exterior body 40 (the dimension of each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R1) is the dimens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display body D (the
도1 및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판(60)은, 외장체(40)의 외주연(R1)과 합치하는 형태(치수 및 형상)로 성형된 직사각 형상의 판재이며, 표시체(D)의 제1 기판(10)이나 제2 기판(20)과 비교하여 대(大)면적이다.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판(60)은, 당해 반사 방지판(60)의 주연과 외장체(40)의 외주연(R1)이 합치하도록 테두리 영역(A2)에 접합된다. 따라서, 반사 방지판(60)은, 외장체(40)의 개구부(42) 내에 노출하는 표시체(D)와 외장체(40)와의 쌍방을 피복하도록 표시 영역(A1)과 테두리 영역(A2)에 걸쳐 연속한다.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과 표시체(D)(제2 기판(20))의 관찰측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개구부(42)의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 외장체(40) 및 양면 테이프(30)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의 공간(V)이 개재한다. 이상과 같이 반사 방지판(60)과 표시체(D)는 공간(V)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반사 방지판(60)과 표시체(D)가 밀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표시체(D)에서 발생한 열이 반사 방지판(60)에 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열에 기인한 반사 방지판(60)(특히 원 편광판(64))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도1 및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판(60)은, 지지체(62)와 원 편광판(64)으로 구성된다. 지지체(62)는, 원 편광판(64)의 기계적인 강도를 보강하는 광투과성의 판재이다. 유리제 또는 수지제(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기판이 지지체(62)로서 매우 적합하게 채용된다. 도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 편광판(64)은, 지지체(62)의 관찰측의 표면에 접착된 위상차판(641)과, 위상차판(641)의 표면에 접착된 편광판(6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관찰측으로부터 표시 장치(100A)에 외광이 입사하여 광반사층(11)의 표면이나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에서 반사한 경우여도, 당해 반사광의 관찰측으로의 출사는 억제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도4 는, 소정의 스폿(spot) 지름의 가시광(이하 「측정광」이라고 함)을 관 찰측으로부터 표시 장치(100A)의 각 부(各部)에 조사했을 때에 관찰측으로 출사하는 반사광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 의 횡축은 측정광의 파장(nm)이며, 종축은 반사율(즉, 측정광의 광량에 대한 반사광의 광량의 비율(%))이다.Fig. 4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ed light emitted to the observation side when the visible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spot diame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asurement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observation side to each part of the
도4 의 특성(C1)은, 반사 방지판(60)을 제외한 구성에 있어서, 전(全) 화소(P)의 발광층(15)을 완전히 소등시킨 후에, 표시 영역(A1) 내에 측정광을 조사한 경우의 측정 결과이다. 한편, 특성(C2)은, 반사 방지판(60)을 설치한 본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전 화소(P)의 발광층(15)을 완전히 소등시킨 후에, 반사 방지판(60)을 통하여 표시 영역(A1) 내에 측정광을 조사한 경우의 측정 결과이다. 특성(C1)과 특성(C2)과의 대비(對比)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A)에 대한 관찰측으로부터의 입사광 중 표시체(D)의 각 요소(특히 광반사층(11))에서 반사하여 관찰측으로 출사하는 광량은, 반사 방지판(60)에 의해 충분히 억제된다. 따라서, 배경의 비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onfiguration C1 of FIG. 4 except for the
도4 의 특성(C3)은, 반사 방지판(60)을 설치한 본 형태의 구성 하에서 반사 방지판(60)을 통하여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에 측정광을 조사한 경우의 측정 결과이다. 특성(C2)과 특성(C3)과의 대비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 있어서는,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에 있어서의 광반사 특성과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 내에 있어서의 광반사 특성이 실질적으로 일치(대략 일치)하도록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이나 표시체(D)의 각 요소의 광학적인 특성이 선정된다. 더욱 상술하면,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과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과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광을 개별적으로 조사하여 반사광을 측정하고, 각 영역에 대한 조사시에 동일한 파장에 대하여 측정된 반사율의 차분치(Δ)를 산정했을 때에, 500nm 이상 600nm 이하의 파장 범위(R) 내에 있어서의 차분치(Δ)의 최대치가 3% 이하(더욱 적합하게는 1% 이하)가 되도록,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이나 표시체(D)의 각 요소의 광학적인 특성(더욱 상세하게는 재료나 가공법)이 선정된다. 예를 들면,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 내에 관하여 사전에 측정된 반사율에 대하여 이상(以上)의 조건을 충족하는 광학적인 특성의 도료를 판재의 표면(테두리 영역(A2))에 도포함으로써 외장체(40)가 작성된다.The characteristic C3 of FIG. 4 is a measurement when the measurement light is irradiated to the edge region A2 of the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A1)과 테두리 영역(A2)에 걸쳐 연속하는 형태(사이즈 및 형상)의 반사 방지판(60)이 외장체(40) 및 표시체(D)의 쌍방을 피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배경의 비침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반사 방지판(60)이 설치되지 않은 구성이나 반사 방지판(60)이 표시 영역(A1)에만 겹치는 구성과 비교하여, 외장체(40)와 표시체(D)와의 경계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테두리 영역(A2)과 표시 영역(A1)에서 광반사 특성(반사율)이 실질적으로 일치(대략 일치)하도록 외장체(40)나 표시체(D)의 특성이 선정되기 때문에, 이상의 효과는 각별히 현저해진다. 그리고, 외장체(40)와 표시체(D)와의 경계가 선명하지 않게 됨으로써, 이용자는, 표시 장치(100A)의 표시 영역이 마치 외장체(40)의 외주연(R1)의 근방(반사 방지판(60)의 전역)까지 연속하고 있는 것처럼 지각한다. 즉, 본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100A)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표시 영역(A1)의 전체를 발광시킨 경우에는 표시 영역(A1)과 비(非)발광의 테두리 영역(A2)과의 경계가 이용자에게 지각되기 때문에,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이 확대된다는 효과는, 발광층(15)의 소등시의 계조인 흑색을 배경으로 하여 표시 영역(A1)의 중앙부에 피사체를 배치한 듯한 화상(즉 표시 영역(A1) 중 피사체 이외의 비발광 영역에 대해서는 광학적인 특성이 테두리 영역(A2)과 같아지는 듯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In addition, when the entire display area A1 is made to emit light, the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area A1 and the non-light emitting edge area A2 is perceived by the user, so that the area of the apparent display area is increased. The effect is optical for a non-light emitting area other than the subject in the display area A1 as if the subject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A1 against the background of black when the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A1) 내에 측정광을 조사한 경우의 측정 결과를 특성(C2)으로서 예시했지만, 표시 영역(A1)의 외측에서 외장체(40)의 개구부(42)의 내측의 영역(차광층(21)이 존재하는 영역)(GA)에 측정광을 조사한 경우의 측정 결과는 특성(C2)과 대략 동등해진다. 따라서, 영역(GA)의 광반사 특성과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에 있어서의 광반사 특성이 실질적으로 일치(대략 일치)하도록 외장체(40)나 표시체(D)의 광학적인 특성을 선정해도 좋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measurement result at the time of irradiating the measurement light in the display area A1 was illustrated as characteristic C2, the area | region inside the opening
그런데, 도2 의 구성에 있어서는 차광층(21)의 외주연(Q1)이 외장체(40)의 개구부(42)의 외측에 위치하지만, 도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층(21)의 외주연(Q1)이 외장체(40)의 개구부(42)(내주연(R2))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도 채용된다. 도4 의 특성(C4)은, 도5 의 구성 중 차광층(21)의 외주연(Q1)과 외장체(40)의 내주연(R2)과의 사이의 영역(GB)에 측정광을 조사하여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이다.By the way, in the structure of FIG. 2, although the outer periphery Q1 of the
제1 기판(10) 중 영역(GB) 내의 영역에는, 표시 영역(A1) 내에 구동 신호나 전원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도시 생략)이 형성되기 때문에, 영역(GB)의 특성(C4)은,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의 특성(C3)이 나 표시 영역(A1) 내의 특성(C2)과는 상위하다. 따라서, 도5 의 구성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60)이 배제된 구성(특성(C1))과 비교하면 외장체(40)와 표시체(D)와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는 효과를 확실히 가져올 수 있기는 하지만, 도2 의 구성과 비교하면 경계가 지각될 가능성은 높다. 즉, 도2 의 구성에 있어서는, 차광층(21)의 외주연(Q1)이 외장체(40)의 내주연(R2)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5 의 구성과 비교하여 외장체(40)와 표시체(D)와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wiring (not shown) for supplying a drive signal or a power supply potential is formed in the display area A1 in the area of the area GB of the
<B: 제2 실시 형태><B: Second Embodiment>
도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B)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B)는, 동일한 평면 내에 서로 떨어져 배치된 표시체(DA) 및 표시체(DB)에 외장체(40)와 반사 방지판(60)을 적층한 평면형의 구조체이다. 표시체(DA) 및 표시체(DB)의 각각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체(D)와 동일한 구성으로, 표시 영역(A1) 내에 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에 의해 각종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체(DA)와 표시체(D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양자를 「표시체(D)」로 공통으로 표기한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7 은, 표시 장치(100B)의 각 요소의 평면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단, 도7 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6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8 은, 도7 에 있어서의 Ⅷa-Ⅷa선 또는 Ⅷb-Ⅷb선에서 본 단면도(즉 외장체(40)의 주연의 근방의 단면도)이며, 도9 는, 도7 에 있어서의 Ⅸ-Ⅸ선에서 본 단면도(즉 표시체(DA)와 표시체(DB)와의 간극의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층(21)의 외형의 치수는 표시 영역(A1)과 비교하여 크다. 따라서, 차광층(21)의 외주연(Q1)은 표시 영역(A1)의 외측에 위치한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lanar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the
도6 및 도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40)는, 표시체(DA) 및 표시체(DB)의 각각에 대응한 2개소에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42)가 형성된 불투명한 판재이다. 외장체(40)는, 각 표시체(D)의 관찰측의 표면(즉 제2 기판(20)의 관찰측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30)로 접합된다.As shown in FIG.6 and FIG.7, the
도7 및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40)와 각 표시체(D)는, 외장체(40)의 외주연(R1)이 각 표시체(D)의 주연(Q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외장체(40)의 관찰측의 표면인 테두리 영역(A2)은,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표시체(D)의 주연(Q2)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A2a)을 포함한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체(DA)와 표시체(DB)가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테두리 영역(A2)은, 도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체(DA)와 표시체(DB)와의 간극 내에 위치하는 부분(A2b)을 포함한다. 또한, 도7 내지 도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은, 당해 표시체(D)에 대응하는 개구부(42)(외장체(40)의 내주연(R2))의 내측에 위치하고, 각 표시체(D)의 차광층(21)의 외주연(Q1)은, 당해 표시체(D)에 대응하는 개구부(42)(외장체(40)의 내주연(R2))의 외측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도6 및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판(60)은, 외장체(40)의 외주연(R1)과 합치하는 형태(치수 및 형상)로 성형된 직사각 형상의 판재이며, 표시체(DA) 및 표시체(DB)의 총면적과 비교하여 대면적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 게, 반사 방지판(60)은, 지지체(62)와 원 편광판(64)으로 구성된다.6 and 8, the
반사 방지판(60)은, 당해 반사 방지판(60)의 주연과 외장체(40)의 외주연(R1)이 합치하도록 테두리 영역(A2)에 접합된다. 따라서, 반사 방지판(60)은, 외장체(40)의 각 개구부(42)로부터 노출하는 표시체(DA) 및 표시체(DB)와 외장체(40)와의 쌍방을 피복하도록 각 표시 영역(A1)과 테두리 영역(A2)에 걸쳐 연속한다. 도8 및 도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과 각 표시체(D)의 관찰측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공간(V)이 개재한다. 따라서, 반사 방지판(60)과 표시체(D)가 밀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표시체(D)에서 발생한 열이 반사 방지판(60)에 전달하기 어렵다. 즉, 가열에 기인한 원 편광판(64)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도4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 있어서도,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에 있어서의 광반사 특성과 각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 내에 있어서의 광반사 특성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이나 표시체(D)의 각 요소의 광학적인 특성이 선정된다. 더욱 상술하면,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과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과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광을 개별적으로 조사하여 반사광을 측정하고, 각 영역에 대한 조사시에 동일한 파장에 대하여 측정된 반사율의 차분치(Δ)를 산정했을 때에, 500nm 이상 600nm 이하의 파장 범위(R) 내에 있어서의 차분치(Δ)의 최대치가 3% 이하(더욱 적합하게는 1% 이하)가 되도록,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이나 표시체(D)의 각 요소의 광학적인 특성(더욱 상세하게는 재료나 가공법)이 선정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lso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in the edge region A2 of the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영역(A1)과 테두리 영역(A2)에 걸쳐 연속하는 형태(사이즈 및 형상)의 반사 방지판(60)이 외장체(40) 및 각 표시체(D)의 쌍방을 피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배경의 비침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반사 방지판(60)이 설치되지 않은 구성이나 반사 방지판(60)이 각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에만 겹치는 구성과 비교하여, 외장체(40)(부분(A2a) 및 부분(A2b))와 표시체(D)와의 경계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테두리 영역(A2)과 표시 영역(A1)에서 광반사 특성(반사율)이 대략 일치하도록 외장체(40)나 각 표시체(D)의 특성이 선정되기 때문에, 이상의 효과는 각별히 현저해진다. 그리고, 외장체(40)와 표시체(D)와의 경계가 선명하지 않게 됨으로써, 관찰자는, 표시 장치(100B)의 표시 영역이 마치 외장체(40)의 외주연(R1)의 근방(반사 방지판(60)의 전역)까지 연속하고 있는 것처럼 지각한다. 즉, 본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100B)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 제3 실시 형태><C: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한 구성을 예시하지만, 제3 실시 형태 내지 제6 실시 형태는, 복수의 표시체(D)(DA, DB)를 구비하는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below, although the structure based on 1st Embodiment is illustrated, 3rd Embodiment-6th Embodiment display of 2nd Embodiment provided with some display body D (DA, DB). The same applies to the
도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C)의 광투과성의 요소 중 공기에 접촉하는 표면에는, 당해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AR(Anti Reflection) 코트층(70)(70A, 70B, 70C)이 형성된다. 더욱 상술하면, 반사 방지판(60)(원 편광판(64)의 관찰측의 표면에는 AR 코트층(70A)이 형성되고, 반사 방지판(60)(지지체(62))의 배면측의 표면에는 AR 코트층(70B)이 형성된다. 또한, 표시체(D)(제2 기판(20))의 관찰측의 표면에는 AR 코트층(70C)이 형성된다.10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00C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an AR (Anti Reflection) coat layer 70 (70A, 70B) for suppressing reflection on the surface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element of the display device 100C in contact with air. 70C) is formed. More specifically, an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이나 표시체(D)의 관찰측의 표면이 공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당해 표면에서 발광층(15)으로부터의 출사광이 반사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본 형태에 있어서는,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이나 표시체(D)의 관찰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가 AR 코트층(70)(70B, 70C)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발광층(15)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 방지판(60)의 관찰측의 표면에도 AR 코트층(70A)이 형성되기 때문에, 당해 표면에서의 반사에 기인한 배경의 비침이 유효히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structure of 1st Embodiment, since the surface of the back side of the
<D: 제4 실시 형태><D: fourth embodiment>
도11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D)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판(60)(지지체(62))의 배면측의 표면과, 표시체(D)(제2 기판(20))의 관찰측의 표면과, 외장체(40)의 개구부(42)의 내주면으로 포위된 공간(V)에는, 광투과성의 충전재(75)가 봉입(fill)된다. 충전재(75)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충전재(75)의 굴절률은, 지지체(62) 및 제2 기판(20)의 적어도 한쪽의 굴절률과 동등하다.11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공간(V)에 공기가 존재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공간(V)의 내부와, 지지체(62) 또는 제2 기판(20)과의 굴절률의 차이가 저감되기 때문에,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이나 표시체(D)의 관찰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광반사가 억제된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AR 코트층(70B 및 70C)을 생략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발광층(15)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단, 도11 의 구성에 도10 의 AR 코트층(70B 및 70C)을 형성해도 좋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difference of th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inside of space V and the
<E: 제5 실시 형태><E: 5th Embodiment>
도12 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E)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 있어서의 외장체(40)는, 표시체(D)의 배면측에 배치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외장체(40)에 개구부는 형성되지 않는다. 표시체(D)(제1 기판(10))의 배면측의 표면은 외장체(40)의 표면에 접합된다. 외장체(40)의 관찰측의 표면 중 표시체(D)의 주연(Q2)의 외측의 영역이 테두리 영역(A2)이 된다. 표시체(D)의 차광층(21)은, 제2 기판(20)의 전역에 걸쳐 형성된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반사 방지판(60)은, 테두리 영역(A2)과 표시 영역(A1)에 걸쳐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외장체(40)와 표시체(D)를 피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에 있어서의 광반사 특성과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 내에 있어서의 광반사 특성이 대략 일치하도록,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이나 표시체(D)의 각 요소의 광학적인 특성이 선정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형태에 의하면, 외장체(40)와 표시체(D)와의 접합의 작업이 용이화됨과 아울러 표시체(D)의 기계적인 강도가 외장체(40)에 의해 보강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AR 코트층(70)(70A, 70B, 70C)을 본 형태의 표시 장치(100E)에 추가해도 좋다.The
<F: 제6 실시 형태><F: 6th Embodiment>
도13 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F)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의 표시 장치(100F)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A)에 특성 조정층(80)을 추가한 구성이다. 특성 조정층(80)은,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즉 지지체(62)에 있어서의 표시체(D)와의 대향면) 중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광반사성(차광성)의 막체(film)이다. 특성 조정층(80)은, 카본 블랙 등의 흑색재(black material)가 분산된 수지 재료나, 크롬 등의 차광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흑색의 도료를 반사 방지판(60)에 도포함으로써 특성 조정층(80)을 형성해도 좋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특성 조정층(80)의 가공법이나 재료나 막두께는, 특성 조정층(80)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판(60)과의 접촉면의 광반사 특성과,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의 광반사 특성이 대략 일치하도록 선정된다. 즉,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과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에 대하여 도4 를 참조하여 전술한 조건과 동일하게, 500nm 이상 600nm 이하의 파장 범위(R) 내의 광선을 조사했을 때의 특성 조정층(80)의 반사율과 표시 영역(A1)의 반사율과의 차분치(Δ)의 최대치가 3% 이하(더 욱 적합하게는 1% 이하)가 되도록 특성 조정층(80)이 형성된다.The processing method, the material,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이상과 같이 외장체(40)에 대하여 관찰측에 위치하는 특성 조정층(80)의 광학적인 특성이 표시 영역(A1)에 합치하기 때문에, 외장체(40)의 테두리 영역(A2)과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에서 광반사 특성(반사율)이 상위하는 경우라도,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외장체(40)의 광학적인 특성을 표시 영역(A1)에 합치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예를 들면 외장체(40)의 재료나 가공법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은 특히 매우 적합하다. 환언하면, 외장체(40)에 요구되는 광학적인 조건이 완화되기 때문에, 외장체(40)를 저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또한, 도13 에서는 특성 조정층(80)이 단층인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14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특성 조정층(80)을 복수층의 적층체로 한 구성도 매우 적합하다. 도14 의 특성 조정층(80)은 제1층(81)과 제2층(82)으로 구성된다. 제1층(81)은,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표시 영역(A1)의 외측의 영역)에 형성된 광반사성(차광성)의 막체이다. 제2층(82)은, 제1층(81)에 적층된 차광성의 막체이다. 제1층(81)과 제2층(82)은, 카본 블랙 등의 흑색재가 분산된 수지 재료나, 알루미늄 및 크롬 등의 차광성의 금속 재료 등 여러 가지의 차광성의 재료로부터 선택된 별개의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층(81)이 알루미늄 및 크롬 중 한쪽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2층(82)이 알루미늄 및 크롬 중 다른 한쪽으로 형성된 구성이 매우 적합하다. 도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층(82)에는 다수의 개구(821)가 형성(패터닝)된다. 각 개구(821)는, 제2층(82)의 면 내에 있어서 균일 하게 분포한다. 예를 들면, 표시체(D)의 차광층(21)과 동일한 패턴이 되도록 제2층(8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whose
제1층(81)은 충분히 얇은 막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특성 조정층(80)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판(60)과의 접촉면의 광학적인 특성은, 제1층(81)의 특성에 더하여 제2층(82)의 특성에도 의존한다. 즉, 특성 조정층(80)의 광학적인 특성은, 제2층(82)에 형성된 개구(821)의 치수나 분포(총 수나 조밀)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제2층(82)의 개구(821)의 치수나 분포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특성 조정층(80)의 광반사 특성을 표시체(D)의 표시 영역(A1)에 고정밀도하게 합치시키는(즉 특성 조정층(80)과 표시 영역(A1)과의 경계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또한, 도13 및 도14 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A)에 특성 조정층(80)을 추가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도6 내지 도12 의 구성(또는 후술의 도15 의 구성)에 특성 조정층(80)을 추가한 구성도 매우 적합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또한, 도14 의 예시에서는 표시 영역(A1)의 외측의 영역에만 제1층(81) 및 제2층(82)을 형성했지만, 표시체(D)로부터의 출사광이 충분히 관찰측에 투과할 정도의 막두께로 제1층(81)을 성막하는 경우(예를 들면 충분히 얇은 알루미늄의 박막을 제1층(81)으로서 형성한 경우)에는, 반사 방지판(60)의 배면측의 표면의 전역에 걸쳐 제1층(81)을 형성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1층(81)의 형성시에 패터닝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도13 에 있어서의 특성 조정층(80)의 막두께나, 도14 에 있어서의 제1층(81) 및 제2층(82) 중 적어도 한쪽의 막두께를 적절히 선정함 으로써 특성 조정층(80)의 광반사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도 매우 적합하다.In the example of FIG. 14, the
<G : 변형예><G: modified example>
이상의 각 형태에는 여러 가지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형태를 예시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의 예시로부터 2이상의 형태를 임의로 선택하여 조합시켜도 좋다.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each of the above forms. Illustrative forms of specific modifications are as follows. Moreover, you may select and combine two or more forms arbitrarily from the following examples.
(1) 변형예 1(1) Modification Example 1
외장체(40)의 형태나 위치는 이상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체(D)의 외형에 대략 일치하는(또는 근소하게 큰) 치수의 개구부(42)를 외장체(40)에 형성하여, 표시체(D)의 측단면과 개구부(42)의 내주면이 대향하도록 표시체(D)를 개구부(42)의 내측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도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체(D)(제2 기판(20))의 관찰측의 표면과 테두리 영역(A2)을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시킨 구성에 의하면, 반사 방지판(60)을 외장체(40)와 표시체(D)에 용이하며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간(V)이 생략되는 분(分)만큼 표시 장치(100)(100A, 100B, 100C, 100D, 100E, 100F)가 박형화되는 이점이 있다.The shape or position of the
(2) 변형예 2(2)
표시 장치(100)의 제조나 사용에 있어서 필요한 정도로 원 편광판(64)의 기계적인 강도가 단독으로 확보되는 것이면, 반사 방지판(60)으로부터 지지체(62)를 생략한 구성도 채용된다. 또한, 외력의 작용에 의한 원 편광판(6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원 편광판(64)의 관찰측에 광투과성의 판재를 배치해도 좋다.As long as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3) 변형예 3(3) Modification 3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표시체(D)(DA, DB)의 형태(치수나 형상)가 공통되는 구성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는 아니다. 즉, 각 표시체(D)의 치수나 형상은 표시체(D)마다 상위해도 좋다. 또한, 도6 에 있어서는 복수의 표시체(D)가 서로 떨어진 구성을 예시했지만, 각 표시체(D)가 틈 없이 배치된 구성(예를 들면 표시체(DA)의 측단면과 표시체(DB)의 측단면이 접촉하는 구성)도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각 표시체(D)가 서로 떨어져 배치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각 표시체(D)가 접촉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외관상의 표시 영역의 면적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나 각 표시체(D)의 배치의 형태(예를 들면 위치)를 높은 자유도로 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rms (dimensions and shape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bodies D (DA, DB)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common is not essenti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ize and shape of each display body D may differ for every display body D. In addition, in FIG. 6,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the some display body D separated from each other was illustrated, the structure in which each display body D was arrange | positioned without gap (for example, the side surface of display body DA and display body DB Is also suitable. Howe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2nd Embodiment in which each display body D is mutually arrange | positioned,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each display body D contacts, the area | region of an external display area can be enlarged easi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m (for example, position) of the arrangement of each display body D can be selected with high degree of freedom.
(4) 변형예 4(4) Modification 4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표시체(D)의 배치의 형태는 임의이다. 각 표시체(D)의 구체적인 배치의 형태를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예시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는 복수의 표시체(D)가 배열되기 때문에, 하나의 표시체(D)만을 이용한 구성과 비교하여, 표시 장치(100)의 디자인 상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16 내지 도18 에 예시하는 구성은, 예를 들면 각종의 점포에 있어서 상품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특히 매우 적합하다.The form of arrangement | positioning of several display body D in 2nd Embodiment is arbitrary. The form of the specific arrangement | positioning of each display body D is illustrated below. As will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examples, in the
표시 장치(100)를 구성하는 표시체(D)의 개수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도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개의 표시체(D)를 대략 십자형으로 배열한 구성이 채용된 다. 외장체(40)(도16 에서는 도시 생략)나 반사 방지판(60)은 모든 표시체(D)를 피복하는 적절한 형상으로 성형된다.The number of display bodies D constituting the
복수의 표시체(D)가 평행하게 배열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축물 등의 구조체(기둥체(35))의 벽면을 따라 복수의 표시체(D)를 곡면 형상으로 배열한 구성도 채용된다. 도17 의 표시 장치(100)는, 원주 형상의 기둥체(35)의 측면에 원주의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표시체(D)와, 기둥체(35)의 측면을 따르는 곡면으로 성형된 반사 방지판(60)을 구비한다. 또한, 도17 에서는 외장체(4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display bodies D need not be arranged in paralle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some display object D in the curved shape along the wall surface of structures (pillar body 35), such as a building, is also employ | adopted. The
복수의 표시체(D)가 동일 면 내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의 반사 방지판(60)까지의 거리가 표시체(D)마다 상위하도록 복수의 표시체(D)를 배치해도 좋다. 도18 과 같이 외장체(40)는 계단 형상으로 성형된다.It is not necessary for the plurality of display bodies D to be located in the same pla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you may arrange | position the some display body D so that the distance to the
(5) 변형예 5(5) Modification 5
유기 EL 재료의 발광층(15)은 전기 광학층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이상의 각 형태의 표시 장치(100)에 적용되는 전기 광학층에 대하여, 자신이 발광하는 자발광형과 외광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비발광형(예를 들면 액정 소자)과의 구별이나, 전류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전류 구동형과 전압의 인가에 의해 구동되는 전압 구동형과의 구별은 불문이다. 무기 EL 재료의 발광층, 액정층이나 전기 영동층 등 각종의 전기 광학층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즉, 전기 광학층은, 전기 에너지의 공급(예를 들면 전류의 공급이나 전압의 인가)에 의해 휘도나 투과율이라는 광학적인 특성이 변화하는 부분으로서 정의된다. The
<H : 응용예><H: Application Exampl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 내지 도22 에는, 이상에 설명한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100A, 100B, 100C, 100D, 100E, 100F)를 채용한 전자 기기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Next,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9 to 22 show a form of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display device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orms described above.
도19 는, 표시 장치(100)를 채용한 모바일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100)와, 전원 스위치(2001)나 키보드(2002)가 설치된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personal computer employing the
도20 은, 표시 장치(100)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과,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telephone to which the
도21 은, 표시 장치(100)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휴대 정보 단말(4000)은, 복수의 조작 버튼(4001) 및 전원 스위치(4002)와, 각종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4002)를 조작하면, 주소록이나 스케줄 수첩이라는 여러 가지의 정보가 표시 장치(100)에 표시된다.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igital assistant (PDA) to which the
도22 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B)를 자동차의 차량 탑재 계기(instrument panel)에 채용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계기는, 표시체(DA) 및 표시체(DB)를 횡방향으로 배열한 표시 장치(100B)와, 구동 회로(82A, 82B) 및 제어 회로(84)를 구비한다. 구동 회로(82A)는, 제어 회로(84)로부터 지시된 화상을 표시체(DA)에 표시한다. 구동 회로(82B)는, 제어 회로(84)로부터 지시된 화상을 표시체(DB)에 표시한다. 제어 회로(84)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속도를 표시체(DA)에 표시시키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카 내비게이션 장치(도시 생략)가 작성한 지도를 표시체(DB)에 표시시킨다.FIG. 2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the
제어 회로(84)에는, 표시체(DA) 또는 표시체(DB)의 이상(異常)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도시 생략)가 접속된다. 예를 들면, 표시체(DA)나 표시체(DB)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각 화소(P)의 발광층(1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계, 또는 각 화소(P)의 휘도를 측정하는 휘도계가 검출기로서 매우 적합하게 채용된다. 제어 회로(84)는, 검출기에 의한 검출치가 소정의 문턱값을 상회하는(또는 하회하는) 경우에 표시체(DA)나 표시체(DB)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소정의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표시체(DA)의 이상을 검출하면, 제어 회로(84)는, 표시체(DA)에 표시시키고 있던 자동차의 속도를 표시체(DB)에 표시시킨다. 이상의 형태에 의하면,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는 표시체(DA) 및 표시체(DB)의 쌍방을 사용하여 다양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한편, 표시체(DA) 또는 표시체(DB)의 한쪽에 이상이 발생하면, 소망의 정보의 표시처를 다른 한쪽의 표시체(D)로 변경함으로써, 우선도가 높은 정보(예를 들면 속도)를 확실히 표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19 내지 도 22 에 예시한 기기 외에, 디지털 스틸(still) 카메라, 텔레비젼, 비디오 카메라, 카 내비게이션 장치, 페이저(pager), 전자 수첩, 전자 페이퍼,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TV 전화, POS 단말,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비디오 플레이어,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As the electronic apparatus to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ddition to the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19 to 22, a digital still camera, a television, a video camera, a car navigation apparatus, a pager, an electronic notebook, Examples include electronic paper, electronic calculators, word processors, workstations, TV phones, POS terminals, printers, scanners, copiers, video players, and touch panels.
도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는 도1 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3 은 도1 의 표시 장치의 각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4 는 도1 의 표시 장치의 각부(各部)의 광학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5 는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도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 은 도6 의 표시 장치의 각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6.
도8 은 도7 에 있어서의 Ⅷa-Ⅷa선 또는 Ⅷb-Ⅷb선에서 본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a or VIIb-VIIb in FIG. 7.
도9 는 도7 에 있어서의 Ⅸ-Ⅸ선에서 본 단면도이다.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7. FIG.
도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 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 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 는 제6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ixth embodiment.
도15 는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도16 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7 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8 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8 is a 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형태(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personal computer)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0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형태(휴대 전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of a electronic devic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형태(휴대 정보 단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형태(차량 탑재 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orm (vehicle mounting instrument)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180535 | 2007-07-10 | ||
JPJP-P-2007-00180537 | 2007-07-10 | ||
JP2007180537A JP5194592B2 (en) | 2007-07-10 | 2007-07-10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JPJP-P-2007-00180535 | 2007-07-10 | ||
JP2007273470A JP5205914B2 (en) | 2007-07-10 | 2007-10-22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JPJP-P-2007-00273470 | 2007-10-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5967A true KR20090005967A (en) | 2009-01-14 |
Family
ID=4048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5170A KR20090005967A (en) | 2007-07-10 | 2008-06-12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5967A (en) |
TW (1) | TWI450254B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2951B1 (en) * | 2009-03-27 | 2013-10-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101366539B1 (en) * | 2012-04-30 | 2014-02-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20150071197A (en) * | 2013-12-18 | 2015-06-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US20180292709A1 (en) | 2016-04-18 | 2018-10-11 | Nitto Denko Corporatio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KR20210079836A (en) * | 2019-12-20 | 2021-06-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03212658A1 (en) * | 2002-04-16 | 2003-1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Backlight assembly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US7242021B2 (en) * | 2002-04-23 | 2007-07-10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element using semiconductor device |
JP4138672B2 (en) * | 2003-03-27 | 2008-08-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
JP4131243B2 (en) * | 2004-02-06 | 2008-08-1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Electro-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2008
- 2008-06-12 KR KR1020080055170A patent/KR2009000596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07-09 TW TW097125900A patent/TWI450254B/en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2951B1 (en) * | 2009-03-27 | 2013-10-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KR101366539B1 (en) * | 2012-04-30 | 2014-02-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KR20150071197A (en) * | 2013-12-18 | 2015-06-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US20180292709A1 (en) | 2016-04-18 | 2018-10-11 | Nitto Denko Corporatio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US11079624B2 (en) | 2016-04-18 | 2021-08-03 | Nitto Denko Corporatio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KR20210079836A (en) * | 2019-12-20 | 2021-06-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450254B (en) | 2014-08-21 |
TW200917223A (en) | 2009-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19745B2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5205914B2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CN112447931B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CN112106204B (en) |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 |
US7492092B2 (en) | Self-emitting element,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lf-emitting element | |
KR101239814B1 (en) | Emissiv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2010205698A (en) | Lighting device, electroopt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040108572A (en) | Planar 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uxiliary electrode | |
CN113053966B (en) | Display panel, brightness compens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 |
JP5194592B2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KR20070102944A (en) | Electro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20090005967A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CN116193927A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WO2020137856A1 (en) | Lighting device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 |
JP5624014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CN115172626A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JP2009020140A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2006079978A (en) |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 |
JP4932317B2 (en) | Display device | |
CN113687543A (en)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
CN115988917A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US8823900B2 (en) | Illumination device and electrooptic apparatus | |
JP2008170479A (en) |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5332825B2 (en) |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5332826B2 (en) |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