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462U - 다용도 톱날 - Google Patents

다용도 톱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462U
KR20090005462U KR2020090005405U KR20090005405U KR20090005462U KR 20090005462 U KR20090005462 U KR 20090005462U KR 2020090005405 U KR2020090005405 U KR 2020090005405U KR 20090005405 U KR20090005405 U KR 20090005405U KR 20090005462 U KR20090005462 U KR 200900054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aw
function
saw bla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철
Original Assignee
최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철 filed Critical 최종철
Priority to KR2020090005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462U/ko
Publication of KR20090005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6Several functions combined in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4Cross-cut saws; Pad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톱에 형성되어 있거나 부착된 톱날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톱은 나무를 톱질에 의해서 절단하는 기능만이 있는 것에 반해 본 고안은 기존에 톱에 톱질을 하는 톱날기능과 칼날기능을 겸비함으로서 톱날기능을 사용해서 굵은 나뭇가지 등을 절단하고 작은 나뭇가지나 풀은 칼날기능을 사용해 절단함으로서 각각에 다른 장비를 쓰지않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의 끝 부분에는 갈고리 꼴(鉤狀) 모양의 칼날이 형성되어 있어서 높은 곳에 있는 잔가지 등을 쉽게 사다리 등의 장비 없이도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유효한 고안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을 적용하면 기존의 톱 기능에 낫기능, 칼기능 등이 추가되어 장비를 바꾸어가면서 작업하던 것을 한가지의 도구로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보다 증진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톱, 톱날, 칼날, 낫, 갈고리 꼴(鉤狀)

Description

다용도 톱날{ multipurpose a saw blade }
본 고안은 나무 등의 물체를 절단하는 톱에 형성되어있거나 부착되어진 톱날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톱에 톱날만 형성되어 있어서 단순한 왕복운동 즉 톱의 기능 밖에는 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므로 우리가 간단하게 풀이나 작은 나뭇가지는 톱으로 절단하기가 낫이나 칼보다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래서 나뭇가지를 절단하거나 땔감 등의 나무를 자를 때는 톱과 함께 낫이나 칼을 같이 들고 가야만 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을 형성하거나 부착한 톱을 사용하면 한가지 도구로서 톱기능,낫기능,칼기능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한가지 톱으로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톱은 나무나 여러가지 물체를 단순히 왕복운동에 의해서 절단하는 기능 외에는 특별한 기능이 없어서, 작은 나뭇가지나 풀 등을 절단할 때는 낫이나 가위 또는 칼 등을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기존의 톱에 부착되어진 단순한 톱날기능에 낫의 기능 또는 칼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칼날부(A-2, B-2)와 갈고리 꼴(鉤狀)모양의 칼날부(B-3)를 형성시킴으로서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이 여러가지 절단기능에 사용되어지도록 하고자 하였다.
과제 해결 수단은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단순히 나무나 물체를 왕복운동에 의해서 절단해오던 기능을 넘어서 기존의 톱으로 할 수 없었던 작은나무나 풀을 베어낼 수 있는 낫의 기능이 추가되고 또한 갈고리 꼴(鉤狀) 모양의 칼날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높은 곳에 작은 나뭇가지나 절단을 필요로 하는 물체를 사다리나 다른 도구없이 갈고리 꼴(鉤狀) 모양에 칼날부(B-3)에 걸어서 당김으로서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고안의 다기능 톱날을 사용해 톱을 만들면 단순히 왕복운동에 의해서 나무나 물체를 절단하는 기능은 당연히 가지고 있으면서, 톱날부(A-1, B-1)의 기능으로 하기 힘들었던 무른 재질의 나무나 풀을 칼날부(A-2, B-2)의 기능으로 간단하게 절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높은 곳에 있는 나뭇가지 등은 갈고리 꼴 모양의 칼날을 이용해서 아래로 당김으로서 간편하게 절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톱날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다기능 톱날(E)를 부착한 톱의 사시도이다.
도 1 에서 A-1은 기존에 톱에 있는 톱날기능을 지닌 다용도 톱날의 구성요소 중 톱날부이고, A-2는 칼날기능을 지닌 다용도 톱날의 구성요소 중 칼날부이다. 물론 A-1과 A-2의 위치가 바뀌어도 되나 톱의 사용상 편리성과 안전성 면에서 도 1 에 있는 순서대로 A-1이 톱의 손잡이 쪽에 위치하고 A-2가 그 다음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갈고리 꼴 모양의 칼날(B-3)은 다용도 톱날의 끝부분에 만들어 져야되며 갈고리 꼴 모양의 칼날 끝이 톱의 손잡이 쪽으로 오게 만들면 되겠다. 물체를 쉽게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 에 C는 다용도 톱날의 구성요소 중 칼날부(A-2, B-2)의 이해를 돕기위해서 도안하였고, 도 2 에 D는 다용도 톱날 구성요소 중 갈고리 꼴(鉤狀) 모양의 칼날부(B-3)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안하였다.
다기능 톱날의 제작은 철판 등의 재료를 컷팅 할 때 갈고리 꼴 모양의 칼날부(B-3)까지 잘라서 톱날부(A-1, B-1), 칼날부(A-2, B-2), 갈고리 꼴 모양의 칼날부(B-3)를 만들면 되겠다. 이해가 쉽게 설명하자면 톱날의 연장선에 칼날이 있고 그 연장선에 작지만 낫이 형성된 것이라 보면 되겠다.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이해가 빠르리라 생각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충분히 이해하는 수준이라 사료 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에 A는 본 고안의 톱날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진 톱의 사시도로서 A-1은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의 구성중에 톱날부 이며 A-2는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의 구성중 칼날부를 나타낸다. 또한, E는 다용도 톱날이다.
도 1 에 B는 본 고안의 다용도 톱날의 톱날부와 칼날부와 고리모양의 칼날을 겸비한 톱의 사시도로서 B-1은 톱날부이고, B-2는 칼날부이며, B-3은 고리모양의 칼날부를 나타낸다. 또한, F는 다용도 톱날이다.
도 2 에 C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칼날부(B-2)를 사용하는 상태도이며, 도 2 에 D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갈고리 꼴(鉤狀) 모양의 칼날부(B-3)를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다용도 톱날(톱날부, 칼날부)을 부착한 톱
B ; 다용도 톱날(톱날부, 칼날부, 갈고리 꼴(鉤狀) 모양의 칼날부)을 부착한 톱
A-1 ; 다용도 톱날의 구성요소 중 톱날부
A-2 ; 다용도 톱날의 구성요소 중 칼날부
B-1 ; 다용도 톱날의 구성요소 중 톱날부
B-2 ; 다용도 톱날의 구성요소 중 칼날부
B-3 ; 다용도 톱날 구성요소 중 갈고리 꼴(鉤狀) 모양의 칼날부
E : 톱날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진 다용도 톱날
F ; 톱날부와 칼날부와 갈고리 꼴(鉤狀) 모양의 칼날부로 이루어진 톱날

Claims (2)

  1. 통상적인 톱에 구성요소인 톱날에 있어서,
    톱날부(A-1)와 칼날 부(A-2)가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톱날(E)
  2. 통상적인 톱에 구성요소인 톱날에 있어서,
    톱날부(B-1)와 칼날부(B-2)와 갈고리 꼴(鉤狀)의 모양으로 만들어진 칼날부(B-3)가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톱날(F)
KR2020090005405U 2009-05-06 2009-05-06 다용도 톱날 KR200900054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05U KR20090005462U (ko) 2009-05-06 2009-05-06 다용도 톱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05U KR20090005462U (ko) 2009-05-06 2009-05-06 다용도 톱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62U true KR20090005462U (ko) 2009-06-04

Family

ID=4129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405U KR20090005462U (ko) 2009-05-06 2009-05-06 다용도 톱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4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69B1 (ko) * 2011-08-31 2013-06-27 최연군 과수 잔가지 절단용 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69B1 (ko) * 2011-08-31 2013-06-27 최연군 과수 잔가지 절단용 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9003118A (es) Desviador de podador de setos vivos para propositos multiples.
KR20090005462U (ko) 다용도 톱날
CN205040295U (zh) 一种多功能园林锯
CN205357253U (zh) 一种多功能园林剪刀
CN201403356Y (zh) 多功能园林修枝工具
CN107535209A (zh) 一种多功能果树修剪器
CN207427900U (zh) 一种园林修剪用手锯
CN203575180U (zh) 一种园艺修剪刀
CN202232265U (zh) 果树枝修剪专用刀具
CN201430795Y (zh) 用于修枝的剪刀
CN202799579U (zh) 一种多功能铁锹
RU152279U1 (ru) Ножны универсальные
CN105850531B (zh) 多功能耐磨修枝机刀片组
CN205040296U (zh) 一种新型园林锯
CN209234355U (zh) 多功能园林工具
CN210746171U (zh) 一种园林剪刀
CN103636411A (zh) 一种花卉修剪专用剪刀
CN211430180U (zh) 一种用于园林工程的多功能组合锯
CN202943608U (zh) 一种多功能的篾刀
KR20170000307U (ko) 개량 낫
CN104429651A (zh) 一种园艺修剪刀
CN2627814Y (zh) 一种园林修枝工具
KR200246957Y1 (ko) 톱날달린전지가위
CN206344185U (zh) 一种斧头
KR200471974Y1 (ko) 톱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