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984U -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984U
KR20090004984U KR2020070018700U KR20070018700U KR20090004984U KR 20090004984 U KR20090004984 U KR 20090004984U KR 2020070018700 U KR2020070018700 U KR 2020070018700U KR 20070018700 U KR20070018700 U KR 20070018700U KR 20090004984 U KR20090004984 U KR 200900049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net
foot
bar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185Y1 (ko
Inventor
원봉찬
Original Assignee
원봉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봉찬 filed Critical 원봉찬
Priority to KR2020070018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8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족구의 공격 연습을 하기 위한 족구 연습장에 적용 설치되는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네트를 제외한 피공격 진영의 나머지 3면에 족구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망체로 된 좌우 및 후면의 그물 벽을 두되 좌, 우측 그물 벽의 저부에는 족구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로프를 두며, 가이드 로프에는 양단의 끼움고리를 통해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로울러형 스페이서를 가진 공 회수바아를 설치하고 공 회수바아의 양단에는 공 회수용 끈과, 도르레를 거쳐 공 회수바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끈을 연결 설치한 것으로, 그물벽을 통해 공격 연습한 공이 피공격 진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공 회수바아를 이용하여 공격자의 위치로 신속 간편하게 공을 몰아 올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 회수에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켜 보다 많은 족구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족구, 그물벽, 가이드로프, 스페이서, 공회수바아, 공 회수용끈,

Description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Ball taking back device in football training}
본 고안은 족구의 공격 연습을 하기 위한 족구 연습장에 적용 설치되는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네트를 제외한 피공격 진영의 나머지 3면에 족구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망체로 된 좌우 및 후면의 그물 벽을 두되 좌, 우측 그물 벽의 저부에는 족구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로프를 두며, 가이드 로프에는 양단의 끼움고리를 통해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로울러형 스페이서를 가진 공 회수바아를 설치하고 공 회수바아의 양단에는 공 회수용 끈과, 도르레를 거쳐 공 회수바아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끈을 연결 설치한 것으로, 그물벽을 통해 공격 연습한 공이 피공격 진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공 회수바아를 이용하여 공격자의 위치로 신속 간편하게 공을 몰아 올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 회수에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켜 보다 많은 족구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족구에 있어 가장 화려하고 무거운 책임을 지는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통상 여러 포지션의 사람이 득점하는 축구와 달리 족구는 공격수 1인이 대부분의 득점을 책임지는 게 일반적이다.
공격수가 수비수와 세터의 도움을 받아 찬 킥이 상대방의 수비를 뚫지 못하거나 킥이 네트에 걸려 실점하게 되는 경우 팀의 사기저하는 물론 팀원들의 믿음을 상실하게 되고 팀 친화력의 저해요인이 되기도 한다.
족구의 공격 기술은 공격수 자신의 신체조건, 두뇌, 기술 조건, 세터가 공급하는 구질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격수라면 수천, 수만 번의 공격을 해봐야 다양한 기술을 온전히 습득할 수 있게 되지만 공격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수많은 경기를 갖는 것이 현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격자는 공격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 개인적인 훈련을 하게되나 기존의 족구용 코트에는 킥한 공을 회수하여 공격자에게 되돌려 주는 장치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격자는 자신이 직접 공을 위로 던진 뒤 네트 너머로 킥을 하고 별도의 조력자가 넘어온 공을 받아 공격자에게 돌려주는 형태로 훈련을 하게 되거나,
또는 한꺼번에 많은 수의 족구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공 전부를 사용한 다음 공격자가 일일이 킥한 공을 회수하여 다시 연습을 반복하는 형태로 훈련을 하게 되는 바, 상기한 전자의 경우 별도의 조력자가 요구되고 간혹 공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여 인력의 낭비가 심하게 되며, 후자의 경우는 많은 면적의 연습공간이 요구되고 공격자 자신이 직접 회수하여야 하므로 공의 회수에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커서 정작 연습에 최선을 다하기 어려워 연습의 효율성을 거두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물벽을 통해 공격 연습한 공이 피공격 진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공 회수바아를 이용하여 공격자의 위치로 신속 간편하게 공을 몰아 올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 회수에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켜 보다 많은 족구 연습을 할 수 있는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네트를 제외한 피공격 진영의 나머지 3면에 기둥을 통해 일정 높이로 입설되며 족구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및 후측의 그물 벽을 제공한다.
상기 좌, 우측 그물 벽의 저부에 긴장된 상태로 횡설되는 가이드 로프를 제공한다.
양단의 끼움고리를 통해 상기 가이드 로프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회수 바아를 제공한다.
상기 공회수 바아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회수 바아를 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로울러형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일단이 상기 공 회수바아의 양단에 고정되어 공격자의 당김력을 통해 공회수 바아를 네트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 회수용 끈을 제공한다.
일단이 후측 그물벽의 양측 기둥의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거쳐 상기 공 회수바아의 양단에 고정되며 공격자의 당김력을 통해 공회수 바아를 후측 그물벽 쪽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끈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그물벽을 통해 공격 연습한 공이 피공격 진영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공 회수용 끈을 통해 공 회수바아를 네트 쪽으로 위치 이동시켜 공격자의 위치로 신속 간편하게 공을 몰아 올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 회수에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시켜 보다 많은 족구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이는 측 단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네트(N)를 제외한 피공격 진영(A)의 나머지 3면에 기둥(P)을 통해 족구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및 후측의 그물 벽(1)(2)을 일정 높이로 입설시키게 된다.
상기 각 기둥(P)은 도면에서와 같이 안정된 입설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부에 중량체를 담아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수용공간이 있는 베이스(P')를 두거나 운반이나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절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 우측 그물 벽(1)의 저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로프(3)를 긴장상태로 팽팽하게 횡설하며, 이 가이드 로프(3)에는 공회수 바아(4)의 양단의 끼움고리(4')를 결합시킨다.
상기 공회수 바아(4)는 다수개로 분할 구성시켜 필요시 나사 결합상태로 길게 이어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운반 보관, 해체가 손쉽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회수 바아(4)에는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로울러형 스페이서(5)를 설치하여 공회수 바아(4)가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뜨도록 하여 족구공을 안정되게 몰아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 회수바아(4)의 양단에는 공 회수용 끈(6)과 복귀용 끈(7)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공격진영에 위치시킨다.
도면에서는 취급의 편의상 상기 공 회수용 끈(6)과 복귀용 끈(7)의 타단을 하나로 이어 도시하였지만 분리 하여도 공 회수바아(4)를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귀용 끈(7)은 후측 그물벽(2)의 양측 기둥(P)의 베이스(P')상에 설치되어 공 회수바아(4)보다 뒤쪽에 위치된 도르레(8)를 거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당길 때 당김의 반대 방향으로 공회수 바아(4)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사용자가 초기에 복귀용 끈(7)을 완전히 당겨 공 회수바아(4)를 후측 그물벽(2)에 최대한 근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격진영에서 공격 연습을 위해 킥을 하게 되면 공은 네트를 넘어 피공격진영(A)으로 넘어가 바운드되면서 3면을 차단시킨 좌우 및 후측의 그물 벽(1)(2)에 걸려 피공격진영(A)의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고 가둬지게 된다.
공격연습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공격자 진영으로 위치된 공 회수용 끈(6)을 당겨주게 되면 당김력에 의해 공 회수바아(4)가 가이드 로프(3)를 타고 네트 쪽으로 이동되면서 내측에 있는 족구공을 네트(N) 쪽으로 몰아오게 되며 이때 공 회수바아(4)에 일단이 연결된 복귀용 끈(7)의 타단은 공 회수용 끈(6)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공 회수바아(4)가 후측 그물벽(2)에 최대한 근접되게 위치되므로 피공격 진영(A)내의 모든 공은 공 회수바아(4)의 안쪽에 위치되어 공이 비회수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공의 회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복귀용 끈(7)을 잡아 당겨주게 되며 당김력에 의해 공 회수바아(4)가 가이드 로프(3)를 타고 후측 그물벽(2)쪽으로 이동되면서 다음 동작을 위해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며 이때 공 회수용 끈(6)은 복귀용 끈(7)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을 족구 연습장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이는 측 단면 예시도.
도 5는 기존의 족구 연습장을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좌우측 그물 벽
2:후측 그물벽
3:가이드 로프
4:공회수 바아
4':끼움고리
5:로울러형 스페이서
6:공 회수용 끈
7:복귀용 끈
8:도르레

Claims (2)

  1. 네트를 제외한 피공격 진영의 나머지 3면에 기둥을 통해 일정 높이로 입설되며 족구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좌우 및 후측의 그물 벽과;
    상기 좌, 우측 그물 벽의 저부에 긴장된 상태로 횡설되는 가이드 로프와;
    양단의 끼움고리를 통해 상기 가이드 로프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 회수바아와;
    상기 공회수 바아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회수 바아를 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로울러형 스페이서와;
    일단이 상기 공 회수바아의 양단에 고정되어 공격자의 당김력을 통해 공회수 바아를 네트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 회수용 끈과;
    일단이 후측 그물벽의 양측 기둥의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도르레를 거쳐 상기 공 회수바아의 양단에 고정되며 공격자의 당김력을 통해 공회수 바아를 후측 그물벽 쪽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끈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둥의 저면에 지지를 보조하기 위한 중량체를 수용할 수 있는 베이스를 구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KR2020070018700U 2007-11-21 2007-11-21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KR200446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700U KR200446185Y1 (ko) 2007-11-21 2007-11-21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700U KR200446185Y1 (ko) 2007-11-21 2007-11-21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84U true KR20090004984U (ko) 2009-05-26
KR200446185Y1 KR200446185Y1 (ko) 2009-10-05

Family

ID=4130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700U KR200446185Y1 (ko) 2007-11-21 2007-11-21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5844A (zh) * 2016-08-05 2016-11-0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可折叠的便携式篮球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252A (en) 1981-09-14 1984-06-26 Hartland Albert C Tennis service practice court with recovering and collecting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5844A (zh) * 2016-08-05 2016-11-0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可折叠的便携式篮球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85Y1 (ko) 200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775B2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7731198B2 (en) Ball returning tent net
US20070187897A1 (en) Collapsible ball game goal
US7850551B2 (en) Mobile practice targets
US20090181810A1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00079A1 (en) Mobile practice target
US20080132361A1 (en) Mobile Practice Targets
US7914402B2 (en) Rebounding soccer practice net
EP3085421A2 (en) Golf practice tent
US6793594B1 (en) Sports practice net
US8771107B1 (en) Baseball pitching training apparatus
US201902626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soccer skills-enhancing game
US20040132558A1 (en) Multiple-plane or user-enclosing rebound surfaces for practicing soccer or other sports
CN203342315U (zh) 多功能球类练习架
KR200446185Y1 (ko) 족구 연습장용 족구공 회수장치
EP2075038A1 (en) Collapsible ball game basket and apparatus for playing a ball game
US20160129333A1 (en) Inflatable and adjustable soccer field
GB2536890A (en) Ball training apparatus and facilitating devices
US20110124441A1 (en) Tethered objects and games
US201703611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ball game
AU2009101301B4 (en) A backstop for a bat-and-ball game
AU201133189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WO2017135520A1 (ko) 축구 연습용 더미
CN204034201U (zh) 一种捡球器
CN2553849Y (zh) 挂弹足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