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388U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388U
KR20090004388U KR2020070017888U KR20070017888U KR20090004388U KR 20090004388 U KR20090004388 U KR 20090004388U KR 2020070017888 U KR2020070017888 U KR 2020070017888U KR 20070017888 U KR20070017888 U KR 20070017888U KR 20090004388 U KR20090004388 U KR 20090004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ical protrusions
golf club
face portion
he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희
Original Assignee
민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희 filed Critical 민경희
Priority to KR2020070017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388U/ko
Publication of KR20090004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클럽은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그립과; 그리고 호젤을 통해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는 베이스부의 전면에 위치한 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는 반구형 돌기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고안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클럽은, 크게, 드라이버(driver), 아이언(iron), 그리고 퍼터(putter)로 분류될 수 있다. 드리이버는 골프공을 먼거리로 치기 위해서 사용되고, 아이언은 페어웨이(fair way)에서 그린(green) 위로 골프공을 치기 위해서 사용되며, 퍼터는 그린 위에서 골프공을 정확히 타격하여 홀컵에 넣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 클럽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골프 클럽은 그립(1), 샤프트(2), 호젤(3), 그리고 헤드(4)를 포함할 것이다. 그립(1)은 골퍼가 손에 쥘 수 있도록 샤프트(2)의 일단에 마련되고, 헤드(4)는 호젤(3)을 통해 샤프트(2)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다. 호젤(3)은 골프공 타격시에 헤드(4)로부터 샤프트(2)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헤드(4)는 호젤(3)과 연결되어 헤드(4)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6)와 이 베이스부(6)의 전면에 위치하며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페이스부(5)로 구성된다.
골프 클럽 중에서 퍼터는 골프공을 홀컵에 정확하게 넣기 위한 것이므로 방향성이 중요시된다. 이에 반해서, 드라이버/아이언은 골프공을 보다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비거리가 중요시된다. 이러한 비거리 향상을 위해 최근 드라이버 헤드의 대용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드라이버 헤드의 용적이 커지면 그 중량도 증가하여 스윙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고강도를 가지는 티타늄과 같은 특수한 금속을 사용하여 대용적화 및 경량화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드라이버/아이언의 비거리 향상 및 백스핀 향상을 위해 헤드 재료의 개발과 병행하여 헤드의 형상을 최적화하려는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안은 비거리 및 백스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그립과; 그리고 호젤을 통해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베이스부의 전면에 위치한 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는 반구형 돌기들이 형성되는 골프 클럽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은 상기 제 2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과 다른 크기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바둑판 모양을 갖도록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회오리 모양을 갖도록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복수의 원 모양들을 갖도록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된 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골프 클럽 드라이버에 따르면,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앞의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 예시적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청구된 고안의 부가적인 설명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참조 부호들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그것의 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표시되어 있다. 가능한 어떤 경우에도,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서 설명 및 도면들에 사용된다.
아래에서, 골프 클럽 드라이버/아이언이 본 고안의 특징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한 예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 정통한 사람은 여기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이점들 및 성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 예들을 통해 또한, 구현되거나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범위, 기술적 사상 그리고 다른 목적으로부터 상당히 벗어나지 않고 관점 및 응용에 따라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은,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립, 샤프트, 그리고 헤드(100)를 포함할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그립은 골퍼가 손에 쥘 수 있도록 샤프트의 일단에 마련되고, 헤드(100)는 호젤을 통해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다. 호젤은 골프공 타격시에 헤드(100)로부터 샤프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헤드(100)는 호젤과 연결되어 헤드(100)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전면에 위치하며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페이스부(120)로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골프 클럽 헤드에 따르면, 페이스부(120)의 전면에는 반구형 돌기들(122)이 형성되어 있다. 반구형 돌기들(122)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것이다. 반구형 돌기들(122)은 바둑판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1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122)은 회오리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1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122)은 복수의 원 모양들을 갖도록 페이스부(1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부(120)는 베이스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골프 클럽 헤드의 경우 페이스부(120)의 전면에 반구형 돌기들(122)을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의 타점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타점들의 증가를 통해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아이언의 경우 백스핀(back spin)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200)는 호 젤과 연결되어 헤드(200)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210)와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페이스부(220)로 구성된다. 페이스부(220)의 전면에는 반구형 돌기들(222)이 형성되어 있다. 반구형 돌기들(222)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것이다. 반구형 돌기들(222)은 바둑판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2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222)은 회오리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2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222)은 복수의 원 모양들을 갖도록 페이스부(2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부(220)는 베이스부(21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것이다. 이때, 탈부착 가능하도록 페이스부(220)가 구성되더라도 헤드(200)의 총 무게가 변화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함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고안의 골프 클럽 드라이버의 경우 페이스부(220)의 전면에 반구형 돌기들(222)을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의 타점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타점들의 증가를 통해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아이언의 경우 그러한 페이스 형상을 통해 백스핀(back spin)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300)는 호젤과 연결되어 헤드(300)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310)와 이 베이스부(110)의 전면에 위치하며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페이스부(320)로 구성된다. 페 이스부(320)의 전면에는 반구형 돌기들(321, 322)이 형성되어 있다. 반구형 돌기들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구분되고, 제 1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321)은 제 2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322)과 다른 크기를 갖는다. 반구형 돌기들(321, 322)은 바둑판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3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321, 322)은 회오리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3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321, 322)은 복수의 원 모양들을 갖도록 페이스부(3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골프 클럽 드라이버의 경우 페이스부(320)의 전면에 반구형 돌기들(321, 322)을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의 타점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타점들의 증가를 통해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아이언의 경우 그러한 페이스 형상을 통해 백스핀(back spin)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400)는 호젤과 연결되어 헤드(400)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410)와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페이스부(420)로 구성된다. 페이스부(420)의 전면에는 반구형 돌기들(421, 422)이 형성되어 있다. 반구형 돌기들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구분되고, 제 1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421)은 제 2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422)과 다른 크기를 갖는다. 반구형 돌기들(421, 422)은 바둑판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4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421, 422)은 회오리 모양을 갖도록 페이스부(4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반구형 돌기들(421, 422)은 복수의 원 모양들을 갖도록 페이스부(420)의 전면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부(420)는 베이스부(41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것이다. 이때, 탈부착 가능하도록 페이스부(420)가 구성되더라도 헤드(400)의 총 무게가 변화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함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고안의 골프 클럽 드라이버의 경우 페이스부(420)의 전면에 반구형 돌기들(421, 422)을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의 타점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타점들의 증가를 통해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아이언의 경우 그러한 페이스 형상을 통해 백스핀(back spin)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할 수 있다.
도시의 편의상, 골프 클럽 헤드는 골프 클럽 드라이버의 헤드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형상은 비거리 향상 그리고/또는 백스핀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모두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 클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8)

  1.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그립과; 그리고
    호젤을 통해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베이스부의 전면에 위치한 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는 반구형 돌기들이 형성되는 골프 클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골프 클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은 상기 제 2 그룹의 반구형 돌기들과 다른 크기를 갖는 골프 클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바둑판 모양을 갖도록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 배열되는 골프 클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회오리 모양을 갖도록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 배열되는 골프 클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돌기들은 복수의 원 모양들을 갖도록 상기 페이스부의 전면에 배열되는 골프 클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골프 클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골프 클럽.
KR2020070017888U 2007-11-06 2007-11-06 골프 클럽 헤드 KR200900043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888U KR20090004388U (ko) 2007-11-06 2007-11-06 골프 클럽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888U KR20090004388U (ko) 2007-11-06 2007-11-06 골프 클럽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88U true KR20090004388U (ko) 2009-05-11

Family

ID=4129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888U KR20090004388U (ko) 2007-11-06 2007-11-06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38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956B2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face deformation limiting member
US8187116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6855069B2 (en) Game improvement golf club using hollow technology
US7390266B2 (en) Golf club
TWI577422B (zh) 具有可變溝槽參數之高爾夫球桿頭及相關方法
US20110059810A1 (en) Clubhead with external hosel
TW201545789A (zh) 具有增強的球桿頭擊球面之球桿頭及相關方法
JP2009061264A (ja) ゴルフクラ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29177A1 (en) Golf tee
US7850538B1 (en) Golf club having two angularly divergent impact faces
KR101031532B1 (ko) 골프 클럽 헤드
US9358435B2 (en) Vibration modes of faces for golf club heads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s
US8956241B2 (en) Golf club for bump and run golf shot
US20040116202A1 (en) Golf club structure
US20070066419A1 (en) Wood-type golf club
KR20090004388U (ko) 골프 클럽 헤드
KR101146337B1 (ko) 퍼터용 골프클럽
WO2007021077A1 (en) Golf putter
US20110244980A1 (en) True line putter
KR200429067Y1 (ko) 골프클럽 아이언 헤드
KR102620145B1 (ko) 골프클럽용 헤드
KR102120980B1 (ko) 퍼터용 방향 지시 고정장치
KR20110027264A (ko) 브이형 홈이 형성된 골프 퍼터
JP2016116842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429070Y1 (ko) 골프클럽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