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159U -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 Google Patents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159U
KR20090004159U KR2020070017551U KR20070017551U KR20090004159U KR 20090004159 U KR20090004159 U KR 20090004159U KR 2020070017551 U KR2020070017551 U KR 2020070017551U KR 20070017551 U KR20070017551 U KR 20070017551U KR 20090004159 U KR20090004159 U KR 20090004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ing
wood
rail groov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995Y1 (ko
Inventor
김인덕
Original Assignee
김인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덕 filed Critical 김인덕
Priority to KR20070017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9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될 공간 좌, 우측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마주보고 세워져 있는 방문형성기둥과; 좌측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는 건물의 벽 하부를 형성하는 벽하부형성목재와; 방문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대응되는 문틀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벽하부형성목재에 고정되는 레일홈형성문틀과; 방문형성기둥에 형성된 기둥레일홈과 레일홈형성문틀에 형성된 문틀레일홈에 삽입되어 건물의 벽 중앙부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벽중앙형성목재와; 좌측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건물의 벽 상부를 형성하되 상단부 위쪽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형성하여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벽상부형성목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목조건물은, 방문이 설치되는 벽을 이루는 각각의 목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비틀림이 방지되며, 방문의 개폐가 항상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목조, 건물, 방문, 설치, 벽, 비틀림, 방지

Description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THE WOODEN BUILDING PERVENTING TORSION OF THE WOODEN WALL WITH THE DOOR AND WINDOW}
본 고안은 목재를 주로 사용하여 시공된 목조 건물에 관한 것이다.
건강을 위해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에 관심을 갖게 되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목조 건물이 크게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목조 건물은 기둥과 벽 그리고 천정 등 건물을 이루는 주요 구성부가 목재를 주로 사용하여 시공된 것인데 기존에는 다수 개의 통나무를 깍아서 맞추고 움직이지 않게 대못을 박아 다수 개의 통나무를 고정하는 시공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나무는 팽창과 수축을 하게 되고 서서히 틀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대못 등으로 박아서 시공하는 기존의 시공방법은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이 단열성이 취약하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 특허공보 제92-0004985호(목조 건축물 내, 외벽의 축조방법과 그 조립식 목재블럭)와 한국 특허공보 제10-2005-0105090호(목조건물의 벽체 조립구조) 등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시공된 벽이 뒤틀리는 것을 다소 개선한 것일 뿐이어서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물의 벽 등을 시공할 때 통나무 블럭들이 정확하게 가공되지 못한 경우 수차례에 걸쳐 현장에서 맞춤가공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설사 통나무 블럭들이 정확한 수치로 가공되었더라도 시공에 사용되기까지 보관되는 과정에서 수축이나 팽창되어 크기에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건물의 시공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한국 특허등록 제10-0694665호(목재 벽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된 목조 건축물)가 본 출원의 고안자에 의해 안출되었다.
상기 기술은 벽을 이루는 목재가 팽창이나 수축할 때 목재가 자연스럽게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건물의 벽을 이루는 각각의 목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방문이 설치되지 않는 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방문이 설치되는 벽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방문이 설치되는 벽에 비틀림이 발생되며 방문틀의 변형이 초래되어 방문이 부드럽게 닫히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0151호에는 목조건축물의 도어 프레임 결합구조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목재의 팽창과 수축에 대해 전혀 대응할 수 없어 문틀과 문의 변형이 더욱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문이나 창문이 설치되는 벽이 목재로 이루어져 있되 목재가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각각의 목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비틀림이 방지되며, 방문이나 창문의 개폐가 항상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목조 건물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방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측면에 기둥레일홈을 갖는 방문형성기둥을 좌, 우에 설치하고 이 기둥레일홈에 벽하부형성목재를 끼운 후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는 벽 하단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문틀레일홈이 형성된 레일홈형성문틀을 고정시킨 후 벽중앙형성목재를 문틀레일홈과 레일형성문틀에 끼워 팽창과 수축에 대응하는 벽의 중앙부를 형성하고 방문형성기둥의 대응된 기둥레일홈에 벽상부형성목재를 끼워 팽창과 수축에 대응하는 벽의 상부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목재로 이루어져 있되 목재가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각각의 목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비틀림이 방지되며, 방문의 개폐가 항상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방문이 설치되는 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방문형성기둥, 벽하부형성목재, 레일홈형성문틀, 벽중앙형성목재, 벽상부형성목재를 사용하여 시공한다.
또, 방문형성기둥은,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될 공간 좌, 우측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마주보고 각각 세워져 있고, 측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길게 형성된 기둥레일홈을 갖는다.
또, 상기 벽하부형성목재는 좌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건물의 벽 하부를 형성하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 레일홈형성문틀은 안쪽에는 방문이 설치되는 방문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바깥쪽 측면에는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대응되는 문틀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하부형성목재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벽하부형성목재에 고정된다.
또, 다수 개의 벽중앙형성목재는 방문형성기둥에 형성된 기둥레일홈과 레일홈형성문틀에 형성된 문틀레일홈에 삽입되어 건물의 벽 중앙부를 형성하되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과 문틀레일홈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벽상부형성목재는 좌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건물의 벽 상부를 형성하되 하단부가 레일홈형성문틀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가 되고 상단부 위쪽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형성하여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서, 목재가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각각의 목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비틀림이 방지되며, 방문의 개폐가 항상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목조 건물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의 접촉부 사이 및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의 접촉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소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A는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의 접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B는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의 접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되는 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목재를 주로 사용하여 시공된 목조 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까지도 목재로 시공되어 있는 목조건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목재로 시공되어 있되 벽을 이루는 목재와 목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비틀림이 방지되며, 방문의 개폐가 항상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즉, 건물에 사용되는 방문은 그 특성상 측면으로부터의 외력을 받아 형태가 찌그러지는 등의 형태 변형이 발생되면 방문이 부드럽게 열고 닫히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열고 닫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에까지 이른다.
이러한 현상은 방문이 문틀에 힌지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문틀과 방문이 본래의 정확히 대응된 형상을 유지해야만 열고 닫히는 것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건물의 벽이 목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목재의 팽창과 수축이 발생되고 비틀림 현상도 발생되기 때문에 목재로 이루어진 벽에 방문을 설치하면 시간이 경과할 수록 방문의 개폐에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될 공간 좌, 우측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방문형성기둥(10)을 서로 마주보도록 세운다.
이러한 방문형성기둥(10)의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길게 기둥레일 홈(1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이 기둥레일홈(11)에 목재를 끼워 벽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좌측의 방문형성기둥과 우측의 방문형성기둥 사이에 방문이 위치되는 것이다.
본 출원의 고안자는 단순히 좌측의 방문형성기둥과 우측의 방문형성기둥 사이에 목재를 삽입하고 그 위에 문틀과 방문을 위치시키는 경우 문틀과 방문이 목재의 팽창과 수축에 영향을 받아 형태가 변형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본 출원의 고안자는 문틀과 방문이 목재의 팽창이나 수축시에 움직이지 않아야 문틀과 방문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고안에서는, 벽하부형성목재(20)를 좌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10)의 기둥레일홈(11)과 우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10)의 기둥레일홈(11)에 끼워 건물의 벽 하부를 형성하되 움직이지 않도록 벽하부형성목재(20)를 고정한다.
또, 안쪽에 방문이 설치되는 방문설치공간(31)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형성문틀(30)을 상기 벽하부형성목재(20) 위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벽하부형성목재(2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도 3과 같이 앵커볼트(anchor bolt)(2)를 통해 콘크리트 바닥(1)에 고정하는 방법과 방문형성기둥(10)에 나사못 등을 박아 고정하는 방법(도시하지 않음) 등이 있다.
또, 레일홈형성문틀(30)을 벽하부형성목재(20)에 고정하는 방법은 도 3과 같 이 나사못(3) 등을 박아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레일홈형성문틀(30)의 바깥쪽 측면에는 방문형성기둥(10)의 기둥레일홈(11)에 대응되는 문틀레일홈(3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는 방문형성기둥(10)에 형성된 기둥레일홈(11)과 레일홈형성문틀(30)에 형성된 문틀레일홈(31)에 벽중앙형성목재(40)를 삽입하여 건물의 벽 중앙부를 형성하되 벽중앙형성목재(40)가 팽창이나 수축될 경우 기둥레일홈(11)과 문틀레일홈(31)을 따라 벽중앙형성목재(40)가 상, 하 이동되어 팽창 및 수축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벽중앙형성목재(40)가 비틀어질 경우 레일홈형성문틀(30)에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에 벽중앙형성목재(40)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수 개의 벽중앙형성목재(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중앙형성목재(40)를 문틀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까지 쌓은 후 그 위에 벽상부형성목재(50)를 위치시켜 건물의 벽 상부를 형성한다.
이때 좌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10)의 기둥레일홈(11)과 우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10)의 기둥레일홈(11)에 벽상부형성목재(50)가 끼워져 건물의 벽 상부를 형성함으로써 비틀림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벽상부형성목재(50)의 하단부가 레일홈형성문틀(3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가 되고 상단부 위쪽에 공간(60)이 존재하도록 하여 벽상부형성목재(50)와 벽중앙형성목재(40)가 팽창 및 수축될 경우 기둥레일홈(11)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재질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레일홈형성문틀(30)은 벽중앙형성목재(40)나 벽상부형성목재(50)의 팽창 및 수축에 비하여 미미한 정도의 팽창 및 수축만이 이루어지거나 팽창 및 수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벽상부형성목재(50)가 단순히 레일홈형성문틀(30) 위에 올려진 구조에서는 레일홈형성문틀(30)과 벽상부형성목재(5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벽상부형성목재(50)와 벽중앙형성목재(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벽중앙형성목재(40)가 수축되었을 때 벽상부형성목재(50)가 벽중앙형성목재(4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야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벽상부형성목재(50)는 레일홈형성문틀(30)에 걸려 하강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벽중앙형성목재(40)가 크게 수축될 때 벽상부형송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 벽중앙형성목재(40)가 팽창되면 벽상부형성목재(50)를 밀어올리기 때문에 벽상부형성목재(50)와 레일홈형성문틀(3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레일홈형성문틀(30)의 상단부에는 목재삽입홈(70)을 길게 형성하고 벽상부형성목재(50)의 하부가 목재삽입홈(70)에 삽입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벽상부형성목재(50)가 목재삽입홈(70)의 중간 부근에 삽입되어 있어 벽중앙형성목재(40)가 수축될 경우 목재삽입홈의 하부로 이동되어 대응되고, 벽중앙형성목재(40)가 팽창될 경우 목재삽입홈(70)의 상부로 이동되어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재삽입홈(70)을 형성할 경우 다수 개의 벽중앙형성목재(40) 중 최상단부에 위치되는 벽중앙형성목재(40)의 상단부가 레일홈형성문틀(30)의 상단부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레일홈형성문틀(30)의 하단부에도 목재삽입홈을 길게 형성하여 벽하부형성목재(20)의 상부가 목재삽입홈에 삽입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레일홈형성문틀(30)이 벽하부형성목재(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더욱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관통된 홀(80)을 형성하고, 이 홀(80)에 철재 봉(85)을 삽입하여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가 하나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가 휘거나 틀어지는 것이 더욱 방지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의 접촉부 사이 및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의 접촉부 사이를 통해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구조로서는 도 4와 같은 형태가 있다.
도 4의 A에서는 벽하부형성목재(20)의 상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고 벽중앙형성목재(40)의 하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어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의 접촉부 측면에 외기차단홈(9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벽중앙형성목재(40)의 상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고 벽상부형성목재(50)의 하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어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의 접촉부 측면에 외기차단홈(91)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외기차단홈(90, 91)은 실리콘(95)으로 채우져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의 접촉부 사이 및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의 접촉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소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도 4에서와 같이 홈과 돌기를 사용한 구조가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간의 접촉부 및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 간의 접촉부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돌기(92)가 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홈(93)에 삽입된 형상을 갖는다.
또, 돌기(92)가 홈(93)에 삽입될 때 실리콘이 도포된 후 삽입되어 벽하부형성목재(20)와 벽중앙형성목재(40) 간의 접촉부 및 벽중앙형성목재(40)와 벽상부형성목재(50) 간의 접촉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소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돌기(92)와 홈(93)을 갖는 구조보다는 차단홈(90, 91)을 갖는 구조가 시공이 간편하고, 이를 혼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레일홈형성문틀(30)에 방문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힌지 등을 통해 직접 설치할 수도 있고, 별도의 문틀을 레일홈형성문틀(30)에 설치하고, 이 별도의 문틀에 방문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목조 건물에도 창문이 설치되는데 창문이 설치되는 벽도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의 시공방법에서와 같이 창문이 설치되는 벽도 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창문은 벽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이고 크기가 작으며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 5 및 도 6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더라도 창문의 개폐에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창문형성기둥(100), 다수 개의 창문벽하부형성목재(110), 레일홈형성창틀(120), 다수 개의 창문벽중앙형성목재(130), 창문벽상부형성목재(140)를 통해 창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되어 있다.
도 5의 창문형성기둥(100)은 창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될 공간 좌, 우측 바닥에서 각각 상부를 향해 세워져 있고, 측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길게 형성된 기둥레일홈(101)을 가지고 있다.
또, 창문벽하부형성목재(110)는 좌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100)의 기둥레일홈(101)과 우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100)의 기둥레일홈(101)에 끼워져 건물의 벽 하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레일홈형성창틀(120)은 안쪽에 창문이 설치되는 창문설치공간(121)이 형성되어 있고, 바깥쪽 측면에는 창문형성기둥(100)의 기둥레일홈(101)에 대응되는 창틀레일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창문벽하부형성목재(110) 위에 위치되어 있다.
또, 창문벽중앙형성목재(40)는 창문형성기둥(100)에 형성된 기둥레일홈(101)과 레일홈형성창틀(120)에 형성된 창틀레일홈(122)에 삽입되어 건물의 벽 중앙부를 형성하되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101)과 창틀레일홈(122)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창문벽상부형성목재(140)는 좌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100)의 기둥레일홈(101)과 우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100)의 기둥레일홈(101)에 끼워져 건물의 벽 상부를 형성하되 하단부가 레일홈형성창틀(12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가 되고 상단부 위쪽에 공간(도시하지 않음, 도면부호 60과 같은 형태임)이 존재하도록 형성하여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101)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레일홈형성창틀(120)이 창문벽하부형성목재(110), 창문벽중앙형성목재(130), 창문벽상부형성목재(140)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창틀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레일홈형성창틀(120)의 상단부에 목재삽입홈(123)을 길게 형성하고 하단부에도 목재삽입홈을 길게 형성하여 창문벽하부형성목재(110)의 상부와 창문벽상부형성목재(140)의 하부가 목재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레일홈형성창틀(120)의 상, 하, 좌, 우가 고정됨으로써 레일홈형성창틀(120)이 실내 방향이나 실외 방향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을 방지해야 형태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레일홈형성창틀(120)에 창문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직접 설치할 수도 있고, 별도의 창틀을 레일홈형성창틀(120)에 설치한 후 이 별도의 창틀에 창문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150은 지붕을 설치하기 위한 목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둥레일홈을 갖는 방문형성기둥을 좌, 우에 설치하고 이 기둥레일홈에 벽하부형성목재를 끼운 후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는 벽하단부를 형성하며, 그 위에 레일홈형성문틀을 고정시킨 후 벽중앙형성목재를 문틀레일홈과 레일형성문틀에 끼워 팽창과 수축에 대응하는 벽의 중앙부를 형성하고 방문형성기둥의 대응된 기둥레일홈에 벽상부형성목재를 끼워 팽창과 수축에 대응하는 벽의 상부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방문이나 창문 설치되는 벽이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목재가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각각의 목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비틀림이 방지되고, 문틀 및 방문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 방문이나 창문의 개폐가 항상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의 접촉부 사이 및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의 접촉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소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A :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의 접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B :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의 접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되는 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닥 2. 앵커볼트
3. 나사못 10. 방문형성기둥
11. 기둥레일홈 20. 벽하부형성목재
30. 레일홈형성문틀 31. 방문설치공간
32. 문틀레일홈 40. 벽중앙형성목재
50. 벽상부형성목재 60. 공간
70. 목재삽입홈 80. 홀
85. 철재 봉 90, 91. 외기차단홈
92. 돌기 93. 홈
95. 실리콘 100. 창문형성기둥
101. 기둥레일홈 110. 창문벽하부형성목재
111. 창문설치공간 120. 레일홈형성창틀
121. 창틀레일홈 122. 목재삽입홈
130. 창문벽중앙형성목재 140. 창문벽상부형성목재
150. 지붕을 설치하기 위한 목재

Claims (6)

  1. 목조 건물에 있어서,
    방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될 공간 좌, 우측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마주보고 세워져 있고, 측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길게 형성된 기둥레일홈을 갖는 각각의 방문형성기둥과;
    좌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건물의 벽 하부를 형성하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벽하부형성목재와;
    안쪽에는 방문이 설치되는 방문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바깥쪽 측면에는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대응되는 문틀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하부형성목재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벽하부형성목재에 고정되는 레일홈형성문틀과;
    상기 방문형성기둥에 형성된 기둥레일홈과 레일홈형성문틀에 형성된 문틀레일홈에 삽입되어 건물의 벽 중앙부를 형성하되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과 문틀레일홈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다수 개의 벽중앙형성목재와;
    좌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에 위치된 방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건물의 벽 상부를 형성하되 하단부가 레일홈형성문틀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가 되고 상단부 위쪽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형성하여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벽상부형성목재;를 통해 방문이 설치되는 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 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형성문틀의 상단부에는 목재삽입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벽상부형성목재의 하부가 목재삽입홈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에 철재 봉이 삽입되어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가 휘거나 틀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하부형성목재의 상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고 벽중앙형성목재의 하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어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의 접촉부 측면에는 외기차단홈이 형성되며,
    상기 벽중앙형성목재의 상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고 벽상부형성목재의 하부 모서리가 내측으로 절삭되어 있어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의 접촉부 측면에는 외기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외기차단홈은 실린콘으로 채우져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의 접촉부 사이 및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의 접촉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소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 간의 접촉부 및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 간의 접촉부는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 돌기가 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홈에 삽입된 형상을 갖고, 돌기가 홈에 삽입될 때 실리콘이 도포된 후 삽입되어 벽하부형성목재와 벽중앙형성목재 간의 접촉부 및 벽중앙형성목재와 벽상부형성목재 간의 접촉부 사이를 통해 공기가 소통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문이 설치되는 벽이 시공될 공간 좌, 우측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세워져 있고, 측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길게 형성된 기둥레일홈을 갖는 복수 개의 창문형성기둥과;
    좌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건물의 벽 하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창문벽하부형성목재와;
    안쪽에는 창문이 설치되는 창문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바깥쪽 측면에는 창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대응되는 창틀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목재삽입홈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의 목재삽입홈에 상기 창문벽하부형성목재가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위치되어 있는 레일홈형성창틀과;
    상기 창문형성기둥에 형성된 기둥레일홈과 레일홈형성창틀에 형성된 창틀레일홈에 삽입되어 건물의 벽 중앙부를 형성하되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과 창틀레일홈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다수 개의 창문벽중앙형성목재와;
    좌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과 우측에 위치된 창문형성기둥의 기둥레일홈에 끼워져 건물의 벽 상부를 형성하되 하단부가 레일홈형성창틀의 상단부에 형성된 목재삽입홈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상단부 위쪽에 공간이 존재하도록 형성하여 수축이나 팽창될 경우 기둥레일홈을 따라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창문벽상부형성목재;를 통해 창문이 설치되는 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KR20070017551U 2007-10-30 2007-10-30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KR200446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551U KR200446995Y1 (ko) 2007-10-30 2007-10-30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551U KR200446995Y1 (ko) 2007-10-30 2007-10-30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59U true KR20090004159U (ko) 2009-05-07
KR200446995Y1 KR200446995Y1 (ko) 2009-12-17

Family

ID=4129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7551U KR200446995Y1 (ko) 2007-10-30 2007-10-30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6837A1 (zh) * 2015-05-06 2016-11-10 冯菊英 一种建筑结构、建筑及暖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408A (ko) * 2003-11-25 2005-05-31 한국목재산업 (주) 로그하우스의 벽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6837A1 (zh) * 2015-05-06 2016-11-10 冯菊英 一种建筑结构、建筑及暖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95Y1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4386B1 (de) Modulhaus
US9702147B2 (en) Panels for framing and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8495843B1 (en) Buck system
KR200446995Y1 (ko) 방문 및 창문이 설치된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JP2007162354A (ja) 既設建築物の補強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補強された建築物
RU2323318C1 (ru) Окно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JPS61179945A (ja) 組立家屋
KR101312013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49318B1 (ko) 분리형 이중창호
KR102172592B1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100638804B1 (ko) 건축물의 창문틀 고정구조물
KR20110001739U (ko) 벽의 비틀림이 방지되는 목조 건물.
US3380188A (en) Construction kit including wall, roof, beam and floor elements
RU88696U1 (ru) Деревянный брус для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KR100919284B1 (ko) 창틀배수장치를 이용한 창틀시공방법
KR100496426B1 (ko) 건축물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200413148Y1 (ko) 상하이동으로모든출입문이개폐되는건물
KR100694665B1 (ko) 목재 벽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된 목조 건축물
JP2002256636A (ja) 軸組建築物の集成材真壁パネル構造
CN219138876U (zh) 建筑工程用钢结构装配式建筑
KR102659857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2642240B1 (ko) 이중 단열 복합창
JP7266726B1 (ja) 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