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02U - 부스트 컨버터회로 - Google Patents

부스트 컨버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02U
KR20090004002U KR2020070017304U KR20070017304U KR20090004002U KR 20090004002 U KR20090004002 U KR 20090004002U KR 2020070017304 U KR2020070017304 U KR 2020070017304U KR 20070017304 U KR20070017304 U KR 20070017304U KR 20090004002 U KR20090004002 U KR 200900040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pple
output
input
prevention diode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002U/ko
Publication of KR20090004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스트 컨버터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고, 입력단의 리플을 제거하는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 입력되는 상기 전원을 소정레벨로 승압하는 리액터; 상기 리액터에 직렬 연결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에 연결된 램프;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과, 상기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출력단의 리플을 전달하는 AC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리액터와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FET를 포함한다.
Figure P2020070017304
LCD, 램프, 부스트 컨버터, 리플

Description

부스트 컨버터회로{Boost converter circuit}
도 1은 종래의 부스트 컨버터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트 컨버터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INPUT: 입력단 OUTPUT: 출력단
C1: 입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 D1: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C3: AC 필터 커패시터 L1: 리액터
LED: 램프 Q1: 스위칭 FET
본 고안은 부스트 컨버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디스플레이장치에서 LED를 이용하여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백 라이트유닛(BLU)에서는 LED를 구동하기 위한 부스트 컨버터회로(Boost converter circuit)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부스트 컨버터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INPUT)에는 입력단의 리플을 제거하는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1)가 병렬 연결되고,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레벨로 승압하는 리액터(L1)가 직렬 연결된다.
또한, 리액터(L1)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1)의 출력은 램프(LED)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오드(D1)와 상기 램프(LED) 사이에는 출력단(OUTPUT)의 리플을 제거하는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2)가 병렬 연결된다.
또한, 리액터(L1)와 다이오드(D1) 사이에는 램프(LED)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FET(Q1)가 병렬 연결된다.
즉, 입력되는 전원의 리플성분은 입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1)에 의해 제거되고, 리플이 제거된 전원은 리액터(L1)에 의해 소정레벨로 승압된다.
이때, 스위칭 FET(Q1)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승압된 전원이 램프(LED)에 공급되는 것이 스위칭되는데, 스위칭 FET(Q1)의 고속 스위칭에 의해 상기 승압된 전원에는 리플성분이 포함된다. 승압된 전원은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를 거쳐 출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2)에 의해 리플성분이 제거되고, 안정된 DC 전원 만이 램프(LED)에 공급된다.
여기서, 종래의 부스트 컨버터회로에서는 출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2)의 용량을 결정함에 있어서,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계산에 따른다.
Figure 112007076576710-UTM00001
이때, D는 듀티비,
Ts는 스위칭시간(=1/fs),
Vo는 출력전압,
R은 부하,
Δvo는 리플전압이다.
이와 같이 출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2)의 용량은 출력전압의 레벨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통상의 부스트 컨버터회로에서는 입력단(INPUT)의 전압보다 출력단(OUTPUT)의 전압이 높고, 이에 따라 출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2)의 용량이 커지게 된다.
커패시터는 용량 값과 비례하여 크기가 커지고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부스트 컨버터회로에 적용되는 출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를 사용할 경우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고, 부품의 슬림화를 구현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부품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고, 입력단의 리플을 제거하는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 입력되는 상기 전원을 소정레벨로 승압하는 리액터; 상기 리액터에 직렬 연결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에 연결된 램프;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과, 상기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출력단의 리플을 전달하는 AC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리액터와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FET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트 컨버터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INPUT)에는 입력단의 리플을 제거하는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1)가 병렬 연결되고,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레벨로 승압하는 리액터(L1)가 직렬 연결된다.
또한, 리액터(L1)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1)의 출력은 램프(LED)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오드(D1)와 상기 램프(LED) 사이에는 출력단의 리플을 전달하는 AC 필터 커패시터(C3)가 입력단(INPUT) 및 입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1)와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리액터(L1)와 다이오드(D1) 사이에는 램프(LED)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FET(Q1)가 병렬 연결된다.
즉, 입력되는 전원의 리플성분은 입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1)에 의해 제거되고, 리플이 제거된 전원은 리액터(L1)에 의해 소정레벨로 승압된다.
이때, 스위칭 FET(Q1)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승압된 전원이 램프(LED)에 공급되는 것이 스위칭되는데, 스위칭 FET(Q1)의 고속 스위칭에 의해 상기 승압된 전원에는 리플성분이 포함된다. 승압된 전원은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1)를 거쳐 AC 필터 커패시터(C3)에 전달되는데, AC 필터 커패시터(C3)는 DC 성분은 차단하고, 리플성분에 해당하는 AC 성분만을 입력단(INPUT)측으로 귀환시키고, 입력단(INPUT)으로 귀환된 리플성분은 입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C1)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램프(LED)에는 안정된 DC 전원만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AC 필터 커패시터(C3)는 리플성분을 패스시키는 역할만 담당하므로 0.1~1㎌ 정도의 낮은 출력 내압을 허용하는 부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관해 설명 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은 출력단으로 전달되는 승압 전원의 리플성분을 입력단으로 패스시키고, 입력단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단의 리플성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출력단의 커패시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가격을 절감하고, 부품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Claims (2)

  1.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고, 입력단의 리플을 제거하는 리플 제거용 커패시터;
    입력되는 상기 전원을 소정레벨로 승압하는 리액터;
    상기 리액터에 직렬 연결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에 연결된 램프;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과, 상기 입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출력단의 리플을 전달하는 AC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리액터와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FET를 포함하는 부스트 컨버터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 필터 커패시터는
    상기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출력과, 상기 입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컨버터회로.
KR2020070017304U 2007-10-25 2007-10-25 부스트 컨버터회로 KR200900040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304U KR20090004002U (ko) 2007-10-25 2007-10-25 부스트 컨버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304U KR20090004002U (ko) 2007-10-25 2007-10-25 부스트 컨버터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02U true KR20090004002U (ko) 2009-04-29

Family

ID=4128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304U KR20090004002U (ko) 2007-10-25 2007-10-25 부스트 컨버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002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75A (ko) * 2017-04-25 2018-11-02 한국과학기술원 높은 전압 비율을 가지는 부스트 컨버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892626A (zh) * 2017-04-03 2020-03-17 韩国科学技术院 多路径转换器及其控制方法
KR102220077B1 (ko) 2019-10-08 2021-0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위칭 전력 손실 저감을 위한 고효율 dc-dc컨버터
KR20210054181A (ko) 2019-11-05 2021-05-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위칭 전력 손실을 개선한 dc-dc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US11682970B2 (en) 2017-04-03 2023-06-2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path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2626A (zh) * 2017-04-03 2020-03-17 韩国科学技术院 多路径转换器及其控制方法
US11398779B2 (en) 2017-04-03 2022-07-26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path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682970B2 (en) 2017-04-03 2023-06-2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path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80119275A (ko) * 2017-04-25 2018-11-02 한국과학기술원 높은 전압 비율을 가지는 부스트 컨버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0077B1 (ko) 2019-10-08 2021-0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위칭 전력 손실 저감을 위한 고효율 dc-dc컨버터
KR20210054181A (ko) 2019-11-05 2021-05-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위칭 전력 손실을 개선한 dc-dc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8521C2 (ru) Схема источник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TW200640115A (en) Non-isolated DC/AC converter
KR20090004002U (ko) 부스트 컨버터회로
WO2005015718A3 (en) A circuit for maintaining hold-up time while reducing bulk capacitor size and improving efficiency in a power supply
WO2007018089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707479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318766A5 (ko)
CN102290992A (zh) 直流-直流升压转换器电路及其驱动方法
EP2568565A3 (en) Mobile terminal and power management unit thereof
JP2008109843A (ja) 回路装置
CN105991033B (zh) 输入侧不采用电解电容器的电源转换器
TW200616320A (en) DC/AC conveter
US9332602B2 (en) LED driver with transformerless hysteretic boost
KR101933823B1 (ko) 복수의 컨버터가 내장된 전원공급 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CN102904453A (zh) 一种用于igbt的驱动电源
KR20120010483A (ko) 엘이디 조명등 모듈
TWM427675U (en) LED driving circuits
KR20080008759A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공진 승압형 컨버터
CN205453496U (zh) 一种贴片机设备的电源电路
CN102024434B (zh) 一种tft-lcd驱动电源及偏压电路
JP5293312B2 (ja) 電源装置
TW200707883A (en) Charge pump for bus-powered device
CN204013223U (zh) 具有二次升压电路的电源供应装置
EP2058931A2 (en) Power supply circuit
KR20100007171A (ko) 차지 펌프를 이용한 직류 전압 분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