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57A -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 Google Patents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57A
KR20090003957A KR1020070067801A KR20070067801A KR20090003957A KR 20090003957 A KR20090003957 A KR 20090003957A KR 1020070067801 A KR1020070067801 A KR 1020070067801A KR 20070067801 A KR20070067801 A KR 20070067801A KR 20090003957 A KR20090003957 A KR 2009000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basic words
pictures
english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주)브릿지북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릿지북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브릿지북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6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57A/ko
Publication of KR2009000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언어 학습지는 영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본 단어들이 기재되는 전제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제1그림과, 상기 각각의 제1그림에 대한 설명이 상기 영어로 이루어진 각각의 기본 단어를 연상시키는 한국어로 기재되는 숙지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의 학습을 위한 다수의 제2그림과, 상기 다수의 영어의 기본 단어가 각각 포함되는 다수의 문구를 구비하는 심화부; 및 상기 언어 학습자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를 이용하여, 서로 연계되는 다수의 제3그림이 도시되며, 상기 다수의 제3그림에 대한 설명을 기재하도록 형성되는 활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따르면, 어린이 즉 언어 학습자가 그림과 기본 단어를 연계시키는 연상작용에 의해 외국어를 학습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반복학습에 의한 단순암기보다 짧은 시간내에 탁월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BOOK FOR STUDYING LANGUAGE BY ASSOCIATION AND LANGUAGE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의 전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의 숙지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의 심화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의 활용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영어와 같은 외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외국어의 조기 교육에 대한 인식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와 같은 언어 학습자의 언어 교육을 위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기존의 언어 학습지에서는 학습자들이 학습할 단어 또는 문장 등이 기재되며, 선생님이 학습지에 기재되어 있는 단어를 일회적으로 어린이들에게 설명하는 방법을 통해 어린이에게 언어를 교육하고 있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선생님이 설명한 내용에 대해 쓰기, 읽기 등을 반복함으로써, 단어나 문장을 암기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언어 학습지 및 언어 교육방법은, 단순한 반복학습에 의한 암기이므로, 학습과정이 어렵고, 학습이 끝난 후,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쉽게 잊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언어학습의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어학습의 효율이 높은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언어 학습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언어 학습지는 영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본 단어들이 기재되는 전제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제1그림과, 상기 각각의 제1그림에 대한 설명이 상기 영어로 이루어진 각각의 기본 단어를 연상시키는 한국어로 기재되는 숙지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의 학습을 위한 다수의 제2그림과, 상기 다수의 영어의 기본 단어가 각각 포함되는 다수의 문구를 구비하는 심화부; 및 상기 언어 학습자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를 이용하여, 서로 연계되는 다수의 제3그림이 도시되며, 상기 다수의 제3그림에 대한 설명을 기재하도록 형성되는 활용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언어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언어교육방법은 영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다수의 제1 그림 및 상기 각각의 기본단어를 연상시키는 한국어를 이용하여 습득시키는 A)단계; 언어학습자에게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제2 그림 및 소정의 문구를 통해 상기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이용하여 의미구를 구성하는 B)단계; 및 상기 언어학습자가 소정의 제3 그림을 보고 설명하도록 유도하면서, 상기 설명에서의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을 사용하여 문장을 창조시키는 C)단계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일면은 언어 교육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언어 교육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영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다수의 제1 그림 및 상기 각각의 기본단어를 연상시키는 한국어를 이용하여 습득시키는 A)모듈; 언어학습자에게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제2 그림 및 소정의 문구를 통해 상기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이용하여 의미구를 구성하는 B)모듈; 및 상기 언어학습자가 소정의 제3 그림을 보고 설명하도록 유도하면서, 상기 설명에서의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을 사용하여 문장을 창조시키는 C)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된다. 그러나,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언어 학습자는 한국어(Korean)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이이며, 상기 어린이가 학습하고자하는 언어는 영어(English)의 전치사(Preposition)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는 전제부(10), 숙지부(20), 심화부(30) 및 활용부(4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제부(10)에는 다수의 전치사(즉, "after", "under", "about", "from", "between", "by", "for")가 어린이들에게 교육될 기본 단어로서 기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숙지부(20)는 전제부(10)에 기재된 다수의 전치사 즉 기본 단어들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그림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림은 전치사 "between"에 대응하는 그림으로, 가냘픈 사람이 빗줄기 사이로 걸어다니는 장면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학습지를 이용하여 선생님에게 교육받는 어린이는 제1그림을 전치사 "between"과 연상시켜 기억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심화부(30)에는 전제부(10)에 기재된 다수의 전치사 및 각 전치사를 설명하기 위한 다수의 제2그림(32)과, 상기 다수의 전치사가 각각 포함되는 다수의 문구(구(Phrase)또는 절(Clause))(3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심화부(30)는 어린이가 전제부(10) 및 숙지부(20)에서 학습한 전치사의 사용을 스스로 연습할 수 있도록한다.
상기 활용부(40)는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도록 연속되는 다수의 제3그림을 구비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3그림은 보안관이 수풀 사이에 은폐하고 있다가, 현상범을 잡는 장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선생님은 어린이에게 제3그림을 보고 자유롭게 설명하도록 유도하면서, 상기 "수풀 사이"를 영어로 번역할 경우 사용되는 전치사 "between"을 설명한다. 이때, 어린이는 자신의 그림 설명과 함 께 선생님의 교육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린이는 학습한 전치사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함으로써, 영어 문장에서 전치사의 역할과 활용법을 체득하여 스스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언어 학습지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은, 먼저, 선생님이 전제부(10)에 기재되어 있는 다수의 전치사에 대하여 어린이에게 설명한다.
그런 다음, 선생님은 숙지부(20)의 제1그림을 상기 제1그림에 대응하는 전치사와 연계시켜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어린이는 각각의 전치사를 그에 대응하는 제1그림 및 상기 제1그림에 대한 설명을 연계시켜 기억하게 된다.
이어, 선생님은 어린이가 심화부(30)의 제2그림 및 문구를 통해 배운 전치사를 스스로 연습하게 한다.
그리고, 선생님은 어린이가 활용부(40)의 제3그림을 설명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어린이 스스로 상기한 다수의 전치사로 영어문장을 창조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게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언어 학습지 및 교육 방법을 통해 제2외국어를 학습하는 어린이는 다수의 전치사와 상기 전치사 각각에 대응하는 그림 및 설명을 연계시켜 그림을 보는 즉시 기억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단순암기에 의한 학습보다 습득속도가 월등히 빠르며, 보다 오랜 기간 동안 학습내용을 기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언어 학습지 및 교육방법이 어린이에게 전치사를 교육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 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언어 학습지 및 교육 방법을 이용하여 대명사 및 접두어를 설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파리떼가 그려진 부분을 이용하여 한국어의 "떼"와 발음이 유사한 영어의 복수를 나타내는 대명사 "They"의 뜻을 설명하므로써, 어린이가 파리떼와 "They"를 연계시켜 기억하도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린이가 영어의 "They"를 보면, 한국어의 무리를 나타내는 "떼"를 연상시키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They"의 음과 뜻을 기억해내게 된다. 또한, 접두어 "un-"을 설명할 경우, 매우 즐거운 것처럼 보이는 동물의 그림과 우울한 것처럼 보이는 동물의 그림을 보고, 매우 즐거운 것처럼 보이는 동물에 대해 설명하면서 "happy"의 뜻과 음을 설명하고, 우울한 것처럼 보이는(즉, 않happy해 보이는) 동물에 대해 한국어의 부정접두어 "않"과 영어의 부정접두어 "un-"의 유사성을 제시하여 "unhappy"를 설명하므로써, 접두어 "un"의 뜻과 음을 그림과 한국어에 연계시켜 교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마치 어린이 즉 학습자가 학습할 사항을 이미 알고 있는 사항인 것처럼 인식하도록하는 것으로, 낯선 규칙을 암기해야한다는 부담감을 없애고 학습효율을 높여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학습지와 같이 교육내용이 인쇄되어 있는 형태의 교재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지는 외국어의 기본 글자에 대한 교육내용이 AV(Audio-Visual)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음성 및 동영상으로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테이프, 씨디 타이틀(CD title) 등과 같은 기록매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따르면, 어린이 즉 언어 학습자가 그림과 기본 단어를 연계시키는 연상작용에 의해 외국어를 학습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반복학습에 의한 단순암기보다 짧은 시간내에 탁월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언어 학습지에 있어서,
    영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본 단어들이 기재되는 전제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제1그림과, 상기 각각의 제1그림에 대한 설명이 상기 영어로 이루어진 각각의 기본 단어를 연상시키는 한국어로 기재되는 숙지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의 학습을 위한 다수의 제2그림과, 상기 다수의 영어의 기본 단어가 각각 포함되는 다수의 문구를 구비하는 심화부; 및
    상기 언어 학습자가 상기 영어의 기본 단어를 이용하여, 서로 연계되는 다수의 제3그림이 도시되며, 상기 다수의 제3그림에 대한 설명을 기재하도록 형성되는 활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지.
  2. 언어교육방법에 있어서,
    영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다수의 제1 그림 및 상기 각각의 기본단어를 연상시키는 한국어를 이용하여 습득시키는 A)단계;
    언어학습자에게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제2 그림 및 소정의 문구를 통해 상기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이용하여 의미구를 구성하는 B) 단계; 및
    상기 언어학습자가 소정의 제3 그림을 보고 설명하도록 유도하면서, 상기 설명에서의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을 사용하여 문장을 창조시키는 C)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교육방법.
  3. 언어 교육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영어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다수의 제1 그림 및 상기 각각의 기본단어를 연상시키는 한국어를 이용하여 습득시키는 A)모듈;
    언어학습자에게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제2 그림 및 소정의 문구를 통해 상기 다수의 기본단어들을 이용하여 의미구를 구성하는 B)모듈; 및
    상기 언어학습자가 소정의 제3 그림을 보고 설명하도록 유도하면서, 상기 설명에서의 상기 다수의 기본 단어들을 사용하여 문장을 창조시키는 C)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이 음성/영상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가능하도록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67801A 2007-07-06 2007-07-06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KR20090003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801A KR20090003957A (ko) 2007-07-06 2007-07-06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801A KR20090003957A (ko) 2007-07-06 2007-07-06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57A true KR20090003957A (ko) 2009-01-12

Family

ID=4048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801A KR20090003957A (ko) 2007-07-06 2007-07-06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48B1 (ko) * 2013-05-27 2014-04-15 (주)한교연 문답식 단어 연상기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48B1 (ko) * 2013-05-27 2014-04-15 (주)한교연 문답식 단어 연상기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ms et al. Building literacy with English language learners: Insights from linguistics
Piske et al. Input matters in SLA
Lewis How to study foreign languages
Mahmudah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their vocabulary mastery
Blachowicz et al. Teaching academic vocabulary K-8: Effective practices across the curriculum
Hollingsworth et al. Explicit direct instruction for English learners
Iscan Using Films in Vocabulary Teaching of Turkish as a Foreign Language.
Abdalrahman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through short stories
Falsgraf et al. Implicit culture in Japanese immersion classroom discourse
Olmanson et al. The challenge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Leveraging multimodality in overcoming a centuries-old problem
Lee et al. The Routledge advanced Chinese multimedia course: Crossing cultural boundaries
Slater et al. Spoken parentheticals in instructional discourse in STEM and non-STEM disciplines
Sukristiningsih et al. EFL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Junior High Schools in Arfak Mountains Regency, West Papua
Bourget Case study: An evalu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in Upriver Halq’eméylem language programs
Liashuk Informal language learning through interactive social media tools: current trends and practices
KR20090003957A (ko)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Fikri et al. Upgrading Students’ Vocabulary through English Movie in Indonesian Context
Murray Inclusion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ELT coursebooks
Shi Textual appropriation in two discipline-specific undergraduate writings.
Dooner The magic and mystery of learning to read: A practical approach to implementing phonics in the classroom
Ennis Language revitalization and multimodality
Xia Exploring English Vocabulary Memorization Strategie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KR20020031992A (ko)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Anil Techno Task: A Step Ahead in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t Elementary Level
Gammon Illustrating Phrasal Verbs: a Visual Translation of Cognitive Linguistic Research for the Class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