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825A -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825A
KR20090003825A KR1020070066841A KR20070066841A KR20090003825A KR 20090003825 A KR20090003825 A KR 20090003825A KR 1020070066841 A KR1020070066841 A KR 1020070066841A KR 20070066841 A KR20070066841 A KR 20070066841A KR 20090003825 A KR20090003825 A KR 20090003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terminal
battery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1151B1 (en
Inventor
권기환
이학준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6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151B1/en
Publication of KR2009000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An anod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to connect at least two secondary battery cells electrically without a soldering and welding process. An anode connecting member(100) electrically connects at least two battery cells arranged in the side direction with the physical contact. The terminal connection units(100A,10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 arranged in the side direction, and comprise a terminal(152) for connecting cuicuits.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comprises (a) a connection part(110) contacted to the battery cell terminal with the predetermined width in the circumference of the outsid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shape of the battery cell terminal; (b) an elastic protrusion part(130) tapered in the middle axis direction to the main connection part to provide the flexible contact force to the battery cell; and (c) a secondary connection part(140) taper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main connection part downwardly to perform the flexible connection with the electrode terminal.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음극 접속부재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지들의 전기적 접속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이차전지 셀들을 전지팩에 장착할 때, 측면방향으로 배열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물리적 접촉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로서, 전지셀 단자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폭으로 전지셀 단자에 접촉되는 주 접속부, 전지셀에 대한 탄력적인 접지력을 제공하는 탄성 돌출부, 및 전극단자에 대한 탄력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접속부를 포함하는 구성의 단자 접속부들이 측면 배열의 전지셀 수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회로 연결용 단자부를 포함하는 접속부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member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batteries, and more particularly, when mount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in a battery pack, the two or more battery cells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physical contact method A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ain connecting portion being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terminals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 elastic protrusion providing elastic grounding force to the battery cell, and an electrod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battery cell terminal; A terminal connecting portion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to enable a flexible connec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 the side array, and provides a connection member including a circui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on one side.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이차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팩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전지 1 개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portable DVD), 소형 PC,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이차전지 팩의 사용이 요구된다.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ingle battery, or in the form of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external device used therein. For example, a smal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oper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 the output and capacity of one battery, while a medium or large siz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portable DVD, a small PC,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Large devices require the use of secondary battery packs due to power and capacity issues.

이러한 이차전지 팩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배열하여 연결한 코어 팩에 보호회로 등을 접속함으로써 제조된다. 단위전지로서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넓은 면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적층한 후 전극단자들을 버스 바 등의 접속부재에 의해 연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육면체 구조의 입체형 이차전지 팩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가 단위전지로서 유리하다.The secondary battery pack is manufactured by connecting a protection circuit or the like to a core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e arrang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In the case of using a square or pouch type battery as a unit cell, the electrodes may be connected by connecting members such as bus bars after stacking the wide surfaces to face each other. Therefor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hexahedral structure, a square or pouch type battery is advantageous as a unit cell.

반면에, 원통형 전지는 일반적으로 각형 및 파우치형 전지보다 큰 전기용량을 가지지만, 원통형 전지의 외형적 특성상 적층 구조로의 배열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이차전지 팩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선형 또는 판상형 구조일 때 각형 또는 파우치형 보다 구조적으로 잇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battery generally has a larger capacitance than the square and pouch type batteries, but due to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cylindrical battery is not easy to arrange in a laminated structure. However, when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has a linear or plate-like structure as a whole, there is a structural advantage over the square or pouch type.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 소형 PC 등의 경우에는 다수의 원통형 전지들을 직렬방식 또는 병렬 및 직렬방식으로 연결한 이차전지 팩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이차전지 팩에 사용되는 코어 팩 구조로서, 예를 들어, 2P(병렬)-3S(직렬)의 선형 구조, 2P-3S의 판상형 구조, 2P-4S의 선형 구조, 2P-4S의 판상형 구조, 1P-3S의 선형 구조, 1P-3S의 판상형 구조 등이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 notebook computer, a portable DVD, a small PC, etc., a secondary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nd in series is used. As the core pack structure used in such a secondary battery pack, for example, a linear structure of 2P (parallel) -3S (serial), a plate structure of 2P-3S, a linear structure of 2P-4S, a plate structure of 2P-4S, Linear structures of 1P-3S and plate-like structures of 1P-3S are used.

병렬방식의 연결 구조는, 전극단자들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향한 상태 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원통형 전지들을 그것의 측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접속부재로 용접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병렬방식의 원통형 전지들을 "뱅크(bank)"로 칭하기도 한다.A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is achieved by arranging two or more cylindrical cells adjacent in their lateral direction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welding them to the connecting member. Such parallel cylindrical cells are also referred to as "banks".

직렬방식의 연결구조는, 서로 반대 극성의 전극단자들을 연속되도록 둘 또는 그 이상의 원통형 전지들을 길게 배열하거나, 또는 전극단자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한 상태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원통형 전지들을 측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하여, 접속부재로 용접함으로써 달성된다.In series connection structure, two or more cylindrical cells are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while two or more cylindrical cells are arranged in a long manner so that electrode terminals of opposite polarities are continuous or the electrode terminals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welding is performed by the connecting member.

이러한 원통형 전지들의 전기적 연결에는 일반적으로 니켈 플레이트 등과 같은 얇은 접속부재(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스팟 용접을 행하고 있다.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such cylindrical cells, spot welding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a thin connecting member (for example, a metal plate) such as a nickel plate.

도 1에는 스팟 용접에 의한 전기적 연결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2P-3S의 판상형 구조의 이차전지 팩을 구성한 상태에서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그러한 2P-3S의 판상형 구조의 이차전지 팩의 결합 관계를 분해도로서 표시하였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of 2P-3S is completed in an electrical connection work by spot welding. Figure 1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of the plate-like structure of 2P-3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s an exploded view.

도 1에서와 같이,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전지들(20, 21)의 3 개의 전지 쌍들은 금속 플레이트(30)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어, 코어 팩(10)을 형성한다.As in FIG. 1, three cell pairs of cells 20, 21, each connected in parallel, ar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a metal plate 30 to form a core pack 10.

도 2에는 조립이 완성된 상태의 이차전지 팩(50)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팩 케이스는 생략하였다. 2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50 in a state where assembly is comple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ack case is omitted.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전지들(20, 21)은 금속 플레이트(30)에 연결된 양극 도선(60)과 음극 도선(70) 및 FPCB(80)를 통해 보호회로 모듈(90)에 연 결되어 있다. 금속 플레이트(30)에 대한 보호회로 모듈(90)의 전기적 연결은 주로 솔더링에 의해 달성된다.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cells 20 and 21 is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90 through the positive lead 60 and the negative lead 70 and the FPCB 80 connected to the metal plate 30. It is determined.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90 to the metal plate 30 is mainly achieved by soldering.

일반적으로, 이차전지 팩은 사용 과정에서 수많은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외부 충격, 낙하, 침상 관통, 과충전, 과전류 등과 같은 조건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리튬 이차전지 등이 단위전지로서 사용되므로, 이러한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호회로 모듈 등의 안전소자가 부가되어 있다. 상기 안전소자는 이차전지 팩의 해당 단자 접속부위에서 전압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소정의 안전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팩의 안전성을 담보한다. 따라서, 당해 부위의 접속상태가 가변적인 경우, 예를 들어, 진동 등에 의해 단자 접속부위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경우, 검출 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안전소자는 소망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차전지 팩에서 전지셀과 보호회로 간의 전기적 접속은 솔더링 등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secondary battery pack repeatedly performs a lot of charging and discharging during the use proc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ing a safety problem under conditions such as external shock, dropping, bed penetration, overcharge, overcurrent, etc. are used as unit cells. In order to solve this safety problem, a safety device such as a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added. The safety device secures the safety of the pack by acquiring information such as a voltage from a corresponding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safety process.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ite is variable, for example,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s changed by vibration or the like, due to the inaccuracy of the detection information, the safety device cannot perform the desired process. Therefore, in general,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in the secondary battery pack is made by soldering or the like.

또한, 고출력, 대용량의 이차전지 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이차전지 팩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하게 위하여, 단자 접속부위의 저항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정적인 결합방식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지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은 솔더링 또는 용접, 바람직하게는 스팟 용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struct a high output, high capacity secondary battery pack,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In order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 uniformly, to minimize the resistance change in the terminal connection region. Stable coupling method is requir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se battery cells is typically made through soldering or welding, preferably spot welding.

그러나, 전지셀들 사이의 용접 또는 솔더링 공정 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용접 또는 솔더링 공정은,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과 노하우를 필요로 하고, 용접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의 관리를 지속 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생산 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전지셀에 직접 용접 또는 솔더링을 행하는 과정에서, 전지셀과 연결부재 사이에 전기적 또는 열적인 손상이 초래되므로 전지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제품의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제조과정 또는 사용 중에 일부 전지셀에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전지팩을 구성하는 모든 전지셀을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However, the welding or soldering process between the battery cells has the following problems. Specifically, the welding or soldering process requires a skilled skill and know-how of the operator, and must continuously manage the parameters for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welding, which leads to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and increased cost, thus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It acts as a factor to inhibit.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rectly welding or soldering to the battery cell, electrical or thermal damage is caused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connection member, which threatens the safety of the battery and increases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Furthermore, when some battery cells fail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use, there is a problem that all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should be discarded.

따라서, 전지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복잡한 작업공정을 요구하는 용접, 솔더링 등을 통한 접속방식을 대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지셀 간의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확보하면서 일부 전지셀의 불량 시 나머지 전지셀들을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nnection method through welding, soldering, etc., which threatens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and requires a complicated work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use the remaining battery cells when some battery cells are defective while ensuring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battery cells.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한편, 일차전지를 사용하는 전지팩에서는 접속방식의 전기적 연결구조에 대한 다양한 시도들이 행해진 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등록 제0413381호에는,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배터리 케이스의 좌우측 양단에 도전성 코일을 형성하는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등록 제525037호에는, 전지팩의 양단에 탄성을 가지도록 구부린 금속판을 설치하여 전기적 연결을 행하는 기술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Meanwhile, in battery packs using primary batterie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ion metho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0413381 discloses a technology for forming conductive coils at both ends of left and right sides of a battery cas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battery, and US Patent No. 525037 describes elasticity at both ends of a battery pack. Disclosed is a technical content of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y installing a metal plate bent to have.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전지셀을 고정하고 전극단자와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서는 접속부재가 충분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그렇지 못한 소재에 대하여는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도전성 코일을 사용하는 기술은 코일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단면적이 작고 접속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증가된 저항은 전력 손실을 유발하고 발열량이 커지면서 전지의 안정적인 접속을 저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을 갖도록 구부린 금속판을 사용하는 기술은, 전지셀을 팩 케이스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을 가하거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금속판이 탄성을 잃게 되거나 파괴되면서, 전지셀에 외부 충격이 인가시 이탈되는 현상 또는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 technologi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must have sufficient elasticity to fix the battery cell and to make stable connection with the electrode terminal. In particular, the technique using the conductive coil has a high electric resistance becau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coil is small and the connection length is relatively long, and the increased resistance causes power loss and heat generation, resulting in stable connection of the battery. May inhibit. In addition, the technology using the metal plate bent to have elasticity, due to excessive force or repeated us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attery cell into the pack case, the metal plate loses its elasticity or is destroyed, the external impact on the battery cell When applied, the phenomenon of detachment or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may occur.

더욱이, 상기와 같은 접속부재는 해당 부위에서의 가변적인 접속상태로 인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차전지 팩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applicable to the secondary battery pack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variable connection state at the corresponding site.

따라서, 전지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복잡한 작업공정을 요구하는 용접, 솔더링을 통한 접속방식을 대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지셀들 간의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replace a connection method through welding and soldering, which threatens the safety of the battery and requires a complicated work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secures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battery cel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솔더링, 용접 공정 등을 행하지 않고서도 둘 이상의 이차전지 셀들을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mber that can stably electrically connect two or more secondary battery cells without performing soldering, welding, or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공정이 용이하면서,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자유로운 특정한 구조의 접속부재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이차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specific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etachable as needed, and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pack manufactured using th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이차전지 셀들을 전지팩에 장착할 때, 측면방향으로 배열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물리적 접촉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로서,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battery cells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by physical contact when mounting two or more secondary battery cells in a battery pack.

(a) 전지셀 단자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그것의 외주면 인근 부위에서 소정의 폭으로 전지셀 단자에 접촉되는 주 접속부;(a) a main connection part which contacts the battery cell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width at a portion near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battery cell terminal;

(b) 전지셀에 대한 탄력적인 접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접속부에 대해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테이퍼되어 있는 구조의 탄성 돌출부; 및(b) an elastic protrusion having a structure that is tapered upward in a centr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nnection part to provide a resilient grounding force to the battery cell; And

(c) 전극단자에 대한 탄력적인 접속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접속부의 내측으로부터 하향 테이퍼된 구조의 보조 접속부; (c) an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tapere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to enable elastic connection to the electrode terminal;

를 포함하는 구성의 단자 접속부들이, 측면 배열의 전지셀 수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회로 연결용 단자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erminal connection parts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is electrically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of the side array, and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terminal for circuit connection on one sid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는, 전지팩 제조 과정에서 전지셀 전극단자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솔더링, 용접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조립식 부재의 결합만으로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유지하게 되므로, 솔더링, 용접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지의 단락 가능성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도 접속 부위의 저항 변화가 신뢰수준을 벗어나지 않으며, 동시에 전지팩의 조립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전지셀 전극단자들 간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oldering and welding process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s in the battery pack manufacturing process, and maintains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only by the coupling of the prefabricated member, so that soldering and welding It prevents the possibility of battery short-circuit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and the resistance change of the connection part does not deviate from the reliability level even by an external impact, and at the same time facilitates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ttery pack, and provides a stabl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s. can do.

또한, 전지팩의 조립과정 또는 사용 중에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전지셀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일부 전지셀 또는 접속부재의 불량으로 인해 전지팩을 구성하는 모든 전지셀들을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failure occurs during the assembly or use of the battery pack, the battery cells can be easily separated, so that all the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due to the failure of some of the battery cells or the connection member has to be discarded. I can eliminate it.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접속부재가 전지팩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지셀들과 더욱 탄력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십자형 브릿지 구조의 탄성 돌출부가 접속부재의 주 접속부에 대해 상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돌출부에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브릿지들(bridges)이 상호 대칭 구조를 이루며 연결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더욱 탄력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xample,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cross-shaped bridge structure protrud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can maintain a more elastic connection state with the battery cells while the connection member is mounted on the battery pack case. Can be formed. In such elastic protrusions, two or more brid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ymmetrical structure, thereby providing a more elastic coupling force as a whole.

상기 보조 접속부는 주 접속부의 내측에는 하향 테이퍼된 구조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접속부재의 탄성력을 더욱 보강하고 전지팩에 진동 또는 굽힘 등과 같은 외력의 인가시 전극단자가 순간적으로 단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접속부는 그것의 단부가 주 접속부보다 높은 높이로 이루어지며, 단자 접속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구조이다.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is continuously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inside the main connecting portion to further reinforce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prevent the short-circuit of the electrode terminal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vibration or bending is applied to the battery pack. Can be. This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has a height at which its end is higher tha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and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따라서, 주 접속부보다 높은 높이로 하향 연장된 방사 대칭형의 보조 접속부들은, 접속부재가 하부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향 돌출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상부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외력의 인가 시 불안정한 접속 상태로 인해 순간적인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adially symmetric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extending downwardly higher tha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can elastically support the upward protrusion while the connec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lower battery cell, and further,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upper battery cell. Since the connected state is stably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occurring due to an unstable connection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보조 접속부는 바람직하게는 단자 접속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대칭형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향 돌출부에 대한 균형 잡힌 지지와, 전극단자에 대한 더욱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담보할 수 있다.These auxiliary connections are preferably formed in two or more numbers rad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o ensure balanced support for the upward protrusion and more stable connection to the electrode terminals.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보조 접속부들의 단부는 해당 보조 접속부재의 전체적인 테이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어 있어서, 전지셀 전극단자 면이 보조 접속부들의 날카로운 단부에 의해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입거나 작업자가 전지팩의 조립 과정에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end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are bent up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verall taper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 face is scratched or damaged by the sharp end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Injury can be prevented during assembly of the battery pack.

상기 접속부재의 브릿지들 사이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조 접속부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십자형의 주 접속부에서 연장되는 브릿지와 브릿지 사이에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조 접속부가 주 접속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or more auxiliary connections may be located between the bridges of the connection member. For example, one or more auxiliary connections between the bridge and the bridge extending from the cross-shaped main connec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main connection.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는, 예를 들어, 하나의 도전성 판재를 펀칭 및 가압 변형하여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도전성 판재를 접속부재의 형상에 적합하게 펀칭 및 압연 가공하여, 하부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접촉되는 주 접속부, 하부 전지셀에 탄력적인 접지력을 제공하는 탄성 돌출부, 및 주 접속부의 내측으로 하향 테이퍼 구조로 연속되어 있는 보조 접속부들 등을 용이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for example, by punching and pressure-deforming one conductive plate. That is, one conductive plate is punched and rolled to suit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main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lower battery cell, an elastic protrusion providing elastic grounding force to the lower battery cell, and the inner side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which are continuous in the downward tapered structur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는 특히 원통형 전지셀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의 주 접속부 및 보조 접속부는 전체적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은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단자 면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상호간의 접촉면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preferably used in particular in a cylindrical battery cell. In this case, the main connec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formed in a concentric structure as a whole, and therefore, the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termin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mutual contact surface.

일반적으로 원통형 전지셀은 일측 단부에 양극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이와 절연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 전체가 음극단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체적으로 동심원 구조라 함은 상기 각각의 부위가 접속부재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대략적인 동심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In general,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from one end thereof, and the battery case is configured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n an insulated stat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centric circle structure as a whole means that each of the portions is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concentric shape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ng member.

일 예로, 접속부재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주 접속부 및 보조 접속부의 내경 또는 외경에 해당하는 동심원의 크기가 점점 증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ze of the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r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connec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outer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전지셀에 대한 상기 주 접속부의 접촉 폭은 단자 접속부의 반경을 기준으로 5 내지 20%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 접속부의 접촉 폭이 5% 미만인 경우에는 좁은 접촉면적에 의해 접촉부위의 저항이 증가하고, 또한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외부 충격 등으로 정위치에서 다소 벗어나면서 전기적 접속이 쉽게 끊어질 수 있다. 반대로, 주 접속부의 폭이 20%를 초과하게 되면, 탄성 돌출부 등 나머지 부위의 크기가 작아져서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The contact width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ttery cell is preferably made of a size of 5 to 20% based on the radius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When the contact width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is less than 5%, the resistance of the contact portion increases due to the narrow contact area,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 can be easily disconnected while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is slightly out of position due to external impact. . On the contrary, if the width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exceeds 20%, the size of the remaining portions such as the elastic protrusions may become small,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exert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which is not preferable.

상기 탄성 돌출부의 상향 테이퍼 폭은 단자 접속부의 반경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의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향 테이퍼 폭이 너무 작거나 크면, 전지셀의 단자와 주 접속부 사이에 소망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The upward taper width of the elastic protrusion may be 10 to 30% of the width based on the radius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f the upward taper width is too small or too larg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desired elastic force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main connection portion.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탄성 돌출부는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접촉시 안정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단자 접속부의 일면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도의 기울기로 테이퍼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울기가 너무 크면 팩 케이스에 대한 전지셀의 장착시 강한 압력이 접속부재에 인가될 필요가 있으므로 장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장착 과정 또는 전지팩의 사용 중에 접속부재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기울기가 너무 작으면 소망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As another example, the elastic protrus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protrusion is tapered at an inclination of 1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in order to provide stable elastic force when contacting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If the inclination is too large, a strong pressure needs to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member when the battery cell is mounted on the pack case, so that the mounting operation is not easy, and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damaged during the mounting process or the us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inverse slope Is too small to provide the desired elastic force, which is undesirable.

상기 접속부재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탄성 돌출부는 팩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망하는 탄성력이 탄성 돌출부에서 유발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바, 그러한 탄성 돌출부의 바람직한 높이는 외부의 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부재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40 내지 90%의 크기에서 정해질 수 있다.The elastic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connecting member has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a desired elastic force can be induced from the elastic protrusion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the pack case. In the non-applied state, it may be determined at a size of 40 to 90% based on the total height of the connection member.

또한, 상기 보조 접속부는 외부의 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부재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10 내지 50% 크기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셀과의 접촉력을 더욱 탄력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a depth of 10 to 50% based on the entire height of the connection member in the state that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can maintain the contact force with the battery cell more elastically.

상기 탄성 돌출부 또는 보조 접속부의 깊이가 너무 낮은 경우, 전극단자에 대한 소망하는 탄력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전지팩의 조립 과정 또는 사용 중에 부러질 수 있고, 보조 접속부들의 경우에는 전극단자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If the depth of the elastic protrusion or auxiliary connection is too low,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desired elasticity of the electrode terminal, on the contrary too high may break during the assembly or use of the battery pack,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connection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may cause scratches on the electrode terminals.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접속부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회로연결용 단자부가 위치하는 측면 연장부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회로 등에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 연장부에 형성된 단자부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보호회로 등과 연결하기 위한 부재의 종류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진다.In some cases, at least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ide extension part in which the circuit connection terminal part is located is formed, and thus can be simply connected to a protection circuit.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portion formed in the side extension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tructure thereof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member for connecting to the protective circuit.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용 전지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for a notebook computer comprising the above connection member.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다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는 전지열(row)이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노트북 컴퓨터용 전지팩으로서, 측면방향으로 배열된 전지셀들(뱅크)의 전기적 연결에 상기 접속부재가 사용되는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한다. That is,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pack for a notebook compu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a row of batteries is arranged in a pack case, and battery cells are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Provided is a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field (bank).

구체적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이차전지 셀들이 측면 방향으로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노트북용 전지팩 케이스에 상기 접속부재를 장착한 후 전지셀들을 장착한 구조의 전지팩으로서, 상기 팩 케이스를 구성하는 측벽들 중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접하는 측벽 상에, 접촉부가 전극단자 쪽을 향하도록 상기 접속부재를 조립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전지팩이 제조될 수 있다.Specifically, a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cells are mounted after mounting the connection member in a battery pack case for a notebook including at least one storage unit in which two or more secondary battery cells can be mount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As a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may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in an assembly manner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 faces the electrode terminal on the sidewall of the sidewalls constituting the pack case.

상기 전지팩에서 접속부재는 뱅크의 음극단자들을 팩 케이스의 음극 회로에 연결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뱅크의 음극단자들과 팩 케이스 측벽 사이에 상기 접속부재를 위치시킴으로써, 측벽과 뱅크의 음극단자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In the battery pack,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preferably used to connect the negative terminals of the bank to the negative electrode circuit of the pack case. This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nk and the side wall of the pack case, so that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side wall and the bank is stably fix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부재들은 전기 전도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가공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금속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니켈, 황동, 알루미늄, 구리 및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lastic forc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al plate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ocessing. Among them, it may b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brass, aluminum, copper and optional alloy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고출력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휴대용 DVD, 소형 PC 등과 같은 가정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household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DVDs, small PCs, etc., which require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and can be preferab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notebook computers.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otebook computer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노트북 컴퓨터의 일반적인 구조와 그것의 제조방법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Since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notebook compu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like are known in the art,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는 전지셀 전극단자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용접, 솔더링 공정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용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지의 단락 가능성을 방지하고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차전지 셀의 전극단자들 간의 안정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접속부위의 저항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생산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welding or soldering process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that may occur during the welding process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efective rate, 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 The stabl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can minimize the resistance change in the connection area, and greatly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접속부재의 정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재(100)는 두 개의 단자 접속부(100A, 100B)가 상호 연결되어 있고, 접속부재의 일측에는 외부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회로연결용 단자부(152)가 위치하는 측면 연장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onnection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100A and 100B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has a circui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52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circuit.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extension portion 150 is located.

각각의 단자 접속부들(100A, 100B)은 소정의 폭(w)을 가지고 하부 전지셀(도시하지 않음)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 접속부(110), 주 접속부(110)에 대해 단자 접속부의 중심축(180) 방향으로 상향 테이퍼되어 브릿지로 연결된 구조의 탄성 돌출부(130), 주 접속부(110)의 내측으로 하향 테이퍼 구조로 연속된 보조 접속부들(140)로 이루어져 있다.Each of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s 100A and 100B has a predetermined width w and a terminal connecting portion for the main connecting portion 110 and the main connecting portion 110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lectrode terminals of a lower battery cell (not shown). An elastic protrusion 130 of the structure taper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180 of the bridge connected to the bridge,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140 continuous in a downward tapered structure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110.

주 접속부(110)에서 하부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접촉되는 접촉 폭(w)은 단자 접속부의 반경(W)을 기준으로 대략 10%의 크기이며, 하부에 위치하는 전지셀 전극단자의 외면에 대응하는 동심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tact width w contacting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lower battery cell in the main connection part 110 is approximately 10% based on the radius W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and correspo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 located below. It consists of concentric shapes.

탄성 돌출부(130)의 높이(h)는 접속부재(100)의 전체 높이(H)를 기준으로 대략 60%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 돌출부(130)의 4 개의 브릿지들은 십자형의 대칭구조를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height h of the elastic protrusion 130 is approximately 60% based on the total height H of the connection member 100, and the four bridges of the elastic protrusion 130 form a symmetrical cross shape. It consists of shapes.

또한, 탄성 돌출부(130)와 주 접속부(110) 사이의 공간에는 단자 접속부의 중심축(180)을 기준으로 방사 대칭형을 이루는 4 개의 보조 접속부들(140)이 주 접 속부(11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테이퍼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접속부들(140)의 단부는 해당 보조 접속부의 하향 테이퍼 방향에 대해 상향으로 절곡(144)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재(100)를 하부 전지셀(도시하지 않음)의 음극 단자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보조 접속부들(140)은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접속부재(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접속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 130 and the main connector 110, four auxiliary connectors 140, which are rad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180 of the terminal connector, are directed downward from the main connector 110. Tapered. The ends of the auxiliary connectors 140 are bent upwards 144 with respect to the downward taper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nector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ion member 100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lower battery cell (not shown),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140 is elastically pressed while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member 100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이러한 보조 접속부들(140)은 다소 낮은 탄성계수를 나타내지만 4 개의 부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하부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접속되므로, 진동 등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부터 전지셀의 순간적인 단락을 방지하여 전지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These auxiliary connections 140 show a somewhat low modulus of elasticity, but since the four parts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lower battery cells, the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cells is prevented from being caus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vibrations. Keep the electrical connections on.

또한, 단자 접속부의 주 접속부(110)는 전체적으로 원의 형상이고, 4 개의 탄성 돌출부들(130) 및 보조 접속부들(140)을 각각 연결하면 가상의 동심원 형상을 이루게 되며, 전체적으로 동심원 구조를 형성하므로, 단자 접속부와 원통형 전지셀 전극단자들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 및 상호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main connecting portion 110 of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is a 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if the four elastic protrusions 130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140 are each connected to form a virtual concentric shape, so as to form a concentric circular structure as a whol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s is improved.

도 5에는 본 발명의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전지셀들을 팩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partial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attery cells are mounted in a pack case using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접속부재(100)는 탄성 돌출부(130)가 케이스의 측벽 방향을 향하도록 전지셀(200) 상에 배열되어, 주 접속부(110)와 보조 접속부(도1: 140)를 통해 전지셀(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necting member 100 is arranged on the battery cell 200 such that the elastic protrusion 130 faces the side wall of the case, thereby connecting the main connecting portion 110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FIG. 1: 14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200 through.

이와 같이 팩 케이스(300)에 접속부재를 장착한 후 전지셀(200)을 장착하거나, 팩 케이스(300)에 전지셀(2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접속부재(100)를 추가로 장 착하면, 팩 케이스(300)의 측벽(310)과 전지셀(200)의 음극 단자 사이에 접속부재(100)가 위치하는 구조가 만들어진다.As such, when the battery cell 200 is mounted in the pack case 300 or the battery cell 200 is mounted in the pack case 300, the connection member 100 is additionally mount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100 is positioned between the sidewall 310 of the pack case 30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200 is made.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접속부재(100)의 전체 높이는, 전지셀(200)이 팩 케이스(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속부재(100)가 삽입될 부위의 폭보다 크므로, 접속부재(100)의 탄성 돌출부(130)가 측벽(130)에 의해 가압되면서 탄성력이 유발된다. 따라서, 전지셀(200)과 접속부재(100) 사이에 면밀한 기계적 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nection member 100 in the non-mounted state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member 100 is inse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 200 is mounted in the pack case 300, and thus the connection member 100. The elastic protrusion 130 of) is pressed by the side wall 130 to cause an elastic force. Therefore, a close mechanical contact state is maintained between the battery cell 200 and the connection member 100, thereby making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도 1은 종래의 접속부재인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들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upling manner of batterie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metal plate which is a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

도 2는 금속 플레이트와 보호회로가 연결된 상태의 전지팩의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of a battery pack with a metal plate and a protection circuit connected;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접속부재의 정면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전지셀들을 팩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 평면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of the battery cells mounted on the pack case using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둘 또는 그 이상의 이차전지 셀들을 전지팩에 장착할 때, 측면방향으로 배열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물리적 접촉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로서,When mounting two or more secondary battery cells in the battery pack, a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battery cells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a physical contact method, (a) 전지셀 단자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그것의 외주면 인근 부위에서 소정의 폭으로 전지셀 단자에 접촉되는 주 접속부;(a) a main connection part which contacts the battery cell terminal with a predetermined width at a portion near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battery cell terminal; (b) 전지셀에 대한 탄력적인 접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접속부에 대해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테이퍼되어 있는 구조의 탄성 돌출부; 및(b) an elastic protrusion having a structure that is tapered upward in a centr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onnection part to provide a resilient grounding force to the battery cell; And (c) 전극단자에 대한 탄력적인 접속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접속부의 내측으로부터 하향 테이퍼된 구조의 보조 접속부; (c) an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tapere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connection portion to enable elastic connection to the electrode terminal; 를 포함하는 구성의 단자 접속부들이, 측면 배열의 전지셀 수에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회로 연결용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is electrically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of the side array, the connection member comprising a terminal for connecting the circuit on one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는 평면상으로 십자형 브릿지 구조를 이루면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rotrusion protrudes in a planar cross-shaped bridg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접속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대칭형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two or more numbers radi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접속부의 하향 테이퍼 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wnward tapered end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is bent up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들 사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조 접속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3.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one or more auxiliary connections are located between the bridg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하나의 도전성 판재를 펀칭 및 가압 변형하여 일체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manufactured as a single body by punching and pressing and deforming one conductiv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원통형 전지셀이고, 상기 주 접속부 및 보조 접속부는 전체적으로 동심원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 is a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the main connection part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have a concentric circular structure as a whole.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셀에 대한 상기 주 접속부의 접촉 폭은 단자 접속부의 반경을 기준으로 5 내지 2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width of the main connec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ttery cell is 5 to 20% in size based on the radius of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의 상향 테이퍼 폭은 단자 접속부의 반경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ward taper width of the elastic protrusion is formed in a size of 10 to 30% based on a radius of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는 주 접속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60 도 의 기울기로 테이퍼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rotrusion is tapered at an inclination of 1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conn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의 높이는 외부의 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부재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40 내지 9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elastic protrusion is 40 to 90% based on the total height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접속부의 깊이는 외부의 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부재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10 내지 5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pth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is 10 to 50% based on the total height of the connecting member without an external force applied.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부재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회로연결용 단자부가 위치하는 측면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with a side extension part in which the terminal for circuit connection is located. 다수의 원통형 전지셀들이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는 전지열(row)이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노트북 컴퓨터용 전지팩으로서, 측면방향으로 배열된 전지셀들(뱅크)의 전기적 연결에 제 1 항에 따른 접속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A battery pack for a notebook compu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e arranged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embedded in a pack case. The battery pack is provided to prevent electrical connection of battery cells (banks) arranged in a lateral direction.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claim 1 is us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뱅크의 음극단자들을 팩 케이스의 음극 회로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5.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used to connect the negative terminals of the bank to the negative circuit of the pack case. 제 14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A notebook computer comprising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4 as a power source.
KR1020070066841A 2007-07-04 2007-07-04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KR101101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841A KR101101151B1 (en) 2007-07-04 2007-07-04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841A KR101101151B1 (en) 2007-07-04 2007-07-04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25A true KR20090003825A (en) 2009-01-12
KR101101151B1 KR101101151B1 (en) 2012-01-05

Family

ID=4048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841A KR101101151B1 (en) 2007-07-04 2007-07-04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1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188A1 (en) * 2021-08-06 2023-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sbar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100A (en) * 2020-08-20 2022-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1791B2 (en) 1998-04-09 2005-10-05 日置電機株式会社 Battery storage device
JP2002246005A (en) 2001-02-21 2002-08-30 Toshiba Battery Co Ltd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JP2007066537A (en) 2005-08-29 2007-03-15 Hitachi Vehicle Energy Ltd Secondary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188A1 (en) * 2021-08-06 2023-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sbar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151B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67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of Assembling Type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JP5179580B2 (en) Secondary battery pack with mechanical connection style
JP517269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core pack
KR101077874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of Assembling Type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CN103534837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1312425B1 (en) Secondary battery pack and connector utilized therein
KR100983011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Based on Physical Contact Manner
KR100983012B1 (en) Secondary Battery Pack Based on Mechanical Connection Manner
KR101051484B1 (en) Welding method
KR101101151B1 (en) Anod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KR101039518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s
KR101039517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KR101108445B1 (en) Method of Mechanical Connection of Secondary Battery and Connecting Member therefore
KR200444799Y1 (en) Secondary Battery Pack Employed with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of Assembling Type
KR100965274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KR102511924B1 (en) Battery pack
KR100983014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of Assembling Type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KR100993128B1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of Physical Contact Typ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KR101087054B1 (en) Electrical Connecting Structure Having Low Contact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