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07U - Keyboard for a one handed - Google Patents

Keyboard for a one hand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07U
KR20090003507U KR2020070016515U KR20070016515U KR20090003507U KR 20090003507 U KR20090003507 U KR 20090003507U KR 2020070016515 U KR2020070016515 U KR 2020070016515U KR 20070016515 U KR20070016515 U KR 20070016515U KR 20090003507 U KR20090003507 U KR 200900035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s
key
general
h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5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2020070016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507U/en
Publication of KR20090003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0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자판(106키형) 키배열 형식에서 키의 개수를 대폭 줄여 먼저 축소형 제1 자판부 하나를 구성하고, 다시 그 제1 자판부와 키의 배열면에서 완전하게 대칭을 이루는 제2 자판부를 구성한 다음, 제1자판부와 제2자판부를 좌우로 결합시켜 하나로 만든 컴퓨터용 자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는, 일반문자가 배치되는 키들이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고, 제1 자판부와 제2 자판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포함되는 키들이 제1, 제2자판부가 공유하도록 구성되며, 언어에 따라 일반문자가 배열되는 영역이 기본배열부, 확장배열부, 그리고 가변배열부, 이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자판의 좌편과 우편이 대칭구조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반문자키 두 벌이 좌우편으로 나뉘어 배열돼, 하나의 자판에서 왼손잡이 사용자와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공용으로 쓸 수 있고, 일반문자가 배치된 키의 배열방식이 매트릭스(바둑판) 구조로 되어 있어, 한손잡이 사용자가 시선을 이동시키며 키의 위치를 판단할 때 시선이 교란되는 현상이 없어지며, 자판 중앙부의 기능키들이 좌판부와 우판부가 공유하는 형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좌우 어느 한 손을 쓸 수 없는 사용자 그룹이나, 두 손 사용자 중에서 왼손잡이 사용자 그룹이나 관계없이, 어떤 타자조건에 있는 사용자라도 공통적으로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2020070016515

일반자판, 운지거리, 문자입력, 한손잡이.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reduces the number of keys in the general keyboard (106-key type) key array format, and first constitutes a reduced type first keyboard portion, and then, secondly, completely symmetrical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keyboard portion and the keys. After the keyboard portion is configured, the first keyboard portion and the second keyboard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to a computer keyboard made of one,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s are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in which the common characters are arranged, the first keyboard The keys included in the portion where the portion and the second keyboard portion are combined are configured to share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and an area in which ordinary characters are arranged according to a language includes a basic array portion, an extended array portion, and a variable array portion. It is divided into three are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two sets of common letter keys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keyboard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so that a left-handed user and a right-handed user can share a single keyboard.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keys arranged with general characters has a matrix structure, so that the one-handed user moves the gaze and the gaze is not disturbed when judging the position of the key. It is composed of the form shared by the seat plate and the right plate, so that users in any other typing condition can use it in common,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group cannot use either left or right hand, or the left-handed user group. There is this.

Figure P2020070016515

General keyboard, fingering distance, character input, one-handed.

Description

한손잡이 사용자용 키보드{Keyboard for a one handed}Keyboard for a one handed}

본 고안은 하나의 자판 위에 동일한 기능을 가진 한 벌 이상의 키를 배열한 컴퓨터용 자판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반자판(106키형) 상태에서 키의 개수를 대폭 줄여 먼저 축소형 제1자판부를 구성하고, 다시 그 축소형 제1 자판부와 키의 배열면에서 완전하게 대칭을 이루는 제2 자판부를 구성한 다음, 그 두 가지 자판부를 좌우로 결합시켜 하나로 만든 컴퓨터용 자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keyboard in which one or more key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arranged on a single keyboard, an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duced-type first keyboard part is greatly reduced in the general keyboard (106-key type) state. And a second keyboard part which is completely symmetrical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the reduced first keyboard part and the key, and then the computer keyboard is made by combining the two keyboard parts from side to side.

컴퓨터 생활에서 주요 문자입력 수단이 된 일반자판은 그 타건 행태에 따라 크게 4가지 사용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자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각 사용자 그룹마다 다음과 같은 불편사항과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The general keyboard, which has become the main character input method in computer life, can be divided into four user groups according to its behavio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keyboard, each user group exposes the following inconveniences and problems.

(1) 정상적인 (오른손잡이)두 손 사용자인 경우(1) For normal (right-handed) two-handed users

컴퓨터 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자판을 일반자판, 또는 표준자판이라 부르는 데, 이 일반자판은 두 말할 필요도 없이 두 손이 모두 정상인 사용자를 대상 으로 하여 만든 것이며, 두 손이 모두 정상인 사용자 중에서도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처럼 일반자판이 두 손이 정상인 오른손잡이를 대상으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The keyboard commonly used in computer life is called a normal keyboard or a standard keyboard. Needless to say, the general keyboard is designed for users with both hands, and both of them are right-handed among normal users. It is made on the basis of. Although the general keyboard is made for the right-handed person whose two hands are normal, the following problems are exposed.

첫째, “Back Space(앞 지움)”키는 실제 타자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키에 속하므로, 그러한 사용빈도에 대응하도록 하려면 운지가 가장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마땅하지만, 일반자판에서는 손가락이 놓이는 기본자리(자판에서 엄지를 제외한 좌우 8개의 손가락이 놓이는 자리)로부터 위로 두 단이나 올라간 곳에 배치돼 있어, 운지 자체도 자연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키를 잘못 짚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First, the “Back Space” key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keys in a real hitter, so the fingering should be placed in the easiest position to respond to such usage, but in general keyboards the finger is placed. It is placed two steps up from the seat (the place where eight left and right fingers are removed from the keyboard), so the fingering itself is not natural and the key is often misplaced.

둘째, “한/영 모드 변환”키도 실제 문자입력에서 자주 쓰는 기능키인 데, 일반자판에서 이 키는 엄지로 타건하기에도, 다른 손가락으로 타건하기에도 애매한 위치에 배치돼 있어, 이 키를 타건할 때마다 어떻게 해야 할 지 순간적으로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Secondly, the “Korean / English Mode Conversion” key is a function key that is frequently used in actual character input. In a general keyboard, this key is placed in an ambiguous position for both thumb and other fingers. Every time we make an event, we can't decide what to do.

셋째, 일반키보드 우측에 별도로 구비된 숫자키에서, 숫자 10개가 3*4형식의 4단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데, 그 4단 배열구조는 숫자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순서로 되어 있다. 그와 같이 숫자가 아랫단에서 윗단으로 올라가는 순서로 이루어진 배열구조는 전자계산기의 숫자키 배열을 그대로 옮겨온 것으로서,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휴대)전화기 자판부의 숫자배열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순서로 된 것과는 반대로 되어 있다. 이처럼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두 입력수단의 숫자 입력에서 그 배열방식이 정반대로 되어 있다면, 숫자키를 누를 때마다 두뇌 속에서 연상저항이 발생할 것은 자명하다. Third, in the numeric key separate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general keyboard, 10 numbers are arranged in a four-layer structure of 3 * 4 type, and the four-layer arrangement structure is in the order of increasing numbers from the bottom up. As such,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the numbers go up from the bottom to the top is a copy of the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s of the electronic calculator. The arrangement of numbers in the keypad of the mobile phone, which is currently used, is in descending order from top to bottom. It is reversed. If the arrangement is reversed in the number input of the two most commonly used input means, it is obvious that an association resistance occurs in the brain every time the number key is pressed.

(2) 두 손이 정상이면서 선천적으로 왼손잡이 사용자인 경우(2) When both hands are normal and inherently left-handed

일반자판이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보니, 왼손잡이가 일반자판으로 타건할 경우에는 아무래도 오른손잡이 사용자보다는 그 사용에 있어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있다. (왼손잡이 세계 평균은 11%)Since the general keyboard is made based on the right-handed user, when the left-handed user is typing the general keyboard, there are some inconveniences in using the user rather than the right-handed user. (11% left-handed world average)

첫째, 일반자판은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왼손잡이 사용자에게는 자판 우측에 배열된 숫자키와 그에 딸린 연산기호(+,-,*,/)가 배치된 키를 누를 때, 아무래도 운지가 자연스럽지 못하게 된다.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해보려고 근자에는 숫자키 부분만 자판의 좌측으로 옮겨 구성한 자판이 시장에 나와 있는 데, 그렇게 되면 그 자판은 왼손잡이 전용이 될 수밖에 없으며, 다른 기능키들은(예: 방향키)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구성된 것을 그대로 써야 하므로, 숫자키 부분만 좌측으로 옮긴 자판은 결과적으로 불완전한 왼손잡이 전용이 될 것이다. First, since the general keyboard is created based on the right-handed user, when the left-handed user presses the numeric key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and the accompanying operation symbols (+,-, *, /), Will not be natural.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there is a keyboard on the market that consists of moving only the numeric keys to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and the keyboard is left-handed only, and other function keys (for example, arrow keys) are used for the right-handed user. Since the standard is used as it is, keyboards that move only the numeric keys to the left will eventually become incomplete left-handed.

둘째, 일반자판에서 자판의 우측에 배열된 방향키 역시 상기 숫자키의 경우와 마찬 가지로 왼손잡이에게는 운지가 자연스럽지 못하다. Secondly, in the general keyboard, the direction key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are also not naturally fingered to the left handed as in the case of the numeric keys.

(3) 두 손이 정상이지만 업무 성격상 주로 한 손만을 쓰는 사용자인 경우(3) If the hands are normal but the user mainly uses one hand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정보화사회가 발전하면서 컴퓨터 생활자체가 아주 일반적인 형태로 정착되었고, 그로 말미암아 이제는 전적으로 컴퓨터에 의존해 업무를 처리하는 직종이나 분야가 많이 생겨났다. 그러한 직종이나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 중에는 업무의 성격상 구태여 컴퓨터 앞에서 정자세를 취하고 두 손으로 키를 다룰 이유가 없는 경우도 많은 데, 그와 같은 사용자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computer life itself has been settled in a very general form, which has led to the creation of many occupations and fields that rely solely on computers to handle their work.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engaged in such occupations or task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ir work, there is no reason to take a standing position in front of a computer and handle keys with both hands, but such users have the following inconveniences.

첫째, 업무상 숫자를 자주 입력하는 사용자(금융계, 회계분야, 수납처, 수식 편집자)는 숫자를 입력할 때, 거의 습관적으로 자판 우측에 구비된 숫자키를 이용하게 되는 데, 4단(3*4형식)으로 이루어진 숫자판에서 손가락을 위아랫단으로 이동시키며 타건해야 하므로, 손을 위아래로 매우 산만스럽게 놀려야 한다. 게다가 이미 보편적인 숫자 입력수단으로 자리잡은 (휴대)전화기와 그 배열순서가 역상으로 되어 있는 숫자키를 누를 때마다 두뇌 속에서 연상저항이 발생할 것은 뻔한 일이다. First, users who frequently enter numbers in business (financial, accounting, storage, and formula editors) use the numeric key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almost habitually when entering numbers. In the number plate, you must move your finger up and down, so you have to play your hands up and down very distractingly. In addition, whenever a user presses a (phone) phone, which is already a universal means of number entry, and a numeric key whose sequence is reversed, it is obvious that associative resistance occurs in the brain.

둘째, 전문적으로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용자는 대개 반복입력을 하는 경우가 많은 데, 그러한 반복입력에서 작업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2~3개의 키를 조합하여 단축키 형식으로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 키보드에서는 기능키들이 여러 곳으로 분산 배치돼 있어, 복수의 키를 조합할 경우 반드시 두 손을 모두 써야만 원 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사실 업무의 성격상 수없이 반복되는 단축키의 실행에서 정자세를 취한 상태로 계속해서 복수의 키를 두 손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은 고역이 아닐 수 없다. Secondly, a user who works professionally with a computer often has a repetitive inpu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repetitive input, a combination of two or three keys executes a function in a shortcut form. However, in the general keyboard, function keys are distributed in various places, and when combining multiple keys, both hands must be used to execute a desired function. In fact, due to the nature of the task, it is hard to be able to handle multiple keys with two hands while taking a stand position in the execution of a number of repetitive shortcut keys.

(4) 신체적 장애로 인하여 오른손이나 왼손 중에서 어느 한 손만으로 타건해야 하는 사용자인 경우 (4) A user who is required to touch with only one of his right hand or left hand due to a physical disability

이 사용자 그룹은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이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일반자판이나 특수자판This group of users can use general or special keyboard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nd physical conditions.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 쓰게 되는 데, 이 두 가지 자판 모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One of the two keyboards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한손잡이 사용자가 일반자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자판의 키배열이 사선구조로 되어 있어, 눈으로 키의 위치를 판단하는데 불리한 점을 들 수 있다. 사선 배열이라는 것이 손가락의 운지를 편하게 하려는 것과 관계가 있을지는 몰라도, 사실 시선의 이동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다. 일반자판의 키배열에서 통상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사선 배열형식은 자판을 보지 않고도 타건할 수 있는 두 손 사용자에게는 별문제가 없겠지만, 자판을 보면서 타건할 수밖에 없는 사용자에게는 자판 위에서 시선을 이동할 때 키의 위치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시선의 교란현상이 일어나게 된다.First, when a one-handed user uses a general keyboard, the key layout of the general keyboard has a diagonal structure, which may be disadvantageous 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key with eyes. The diagonal arrangement may have something to do with ease of fingering, but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movement of the eye. The diagonal arrangement that is commonly adopted in the key layout of general keyboards is not a problem for two-handed users who can type without looking at the keyboard, but for users who have no choice but to look at the keyboard, the position of the key is moved when moving on the keyboard.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disturbance of eyes occurs.

게다가, 두 손을 모두 쓰는 사용자들도 겪는 것과 마찬가지로 단축키 실행에서 복수의 키를 한꺼번에 눌러 기능을 실행할 경우, 그러한 동작이 한손잡이 사용자에게는 더더욱 여의치 않은 일이다. In addition, as users experience with both hands, if you execute a function by pressing a plurality of keys at the same time in the hotkey execution, such an operation is even less useful for a one-handed user.

다음으로, 한손잡이 사용자가 (전용목적으로) 키배열을 특수하게 구성한 키보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일반자판의 구성형식을 벗어나 다소 특수한 구조로 만들어질 것이므로 특수자판과 일반자판과의 차이가 많아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여러 가지 번잡한 문제들이 생겨나게 된다. 게다가 그 특수키보드는 한손잡이 사용자만 쓸 수 있는 전용 성격을 띨 수밖에 없어, 자판 생산자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소량만 생산하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자판의 가격이 상당히 비싸지게 된다. Next, if a one-handed user uses a keyboard that has a special arrangement of keys (for exclusive 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cial keyboard and the normal keyboard will be different from the general format of the general keyboard. There will be many, and that will create many troublesome problems. In addition, the special keyboard can only be used by one-handed users, and it will be inevitable for the keyboard producers to produce a small amount, and the price of the keyboard becomes quite expensive.

본 고안은 상기에 제기된 일반자판 키 배열에서 문제점으로 노출된 부분을 먼저 해결하고, 다음으로 오른손잡이 정상인에 비해 자판 이용면에서 태생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왼손잡이와, 신체적인 이유 또는 직무의 성격상 어쩔 수 없이 한 손만으로 자판을 다루게 되는 한손잡이 사용자들에게 입력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자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exposed part of the general key layout, which has been raised above, and then the left-handed person who has inherently disadvantageous conditions in terms of keyboard use compared to the right-handed person, and the physical reason or job. It is to provide a keyboard that can increase the input convenience for the one-handed users who are forced to handle the keyboard with only one hand in nature.

좀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일반자판의 키 배열에서 문제점으로 노출된 사선배열 구조와, 사용빈도가 아주 높은 기능키들을 그 사용빈도에 걸맞도록 키의 배치를 개선한 자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with an oblique array structure exposed as a problem in a key layout of a general keyboard and an arrangement of keys so that function keys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re adapted to the frequency of use. There is.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오른손잡이 사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타자조건을 타고난 왼손잡이 사용자에게 키배열 구조를 최적화시켜 입력 편의성이 높은 자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with high input convenience by optimizing a key arrangement structure for a left-handed user who has a relatively unfavorable typing condition compared to a right-handed user.

그리고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신체적인 장애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한 손만으로 타건해야 하는 사용자와, 맡고 있는 업무의 성격상 주로 한 손만을 쓰게 되는 한손잡이 사용자에게, 현재 타자중인 손가락의 위치와 누르려는 키의 위치가 최단거리가 되도록 하여, 문자가 배열된 키와 기능이 배열된 키를 손가락이 미치는 범위 안에서 모든 형식의 타건이 가능하도록, 타자조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자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d the thir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is forced to touch with only one hand due to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one-handed user who uses only one hand due to the nature of the task in charge, The key is to provide a keyboard with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yping condition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key to be pressed is the shortest distance, so that all types of keys can be made within the range of the fingers of the keys arranged with the characters and the keys arranged with the functions. .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손잡이 사용자용 자판은, 그 구성에 있어 다음과 같은 해결방법을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one-handed us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following solution in its configuration.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키가 자판의 좌우편에 완전한 대칭구조로 배열된 다. First,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s are arranged in perfect symmetr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일반자판은 두 손이 정상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한손잡이 사용자에게는 타자조건이 매우 열악하며, 또 일반자판은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왼손잡이 사용자에게 타자조건이 불리하도록 되어 있다. 왼손잡이 사용자와 한손잡이 사용자에게 불리한 타자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하나의 자판에 문자키와 기능키를 자판의 좌우편에 각각 한 벌씩 나누어 배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나의 자판에서 두 개의 자판이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렇게 하면, 자판의 오른 편은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자판의 왼편은 왼손잡이 사용자가 쓸 수 있게 되어, 왼손잡이, 오른손잡이의 구분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타건행태 면에서 이질적인 두 사용자 그룹이 하나의 자판을 공용으로 쓸 수 있게 된다.Since the general keyboard is made for a user with both hands, the typing condition is very poor for a one-handed user, and the general keyboard is made for a right-handed user. It is. In order to improve the typing conditions that are disadvantageous for left-handed users and single-handed users,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letter keys and function keys on one keyboar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resulting in two keyboards on one keyboard. The keyboard was configured to be executed independently. By doing so, the right-hand side of the keyboard can be used by the right-handed user and the left-hand side of the keyboard by the left-handed user, so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left-handed and right-handed. Thus, two groups of users who are heterogeneous in terms of other behaviours can share a keyboard.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키의 배열방식이 매트릭스(바둑판 모양) 구조로 이루어진다. Secondly,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keys consists of a matrix structure.

일반자판에서 두 손을 모두 써서 타건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하나에 키 3개의 비율로 대응시키게 되므로 자판을 눈으로 보지 않고도 타건할 수 있지만, 한 손만으로 타건하는 사용자는 손가락 하나에 적어도 6~7개 정도의 키와 대응시켜야 하므로, 설사 숙달이 되었다 하더라도 자판을 보지 않고 타건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 다. 그렇기 때문에, 한손잡이 사용자는 키의 위치를 시선을 이동시키며 판단할 수밖에 없는데, 이 때 키의 배열이 일반자판처럼 사선구조로 되어 있으면, 시선의 동선이 교란되어 입력효율이 저하될 것은 자명하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일반자판의 사선형 키 배열구조를 매트릭스(바둑판)형으로 구성하였다. If you use both hands on the keyboard, you will be able to hit the keyboard without looking at the keyboard because the key will match the ratio of three keys to one finger. Even if you're mastered, it's never easy to do it without seeing the keyboard. Therefore, the one-handed user has no choice bu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key by shifting the line of sight. At this time, if the arrangement of the keys has a diagonal structure like a general keyboard, it is obvious that the line of sight is disturbed and the input efficiency is reduc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onal key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general keyboard is composed of a matrix.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문자가 할당된 키와 기능이 할당된 키가 적어도 한 벌 이상씩 자판의 양쪽에 각각 나뉘어 배열된다. Third,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 assigned to a character and a key assigned to a function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keyboard by at least one or more sets.

일반자판은 애초부터 두 손이 정상인 사용자 중에서도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선천적으로 타고난) 왼손잡이 사용자나, 신체적 장애로 인하여, 또는 직무의 성격상 어쩔 수 없이 한 손만을 써서 타건하는 일이 잦은 한손잡이 사용자에게는 타자조건 면에서 오른손잡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하도록 되어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하나의 자판에 문자(한글, 영문, 숫자, 기호)나 기능이 배정된 키가 적어도 한 벌 이상씩 배열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렇게 하면 왼손잡이나 한손잡이 사용자의 손이 자판 위의 어느 위치에 놓여있든 상관없이 현재 타자중인 손가락의 위치와 그 다음에 누르려는 키의 위치가 최단거리가 되어, 손가락이 미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모든 형식의 타건이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general keyboard was created based on the right-handed user among the users with normal two-handed hands,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handed (naturally born) users, physically impaired, or inevitably with one hand. The one-handed users who work frequently are relatively disadvantageous to the right-handed people in terms of typing conditions.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or more keys (characters, Korean, English,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ssigned to one keyboard are arranged. That way, regardless of where the left-handed or one-handed user's hand is placed on the keyboard, the position of the current typing finger and the next key you want to press is the shortest possible distance. It is possible to make a deal.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자판의 좌편과 우편이 결합되는 부분에 포함되는 기능키들은 양편 자판부가 공유하도록 구성된다.Fourth,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keys included in the left portion of the keyboard and the postal portion of the keyboard are configured to share both keyboard portions.

본 고안에 따른 자판은 좌우편 자판부가 완전하게 대칭을 이루면서 좌우편 자판부가 하나의 독립적인 자판을 이루게 되고, 두 자판부가 결합되는 중앙부에는 두 자판이 공유하는 기능키들이 배열됨으로써, 두 자판 모두 한 손만으로 타건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판은, 오른손잡이 사용자용과 왼손잡이 사용자용의 구분이 없어진 상태(두 가지가 하나로 통합된 상태)에서 두 자판부의 중앙부에 배열된 기능키들을 양편이 공유하는 키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양손 어느 한 손만으로 타건이 가능한 조건을 갖추게 되어, 결국은 왼손잡이용 자판과 한손잡이용 자판이 다시 하나의 자판으로 통합되는 셈이다.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keyboard parts are completely symmetrical, and the left and right keyboard parts constitute one independent keyboard, and the function keys shared by the two keyboards are arranged in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two keyboard parts are combined, so that both keyboards are used with one hand only. Conditions that can be reached will be established. As a result,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a key for both sides to share the function key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two keyboard parts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right-handed user and the left-handed user (the two are integrated into one). . If you do so, you will be able to hit the other side with only one hand, and eventually the left-handed and one-handed keyboards will be integrated into one keyboard.

본 고안에 따른 한손잡이 사용자용 자판에 의하면, 자판의 좌편과 우편이 대칭구조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반문자키 두 벌이 좌우편으로 나뉘어 배열돼, 하나의 자판에서 왼손잡이 사용자와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공용으로 쓸 수 있게 되고, 일반문자가 배치된 키의 배열방식이 매트릭스(바둑판) 구조로 되어 있어, 한손잡이 사용자가 시선을 이동시키며 키의 위치를 판단할 때 시선이 교란되는 현상이 없어지며, 자판 중앙부의 기능키들이 좌판부와 우판부가 공유하는 형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좌 우 어느 한 손을 쓸 수 없는 사용자 그룹이나, 두 손 사용자 중에서 왼손잡이 사용자 그룹이나 관계없이, 어떤 타자조건에 있는 사용자일지라도 공통적으로 쓸 수가 있고, 그리고 하나의 자판 위에 문자키(한글, 영문, 숫자, 기호)와 기능키가 적어도 한 벌 이상씩 배열되어, 타자 중인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에서 다음 키의 위치까지 운지거리가 최단거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한손잡이(장애인) 사용자일지라도 모든 문자키와 기능키를 손가락이 미치는 거리 범위 안에서 어떤 형식의 타건도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one-handed us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keyboard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two sets of common letter keys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a left-handed user and a right-handed user can share a single keyboard. Since the arrangement of keys arranged with general characters has a matrix structure, the one-handed user moves the eyes and does not disturb the eyes when judging the position of the keys. The function keys are configured in a form shared by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users who are in any other typing condition can be used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left- or right-handed user groups. At least one character key (Korean, English, numbers, symbols) and function keys on a keyboard Arranged so that the fingering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s finger to the next key is the shortest distance, so that any type of keystroke within the range of the finger's range of all character and function keys, even for single handed users It becomes possible.

이렇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자판 하나로 왼손잡이 사용자와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공용으로 쓸 수 있게 됨으로써, 왼손잡이 자판과 오른손잡이 자판의 구분이 없어지게 되고, 좌우 한손잡이 사용자 입장에서는 타자 중인 손가락 위치에서 다음 키의 위치까지 어떤 형식의 타건도 가능하게 되므로, 결국은 왼손잡이 사용자, 오른손잡이 사용자, 한손잡이 사용자의 자판이 단일 모델 하나로 통합되는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the left-handed user and the right-handed user can use a singl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left-handed keyboard and the right-handed keyboard is eliminated. Since any type of gun can be made to the location, the result is that the keyboards of left-handed, right-handed, and one-handed users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model.

이하 본서에서는 타자조건 면에서 왼손잡이 사용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열악한 한손잡이 사용자를 우선순위로 기술하고자 한다. 한손잡이 사용자를 우선순위로 기술하려는 이유는, (두 손이 정상인) 왼손잡이용 자판이 한손잡이용 자판에 비해 타자조건 면에서 더 낫다고 보고, 그보다 타자조건이 더 열악한 한손잡이 사용자를 기 준으로 하게 되면, 사정이 더 나은 다른 사용자군이 한손잡이 사용자군의 타자조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following paper, we will describe one-handed users who are relatively inferior to left-handed users in terms of typing conditions. The reason for describing one-handed users as a priority is that left-handed keyboards (two-handed) are better in terms of typing than one-handed ones, and they are based on one-handed users with less typing. This is because other user groups having better circumstance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yping condition of the one-handed user grou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판의 구조와 그 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이 속하는 컴퓨터 자판이라는 분야가 아주 일반화 되어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미 두루 알려진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는 기술내용에 대한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부분을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and the embodiment of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field of the computer keyboar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very generalized, the descriptions of the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s.

1. 축소형 1. Miniature 자판부의Keyboard 구성 Configur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축소형 자판부의 구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반자판과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키를 배열하는 방법과 키의 전체 개수를 대비시켜 보여주고 있는 바, 키를 자판에 배열하는 방법과 키의 전체 개수 면에서 양자가 사뭇 다름을 알 수 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mbership of the reduced keyboard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and the total number of keys and the arrangement of keys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contrast with the key It can be seen that both differ in terms of how to arrange the keys on the keyboard and the total number of keys.

일반자판은 애초에 두 손이 정상인 사용자 중에서도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해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왼손잡이 사용자나 한손잡이 사용자에게 타자조건 면에서 불리한 점은 어쩔 도리가 없는 일이다. 그러한 원천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키의 개수를 왼손잡이 사용자와 한손잡이 사용자에게 최적화되도록 해야 하는데, 일반자판(106키형)에서 잘 쓰지 않는 기능키(예: Scroll Lock, Pause Break)를 다른 기능키에 병합시키거나, 중복되는 기호키(우측 숫자키부의 연산기호)를 하나로 통합시켜 키의 개수를 현저히 줄인 축소형 자판부를 구성할 수 있다. Since the general keyboard was originally made based on the right-handed user among the users with both hands, the disadvantage of the typing condition for the left-handed or one-handed user is inevitable. In order to solve such an original problem, the number of keys should be optimized for left-handed and one-handed users, and function keys (such as Scroll Lock and Pause Break), which are not used in general keyboards (106-key type), are assigned to other function key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duced size keyboard unit which reduces the number of keys by merging or integrating overlapping symbol keys (operation symbols of the right numeric key unit) into one.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일반자판과 축소형 자판부에서 키의 대응관계를 보면, 일반문자키 26개, 상단 숫자키 10개, 그리고 Fn(n=1~12)키 12개가 축소형 자판부에 거의 본래 모양 그대로 수용되고, 일반자판 우측 하단에 배열된 숫자키와 그에 딸린 연산기호(+,-,*, /)가 축소형 자판부의 하단에 수용되되, 일반문자키가 배열된 가로 폭을 벗어나지 않고 배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로 폭은 일반자판의 22키에서 10키가 줄어 12키가 되었고, 세로 폭은 일반자판의 6키에서 2키가 늘어 8키가 되었다. 따라서 축소형 자판부는 전체적으로 볼 때, 가로 폭이 10키 줄어들면서 세로 폭이 2키 늘어났는데, 키의 종류별로 줄어든 키의 개수는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As shown in FIG. 1, in the general keyboard and the reduced type keyboard, the correspondence relation between the keys is 26 letters, 10 upper number keys, and 12 Fn (n = 1 ~ 12) keys. It is accommodated almost in its original shape, and the numeric keys arranged at the bottom right of the general keyboard and the accompanying operation symbols (+,-, *, /) are accommodated at the bottom of the reduced keyboard part, but the general character keys are not out of the horizontal width arranged. Are arranged without. In this way, the width was reduced from 10 keys to 22 keys in the general keyboard and became 12 keys, and the vertical width increased from 2 keys to 6 keys in the general keyboard to 8 keys. Therefore, the reduced size of the keyboard portion as a whole, the vertical width is increased by 2 keys as the width is reduced by 10 keys, the number of keys reduced by the type of keys is shown in [Table 1].

Figure 112007072920214-UTM00001
Figure 112007072920214-UTM00001

[표 1]에서는 키의 종류별로 키의 개수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일반자판 106키형에서 모두 24개의 키가 줄어 82키형으로 된 축소형 자판부가 구성되었고, 여기서 도출된 축소형 자판부라는 형식은 왼손잡이 사용자와 한손잡이 사용자들에게 타자조건 면에서 불리했던 부분을 만회시켜주는 방안이 된다. [Table 1] shows how the number of keys is reduced by type of keys. In the 106 key type of the general keyboard, all 24 keys are reduced, and a reduced size keyboard part composed of 82 keys is formed. The form is a way to make up for the left-handed and one-handed users to make up for the disadvantages in terms of typing.

2. 좌우 대칭형 배열 구조 2. Symmetrical array structur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좌우편 자판부가 대칭구조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구성된 상기 제1 축소형 자판부(이하 제1 자판부)와, 그 제1 자판부와 키의 배열 면에서 완전하게 대칭을 이루는 제2 축소형 자판부(이하 제2 자판부)가 하나 더 구성된 다음, 이 두 개의 자판부가 좌우로 결합되어 하나의 완성된 자판이 구성됨을 보이고 있다.2 is a view showing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keyboard portion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duced type keyboard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keyboard portion), and the first keyboard portion and the key keyboard and the arrangement of the key completely The second reduced type keyboard p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keyboard part), which is symmetrical, is further configured, and then the two keyboard parts are combined to the left and right to form a completed keyboard.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그 구성의 기본 개념에는, 일반자판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일반문자(한글, 영문)키 26개가 제1 자판부와 제2 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고, 일반자판의 상부에 배열되는 숫자키와 자판 우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숫자키가 제1, 제2 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며, 다수개의 특수문자키가 제1, 제2 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고, 그리고 Fn(n=1~12)키 12개가 제1, 제2 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된다. 여기서 제1, 제2 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는 문자나 기능키는 그 배열 면에서 좌우가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in the basic concep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6 general letter (Korean and English) keys normally provided on the general keyboard are divided into a pair of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respectively. Numeric keys arranged on top of the general keyboard and numeric keys separate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are divided into one by one,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pecial character keys are arranged on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Each of them is arranged in pairs, and twelve Fn (n = 1 ~ 12) keys are arranged in a pair of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respectively. Here, the letters or function keys arranged in a pair of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are arranged so as to be symmetrical in terms of their arrangement.

여기서 Fn(n=1~12)키 12개는 다른 기능키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낮으므로, 굳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기 위해 하나의 자판에 두 벌씩이나 배치할 필요는 없겠고, 한 벌만을 자판의 중앙부에 배열하는 편이 유용한 점이 더 많다. 게다가 Fn키 12개 한 벌을 자판부의 중앙부로 몰아 배열하게 되면, Fn키 좌우편에 공백이 생겨 여기에 단축 기능키(저장, 복사, 붙이기, 자르기, 인쇄, 창닫기)를 제1, 제2 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누어 배열할 수 있게 된다. Since 12 Fn (n = 1 ~ 12) keys are less frequently used than other function keys,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two sets on one keyboard to achieve symmetrical structure. It is more useful to arrange at the center of. In addition, if you arrange a set of 12 Fn keys into the center of the keyboard, a space will appea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n key, and the shortcut keys (save, copy, paste, cut, print, and close the window) will be assigned to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s. It is possible to arrange one piece for each division.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키 배열부에 제2 배열형을 두어 그 것을 선택형 모드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한국어 제2 배열형에서는, 일반문자키에 일반문자가 배치되되, 그 첫째 행에는 (M/ㅈ)-(L/ㄷ)-(D/ㅅ)-(Z/ㅂ)-(Q/ㅍ)-(J/ㅝ,ㅞ)-(B/ㅔ,ㅖ)-(P/ㅗ,ㅛ)-(G/ㅐ,ㅒ)-(K/ㅢ)} 순으로 배치되고, 둘째 행에는 {(N/ㄱ)-(R/ㄴ)-(T/ㅇ)-(S/ㄹ)-(H/ㅁ)-(U/ㅜ,ㅠ)-(A/ㅓ,ㅕ)-(E/ㅣ)-(O/ㅏ,ㅑ)-(I/ㅡ)} 순으로 배치되며, 셋째 행에는 {(F/ㅊ)-(V/ㅌ)-(X/ㅋ)-(C/ㅎ)-(공백)-(Y/ㅚ,ㅟ)-(W/ㅘ,ㅙ)} 순으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ut the second array type in the general character key arrangement portion to be executed in the selective mode. As shown in FIG. 8, in the Korean second arrangement type, a general character is placed on a general character key, and in the first line, (M / ㅈ)-(L / c)-(D / ㅅ)-(Z / ㅂ) -(Q / q)-(J / v, v)-(B / v, v)-(P / v, v)-(G / v, v)-(K / v)} The second line contains {(N / ㄱ)-(R / b)-(T / ㅇ)-(S / ㄹ)-(H / ㅁ)-(U / TT, ㅠ)-(A / ㅓ, ㅕ)- (E / ㅣ)-(O / ㅏ, ㅑ)-(I / ㅡ)} and the third line contains {(F / ㅊ)-(V / ㅌ)-(X / ㅋ)-(C / ㅎ)-(space)-(Y / ㅚ, ㅟ)-(W / ㅘ, ㅙ)}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영문 제2 배열형에서는, 상기 일반문자키에 일반문자가 배치되되, 그 첫째 행에는 {M-L-D-Z-Q-J-B-P-G-K} 순으로 배치되고, 둘째 행에는 {N-R-T-S-H-U-A-E-O-I} 순으로 배치되며, 셋째 행에는 {F-V-X-C-(공백)-Y-W} 순으로 배치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9, in the English second array type, the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general character key, the first line is arranged in the order of {MLDZQJBPGK}, and the second line is arranged in the order of {NRTSHUAEOI}. , On the third line, {FVXC- (space) -YW}.

일반자판에서 채택하고 있는 일반문자 배열형식과 위에 보인 선택형 배열형식이 기본형과 사용자 선택형이라는 관계로서 자판에 병기되되, 이 두 가지 배열형식 가운데 어느 하나가 기본형이 되면 다른 하나는 사용자 선택형이 되도록 구성된다.The general character array format adopted by the general keyboard and the optional array format shown above are written together on the keyboard 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type and the user selection type, and when one of the two array types becomes the basic type, the other type is configured to be the user selection type. .

3. 일반문자키의 매트릭스(바둑판)형 배열 구조3. Matrix Structure of Plain Character Key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키가 매트릭스(바둑판) 배열구조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반자판이 사선형(위 아랫줄이 어긋진) 배열구조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바둑판처럼 가로 세로가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general character key is a matrix (checkerboard) arrangement structure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general keyboard has a diagonal (upper left line) arrangement structure, In the keyboard, you can see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re made like a checkerboard.

일반자판의 문자(한글, 영문, 숫자, 기호) 배열키들이 윗줄과 아랫줄이 서로 어긋지게 배열되어 있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자판은 매트릭스(바둑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자판처럼 키의 배열이 상하좌우로 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하면, 키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해 가며 타건해야 하는 한손잡이 사용자들한테는, 자판 위에서 시선을 이동시킬 때 순간적으로 시선이 교란되는 현상도 없어질 뿐만 아니라, 한 시선을 이동시키는 거리도 짧아지는 효과가 있다. The letters (Hangul, English, numbers, symbols) of the common keyboard are arranged with the upper and lower line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whereas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trix structure. When the arrangement of the keys forms a straight line up, down, left, and right like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handed users who need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keys with their eyes, the phenomenon that their eyes are momentarily disturbed when the eyes are moved on the keyboard Not only disappear, but also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distance to move one eye.

4. 좌우편 4. Left and right 자판부의Keyboard 공유키 영역 Shared key area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자판의 중앙부가 공유키 영역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우편 자판부가 키의 배열 면에서 완전히 대칭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좌우편 자판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속한 키들이 좌우편 자판부의 공유 영역이 됨을 보이고 있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keyboard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red key area, the keys belonging to the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keyboards combined in the state that the left and right keyboards are completely symmetrical in the arrangement of the keys, the left and right keyboards It shows a wealth sharing area.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공유키 영역에는, 문자모드(예: 한/영) 변환키, CapsLock키, Tap키, BackSpace키, Enter키, Shift키, PageUp/Down키, Home/End키, 그리고 방향키가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사실상 주요 기능키들이 거의 모두 자판 중앙의 공유 영역에 배치되는 셈인데, 이렇게 하나의 자판 위에 좌우편 자판부가 공유하는 영역이 있음으로 해서, 오른손잡이 한 손 사용자와 왼손잡이 한 손 사용자가 하나의 자판을 공용으로 쓸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As shown in FIG. 4, in the shared key area, a character mode (eg, Korean / English) conversion key, CapsLock key, Tap key, BackSpace key, Enter key, Shift key, PageUp / Down key, Home / End key, and direction key Is placed. In this case, virtually all of the key function keys are placed in the shared area in the center of the keyboard. Thus, since there is an area shared by the left and right keyboard parts on one keyboard,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one-handed users You will have the conditions to share the keyboard.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는 특수문자가 두 가지 형식으로 배열되는데, 그 하나는 특수문자만 단독으로 배열되는 형식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문자가 배열된 키에 병기되는 형식이다. 특수문자가 일반문자와 병기되는 경우에는 한 키에 하나씩 배열되고, 특수문자만 배열되는 경우에는 한 키에 두 개씩 배열된다. 특수문자만 배열되는 경우에는 숫자입력과 관련된 연산기호(+,-,*, /,=)가 숫자키와 바로 이웃하는 형식으로 배열되어야 일반문자키와 숫자키가 공유하는 영역이 될 것이다.Meanwhile,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al characters are arranged in two forms, one of which is a type in which only special characters are arranged alone, and the other is in a format in which common characters are written together in a key. If special characters are combined with regular characters, they are arranged one by one key. If only special characters are arranged, two by one key. When only special characters are arranged, the operation symbols (+,-, *, /, =) related to the numeric input should be arranged in the format immediately adjacent to the numeric keys, so that the general character keys and the numeric keys will be shared.

5. 5. 한손잡이One-handed 사용자의  Of your 운지용이성Fingerin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한손잡이 사용자의 운지 용이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우수의 엄지를 이용해 주요 기능키들을 용이하게 타건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ase of fingering of a one-handed user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key keys can be easily keyed by using the left and right thumb.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자판 중앙부의 공유키 영역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키들도 거의 모두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타건할 수 있는 범위 안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손잡이 사용자의 손이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현재 타건 중인 손가락의 위치와 다음 키의 위치가 최단거리가 되기 때문에, 문자가 배열된 키와 기능이 배열된 키를 손가락이 미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모든 형식의 타건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hared key area of the central part of the keyboard, but also other function keys are disposed within a range in which a thumb can be easily pressed. Therefore, no matter which position the one-handed user's hand is in, the position of the current key and the next key are the shortest distances. Form keystroke is possible.

더군다나 본 고안에 따른 키보드에는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가 일반자판에 비해 훨씬 많이 배치되어 있어, 한손잡이 사용자의 타건 행태에 가장 잘 부합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Furthermore, as shown in [Table 2],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many keys having the same function than the general keyboard, so that the structure best suits the one-handed user's keystroke behavior.

Figure 112007072920214-UTM00002
Figure 112007072920214-UTM00002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키의 개수만 더 많게 한 것이 아니고, 현재 타건 중인 손가락 위치에서 그 다음 기능키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짧아지게 하여 입력효율이 높아지도록 구성하였다. 좌우편 자판부 가운데 어느 한 편에서 한 손만을 사용해 타건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면, 실제 타자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Space키, BackSpace키, Shift키, Enter키 등이 적어도 2개 이상씩 배열되어 현재 위치에서 손가락을 상하좌우로 조금만 움직여도 바로 목적하는 키를 누룰 수 있게 된다.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number of keys is increased, but also the input efficiency is increased by shortening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finger position to the next function key. For example, when using only one hand in one of the keyboard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pace key, the back space key, the shift key, and the enter key, which are most used in the actual batter, are arranged at least two or more fingers at the current position. Even if you move a little, up, down, left, or right, you can enjoy the desired key.

뿐만 아니라, 한 손만을 사용해 2개 이상의 기능키를 결합하여 단축 기능을 실행할 경우에도 아주 자연스럽게 서로 다른 2개의 키를 함께 누를 수 있다. 예를 들어, Ctrl-Alt, Ctrl-Shift, Ctrl-Enter, Shift-Enter, Ctrl-방향키 등과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기능키를 동시에 눌러 기능을 실행해야 하는 경우, 본 고안에 의한 자판에서는 기능키와 기능키 사이의 거리가 아주 짧아 한 손만으로도 용이하게 단축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What's more, when two or more function keys are combined using only one hand to perform a shortcut function, you can naturally press two different keys together. For example, if you need to press two different function keys at the same time, such as Ctrl-Alt, Ctrl-Shift, Ctrl-Enter, Shift-Enter, Ctrl-direction keys, etc. The distance between the function keys is so short that you can easily execute the shortcut function with just one hand.

한편, 숫자키의 배열을 보면 일반자판에서는 숫자키가 두 군데로 나뉘어 배열되는데, 하나는 일반문자키 위에 바로 연접하여 배열되고, 다른 하나는 자판 우측에 별도로 구비된 숫자키부에 숫자키와 연산기호(+,-,*, /)가 바로 이웃하는 형식으로 배열된다.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the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s, the numeric keys are arranged in two places. One is arranged in direct connection on the normal character key. (+,-, *, /) Are arranged in immediate neighboring form.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숫자키 배열에서는 일반자판과 마찬가지로 2가지 형식으로 된 배열방법을 취하되, 자판 우측 하단에 배열되는 숫자키는 2행 5열로 구성된다. 숫자 입력과 직접 연관된 연산기호(+,-,*, /)와 부수기호(점, 콤마)는 숫자키에 바로 연접되도록 배치되며, 숫자와 연산기호는 문자키가 배열된 좌우폭 범위 안에 위치시킨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types of arrangement methods are taken as in the general keyboard, and the numeric keys arranged at the bottom right of the keyboard are composed of two rows and five columns. The arithmetic symbols (+,-, *, /) and the minor symbols (dots, commas) directly related to the numeric input are arrang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numeric keys, and the numbers and the mathematical symbols are plac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 ranges where the character keys are arranged.

6. 일반문자를 배열한 경우의 6. In case of array of normal characters 실시예Exampl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의 배열 가능영역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해당 언어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일반문자키의 개수에 따라 기본 배열부, 확장 배열부, 가변 배열부에 일반문자가 배열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FIG. 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area of general characters in a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in a basic array unit, an expansion array unit, and a variable array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general character keys typically provided in a corresponding language. It can be shown.

컴퓨터 자판이라는 것이 원래 미국에서 최초로 고안된 것이어서, 세계 어떤 문자든지 간에 자판에서는 우선적으로 영문 알파벳 26개가 기본형으로 배열되는데, 해당 문자에서는 그 영문 기본형 배열에다 자국 문자를 어떻게든 꿰어 맞춰 배열하게 된다. 그런데 자국 자판에서 일반문자키를 영문 알파벳이 배열된 26개의 키에 모두 할당하지 못하게 되면, 상단 숫자키 영역까지 확대하든지, 아니면 가변 배열부까지 확장하여 어떻게 해서든지 나머지 일반문자를 할당하게 된다. Computer keyboards were originally designed in the United States, which means that 26 letters of the alphabet are primarily arranged in the basic type in any type of character in the world, and the letters are somehow stitched and aligned to the English basic type. However, if the local keyboard fails to assign all 26 keys with alphabetical letters arranged in the English alphabet, it expands to the upper numeric key area or expands to the variable array part and allocates the remaining general letters anyway.

Figure 112007072920214-UTM00003
Figure 112007072920214-UTM00003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자국 문자가 영문 알파벳이 배열된 26개의 키에 할당이 가능한 언어에서는 기본 배열부 한 곳에만 일반문자를 할당하고(도 7a), 40개까지는 기본 배열부와 확장배열부 두 곳에 할당하며(도 7b), 40개 이상인 경우에는 기본 배열부, 확장 배열부, 그리고 가변 배열부까지 모두 세 곳에 일반문자를 할당한다(도 7c). As shown in [Table 3],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nguage in which the national characters can be assigned to 26 keys in which the English alphabet is arranged, the general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ly one basic arrangement unit (FIG. 7A), and up to 40 basic characters are used. Allocating to the array portion and the expansion array portion (Fig. 7b), if there are more than 40, the general character is allocated to all three places, the basic array portion, the expansion array portion and the variable array portion (Fig. 7c).

위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 배열부만을 일반문자 할당영역으로 쓰는 언어에는, 영어를 비롯하여 한글, 중국어(로마자 병음식), 일본어(로마자 입력방식) 등이 있고, 기본 배열부와 확장 배열부까지 할당영역으로 쓰는 언어에는, 프랑스어, 아랍어, 러시아어, 중국어(대만 주음부호식) 등이 있으며, 기본 배열부, 확장 배열부, 그리고 가변 배열부까지 할당영역으로 쓰는 언어에는, 일본어(히라가나 방식), 태국어, 힌두어 등이 있다. As shown in [Table 3] above, there are English, Korean, Chinese (Roman food), and Japanese (Roman input method) as well as English. French, Arabic, Russian, Chinese (Taiwan major sign), etc. are used as the allocation area up to the array part, and Japanese (Hiragana) is used for the language used as the allocation area up to the basic array part, the extended array part, and the variable array part. Way), Thai, and Hindi.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상단 숫자키 영역에 확장 배열부가 구비되는 것에 대해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b에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상단 숫자키 배열부분에 기본 26키를 넘는 문자가 배열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상단 숫자키 배열 영역에 확장된 문자를 배열하는 것과, 일반자판에서 상단 숫자키 영역에 확장된 문자를 배열하는 것이 다르다는 점을 먼저 설명하겠다.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arrangement is provided in the upper numeric key reg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B. As shown in FIG. 7B,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characters over the basic 26 keys may be arranged in the upper numeric key arrangement portion, wherein the characters extended to the upper numeric key arrangement area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f all, I'll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arranging the characters and arranging extended characters in the upper numeric key area.

일반자판에서는 확장된 문자를 숫자와 함께 배열(병기)하는 형식으로 처리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상단 숫자키 영역에 숫자를 배치하지 않고, 순수하게 확장문자만을 배열한다. 그렇게 되면, 배열된 상태 자체도 간결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입력효율도 훨씬 높아지게 된다. 입력효율이 더 높아지게 되는 이유는, 일반자판에서 채택하고 있는 것과 같이 숫자와 확장문자를 병기하는 형식에서는 확장영역에 배치된 문자를 입력할 때 반드시 Shift키를 누른 채 해당 문자가 배치된 키를 눌러야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숫자키 영역에 숫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키에 배치된 문자가 한 타에 입력된다. 즉, 일반자판에서는 두 개의 키를 함께 눌러야만 확장영역에 배치된 문자가 입력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상단 숫자키 영역에 숫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키를 하나만 눌러도 일반문자가 바로 입력되는 것이다. In general keyboards, the extended characters are arranged together with numbers (array), but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ded characters are arranged purely without placing numbers in the upper numeric key area. Then, not only is the arrangement itself felt concise, but the input efficiency is much higher. The reason for the higher input efficiency is that, in the case of numbers and extended characters, as in the general keyboard, when you enter a character placed in the extended area, you must hold down the Shift key and press the key where the character is placed. However,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s are not arranged in the numeric key area, the characters arranged on the corresponding keys are input at one stroke. That is, in the general keyboard, the characters arranged in the extended area are inputted only when two keys are pressed together. However,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s are not arranged in the upper numeric key area. Will be.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는 일반문자가 확장 배열부까지만 배열되므로, 가변 배열부는 공백상태가 된다. 공백상태가 된 키에 저장(Save), 복사(Copy), 붙이기(Paste), 자르기(Cut), 인쇄(Print), 창닫기(Close)와 같은 단축 기능키가 가변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only up to the extended array portion, the variable array portion becomes blank. Shortcut function keys such as Save, Copy, Paste, Cut, Cut, and Close may be variably arranged in a blank key.

자판 좌우측에 구비된 가변 배열부에 일반문자가 배열되는 것에 대해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변 배열부는 본래 축소형 자판부에서 Fn(n= 1~12)키가 배열된 곳인데, 다른 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낮은 Fn(n= 1~12)키를 굳이 하나의 자판에 2벌이나 구비할 이유가 없어, Fn(n= 1~12)키 12개를 자판의 중심부로 모아 배치한 결과로서 자판의 좌우측에 공백이 생기게 되었고, 바로 그 공백이 된 자리에 가변적으로 일반문자가 배열되는 것이다. The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variable array unit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with reference to FIG. 7C. The variable array part is where Fn (n = 1 ~ 12) keys are arranged in the reduced keyboard part, and the Fn (n = 1 ~ 12) keys, which are less frequently used compared to other keys, need to be placed on one keyboard. As a result of gathering and arranging 12 Fn (n = 1 ~ 12) keys into the center of the keyboard, there is no reason for the punishment, and there is a spa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Will be.

Fn(n= 1~12)키는 다른 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낮기 때문에, 굳이 두 벌을 구비하여 좌우판부에 나누어 배열할 필요까지는 없기 때문에, Fn(n= 1~12)키 두 벌을 하나로 통합한 뒤 자판의 중앙부로 이동시켜 자판 좌우측에 공간을 확보하고, 그 확보된 공간을 가변배열부로 활용하는 것이다.Since Fn (n = 1 ~ 12) is less frequently used than other keys, it is not necessary to have two sets and arrange them on the left and right plates, so two sets of Fn (n = 1 ~ 12) keys It is integrated into one and moved to the center of the keyboard to secure spac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and to use the space as a variable array.

가변 배열부까지 일반문자를 할당해야 하는 언어에는, 일본어(히라가나 방식), 태국어, 힌두어, 벵갈어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언어들은 입력해야 할 자모의 개수가 너무 많아 일반문자를 자판에 배열할 때 반드시 40개 이상의 키가 필요하다. Languages that require regular characters to be assigned to the variable array include Japanese (Hiragana), Thai, Hindi, and Bengali. These languages have too many alphabets to input, so when you arrange common characters on the keyboard, At least 40 keys are requir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축소형 자판부의 구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mbership of the reduced keyboard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좌우편 자판부가 대칭구조임을 나타낸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left and right keyboard part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키가 매트릭스 구조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common character key is a matrix structure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자판의 중앙부가 공유키 영역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keyboard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red key area.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한손잡이 사용자의 운지 용이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ase of fingering of a one-handed user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의 배열 가능영역을 나타낸 도면. 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general characters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를 기본배열부에 배열한 경우의 실시예. Figure 7a is an embodiment of the case in which the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basic arrangement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를 기본, 확장배열부에 배열한 경우의 실시예.Figure 7b is an embodiment of the case in which the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basic, extended array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자판에서 일반문자를 기본, 확장, 가변배열부에 배열한 경우의 실시예. Figure 7c is an embodiment of the case in which the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basic, extended, variable array i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한국어 자판 선택모드의 문자 배치도. 8 is a character layout of the Korean keyboard selec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영문 자판 선택모드의 문자 배치도. 9 is a character layout of the English keyboard selec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일반자판(106키) 형식에서 키의 개수를 대폭 줄여 먼저 축소형으로 된 제1자판부를 구성하고, 다시 그 제1자판부와 키의 배열면에서 완전하게 대칭을 이루는 제2자판부를 구성한 다음, 상기 제1자판부와 제2자판부를 좌우로 결합시켜 하나의 완성된 자판을 이루되, In the general keyboard (106-key) format, the number of keys is greatly reduced, and the first keyboard portion is reduced, and the second keyboard portion is completely symmetrical i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keyboard portion and the ke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 from side to side to form a complete keyboard, 일반문자가 배치되는 키들이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고;Keys in which ordinary characters are placed are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제1자판부와 제2자판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포함되는 키들이 제1, 제2자판부가 공유하도록 구성되며;The keys included in the portion where the first keyboard portion and the second keyboard portion are coupled are configured to share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그리고 일반문자가 배열되는 영역이 언어에 따라 기본배열부, 확장배열부, 그리고 가변배열부와 같이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잡이 사용자용 컴퓨터 자판.The computer keyboard for a one-handed 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on in which the general characters are arranged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such as a basic array unit, an expansion array unit, and a variable array unit according to a langu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일반자판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일반문자키가 상기 제1, 제2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고;A general character key typically provided in a general keyboard is divided into one by one in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units; 일반자판의 상부에 배열되는 숫자키와 자판 우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숫자키가 상기 제1, 제2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며;A number key arrang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eneral keyboard and a number key separate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are divided into a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특수문자키가 상기 제1, 제2자판부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고;A special character key is arranged separately by on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portions; Fn키(n=1~12)는 결합된 자판의 상단 중앙부에 한 벌이 배열되며; Fn keys (n = 1-12) are arranged in a top center portion of the joined keyboard; 그리고 복수의 단축 기능키(저장, 복사, 붙이기 등)가 상기 제1, 제2자판부가 하나로 결합된 자판의 상단 좌우측에 각각 한 벌씩 나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잡이 사용자용 컴퓨터 자판.And a plurality of shortcut function keys (storing, copying, pasting, etc.) are arrang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combi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keyboard parts one by on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일반문자가 배열되는 키의 개수가 26개를 넘지 않는 언어인 경우에는 기본배열부 범위 안에 배열되고; If the number of keys in which the general character is arranged is not more than 26, the language is arranged in the basic array range; 또, 40개를 넘지 않는 언어인 경우에는 기본배열부와 확장배열부 범위 안에 배열되며; In the case of more than 40 languages, it is arranged in the range of the basic array and the extended array; 그리고, 40개가 넘는 언어인 경우에는 기본배열부, 확장배열부, 그리고 가변배열부 범위 안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잡이 사용자용 컴퓨터 자판.And, in the case of more than 40 languages, a one-handed user computer keyboard, which is arranged in a range of basic array, expansion array, and variable arr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문자키에 일반문자가 배치되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eneral character is disposed in the general character key, 첫째 행에는 (M/ㅈ)-(L/ㄷ)-(D/ㅅ)-(Z/ㅂ)-(Q/ㅍ)-(J/ㅝ,ㅞ)-(B/ㅔ,ㅖ)-(P/ㅗ,ㅛ)-(G/ㅐ,ㅒ)-(K/ㅢ)} 순으로 배치되고;The first line contains (M / ㅈ)-(L / ㄷ)-(D / ㅅ)-(Z / ㅂ)-(Q //)-(J / ㅝ, ㅞ)-(B / ㅔ, ㅖ)-( P / VIII, VIII- (G / VIII, VIII)-(K / VIII)}; 둘째 행에는 {(N/ㄱ)-(R/ㄴ)-(T/ㅇ)-(S/ㄹ)-(H/ㅁ)-(U/ㅜ,ㅠ)-(A/ㅓ,ㅕ)-(E/ㅣ)-(O/ㅏ,ㅑ)-(I/ㅡ)} 순으로 배치되며; The second line contains {(N / ㄱ)-(R / b)-(T / ㅇ)-(S / ㄹ)-(H / ㅁ)-(U / TT, ㅠ)-(A / ㅓ, ㅕ)- (E / ㅣ)-(O / ㅏ, ㅑ)-(I /-)}; 셋째 행에는 {(F/ㅊ)-(V/ㅌ)-(X/ㅋ)-(C/ㅎ)-(공백)-(Y/ㅚ,ㅟ)-(W/ㅘ,ㅙ)} 순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잡이 사용자용 컴퓨터 자판.The third line contains {(F / ㅊ)-(V / ㅌ)-(X / ㅋ)-(C / ㅎ)-(space)-(Y / ㅚ, ㅟ)-(W / ㅘ, ㅙ)} Computer keyboard for one-handed us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문자키에 일반문자가 배치되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eneral character is disposed in the general character key, 첫째 행에는 {M-L-D-Z-Q-J-B-P-G-K} 순으로 배치되고;The first line is arranged in the order of {M-L-D-Z-Q-J-B-P-G-K}; 둘째 행에는 {N-R-T-S-H-U-A-E-O-I} 순으로 배치되며; The second row is arranged in the order of {N-R-T-S-H-U-A-E-O-I}; 셋째 행에는 {F-V-X-C-(공백)-Y-W} 순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잡이 사용자용 컴퓨터 자판.The third line is arranged in the order of {F-V-X-C- (space) -Y-W} computer keyboard for a one-handed us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제2, 제4,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4, 5, 일반자판에서 채택하고 있는 일반문자 배열형식과 상기 제4, 5항에 제시된 배열형식이 기본형과 사용자 선택형이라는 관계로서 자판에 병기되되, 두 가지 배열형식 가운데 어느 한 쪽이 기본형이 되면 다른 한 쪽이 사용자 선택형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잡이 사용자용 컴퓨터 자판.The general character arrangement format adopted by the general keyboard and the arrangement format presented in paragraphs 4 and 5 above are written on the keyboar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basic type and the user-selected type.If one of the two arrangement types becomes the basic type, the other Computer keyboard for a one-handed us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user-selectable.
KR2020070016515U 2007-10-11 2007-10-11 Keyboard for a one handed KR2009000350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515U KR20090003507U (en) 2007-10-11 2007-10-11 Keyboard for a one han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515U KR20090003507U (en) 2007-10-11 2007-10-11 Keyboard for a one hand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07U true KR20090003507U (en) 2009-04-15

Family

ID=4128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515U KR20090003507U (en) 2007-10-11 2007-10-11 Keyboard for a one hand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507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7399B2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US7216588B2 (en)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US9176591B2 (en) Data entry device (DED)
US5006001A (en) Keyboard with one hand character key array and one hand mapping key array
WO2005026931A2 (en) Electronic keyboard layout
CN103354919B (en) Keyboard
JP2008511880A (en) Keyboard used for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same
US7522937B2 (en) Super-high rate letter input device for a cell phone
US6142687A (en) One handed sequential alpha numerical keyboard
JP2003258977A (en) Mobile telephone set
US20050207817A1 (en) Computer keyboard
US20120114406A1 (en) Smart Phone Cenky Keyboards and Touch Screen and Other Devices
US201202075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keys in limited key space of handheld mobile wireless devices
KR20120003327U (en) One hand keyboard
WO2018090103A1 (en) An improved keyboard layout
KR200207298Y1 (en) Key board
CN102096472A (en) Improved keyboard of notebook computer
US20040069600A1 (en) Keyboard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090003507U (en) Keyboard for a one handed
KR20100086975A (en)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JP2003198703A (en) Mobile phone capable of entering character at ultrahigh speed
CN100363877C (en) Keyboard for full-screen touch panel
KR20140145908A (en) A keyboard for reducing the touch/click error in small electronic apparatus
JP2003536130A (en) Alphabet character input device
JP3440235B2 (en) Ten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