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905A - Breast-plate of chair - Google Patents

Breast-plate of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905A
KR20090002905A KR1020070067298A KR20070067298A KR20090002905A KR 20090002905 A KR20090002905 A KR 20090002905A KR 1020070067298 A KR1020070067298 A KR 1020070067298A KR 20070067298 A KR20070067298 A KR 20070067298A KR 20090002905 A KR20090002905 A KR 20090002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hair
plate
drum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6270B1 (en
Inventor
민한준
Original Assignee
민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한준 filed Critical 민한준
Priority to KR102007006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70B1/en
Publication of KR2009000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Abstract

A breastplate for the chair is provided, which supports the body when a user leans the upper body at the front. A breastplate for the chair comprises: a first rotary motion part(200) including a first drum(210) and a second drum(220); a first interference groove which is perpendicularly penetra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luid path groove(320) and is formed at the upper side; an inlet port(340) in which a hole of cylind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a first main body(310) equipped with a second interference groove; a second bond groove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 of the first main body and receives the end of the pressure pin(352); a second rotary motion part consisting of the secondary body; and a breastplate frame(400) which is coupled through the second interference groove and of which one side is bent and extended to the outer side.

Description

의자용 가슴받이{Breast-plate of chair}Breastplate for Chair {Breast-plate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가슴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 의자등과 같은 의자의 팔걸이에 가슴받이 장치를 구성하여 가슴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자용 가슴받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breast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and adjust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device to be located on the chest portion by configuring the breastrest device on the armrest of a chair such as an office chair, etc. It is about a chair chest.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좌판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배면에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좌판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팔을 얹을 수 있도록 팔걸이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In general, the chair has a seat plate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it, the back is installed on the back so that the user can lean on the back, the seat plate is formed with an armrest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place the arm .

예를 들면, 사무용 의자는 팔걸이가 좌우측에 설치된 좌판, 상기 좌판의 뒷쪽에 직립 설치된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설치된 헤드레스트, 상기 좌판에 설치되어 의자를 받쳐주는 하부의 지지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For example, the office chair is composed of a seat plate armrest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backrest installed upright on the back of the seat plate, a headrest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ackrest, a lower support installed on the seat plate to support the chair.

대부분의 의자는 팔걸이가 고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최근에는 편의성 등을 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Most chairs have a fixed armrest, but in recent years, for the convenience of the height-adjustable form of the trend has been widely spread.

즉, 최근 의자의 팔걸이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팔걸이 높이조절장치는 손잡이를 조작하여 고정핀을 몇 개의 홈에 선택적으로 거는 방식,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조합한 방식 등과 같은 수동조절식 으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In other words, the armrest of the chair is in the form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he armrest height adjusting device is a method of selectively locking the pins to a few grooves by operating the handle, rack gear and pinion gear combination Most of them are of manual control type.

이러한 종래의 의자 구조를 살펴본바 신체의 머리, 등, 팔 등에 안전 및 편안함에 주안점으로 그 기술에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의 구성중 가슴에 대한 보호 및 자세의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종래의 의자를 제작할 때 등받이, 좌판부, 팔걸이에 중요성을 두고 행해지고 있다.Considering the conventional chair structure, the focus is on the safety and comfort of the head, back, arms, etc. of the body and has limitations in the technology, and does not consider the protection of the chest and the stability of the postur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ody. When manufacturing a chair, the backrest, the seat plate, and the armrest are attached with importance.

특히, 수험생과 같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 공부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는 착석상태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허리가 결리거나 척추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여 팔에 힘이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팔의 힘에 의해 손으로 전달되어 글쓰기 등 불안한 자세가 발생하여 공부의 집중 불안 및 신체의 피로가 쌓이게 되어 사용자가 금방 지쳐 의자에서 벗어나는 일이 자주 일어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user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such as the examinee increases the load on the spine as the seating time elapses, resulting in stiffness in the lower back or disability in the spine, resulting in force on the arm. Accordingly, the hand is transmitted by the force of the arm, causing an unstable posture, such as writing, resulting in intensive anxiety and fatigue of the study, and the user quickly exhausts from the chair.

또한, 의자에 앉았을 때 착석자는 등받이에 자신의 상체를 완전히 기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앉아 있기 보다는 통상적으로는 상체를 등받이로부터 뗀 상태에서 상체를 책상쪽으로 어느 정도 구부린 상태의 착석자세를 취함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when sitting on a chair, the seated person is usually seated in a state of bending the upper body toward the desk with the upper body removed from the back, rather than sitting in a state of continuously keeping his upper body completely in the backrest. This is common.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착석중일 경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척주, 목, 팔 등의 신체에 무리가 오게 되고 그에 따라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지날수록 불안전한 자세에 의한 긴장이 고조되어 정신적인 불안함이나 신체적인 고통이 가해지게 된다.If you are sitting for a long time in such a state, as mentioned above, you will have a lot of pressure on your body such as spinal column, neck, arm, etc. As time goes on, you will feel nervous anxiety or physical Pain is inflicted.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과 자세의 안락함을 주기 위해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 제0030822호에 의자용 가슴받이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새로운 기술을 구성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습니다.In order to give the comfort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posture has been filed in the application for the chair in the application No. 0030822 filed to provide a new technology based on this technology.

본 발명은 착석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를 착석자의 가슴부위 혹은 상체 전면부 일정부위에 설치되도록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석자가 상체를 앞쪽으로 숙였을 때 가슴받이에 의해 신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가슴받이가 장착된 의자를 개발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to be installed on the chest part of the seat occupant's chest or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ortion to support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so that the body is supported by the body when the seated person leans forward To develop a chair equipped with a breastrest.

본 발명은 착석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받이를 착석자의 가슴부위 혹은 상체 전면부 일정부위에 설치되도록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석자가 상체를 앞쪽으로 숙였을 때 가슴받이에 의해 신체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의 척추뼈가 자연곡선을 유지하여 편안한 착석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장시간 의자에 앉아 일을 수행함에 있어 능률 향상에 의한 정신적인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는 의자용 가슴받이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to be installed on the chest part of the seat occupant's chest or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so that the body is supported by the chest when the seated person leans forward to the bod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s breastplate that maintains the natural curve of the seated vertebrae to maintain a comfortable seating state and induces a mental stability by improving efficiency in performing work for a long time. Leave.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는, 의자에 가슴받이가 장착됨으로서 기존의 등받이 및 팔걸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existing backrest and armrest by mounting the chestrest on the chair.

또한, 가슴받이를 함으로서 사용자가 장시간동안 공부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능률이 향상되어 신체적인 피로감의 해소 및 정신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착석 자세에 따른 신체 골격의 바른 균형과 맞춤 형 체형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perform the study and work for a long time by the breastrest, and the efficiency is improved, thereby providing a chair that can relieve physical fatigue and give mental stability, and the user's body skeleton according to the sitting position It can induce the right balance and customized body shape,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용 가슴받이(20)는, 팔걸이 본체(35)와 상기 팔걸이 본체(35)를 지지하는 지지대(36)로 구성된 양측 팔걸이(30)가 구비된 좌판부(40)와, 좌판부(40)의 뒷쪽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50)와, 이들 등받이(50) 및 좌판부(40)를 지지하는 프레임(6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10)에 있어서, As shown in FIG. 1, the chair suppo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late having both armrest bodies 35 and both armrests 30 formed of support members 36 supporting the armrest bodies 35. The conventional chair 10 which consists of 40, the backrest 50 extend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back of the seat plate part 40, and the frame 60 which supports these backrest 50 and the seat plate part 40. To

상기 양측 팔걸이 본체(35)의 상부면에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면의 후단 일면에 바닥면은 밀폐되고 원통형의 홈이 형성된 연결홈(110)이 구비되고, 좌우측면 각각에 연결홈(110) 내측부로 관통된 제1고정홈(120)이 구비되고, 상면 연결홈(110) 외주를 기준으로 이격된 주변에 원의 형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30°∼60°의 경사각의 기울기를 가진 정지홈(130)이 구비된 지지부(100)와,The upper surface of the both sides of the armrest main body 35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on the rear end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groove 110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groove,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110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first fixing groove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 the shape of a circle around the spaced apart relativ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connection groove 110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with a slope of inclination angle of 30 ° ~ 60 ° The support part 100 is provided with a stop groove 130,

상기 지지부(100)의 연결홈(110)에 삽입되어 제1고정홈(120)에 결속된 제1고정핀(125)에 간섭을 받아 좌우회전 연동되도록 하부 일측 외주에 제1결속홈(215)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제1드럼(2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210) 상단부에 판상의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면 양끝단 일면에 하부로 관통된 제2고정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홈(230)에 상기 지지부(100) 정지홈(130)에 간섭을 일으 키도록 제2고정핀(235)이 체결되며 양측면에 다수개의 제3결속구(236)가 형성된 제2드럼(220)으로 이루어지는 제1회동부(200)와,The first binding groove 21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10 of the support part 100 so as to be interlocked left and right by interfering with the first fixing pin 125 boun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20. The first drum 2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um 210,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penetrated downward on one surface of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he second fixing pin 235 is fastened to cause interference with the support groove 100, the stop groove 130 in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and a plurality of third binding holes 236 on both sides A first rotating part 200 formed of the formed second drum 220,

상기 제1회동부(200)의 제2드럼(220)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에 볼트(700)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315)가 구비되고, 저면과 배면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을 이루며, 좌우측면 끝단에 타원형으로 수평 관통된 유로홈(320)이 형성되며, 상면에서 상기 유로홈(320)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1간섭홈(330)이 형성되고, 정면 일측에 원통형의 구멍이 형성된 유입구(340)가 구비되고, 상면에서 상기 유입구(340)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간섭홈(35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제1몸체(310)가 구비되고,A cover 315 is provided on the second drum 220 of the first pivot part 200 and fastened by a bolt 70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urface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and a rear surface forms a streamlined shape, and a left and right side surface. An elliptical horizontally penetrating flow path groove 320 is formed at the end, and a first interference groove 330 vertically penetra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path groove 320 is formed at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ylindrical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An inlet 340 is provided, and a first body 310 is formed in which a second interference groove 350 penetrates perpendicularly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34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제1몸체(310)를 수용하기 위해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면에서 정면으로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의 만곡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361)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돌기부(362)가 형성하며, 상기 제1몸체(310)의 유로홈(320)에 삽입되며, 상기 제1간섭홈(330)을 통해 구비된 삽입볼(332)과 스프링(331)이 전후방향의 움직임에 간섭되도록 이동봉(325)이 유로홈(32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봉(325) 양끝단부를 결속하는 제1결속구(363)가 각각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부(200)의 제2드럼(220) 양측면에 형성된 제3결속구(236)에 볼트(700)에 의해 결속시키기 위해 하부 끝단에 다수의 제2결속구(364)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수직판상의 제1, 2판재(360a, 360b)가 구비되고,Sides installed on both sides to accommodate the first body 310, and a surface connected to the front from the top surface is formed with a curved curved portion 361, the projections 362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curved portion (361).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groove 320 of the first body 310, the insertion ball 332 and the spring 331 provided through the first interference groove 330 interferes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First rods (325) are inserted into the flow path groove 320 so that the first binding holes (363) for binding both ends of the movable rods (325) are formed inside, respectively, the second drum of the first pivot (200)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having a vertical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binding holes 364 formed at lower ends thereof to be fastened by bolts 700 to the third binding holes 236 formed on both sides. 360b),

상기 제1몸체(310)의 유입구(340)에 삽입되며, 상기 제2간섭홈(350)을 통해 구비된 압력핀(352)과 스프링(351)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을 일으키도록 상기 압력핀(352) 의 끝단을 수용하는 제2결속홈(37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속홈(372)과 연장된 외주면에 상기 제1, 2판재(360a, 360b) 만곡부(361)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362) 사이에 수용할 수 있도록 요철형상의 톱니부(373)가 구비된 제2몸체(370)로 구성되는 제2회동부(300)와,The pressure pin is inserted into the inlet 340 of the first body 310 and interferes with the pressure pin 352 and the spring 351 provided through the second interference groove 350 to cause rotation. A second binding groove 372 is formed to receive an end of the 352, an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361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from the second binding groove 372. A second pivoting part 300 composed of a second body 370 provided with an uneven tooth 371 so as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projections 362,

상기 제2몸체(370) 톱니부(373)의 후단부를 내속하여 결속되며,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가슴받이프레임(400)으로 구성되는 의자용 가슴받이(20)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second body 370 is bound to the inner end of the toothed portion 373, the one end is to provide a chair 20 for the chair consisting of a support frame 400 is extended to the outside.

상기 팔걸이 본체(35) 상부면에 구비되는 지지부(100)는 별도의 지지부(100)를 구비하여 팔걸이 본체(35) 상부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팔걸이 본체(35) 상부면이 지지부(100)로 제공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0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body 35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body 35 by having a separate support part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body 35 is the support part 100. It may be provided as.

다음은 도 5에 도시된 제1드럼(210)과 제2드럼(220)으로 구성되는 Next is composed of the first drum 210 and the second drum 220 shown in FIG. 제1회동부1st rotation department (100)를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다.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좌우 각도로 1차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지지부(100)의 연결홈(110)에 삽입되어 제1고정홈(120)에 결속된 제1드럼(210)의 제1고정핀(125)에 간섭을 받아 좌우회전 연동되도록 하며, 2차적으로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은 상기 제2드럼(220) 제2고정홈(230)에 구비된 제2고정핀(235)이 상기 지지부(100) 정지홈(130)에 간섭을 일으켜 작동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이 그 작동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rotation of the breast frame 400 at a left and right angl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110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first of the first drum 210 boun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20. The left and right rotation interlocked by interference with the fixing pin 125, and acting as a stopper so as to stop at a desired position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in the second drum 220,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is provided. The second fixing pin 235 is operated to cause interference to the support groove 100, the stop groov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method as follows.

도 12d1과 도 12d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0) 상면 연결홈(110) 외주를 기준으로 이격된 주변에 원의 형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30°∼60° 경사각의 기울기를 가진 정지홈(130)이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것은 상기 제2드럼(220)의 제2고정홈(230)을 통해 구비된 제2고정핀(235)이 일방향으로 다수개의 정지홈(130)을 간섭하면서 회전할 때 정지홈(130)의 최초 면접되는 순간 제2고정핀(235)이 90°로 기울어진 정지홈(130)에 면접하게 되며, 그후 30°∼60°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로를 면접하면서 다음 정지홈(130)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2d1 and Figure 12d2 stops having a slope of 30 ° to 60 ° inclination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hape of a circle around th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ortion 100 upper connection groove 110 The groove 130 is provided as shown in Figure 6 is that the second fixing pin 235 provided through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of the second drum 220 is a plurality of stop groove 130 in one direction The second fixing pin 235 is interviewed to the stop groove 130 inclined by 90 ° when the first interview of the stop groove 130 is rotated while interfering with the interference, and then has a slope of 30 ° to 60 °. Interview the ramp while moving to the next stop groove (130).

반대로 다른 방향으로 제2고정핀(235)이 회전하려 할 때 정지홈(130)의 90°의 수직벽에 면접하게 되어 제2고정핀(235)의 이동을 막게 됨에 따라 가슴받이프레임(400)의 좌우 각도를 원하는 위치 즉, 정지홈(130)에 면접하게 하여 고정되게 하는 원리로 작동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fixing pin 235 is about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interviewed at a vertical wall of 90 ° of the stop groove 130, there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fixing pin 235.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desired position, that is, the stop groove 130 to be interviewed to operate in principle.

반면, 제2고정핀(235)이 정지홈(130)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원위치하려고 할 경우는 상기 지지부(100)의 연결홈(110)에 삽입되어 제1고정핀(125)에 간섭을 받고 있는 제1드럼(210)의 제1결속홈(215)에 공간이 제1고정핀(125)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보다 여유가 있어 제1드럼(210)과 연결된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상부로 약간 들어올리면 정지홈(130)에 구속된 제2고정핀(235)이 이탈되게 하여 원위치로 이동하여 주면 정상 복귀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fixing pin 235 is restrained by the stop groove 130 and tries to return the breast frame 400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rst fixing pin 23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10 of the support part 100. The first binding groove 215 of the first drum 210 which is interfered with the pin 125 has more space than the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first fixing pin 125, so that the first drum 210 and Lifting the connected breastrest frame 400 to the upper part is a second fixing pin 235 constrained to the stop groove 130 is separated to move to the original position to return to normal.

상기 제2고정핀(235)의 내부 단면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명하면, 몸체 내부 에 홈이 구비되고, 상기 홈 내부에 스프링이 내속되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일측 끝단부에 면접되어 일측 끝단부가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며 외부로 돌출된 볼핀이 설치되어 제2고정핀(235)을 구성한다.Referring to the inter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fixing pin 235 as shown in Figure 5, a groove is provided in the body, a spring is provided in the groove is internally provided, the one side end is interviewed in the one end of the spring An additional streamlined shape and a ball pin protruding to the outside is installed to constitute a second fixing pin 235.

상기 제2고정핀(235)의 볼핀이 90°로 기울어진 정지홈(130)에 면접하게 되면 정지하게 되고, 그후 30°∼60°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로를 면접하면서 다음 정지홈(130)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ball pin of the second fixing pin 235 is in contact with the stop groove 130 inclined at 90 °, the ball stops, and then the next stop groove 130 is interviewed while interviewing a slope having a slope of 30 ° to 60 °. Will move.

다음은 도 7 Next is Figure 7 내지 도To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310), 제2몸체(370) 및 제1,  As shown in 11, the first body 310, the second body 370 and the first, 2판재2 plates (360a, 360b)로 구성되는 Consisting of 360a, 360b 제2회동부2nd dongbu (300)를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다.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과 같이 상기 제1몸체(310)의 저면과 배면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을 가짐으로서 상하로 회전시 상기 제1회동부(200)의 제2드럼(220) 상부에 간섭받지 않고 자유로이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As shown in FIG. 7,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31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310 to have a streamlined shape, and rotate freely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rum 220 of the first rotating part 200. Provided to do so.

도 8과 같이 상기 제1몸체(310)를 수용하기 위해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면에서 정면으로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의 만곡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361)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돌기부(362)가 형성한 제1, 2판재에서, 도 12a1과 도 12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슴받이프레임(400)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제1몸체(310)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유로홈(320) 내부 전방에 삽입된 이동봉(325)이 전후로 위치가 바뀌게 될 때 유로홈(320) 내부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1간섭홈(330)을 통해 구비된 삽입볼(332)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이동 봉(325)이 전방에 위치할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며, 원하는 위치에 상기 가슴받이프레임(400)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 이동봉(325)을 유로홈(320) 내부 중앙에 돌설된 삽입볼(332)을 간섭하여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으로 그 작동방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8 is installed on both sides to accommodate the first body 310,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front from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curved curved portion 361,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curved portion (361) In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formed by the protrusions 362, as shown in FIGS. 12A1 and 12A2, the support frame 400 may rotate up and down in an elliptical flow path groove formed in the first body 310. When the moving rod 325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inside is changed back and forth position, the front and the front relative to the insertion ball 332 provided through the first interference groove 33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low path groove 320 Divided into the rear, when the movable rod 325 is located in the front, the movement is free, when the movable rod 325 is to be fixed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flow path groove 320 Interfere with the protruding insertion ball 332 to move backward The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이동봉(325)을 유로홈(320) 전방에 위치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이동봉(325)과 연관된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유로홈(320)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제2몸체(370)에 형성된 요철형상의 톱니부(373)가 상기 제1, 2판재(360a, 360b) 만곡부(361)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362) 사이에 수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요철형상중 “└┘”모양의 홈에 제1, 2판재(360a, 360b) 만곡부(361)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362)인 “┌┐”형상을 수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moving rod 325 is located in front of the flow path groove 320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n move the chest frame 400 associated with the moving rod 325 to the rear of the flow path groove 320, and at the same time The uneven teeth 371 formed on the two bodies 370 are accommodated and fixed between the protrusions 362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urved portions 361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60a and 360b. That is, the protrusions 36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arts 361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are accommodated and fixed in the grooves of the concave-convex shape.

반면,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원위치로 복귀하고자 할 경우 유로홈(320) 내부 후방에 위치한 이동봉(325)을 전방으로 위치시켜 가슴받이프레임(400)을 간섭받지 않는 상태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reast frame 400 is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moving rod 325 located in the rear of the flow path groove 320 is positioned forward to return the breast frame 400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being interrupted. do.

상기 제1회동부(200)의 제2드럼(220) 양측면에 형성된 제3결속구(236)에 제1, 2판재(360a, 360b)의 제2결속구(364)를 통해 볼트(700)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고정된 제1, 2판재(360a, 360b) 상부의 공간에 제1몸체(310)가 내속되어 제1, 2판재(360a, 360b)의 제1결속구(363)에 의해 결속되며, 동시에 유로홈(320)에 관통된 이동봉(325)에 의해 내속된 상태로 존재함에 따라 도 11에서 나 타낸 바와 같이 제2몸체(370)의 제2결속홈(372)을 제1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간섭홈(350)을 통해 구비된 압력핀(352)에 의해 결속 연결된 가슴받이프레임(400)의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bolt 700 is connected to the third binding holes 23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rum 220 of the first rotating part 200 through the second binding holes 364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It is bound by and is present in a fixed state, the first body 310 is endowed in the space above the fixed first, second plate (360a, 360b) to the first of the first, second plate (360a, 360b)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binding groove of the second body 370 is bound by the binding hole 363 and at the same time existed in the state of being moved by the moving rod 325 penetrated by the flow path groove 320. 372 is enabled to rotate and move the support frame 400 bound by the pressure pin 352 provided through the second interference groove 35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310).

상기 제1회동부(200)와 제1, 2판재(360a, 360b)는 사출생산방식으로 일체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hat the first rotating part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may be formed in an integral form by injection molding.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의 제1회동부(200)는 동일하지만,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원리가 상이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rotating unit 200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but the principle of fixing by adjusting the up and down angle is different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3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310)를 수용하기 위해 양측면에 설치된 제1, 2판재(360a, 360b)에 있어서, 상기 제1, 2판재(360a, 360b) 각각 상면에서 정면으로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의 만곡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361)의 정면에서 상면까지 수평의 원통형 절개부(365)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13 to 17, in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provided on both sides to accommodate the first body 310,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respectively have upper surfaces.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front is a streamlined curved portion 361 is formed, a plurality of horizontal cylindrical cutout 365 is form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361 to the upper surface,

상기 원통형의 절개부(365)에 수용되는 제1몸체(310)의 외측 양면에 원통형의 제1돌출핀(374)이 각각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cylindrical first protrusion pins 374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first body 310 accommodated in the cylindrical cutout 365, respectively.

상기 실시예 2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이동봉(325)을 유로홈(320) 전후방에 위치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시예 1의 원리와 동일하며, 상기 이동봉(325)과 연관된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유로홈(320)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제1몸체(310)의 일면 양측에 형성된 제1돌출핀(374)이 상기 제1, 2판재(360a, 360b) 만곡부(361)의 정면에서 상면까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원통형의 절개 부(365)에 수용되어 고정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moving rod 325 i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flow path groove 320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the first embodiment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the breast frame associated with the moving rod 325 The first protrusion pins 37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310 are moved to the rear of the flow path groove 320, and the curved portions 361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are moved. It is received and fixed in the cylindrical cutouts 365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ront to the top.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1의 상하 이동 및 상하 각도의 고정하는 원리를 통합한 것으로 도 18 내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판재(360a, 360b)의 상면에서 정면으로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의 만곡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361) 내측에 평면의 유도로(366)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로(366)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바닥면이 빗변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삽입홈(367)이 다수개 형성되고, Incorporating the principle of vertical movement and fixing the vertical ang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18 to 21,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fron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cond plate (360a, 360b) is a streamlined curved portion 361 is formed, a planar induction path 366 is formed inside the curved portion 361, and a bottom triangular groove is formed at right angles to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induction path 366.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67 are formed,

상기 삽입홈(367)에 간섭되도록 제1몸체(310)의 유로홈(320) 일측에 수평의 관통공(31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1)에 내부에 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31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312)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끝단면이 기울어진 빗면을 가지는 제2돌출핀(3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제공한다.A horizontal through hole 3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low path groove 320 of the first body 310 so as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groove 367, thereby adjusting a pressure therein in the through hole 311. Is formed, the spring 312 i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end is provided with a second protrusion pin 313 having a slanted inclined end surface is provided.

상기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상부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제1몸체(310)의 관통공(311) 양측에 돌출된 제2돌출핀(313)이 도 19a와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판재(360a, 360b)의 만곡부(361)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367)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원하는 위치에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직각삼각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삽입홈(367)의 특성에 따라 상기 삽입홈(367)의 직각변을 이루는 직각면에 의해 하부로 이동이 불가하여 즉, 제2돌출핀(313)의 끝단면이 기울어진 빗면을 가짐으로서 상기 삽입홈(367)에 구속되어 일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불가하게 된다.The second protruding pins 313 protruding at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311 of the first body 310 when the breast frame 400 is moved upward to a desired position are as shown in FIGS. 19A and 19B.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60a and 360b move along the insertion grooves 367 formed inside the curved portion 361, and when moved to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ertion grooves 367 made of the right triangle grooves. It is impossible to move downward by a right angled surface forming a right angled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367, that is,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pin 313 is inclined to the insertion groove 367 by having a slanted inclined surface in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but not in the opposite direction.

반면, 상기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원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상기 이동봉(325)을 유로홈(320) 후방에 위치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시예 1의 원리와 동일하며, 상기 이동봉(325)과 연관된 가슴받이프레임(400)을 유로홈(320)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몸체(310)의 제2돌출핀(313)이 삽입홈(367)을 벗어나 제1, 2판재(360a, 360b) 만곡부(361) 내측에 형성된 평면의 유도로(366)로 이동하게 되어 하부로 이동시켜 정위치에 위치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move the breast frame 400 to the original position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the first embodiment to move the moving rod 325 to the desired position to the rear of the flow path groove 320, the moving rod 325 The second protruding pin 313 of the first body 310 moves out of the insertion groove 367 and moves the breastplate frame 400 associated with the front of the flow path groove 320 to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60a and 360b. ) Is moved to the induction path 366 of the plane formed inside the curved portion 361 is moved to the lower position to position.

즉, 상기 제2돌출핀(313)이 90°로 기울어진 삽입홈(367)에 면접하게 되면 정지하게 되고, 그후 30°∼60°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로를 면접하면서 다음 삽입홈(367)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protruding pin 313 is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groove 367 inclined at 90 °, it is stopped, and then the next insertion groove 367 is interviewed while inclining a slope having a slope of 30 ° to 60 °. Will move.

또한, 도 20a와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310)의 제2돌출핀(313)이 삽입홈(367)을 벗어나 제1, 2판재(360a, 360b) 만곡부(361) 내측에 형성된 평면의 유도로(366)로 이동함에 있어 상기 삽입홈(367)의 우측 끝단 즉, 제2돌출핀(313)이 삽입홈(367)을 벗어나게 되는 끝단부의 형상이 곡선부의 유선형을 형성하여 제2돌출핀(313)이 삽입홈(367)으로부터 이탈되어 유도로로 이동됨이 삽입홈(367)의 끝단부가 유선형으로 인해 더욱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0A and 20B, the second protrusion pins 313 of the first body 310 move away from the insertion grooves 367 to the inside of the curved portions 361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The shape of the right end of the insertion groove 367, that is, the end of which the second protruding pin 313 is out of the insertion groove 367, forms a streamlined portion in the planar path 366 formed at The second protruding pin 313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367 and moved to the induction path,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367 moves more freely due to the streamlined shape.

(실시예 4)(Example 4)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좌우 회전에 따른 고정하는 원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The principle of fixing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드럼(210)에 내속되고, 판상의 링형상을 가진 우레탄판(140)을 구비하여 지지부(100)의 연결부 외주의 주위면과 마찰력을 두어 좌우 회전하는데 이 마찰력에 의해 간섭을 받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 22, the urethane plate 140, which is embedded in the first drum 210 and has a plate-shaped ring shape, has a frictional force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support part 100 and rotates left and right. Interference was caused by friction.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의 상기 제2몸체(370) 톱니부(373)의 전단부를 내속하여 결속되며,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가슴받이프레임(4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슴받이프레임(400)의 길이 및 가슴받이프레임(400)끝단의 굴곡진 방향을 조절하여 착석자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는데 특징이 있다.The second body 370 of the first embodiment is bound to the inner end of the toothed portion 373, and the one end is related to the breast frame 400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length of the breast frame 400 And by adjusting the curved direction of the end of the support frame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seated person.

도 23 내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370) 톱니부(373)의 후단부에 내속되는 고정봉(500)이 구비되고,As shown in Figure 23 to Figure 27 is provided with a fixed rod 500 endured in the rear end of the tooth portion 373 of the second body 370,

상기 고정봉(500)에 내속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가슴받이프레임(400) 일측에 고정되며, 직경이 타원형의 소경부(610)와 대경부(620)로 이루어지는 캠(600)이 구비되고,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400 to adjust the length to be fixed to the fixed rod 500, the diameter 600 is provided with a cam 600 consisting of a small diameter portion 610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620,

상기 캠(600)의 소경부(610)와 대경부(620)상에 걸림턱(615)을 형성하고,The locking jaw 615 is formed on the small diameter portion 61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620 of the cam 600.

상기 캠(600)의 소경부(610)와 대경부(620)를 감싸며 상기 걸림턱(615)과 대응되는 외주 일면에 공간부(651)를 두어 상기 공간부(651) 양끝면이 돌출턱(652)이 형성된 가동편(650)이 구비되어,Surrounding the small diameter portion 61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620 of the cam 600 and a space portion 65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615 so that both ends of the space portion 651 protruding jaw ( 652 is provided with a movable piece 650,

상기 캠(6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동편(650)이 확장되거나 오므라들어 고정봉(500)의 내경면에 긴밀히 접촉되거나, 일정간격을 유지됨으로서 가슴받이프레임(400)의 길이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600, the movable piece 650 is extended or retrac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fixed rod 500, or the length of the breast frame 400 can be adjusted by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It features.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경부(610)와 대경부(620)로 이루어진 캠(600)의 양측면에 플랜지부(630)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가슴받이프레임(400)의 내경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출보스(640)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5, flange portions 63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m 600 including the small diameter portion 61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620, and the flange portion 630 is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breast frame 400. Protruding boss 640 is fixed.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615)과 돌출턱(652)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캠(600)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가동편(650)이 확장되어 가슴받이프레임(400)으로부터 고정봉(500)을 고정시키고, 이와는 반대로 걸림턱(615)과 돌출턱(652)이 접속된 상태에서 캠(600)을 회전될 경우에는 가동편(650)이 확장되지 못하고 캠(600)과 함께 공회전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4, when the cam 6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gaging jaw 615 and the protruding jaw 652 are spaced apart, the movable piece 650 is extended to fix the rod from the breast frame 400. When the cam 600 is rotated while the locking jaw 615 and the protruding jaw 6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ovable piece 650 is not expanded and idling with the cam 600 is fixed. Done.

상기 캠(600)을 가슴받이프레임(400)의 어느 부분에 고정하여도 동일한 동작을 하지만, 조립에 따른 작업성 및 길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도 27과 같이 가슴받이프레임(400)의 끝단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 600 is fixed to the end of the breast frame 400 as shown in Figure 27 in order to maximize the workability and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ame operation, but fixed to any part of the breast frame 400 It is desirable to.

상기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의자용 가슴받이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 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As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chair supporter can be manufactured by various design changes. The principle is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 but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mechanism through the principle is provided. It reveals that the excita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design chang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를 설치한 의자의 전체구조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structure of a chair having a chair suppor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를 조립한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of assembling the breast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를 조립한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ssembling the breast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의 분리도Figure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chair breastres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지지부와 제1회동부를 조립하기 위한 설치 분리도Figure 5 is an installation separation for assembling the support and the first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 정지홈의 “A”부위 확대도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the support stop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2회동부 제1몸체의 조립 분리도7 is an assembled and separated view of the first body of the second pivot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2판재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제2판재 돌기부의 “B”부위 확대도Figure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B" portion of the second plate pro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2몸체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body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2회동부의 조립 분리도11 is an assembled and detached view of a second rotating unit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도12a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moving the breast fram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상하로 이동하는 측면도12a2 is a side view of moving up and down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회전하는 구성도12b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rotating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회전하는 평면도12b2 is a plan view of rotating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c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전후이동하는 구성도12c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moving back and forth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c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전후이동하는 측면도12c2 is a side view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c3은 (2)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2판재의 돌기부 사이에 제2몸체의 톱니부를 수용한 “C”부위 확대도Fig. 12C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 portion accommodating the teeth of the second body between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도 12d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좌우회전하는 구성도Figure 12d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rotating left and right the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d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좌우회전하는 평면도12d2 is a plan view of rotating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를 조립한 상태도Figure 13 is a state diagram assembled the chair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2판재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1몸체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body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을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도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moving up and down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1, 2판재의 절개부에 제2몸체의 돌출핀을 수용한 “D”부위 확대도Figure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D" portion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pin of the second body in the cutout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의 분리도18 is an exploded view of a chair support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제2판재의 사시도19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제2판재의 삽입홈의 “E”부위 확대도19B is an enlarged view of the “E”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pl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제2판재의 사시도20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제2판재의 삽입홈의 “F”부위 확대도20B is an enlarged view of the “F”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pl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제1몸체의 관통공에 구비되는 돌출핀의 사시도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ruding pin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지지부와 제1회동부의 제1드럼의 좌우회전에 의해 간섭되는 우레탄판이 설치되는 분리도Figure 22 is an exploded view in which the urethane plate interfered b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first drum of the support and the first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가슴받이프레임의 길이조정을 위한 조립하는 상태의 분리도Figure 23 is an exploded view of the assembled stat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reast fram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캠과 가동편을 결속하기 위한 분리사시도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ngaging the cam and the movable pie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5는 도 24의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캠의 “G-G”부위의 단면도FIG. 25 is a sectional view of a "G-G" portion of the cam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캠이 가슴받이프레임에 고정되어 고정봉에 내속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to the breast frame frame and the inner ro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의자 10 의자용 가슴받이 20 팔걸이 30 팔걸이 본체 35 지지대 36 좌판부 40 등받이 50 프레임 60 지지부 100 연결홈 110 제1고정홈 120 제1고정핀 125 정지홈 130 우레탄판 140 제1회동부 200 제1드럼 210 제1결속홈 215 제2드럼 220 제2고정홈 230 제2고정핀 235 제3결속구 236 제2회동부 300 제1몸체 310 관통공 311 스프링 312 제2돌출핀 313 커버 315 유로홈 320 제1간섭홈 330 스프링 331 삽입볼 332 유입구 340 제2간섭홈 350 스프링 351 압력핀 352 제1판재 360a 제2판재 360b 만곡부 361 돌기부 362 제1결속구 363 제2결속구 364 절개부 365 유도로 366 삽입홈 367 제2몸체 370 제2결속홈 372 톱니부 373 제1돌출핀 374 가슴받이프레임 400 고정봉 500 캠 600 소경부 610 걸림턱 615 대경부 620 플랜지부 630 돌출보스 640 가동편 650 공간부 651 돌출턱 652Chair 10 Chestrest 20 Armrest 30 Armrest Body 35 Support 36 Seat plate 40 Backrest 50 Frame 60 Support 100 Connecting groove 110 First fixing groove 120 First fixing pin 125 Stopping groove 130 Urethane plate 140 First rotating part 200 First drum 210 1st binding groove 215 2nd drum 220 2nd locking groove 230 2nd fixing pin 235 3rd binding hole 236 2nd rotating part 300 1st body 310 Through hole 311 Spring 312 2nd protrusion pin 313 Cover 315 Euro groove 320 1st 1 Interference groove 330 Spring 331 Insertion ball 332 Inlet 340 Second interference groove 350 Spring 351 Pressure pin 352 First plate 360a Second plate 360b Bend section 361 Projection section 362 First engagement port 363 Second binding port 364 Incision 365 Induction furnace 366 Insertion Groove 367 Second body 370 Second binding groove 372 Tooth part 373 First protrusion pin 374 Chest frame 400 Fixing rod 500 Cam 600 Small diameter part 610 Hanging jaw 615 Large diameter part 620 Flange part 630 Protruding boss 640 Moving piece 650 Space part 651 Protruding part Jaw 652

Claims (6)

팔걸이 본체(35)와 상기 팔걸이 본체(35)를 지지하는 지지대(36)로 구성된 양측 팔걸이(30)가 구비된 좌판부(40)와, 좌판부(40)의 뒷쪽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50)와, 이들 등받이(50) 및 좌판부(40)를 지지하는 프레임(6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의자(10)에 있어서, A seat plate portion 40 having both armrests 30 composed of an armrest body 35 and a support base 36 for supporting the armrest body 35, and a backrest exte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to the rear of the seat plate portion 40. In the normal chair 10 which consists of 50 and the frame 60 which supports these backrests 50 and the seat plate part 40, 상기 양측 팔걸이 본체(35)의 상부면에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면의 후단 일면에 바닥면은 밀폐되고 원통형의 홈이 형성된 연결홈(110)이 구비되고, 좌우측면 각각에 연결홈(110) 내측부로 관통된 제1고정홈(120)이 구비되고, 상면 연결홈(110) 외주를 기준으로 이격된 주변에 원의 형상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30°∼60°의 경사각의 기울기를 가진 정지홈(130)이 구비된 지지부(100)와,The upper surface of the both sides of the armrest main body 35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on the rear end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groove 110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groove,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110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first fixing groove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 the shape of a circle around the spaced apart relativ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connection groove 110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with a slope of inclination angle of 30 ° ~ 60 ° The support part 100 is provided with a stop groove 130, 상기 지지부(100)의 연결홈(110)에 삽입되어 제1고정홈(120)에 결속된 제1고정핀(125)에 간섭을 받아 좌우회전 연동되도록 하부 일측 외주에 제1결속홈(215)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제1드럼(2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210) 상단부에 판상의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면 양끝단 일면에 하부로 관통된 제2고정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홈(230)에 상기 지지부(100) 정지홈(130)에 간섭을 일으키도록 제2고정핀(235)이 체결되며 양측면에 다수개의 제3결속구(236)가 형성된 제2드럼(220)으로 이루어지는 제1회동부(200)와,The first binding groove 21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10 of the support part 100 so as to be interlocked left and right by interfering with the first fixing pin 125 bound to the first fixing groove 120. The first drum 2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um 210,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penetrated downward on one surface of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fixing pin 235 is fastened to cause interference with the support groove 100 and the stop groove 130 in the second fixing groove 230, and a plurality of third binding holes 236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first rotating part 200 consisting of a second drum 220, 상기 제1회동부(200)의 제2드럼(220) 상부에 위치하며 상면에 볼트(700)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315)가 구비되고, 저면과 배면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을 이루며, 좌우 측면 끝단에 타원형으로 수평 관통된 유로홈(320)이 형성되며, 상면에서 상기 유로홈(320)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1간섭홈(330)이 형성되고, 정면 일측에 원통형의 구멍이 형성된 유입구(340)가 구비되고, 상면에서 상기 유입구(340)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간섭홈(35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제1몸체(310)가 구비되고,The cover 315 is positioned on the second drum 220 of the first rotating part 200 and fastened by a bolt 70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elliptical horizontally penetrating flow path groove 320 is formed at the end, and a first interference groove 330 vertically penetra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path groove 320 is formed at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ylindrical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An inlet 340 is provided, and a first body 310 is formed in which a second interference groove 350 penetrates perpendicularly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34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제1몸체(310)를 수용하기 위해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면에서 정면으로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의 만곡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361)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돌기부(362)가 형성하며, 상기 제1몸체(310)의 유로홈(320)에 삽입되며, 상기 제1간섭홈(330)을 통해 구비된 삽입볼(332)과 스프링(331)이 전후방향의 움직임에 간섭되도록 이동봉(325)이 유로홈(32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봉(325) 양끝단부를 결속하는 제1결속구(363)가 각각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부(200)의 제2드럼(220) 양측면에 형성된 제3결속구(236)에 볼트(700)에 의해 결속시키기 위해 하부 끝단에 다수의 제2결속구(364)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수직판상의 제1, 2판재(360a, 360b)가 구비되고,Sides installed on both sides to accommodate the first body 310, and a surface connected to the front from the top surface is formed with a curved curved portion 361, the projections 362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curved portion (361).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groove 320 of the first body 310, the insertion ball 332 and the spring 331 provided through the first interference groove 330 interferes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First rods (325) are inserted into the flow path groove 320 so that the first binding holes (363) for binding both ends of the movable rods (325) are formed inside, respectively, the second drum of the first pivot (200)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having a vertical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binding holes 364 formed at lower ends thereof to be fastened by bolts 700 to the third binding holes 236 formed on both sides. 360b), 상기 제1몸체(310)의 유입구(340)에 삽입되며, 상기 제2간섭홈(350)을 통해 구비된 압력핀(352)과 스프링(351)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을 일으키도록 상기 압력핀(352)의 끝단을 수용하는 제2결속홈(37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속홈(372)과 연장된 외주면에 상기 제1, 2판재(360a, 360b) 만곡부(361)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362) 사이에 수용할 수 있도록 요철형상의 톱니부(373)가 구비된 제2몸체(370)로 구성되는 제2회동부(300)와,The pressure pin is inserted into the inlet 340 of the first body 310 and interferes with the pressure pin 352 and the spring 351 provided through the second interference groove 350 to cause rotation. A second binding groove 372 is formed to receive an end of the 352,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361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 members 360a and 360b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inding groove 372. A second pivoting part 300 composed of a second body 370 provided with an uneven tooth 371 so as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projections 362, 상기 제2몸체(370) 톱니부(373)의 전단부에 제1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간섭홈(350)을 통해 구비된 압력핀(352)에 의해 결속되며,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가슴받이프레임(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가슴받이It is bound by the pressure pin 352 provided through the second interference groove 35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310 to the front end of the tooth portion 373 of the second body 370, one side end Chestrest for chair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extended breastplate frame 4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판재(360a, 360b) 각각 상면에서 정면으로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의 만곡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361)의 정면에서 상면까지 수평의 원통형 절개부(365)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late (360a, 360b) is formed in each of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front face of the streamlined curved portion 361, the horizontal cylindrical incision from the fro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361 A plurality of parts 365 are formed, 상기 원통형의 절개부(365)에 수용되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 양측에 원통형의 제1돌출핀(374)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가슴받이Chair ch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first protrusion pin 37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310 accommodated in the cylindrical cutout 36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판재(360a, 360b)의 상면에서 정면으로 연결되는 면이 유선형의 만곡부(361)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361) 내측에 평면의 유도로(366)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로(366)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바닥면이 빗변을 이루는 직각삼각형의 홈으로 이루어진 삽입홈(367)이 다수개 형성되고, Th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360a, 360b)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urved curved portion 361 is formed, the planar induction path (366) inside the curved portion (361).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67 formed of right-angled triangular grooves having a hypotenuse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duction furnace 366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삽입홈(367)에 간섭되도록 제1몸체(310)의 유로홈(320) 일측에 수평의 관통공(31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1)에 내부에 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31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312)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끝단면이 기울어진 빗면을 가지는 제2돌출핀(3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가슴받이A horizontal through hole 3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low path groove 320 of the first body 310 so as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groove 367, thereby adjusting a pressure therein in the through hole 311. 2 is formed, the spring 312 i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chair breast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truding pin 313 having an inclined end surface is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일측 끝단부가 곡선부의 유선형으로 형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가슴받이According to claim 3, On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eastrest for th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portion formed in a stream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210)에 내속되고, 판상의 링형상을 가진 우레탄판(140)을 구비하여 지지부(100)의 연결부 외주의 주위면과 마찰력을 두어 좌우 회전하는데 간섭을 받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가슴받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rum (210) is provided with a urethane plate (140) having a plate-like ring shape to interfere with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y placing a frictional force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00 Chair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370) 톱니부(373)의 전단부에 내속되는 고정봉(500)이 구비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rod 500 is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tooth portion 373 of the second body 370, 상기 고정봉(500)에 내속되어 길이를 조절하는 가슴받이프레임(400) 일측에 고정되며, 직경이 타원형의 소경부(610)와 대경부(620)로 이루어지는 캠(600)이 구비되고,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400 to adjust the length to be fixed to the fixed rod 500, the diameter 600 is provided with a cam 600 consisting of a small diameter portion 610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620, 상기 캠(600)의 소경부(610)와 대경부(620)상에 걸림턱(615)을 형성하고,The locking jaw 615 is formed on the small diameter portion 61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620 of the cam 600. 상기 캠(600)의 소경부(610)와 대경부(620)를 감싸며 상기 걸림턱(615)과 대응되는 외주 일면에 공간부(651)를 두어 상기 공간부(651) 양끝면이 돌출턱(652)이 형성된 가동편(650)이 구비되어,Surrounding the small diameter portion 610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620 of the cam 600 and a space portion 65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615 so that both ends of the space portion 651 protruding jaw ( 652 is provided with a movable piece 650, 상기 캠(6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동편(650)이 확장되거나 오므라들어 고정봉(500)의 내경면에 긴밀히 접촉되거나, 일정간격을 유지됨으로서 가슴받이프레임(400)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가슴받이As the cam 600 rotates, the movable piece 650 is extended or retracted to b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fixed rod 500 o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length of the breast frame 400 can be adjusted. Armrests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70067298A 2007-07-05 2007-07-05 Breast-plate of chair KR100896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298A KR100896270B1 (en) 2007-07-05 2007-07-05 Breast-plate of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298A KR100896270B1 (en) 2007-07-05 2007-07-05 Breast-plate of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05A true KR20090002905A (en) 2009-01-09
KR100896270B1 KR100896270B1 (en) 2009-05-11

Family

ID=4048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298A KR100896270B1 (en) 2007-07-05 2007-07-05 Breast-plate of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270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847U (en) * 1989-10-23 1991-06-18
JPH0363285U (en) * 1989-10-26 1991-06-20
JPH0646556U (en) * 1992-12-10 1994-06-28 斉藤 潔 Chair with chest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270B1 (en)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9547B (en) Tiltable stool or tiltable leisure chair
JP6353443B2 (en) Chair
EP2580993A1 (en) Chair
US9237811B1 (en)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KR20080037029A (en) Chair
KR100954226B1 (en) Chair with a movable back support
US20100237674A1 (en) Chair with automatically movable back support
US20160331137A1 (en) Tilt mechanism for a seating furniture and seating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JP2020065899A (en) Functional chair with acupressure balls
WO2008078865A1 (en) Sit board for chair
KR100896270B1 (en) Breast-plate of chair
KR100923168B1 (en) Breast-plate of chair
KR101198578B1 (en) Chair for Posture Reform Having Function for Conversion of Use with Posture Reform
JP2021500118A (en) Seat module and tilt mechanism
KR101106197B1 (en) 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seat board for chair
KR100817334B1 (en) Breast-plate of chair
KR101320049B1 (en) Seat chair capable of adjusting angle
JP6196438B2 (en) Rocking chair
CN207270149U (en) A kind of adaptive adjustment ergonomics Lumbar
CN220734895U (en) Chair and leaning piece lifting adjusting mechanism thereof
KR100893156B1 (en) Chair with a movable back support
KR101073585B1 (en) Chair For Teaching Tool
JP2020058759A (en) Chair
CN217906820U (en) Multifunctional noon break tablet chair
CN218791383U (en) Synchronous lifting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