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755U - Socket terminal - Google Patents
Socket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2755U KR20090002755U KR2020070015396U KR20070015396U KR20090002755U KR 20090002755 U KR20090002755 U KR 20090002755U KR 2020070015396 U KR2020070015396 U KR 2020070015396U KR 20070015396 U KR20070015396 U KR 20070015396U KR 20090002755 U KR20090002755 U KR 2009000275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terminal
- contact pressing
- pressing portion
- wire
- insertion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켓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판상으로 구성되는 몸체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면서 직교하게 마련된 제1, 제2수직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수직부로부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다르게 연장되는 접촉가압부 및 삽입공 형성부가 절곡 형성된다. 그 중 상기 접촉가압부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 내측으로 더 꺽어지면서 절곡되며 상기 접촉가압부의 끝단이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전선이 상기 삽입공 형성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끼워질 때 상기 접촉가압부의 절곡 각도를 제한하도록 절곡되는 방향의 몸체 상면에 스토퍼가 형성된다. 또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후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단 배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provided at right angles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plate-like body. In addition,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are formed bent. Among them,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is bent while being further bent into the insertion hole forming por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so that the end of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In addition, the stopp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the bending direction to limit the bending angle of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when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forming portion. In addition, a hooking jaw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to prevent the socket terminal from being easily detached after being mounted in the socket housing.
소켓 단자, 걸림돌기, 스토퍼, 걸림턱 Socket terminal, stopper, stopper, stopp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소켓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켓에 삽입되는 소켓 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cket terminal inserted into a socke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different devices.
소켓은 형광등, 전구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인 동시에 이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The socket is an inlet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 fluorescent lamp, a light bulb and the like and a mechanism for supporting them.
상기 소켓에는 램프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선이 삽입되는 소켓 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소켓 단자는 끼움 고정된 램프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결합해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소켓 단자는 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구비된다.The socket is provided with a socket terminal into which an electric wire is inserted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lamp. The socket terminal must have an electric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lamped lamp terminal. Thus, the socke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wire from being pulled out in an undesired situation.
도 1에는 종래기술의 소켓 단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ocket terminal.
이들 도면에 따르면, 대략 판상의 몸체(1)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는 소켓 하우징(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고 대략 상기 몸체(1)의 양단에 직교하게 위치하는 제1수직부(2)와 제2수직부(3)가 구비된다.According to these figures, a substantially plate-shaped body 1 is provided. The body 1 has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ocket housing (not shown). A first
상기 제1, 제2수직부(2)(3)는 일부만이 상기 몸체(1)에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 길이는 상이하다. 즉 도면에서 상측방향에 위치한 제1수직부(2)가 하측에 위치한 제2수직부(3)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Only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수직부(2)에는 접촉가압부(4)가 더 연장되고 몸체(1) 상면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접촉가압부(4)는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부(3)에는 삽입공(5)이 형성된 삽입공 형성부(6)가 더 연장되고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접촉가압부(4)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6)보다 더 길기 때문에 내측으로 더 꺽어져서 위치한다.The
이때 상기 접촉가압부(4)가 제2수직부(3)에 연장형성되고 삽입공 형성부(6)가 제1수직부(2)에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다만 삽입공 형성부(6)는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접촉가압부(4)는 상기 삽입공 형성부(6)보다 더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야 한다.In this case, the
한편, 상기 제1, 제2수직부(2)(3)의 타단 일부는 몸체(1)에서 절개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면서 끝부분은 다시 벌어지도록 램프 접속부(7)가 형성된다. 그 램프 접속부(7)에 램프 단자가 끼움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second vertical portion (2) (3) is bent in the inclined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cut off from the body (1) while the lamp connection portion 7 is formed so that the end is opened again do. The lamp terminal is fitted to the lamp connecting portion 7.
이와 같은 구성의 소켓 단자에서 전선이 체결되는 경우, 전선은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공(5)을 통과하면서 전선 선단이 접촉가압부(4)에 접촉하여 밀게 되고, 접촉가압부(4)는 그 외력에 의해 절곡된 방향으로 더 꺽어지면서 전선이 통과할 공간을 제공한다. When the electric wire is fastened by the socket terminal of such a structure, an electric wire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5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wire is pushed against the
상기 전선은 램프 접속부(7)에 끼움 고정된 램프 단자에 접촉할 때까지 끼우는것이 좋다. 이로서 전선이 완전하게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선은 접촉가 압부(4)와 접촉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다.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electric wires until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amp terminals fixed to the lamp connecting portion 7. This completely secures the wires. In this state, the wire is not easily pulled out because the contact is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portion (4).
한편, 상기 전선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접촉가압부(4)에 직접 외력을 가하여 그 접촉가압부(4)가 현재 위치에서 더 내측 방향으로 꺽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접촉가압부(4) 끝단이 전선과 이격되고, 따라서 전선을 잡아당겨 소켓 단자에서 전선을 뺄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isconnecting the electric wi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irectly to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소켓 단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ocket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접촉가압부(4) 끝단이 마주보고 있는 제2수직부(3)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면 전선을 삽입할 때의 힘보다 그 밀착력이 더 크면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전선 삽입이 어려워진다. 즉 접촉가압부(4)가 탄성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End of the
또 삽입공(5)이 형성되어 있어 소켓 단자에 삽입 가능한 전선 두께에 제한이 있지만 전선을 무리하게 삽입하거나, 전선 분리시 접촉가압부(4)에 적정 이상의 외력을 직접 가하는 경우, 접촉가압부(4)가 절곡된 방향으로 심하게 꺽일 수 있어 탄성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원래 위치로의 복원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전선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접촉가압부(4)와 밀착이 되지 않아 전선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sertion hole 5 is formed, there is a limit on the thickness of the wi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However, when the wire is forcibly inserted or when the external force is directly applied to the
또 소켓 단자 배면에는 어떠한 돌출 구조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소켓 하우징에 소켓 단자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선을 빼는 경우, 실수로 소켓 단자까지도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Moreover, no protruding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ocket terminal. Therefore, when the electric wire is pulled out while the socket terminal is mounted on the socket housing, a problem arises in that even the socket terminal is accidentally detached from the socket housing.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켓 단자에서 접촉가압부가 수직부 내면에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from the socket termin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촉가압부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절곡 각도에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mit the bending angle in which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can be elastically deform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켓 하우징에 소켓 단자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선을 분리시킬 때, 그 소켓하우징에서 소켓 단자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ocket terminal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socket housing when the electric wire is disconnected while the socket terminal is mounted on the socket hous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판상으로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양측면에 마련된 제1, 제2수직부; 상기 제1, 제2수직부로부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다르게 연장되는 접촉가압부 및 삽입공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촉가압부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 내측으로 더 꺽어지면서 절곡되는데, 상기 접촉가압부의 끝단이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형성되고, 전선이 상기 삽입공 형성부를 통해 끼워질 때 상기 접촉가압부의 절곡 각도를 제한하도록 절곡되는 방향의 몸체 상면에 스토퍼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consisting of a plat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It comprises a contact press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hole form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different from each other from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ortion,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is bent while being further bent into the insertion hole forming portion,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second vertical portion inner surface so that the end of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is bent to limit the bending angle of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when the electric wire is fit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ing portion. A stopp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상기 소켓 단자의 선단 배면에 형성되고 상대물의 걸이돌기부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다.It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socket terminal is further formed with a locking step that is hooked to the hook projection of the counterpart.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에 의하면, 전선 삽입이 용이하고, 전선이 쉽게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전선을 뺄 때 소켓 단자가 소켓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ock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ire insertion is easy, the wire is easily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and the socket terminal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ocket housing when the wire is pulled ou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socket termi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접촉 가압부가 수직부 내면과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소켓 단자에 전선을 쉽게 체결할 수 있다.First,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is prevented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so that the electric wire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socket terminal.
또 접촉 가압부의 절곡 각도가 제한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탄성 한계 이상의 힘을 제공하는 경우가 적어져서 원래 위치로의 복원력이 크고, 따라서 전선과의 밀착력이 극대화되어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전선이 빠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ending angle of the contact pressing portion is limited, as a result, there is less force to provide the force beyond the elastic limit, so that the restoring force to the original position is large, and thus the close contact force with the wire is maximized, so that the wire can be minimized in an undesired situation. have.
또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걸리기 때문에, 전선을 뺄 때 전선과 함께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서 이탈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cket terminal is caught by the socket hous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cket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ocket housing together with the wire when the electric wire is pulled out.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소켓 단자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ocket termi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소켓 단자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ocke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lan view, Figure 3b is a rear view.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대략 판상의 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몸체(10)의 양단에 직교하게 위치하는 제1, 제2수직부(20)(3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a substantially plate-
상기 제1, 제2수직부(20)(30)는 일부만이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 길이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즉 도면에서 상부에 위치한 제1수직부(20)가 하부에 위치한 제2수직부(30)보다 길이가 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Only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상기 제1수직부(20)의 연장된 부분에는 접촉가압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 상면에 위치하도록 접촉가압부(22)는 몸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부(30)의 연장된 부분에는 삽입공(34)이 형성된 삽입공 형성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 가압부(22)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32)보다 더 길기 때문에 몸체 내측방향으로 더 꺽어져서 위치한다.The
이때 상기 접촉가압부(22)가 제2수직부(30)에 연장형성되고 삽입공 형성부(34)가 제1수직부(20)에 형성되어도 상관없다.In this case, the
상기 몸체(10)에는 스토퍼(4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몸체(10)의 일부를 잘라 절곡한 것으로, 상기 접촉가압부(2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또 상기 접촉가압부(22)의 끝단과 대응하는 제2수직부(30)의 내면에는 걸림 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6)도 제2수직부(30)의 일부를 잘라 돌출시킨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30)는 상기 접촉가압부(22)의 끝단면이 제2수직부(3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가압부(22)가 제2수직부(30)와 약간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전선이 삽입될 때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A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36) 및 스토퍼(40)는 상기한 형성 부분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Here, the
상기 소켓 단자의 배면 선단에는 걸림턱(5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0)은 소켓 하우징(70: 도5참조)에 형성된 걸이돌기부(72 : 도5참조)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지 전선만 뺄 때 전선은 빠지지 않고 대신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A
한편, 상기 제1, 제2수직부(20)(30)의 타단 일부는 몸체(10)에서 절개된 상태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면서 끝부분은 다시 벌어지도록 하여 약간의 간격이 제공되는 램프 접속부(60)가 형성된다. 그 램프 접속부(60)에 램프 단자가 끼움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소켓 단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ocke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본 고안은 소켓 단자에 전선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소켓 단자에서 전선이 분리되는 것으로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4a to 4c as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is coupled, the wire is separated from the socket terminal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coupled state.
먼저, 전선을 소켓 단자에 삽입하는 경우이다.First,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socket terminal.
도 4a와 같이 전선(W)을 삽입공(34)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선 (W) 선단은 접촉가압부(22)의 일면과 접촉하고, 계속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접촉가압부(22)는 상기 외력에 의해 스토퍼(40)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최초에 접촉가압부(22)는 제2수직부(30)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6)에 의해 상기 제2수직부(30)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이 있어 전선(W) 삽입이 쉬어진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wire W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rough the
그리고 전선(W)이 계속 삽입되면, 전선(W)은 접촉가압부(22)를 밀어 올리게 되고 결국 접촉가압부(22)의 하단면은 전선(W) 외주면과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b의 상태이다. 즉 접촉가압부(22)가 최초 점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변형됨을 알 수 있다.And if the wire (W) continues to be inserted, the wire (W) pushes up the
이때, 상기 전선(W)이 삽입될 때 전선(W) 선단이 접촉가압부(22)에 접촉되어 계속 힘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접촉가압부(22)는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멈추게 된다. 즉 접촉가압부(22)가 심하게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even if the front end of the wire (W) is in contact with the
도 4b와 같이 전선(W)이 소켓 단자에 체결된 상태에서, 소켓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소켓 하우징에 결합된 램프가 구동된다.As shown in FIG. 4B, when the wire W is fastened to the socket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housing, the lamp coupled to the socket housing is driven.
한편, 상기 소켓 단자에 전선(W)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 단자의 접촉가압부(2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소켓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상기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도 4c와 같이 일정 도구(P)를 이용하여 접촉가압부(22)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도 4c와 같이 접촉가압부(22)는 점선 위치에서 일점 쇄선 위치로 올라가게 되고, 따라서 전선(W)으로부터 이격된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B, the force is applied to the
이 상태에서 전선(W)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아무런 방해 없이 용이하게 전선이 빠지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wire W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wire is easily pulled out without any interference.
그리고 소켓 단자에서 전선(W)이 완전하게 빠지고, 상기 접촉가압부(22)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접촉가압부(22)는 실선으로 표시된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When the wire W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socket terminal,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도 5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결합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ck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socket housing.
도 5를 참조하면, 소켓 하우징(70)에 소켓 단자가 장착된 경우, 소켓 하우징(70)의 걸이돌기부(72)에 소켓 단자의 걸림턱(50)이 걸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켓 단자에서 전선(W)을 빼고자 할 때, 전선(W)이 빠지지 않는 경우에도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socket terminal is mounted in the
만약 소켓 단자를 빼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소켓 단자를 약간 민 다음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걸림턱(50)이 걸이돌기부(72)에서 이탈하기 때문에, 소켓 단자를 뺄 수 있다.If the socket terminal is to be pulled out, if the socket terminal is pushed slightly to the left in the drawing and then lifted, the locking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is is merely exemplar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It will be apparent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nd equivalen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의 소켓 단자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terminal of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켓 단자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의 평면도.3A is a plan view of FIG.
도 3b는 도 3a의 배면도.3B is a back view of FIG. 3A.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소켓 단자에서 전선을 삽입하고 분리하는 것을 설명하는 예시도.4A to 4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inserting and disconnecting electric wires from the socket terminal of FIG. 2.
도 5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것을 설명하는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sock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ocket hous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몸체 20 : 제1수직부10
22 : 접촉가압부 30 : 제2수직부 22: contact pressing portion 30: second vertical portion
32 : 삽입공 형성부 34 : 삽입공32: insertion hole forming portion 34: insertion hole
36 : 걸림돌기 40 : 스토퍼36: Jamming 40: Stopper
50 : 걸림턱 60 : 램프 접속부50: locking step 60: lamp connection
70 : 소켓 하우징 72 : 걸이돌기부70: socket housing 72: hook protrusion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396U KR200447572Y1 (en) | 2007-09-14 | 2007-09-14 | Socket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396U KR200447572Y1 (en) | 2007-09-14 | 2007-09-14 | Socket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2755U true KR20090002755U (en) | 2009-03-18 |
KR200447572Y1 KR200447572Y1 (en) | 2010-02-08 |
Family
ID=4128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5396U KR200447572Y1 (en) | 2007-09-14 | 2007-09-14 | Socket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7572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398B1 (en) * | 2013-08-22 | 2014-04-04 | 주식회사 디에스이 | A cable terminal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 pol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0391Y1 (en) * | 1996-07-26 | 1999-04-01 | 계승택 | Starter socket for fluorescent lamp |
JP2000268928A (en) | 1999-03-19 | 2000-09-2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Lamp socket |
KR200404093Y1 (en) | 2005-09-28 | 2005-12-19 | 민광기 | Lamp's electric wire connector |
KR100626184B1 (en) | 2006-05-01 | 2006-09-20 | (주) 그룹원이앤지 | A fluorescent lamp socket |
-
2007
- 2007-09-14 KR KR2020070015396U patent/KR200447572Y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398B1 (en) * | 2013-08-22 | 2014-04-04 | 주식회사 디에스이 | A cable terminal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 po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7572Y1 (en) | 2010-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4304B1 (en) | Structure for interlocking connectors | |
WO2012127541A1 (en) | Wire-to-board connector | |
JP5723133B2 (en) | Female terminal fitting | |
JP2011222509A (en) | Operating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 |
JP2008305598A (en) | Board connecting connector | |
EP2605336A1 (en) | Connector | |
JP372455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4281207A (en) | Connector | |
TW201513476A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391476B1 (e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 |
JP2004362973A (en) | Terminal fitting | |
KR200444408Y1 (en) | Connector terminal for fluorescent lamp | |
KR200447572Y1 (en) | Socket terminal | |
JP4611849B2 (en) | Terminal block | |
KR20110024845A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0437689Y1 (en) | Connector | |
KR20100022841A (en) | A connector | |
JP4285166B2 (en) |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 |
KR200294601Y1 (en) | Power connector for soldering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 |
WO2014119262A1 (en) | Connector assembly | |
JP4937562B2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 |
KR101714402B1 (en) | Low insertion force socket terminal | |
KR100966788B1 (en) | Rear Holder To Be Used in Connector Assembly | |
JP2005317357A (en) | Board-mounted connector and board-mounted connector with case | |
KR20080024629A (en) | Connector for preventing breakage of l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