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25A -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25A
KR20090002525A KR1020070065912A KR20070065912A KR20090002525A KR 20090002525 A KR20090002525 A KR 20090002525A KR 1020070065912 A KR1020070065912 A KR 1020070065912A KR 20070065912 A KR20070065912 A KR 20070065912A KR 20090002525 A KR20090002525 A KR 2009000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eeth
opening
gear member
clos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7006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525A/ko
Publication of KR2009000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3부재가 힌지 회전하는 힌지 회전 축(5)과, 이 힌지 회전 축에 연설된 적어도 원형의 제1기어부재(6) 및, 제2부재(2)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부재가 연동하는 제2기어 가이드부재(7)를 구비하며, 상기 제1기어부재는 원형이며 톱니(6a)가 주연부의 소정 위치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부(7c)와, 상기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를 폐쇄 위치에 위치되는 제1부분(7a)과,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제2부분(7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 구조를 채용한 멀티미디어 장치(10)를 제공한다.
힌지, 톱니, 기어, 개폐.

Description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OPEN AND CLOSE STRUCTURE,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의 각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에 있어서 제2부재에 대한 제3부재의 개폐 동작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개폐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개략적인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힌지 회전 축, 6 제1기어부재,
6a 톱니, 7 제2기어 가이드부재,
7c 톱니.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개념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초슬림형의 장치에 적합한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음성 재생기, 카메라 등이 통합되어 콘텐츠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개폐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인터페이스의 이용성을 향상시킨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등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발달은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근래의 유행에 따라서, 휴대폰은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 영상 및 음성 방송(예를 들면,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의 수신 및 재생이나, 카메라 기능,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 파일의 저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조합 및 통합해서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이 조합되는 멀티미디어 장치에서는 그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용자가 장치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그 개폐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개인 휴대멀티미디어 장치는, 바 타입, 폴더타입, 슬라이드 타입, 슬라이드 스윙타입 등으로 크게 그 타입을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폴더타입의 단점은, 폴더 개폐시 두 손을 사용하거나 한손으로 개폐하기 하기 때문에(폴더를 들어 올리기 위해서), 본체에 손가락이나 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 즉 틈이나 개폐 손잡이를 추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 개발된 1cm 이하 두께의 초슬림폴더폰(초슬림형 멀티미디어 장치)의 경우, 이런한 개폐 기능을 추가할 경우 설계자의 의도(장치의 슬림화 및 장치의 이용성)를 손상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재 이러한 기능을 추가하더라도 개폐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얇은 본체에 적용된 개폐기능을 두꺼운 손가락을 사용해서 이용해야 하므로, 그 개폐가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다수의 힌지 회전부를 매개로 다수의 기능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에서는 각 부재의 개방 및 폐쇄에 이용되는 개폐 구조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및 폴더 방식 개폐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이용하도록 된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더 방식 개폐구조에 슬라이딩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폴더를 종래의 들어 올리는 방식 대신, 폴더를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개 폐할 수 있게 되므로, 초슬림형 멀티미디어 장치에 적용 가능한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 구조를 채용함에 따라 이용성을 개선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제3부재가 힌지 회전하는 힌지 회전 축과, 이 힌지 회전 축에 연설된 적어도 원형의 제1기어부재 및, 제2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부재가 연동하는 제2기어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기어부재는 원형이며 톱니가 주연부의 소정 위치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부와, 상기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는 제1부분과,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 구조를 채용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부분은 서로 대칭인 대략 반원 형상의 공간부로,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의 톱니부를 따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주연부가 각각 최종적으로 접하며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 구조를 채용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1기어의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주연부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의 제2부분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를 회전하도록 하는 스프링과 캠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가 상기 회전 축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 구조를 채용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3부재가 제2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할 때,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의 톱니부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이 구조를 채용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측면들에 의하면, 상기 제3부재가 제2부재상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재가, 제2기어 가이드부재의 제1부분으로부터, 톱니부를 거쳐 제2부분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3부재가 힌지 회전하여 개방 된다(슬라이딩+폴더 방식 회전).
또한, 상기 측면들에 의하면, 폴더를 종래의 들어 올리는 방식 대신,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초슬림형 멀티미디어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그 위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이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방되고, 제3부재가 제2부재에 대해 폴더 방식으로 개방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장치의 외측면(표면적)이 다양하게 변화(넓혀지거나 좁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넓혀지거나 좁혀진 외측면에 다양한 크기의 수단,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또는 입력 수단(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제3부재는 제2부재 상의 다양한 측면에 부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2부재는 제1부재 상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2부재는 제1부재 상에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1부재의 표면에는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제2부재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됨에 따라, 제1부재 상의 입력부 또는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2부재의 표면 또는 제3부재의 내부 표면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부재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3부재가 제2부재에 대해 개방된 상태에서, 제2부재 표면 상의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상기 제1부재의 표면에 구비된 입력부,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또는 키 입력부를 조작해서 멀티미디어 장치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폴더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3부재의 외부 표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가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측면에 의하면, 이용자가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개방해서, 상기 제3부재 외부 표면 상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부재 표면의 입력부를 이용해서,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폰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휴대폰 게임폰 PMP등)(이하, 휴대폰을 예로서 설명함)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10)는 슬라이딩하는 제2부재(2)와, 제2부재가 슬라이딩하도록 탑재되는 제1부재(1) 및, 제2부재에 대해 폴더식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제3부재(3)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부재(1)는 통상의 휴대폰의 메모리 및 제어 칩이 구비된 본체 부분에 해당하며, 상기 제2부재는 LCD 및 그 구동회로가 구비되는 부분에 해당하며, 상기 제3부재(3)는 제2부재를 덮는 덮개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기능은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며,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a)는 제1, 제2, 제3부재(1, 2, 3) 모두가 폐쇄된 상태이고, (b)는 제2부재(및 제3부재)가 제1부재(1)에 대해 슬라이딩해서 개방된 상태이며, (c)는 제2부재가 제1부재(1)에 대해 슬라이딩해서 개방되고 제3부재(3)가 제2부재에 대해 힌지 회전해서 개방된 상태이고, (d)는 제3부재(3)만 개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c) 및 (d)의 상태에서, 제3부재(3)는 제2부재(2)에 대해서 상부면에 부착되어, 회전하여 개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폴더식). 하지만, 제3부재(3)를 제2부재(2)의 다른 측면에 부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휴대폰의 경우, 도 1의 (a)의 상태에서는 제3부재(3)의 외부 표면(3a)에 구 성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4a)가 외부로부터 보이고, (b)의 상태에서는 제3부재(3)의 외부 표면(3a)에 구성된 디스플레이(4a)와 함께 제1부재(1)의 외부 표면(1a)에 구성된 키 입력부(1b)가 외부로부터 보이며, (c) 상태에서는 키 입력부(1b)와 함께 제3부재(3)의 내부 표면(3b)에 구성되는 디스플레이(4b)와 제2부재(3)의 감춰진 표면(2a)에 구비된 또 다른 입력부(2b)가 보이고, (d)의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4b)와 입력부(2b)가 보이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부재(2)가 제1부재(1)에 대해 개방되고, 제3부재(3)가 제2부재(2)에 대해 개방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장치(10)의 외측면이 넓혀지게 된다(도 1의 (c) 참조).
따라서, 이러한 표면적에 다양한 구성요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나, 터치 패드, 입력 키 등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부재(3)의 내부 표면(3b)을 빈 공간으로 하거나 입력부를 구성하거나, 제2부재(2)의 표면(2a)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표면(3b)에 입력부를 구성하거나, 표면(3b)과 표면(2a) 전체에 걸쳐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10)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제1부재(1) 상에서 상기 제2부재(2)가 슬라이딩하여 개방 상태(도 1의 (b) 상태)로 될 때, 휴대폰 기능(슬라이드폰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즉, 키 입력부(1b)가 외 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4a)에 동작 상태가 표시되며, 이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부재(3)가 제2부재(2)로부터 개방 상태(도 1의 (c) 또는 (d) 상태)일 때, 휴대폰 기능(폴더폰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게임 기능, 카메라 기능이나, 영상 재생 기능 또는 음성 재생 기능 등(이하, 엔터테인먼트 기능이라 함)이 실행될 수도 있다.
즉, 제3부재(3)의 개방에 따라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에 카메라 기능이나 영상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또는 음성 재생 기능의 선택 메뉴가 표시됨에 따라, 이용자가 입력부를 이용해서 기능을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영상 재생 기능(또는 방송 시청)을 선택하면,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해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3부재(3)가 제2부재(2)에 대해서 폐쇄 상태(도 1의 (a) 또는 (b) 상태)로 될 때, 카메라 기능이나, 영상 재생 기능 또는 음성 재생 기능의 실행은 종료되고, 장치는 대기 모드 또는 휴대폰 기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시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1부재(1)를 제2부재(2)에 슬라이딩함으로써(도 1의 (d) 참조), 장치를 콤팩트한 상태로 한 후, 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일실시예에 따른 제2부재(2)와 제3부재(3)의 접이식 힌지 구조(슬라이딩 기능이 추가된 폴더 방식 개폐구조)를 설명한다. 이러한 힌지 구조는 상기된 바와 같이, 제2부재(2)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a) 상태는 제3부재(3)가 제2부재(2)에 대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b)상태는 제3부재(3)가 제2부재(3)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상태, (c)는 회전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상기 (a) 상태에서, 제3부재(3)가 힌지 회전하는 힌지 회전 축(5: 도 4 참조)에 연설된 적어도 원형의 제1기어부재(6)는 제2기어 가이드부재(7)의 제1부분(7a)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3부재(3)는 제2부재(2)에 대해서 폐쇄 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부재(6)는 원형이며 톱니(6a)가 주연부의 소정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고, 주연부의 그 밖의 부분(6b)은 평탄하게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a) 상태에서, 상기 제1기어부재(6)는 부분(6b)이 제1부분(7a)에 접하며 안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7)는 상기 제1기어부재(6)의 톱니(6a)와 치합되는 톱니부(7c)와, 상기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3)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는 제1부분(7a)과,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제2부분(7b)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부분(7a, 7b)은 서로 대칭인 대략 반원 형상의 공간부로 그 사이에 상기 톱니(7c)가 위치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톱니(7c)가 제2기어 가이드부재(7)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대향하는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부재(6)의 톱니(6a)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7)의 톱니(7c)를 따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의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주연부(6b)가 각각 최종적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부분(7a, 7b)에 위치된다.
상기 도 2 및 도 3의 (b) 상태에서는, 상기 제3부재(3)가 측단부로 약간 슬라이딩한 상태이며, 이러한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제3부재(3)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 회전 축(5)에 계지되어 있는 힌지 브래킷(8)이 측단부로 슬라이딩해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도시된다. 이 힌지 브래킷(8)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1기어(6)는 측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하는 힘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재(6)의 톱니(6a)가 톱니(7c)상에서 치합되며 회전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제1기어부재(6)가 회전하여 그 주연부(6b)가 제2기어 가이드부재(7) 상의 제2부분(7b)으로 이동하여 안착된다.
도 2 및 도 3의 (c) 상태에서는, 상기 제1기어부재(6)의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주연부(6b)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7)의 제2부분(7b) 상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제3부재(3)가 힌지 회전축(5) 및 이 회전 축에 계지된 힌지 브래킷(8)을 매개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3부재(3)를 자동으로 힌지 회전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a), 힌지 캠(5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가 상기 회전 축 상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3부재(3)의 측면을 누름(측면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제2부재가 자동으로 폴더 방식으로 개방되는 원터치 방식이 실현된다.
한편, 상기의 탄성 부재의 구성은 상기 스프링과 경사면을 갖는 힌지 캠 등의 구성으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주제가 아니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멀티미디어 장치를 예로서 설명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능 및 구성요소를 갖는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제3부재를 구비하고, 제1부재가 제2부재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제3부재가 제2부재에 대해 폴더식으로 힌지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더 방식 개폐구조에 슬라이딩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폴더를 들어 종래의 올리는 방식 대신, 폴더를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초슬림형 멀티미디어 장치에 적용 가능한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폐 구조를 채용함에 따라 한정된 표면적을 다양한 크기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표면적에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다양한 기능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2부재(2)와, 제2부재가 슬라이딩하도록 탑재되는 제1부재(1) 및, 제2부재에 대해 폴더식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제3부재(3)를 구비하고,
    제3부재가 힌지 회전하는 힌지 회전 축(5)과, 이 힌지 회전 축(5)에 연설된 적어도 원형의 제1기어부재(6) 및, 상기 제2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부재(6)가 연동하는 제2기어 가이드부재(7)를 구비하며,
    상기 제1기어부재는 원형이며 톱니(6a)가 주연부의 소정 위치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7)는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부(7c)와, 상기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를 폐쇄 위치에 위치되는 제1부분(7a)과, 제1기어부재가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제2부분(7b)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분(7a, 7b)은 서로 대칭인 대략 반원 형상의 공간부로,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6a)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의 톱니부(7c)를 따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주연부(6b)가 각각 최종적으로 접하며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가 형성되지 않는 주연부(6b)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7)의 제2부분(7b)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제3부재를 회전하도록 하는 스프링과 캠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가 상기 회전 축(5)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제3부재가 제2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할 때, 상기 제1기어부재의 톱니(6a)가 상기 제2기어 가이드부재의 톱니부(7c)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7c)가 상기 제1부분(7a)과 제2부분(7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그 위에서 슬라이딩하는 제1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
KR1020070065912A 2007-06-30 2007-06-30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KR20090002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912A KR20090002525A (ko) 2007-06-30 2007-06-30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912A KR20090002525A (ko) 2007-06-30 2007-06-30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25A true KR20090002525A (ko) 2009-01-09

Family

ID=4048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912A KR20090002525A (ko) 2007-06-30 2007-06-30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5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89B1 (ko) * 2010-11-04 2012-05-1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89B1 (ko) * 2010-11-04 2012-05-1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46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703704A2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993095B1 (ko) 폴더식 휴대기기
US8509862B2 (en) Rotation hinge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dual hinge apparatus having the same, swing-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rotation-type portable terminal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8238978B2 (en) Portable apparatus
CA2570509C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TWI436635B (zh) 在一上蓋部位上包含有一或多個電控制按鈕之通訊裝置
JP4814041B2 (ja) 携帯端末機
KR100941953B1 (ko) 폴더형 원터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폴더형휴대 단말기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JP2011515929A (ja) スライダ兼フリップヒンジ組み立て体を有する携帯通信装置
US7738786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002525A (ko)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EP1887762A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KR100883452B1 (ko) 멀티 모드 구조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JP4228029B2 (ja) 折畳み式携帯機器
KR100883451B1 (ko) 멀티 모드 구조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100800753B1 (ko) 양면 사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375653Y1 (ko) 슬라이딩 기능이 포함된 폴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02524A (ko) 스윙 타입 개폐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KR100777226B1 (ko) 휴대폰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04

Effective date: 2009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