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04A - Game cellphone - Google Patents

Game cell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04A
KR20090002504A KR1020070065875A KR20070065875A KR20090002504A KR 20090002504 A KR20090002504 A KR 20090002504A KR 1020070065875 A KR1020070065875 A KR 1020070065875A KR 20070065875 A KR20070065875 A KR 20070065875A KR 20090002504 A KR20090002504 A KR 20090002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ower
game
game machin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아란
Original Assignee
김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란 filed Critical 김아란
Priority to KR102007006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504A/en
Publication of KR2009000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game console capable of charging power of a mobile phone is provided to drive the game console by external power instead of power of the mobile phone and charge power by using an external power supply, thereby enjoying a game for the mobile phone by using the charged power when external power is cut off. An inte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rt of a mobile phone to exchange information related to a game executed in the mobile phone. The interface supplies power to the mobile phone. An input unit senses input from various buttons. A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displays whether the mobile phone is charged. A game console charging display unit displays whether the game console is charged. A control unit controls the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and the game console charging display unit. A game control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interface.

Description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 {Game CellPhone}Mobile Phone Rechargeable Game Machine {Game CellPhon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일실시 예 외부 구성도.1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일실시 예 내부 투시도.Figure 2 is an inside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charging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일실시 예 내부 구성도.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internal mobile phone charging game co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핸드폰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핸드폰의 기능이 발전해 감에 따라 핸드폰에서 지원되는 응용프로그램들이 다양해 졌으며, 특히 무선 인터넷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의 발전에 따라 다운로드 받아 핸드폰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의 종류도 다양해 졌다.그러나, 핸드폰 자체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각종 버튼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의 크기 역시 소형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게임과 같이 순발력이 요구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즐기기에는 현재의 키보드는 불만족스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각종 버튼을 탑재한 조이스틱형 게임기에 핸드폰을 결합하므로써 핸드폰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핸드폰의 하부에 위치하는 데이터 및 전원 입출력 포트 를 통해 게임을 위한 정보를 교환할 뿐만 아니라, 게임기에서 필요한 전원을 상기 포트를 통해 핸드폰으로부터 전송받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게임기를 이용하는 경우, 핸드폰은 자체에서 필요한 전원을 소비해야하는 한편, 게임기에서 필요한 전원을 상기 포트를 이용하여 게임기로 전송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전원을 많이 소비하게 되며, 따라서 그 사용시간이 줄어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 밧데리의 사용 시간이 줄어듬에 따라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간역시 줄어들게 되므로 사용자는 핸드폰 밧데리의 방전에 따라 게임을 중단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핸드폰 결합용 게임기의 특성상 실외 또는 무선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부전원공급단자를 결합하는 방법만으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me machine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mobile phone.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have developed, various applications supported by the mobile phone have been diversified, an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Internet. The number of games that can be downloaded and played on mobile phones has also increased.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mobile phones themselves has become smaller, the size of the keyboard for inputting various buttons is also becoming small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keyboard is unsatisfactory in order to enjoy the application.To solve this problem,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allow users to enjoy a game of a mobile phone by combining a mobile phone with a joystick game machine equipped with various buttons. , As above The devices not only exchange information for the game through data and power input / output port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phone, but also receive power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port.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game machine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must consume power required by itself, while the power required by the game machine must be transmitted to the game machine using the port, thus consuming a lot of power, and thus the usag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s reduced. In addition, as the usage time of the mobile phone battery decreases, the time to enjoy the game is also reduced, so that the user h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game should be stopp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the mobile phone battery. In addition, there may be a method to us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game machine for mobile phone coupling is often used outdoors or wirelessly, only by combin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eet the needs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드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한 게임기로서, 상기 핸드폰의 전원이 아닌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시켜두므로써 상기 외부전원을 차단한 경우에도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핸드폰용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핸드폰의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s a game machine to control the game driven in the mobile phone in the coupled state, while being driven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the external By charging the power by using a power source, even when the external power is cut off, the user can enjoy a game for a mobile phone by using the charged pow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game console for mobile phone charg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에 있어서, 핸드폰의 핸드폰 포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에서 실행되는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한편, 상기 핸드폰으로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 (121); 각종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부(111); 핸드폰의 충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핸드폰 충전 표시부 (131); 게임기의 충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게임기 충전 표시부(151); 핸드폰 충전 표시부, 게임기 충전 표시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게임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190);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 입력부, 핸드폰 충전 표시부, 게임기 충전 표시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 및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게임기 전원 공급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인가부(141)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phone charging game console, the interface for electrically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while being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mobile phone port of the mobile phone to exchang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game running on the mobile phone ( 121); An input unit 111 for sensing input from various buttons; A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whether a mobile phone is charged; A game machine charge display unit 151 for displaying whether the game machine is charged; A controller 190 for controlling a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and a game machine charging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a gam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a mobile phone through the interface; A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171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ler, input unit,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and game machine charging display unit using the applied power; And a power applying unit 141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interfa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로써, 핸드폰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charging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coupled to the mobile phone.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외부는, 핸드폰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드폰 삽입부(160), 핸드폰 하부에 위치하는 데이터 및 전원 입출력 포트(이하, 간단히 "핸드폰 포트"라 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드폰 삽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 게임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110), 핸드폰의 충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핸드폰 충전 램프(130),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충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게임기 충전 램프(150) 및 외부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 인가용 잭(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핸드폰 삽입부(160)는 핸드폰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게임기 표면에 파여져 있는 홈으로써, 그 하단 측면부에는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가 돌출되어 있어 핸드폰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side of the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insertion unit 160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mobile phone, the data and power input and output ports located below the mobile phone (hereinafter, simply "Mobile phone por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phone inserting unit, the button 110 to adjust the game, the mobile phone charging to detect whether the mobile phone charging Lamp 130, the game machine charging lamp 150 that can detect whether the charging of the mobile game console combined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wer supply jack 140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is configured. The mobile phone insertion unit 160 is a groove which is dug into the surface of the game machin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inserted, and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mobile phone is coupled.

또한, 상기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는 핸드폰 포트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드폰 삽입부(160)의 하단 측면부에 돌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를 통해 핸드폰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또한, 상기 버튼(110)은 핸드폰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버튼(110)을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는 상기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핸드폰 충전 램프(130)는 핸드폰의 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충전중에는 빨간색이 발광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이 발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surface portion of the mobile phone insertion unit 160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port. At this time,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phone. The button 110 is for adjusting a game being executed in the mobile phone, and the control input through the button 110.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charging lamp 130 may b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mobile phone is charged, and may be configured to emit red light during charging and light green when charging is completed.

또한, 상기 게임기 충전 램프(150)는 게임기(100) 자체의 충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핸드폰 충전 램프(130)와 같이 빨간색 또는 녹색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원 인가용 잭(140)은 외부 전원공급장치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전원 인가용 잭(140)을 통해 인가된 전원은 핸드폰 충전용 또는 게임기 충전용으로 사용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일실시예 내부 투시도로써, 게임기 내부에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the game machine charging lamp 150 may b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game machine 100 itself is charged, and may emit red or green light as the mobile phone charging lamp 130. Lastly, the power supply jack 140 is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and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jack 140 is used for charging a mobile phone or a game device. .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m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170 is built into the game machine.

즉, 상기 전원 인가용 잭(140)을 통해 인가된 전원은 핸드폰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한편, 상기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는 전원 인가용 잭(140)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충전용 건전지(170)에 전원을 충전시켜 두는 한편, 상기 충전용 건전지(17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이다. That is,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jack 140 is used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and is used to charge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Therefore, the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jack 140 to charge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70, the power charg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170 Perform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play the game using. Figure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는, 핸드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121), 각종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부(111), 핸드폰의 충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핸드폰 충전 표시부(131), 게임기의 충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게임기 충전 표시부(151), 상기 입력부, 핸드폰 충전 표시부, 게임기 충전 표시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폰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190), 상기 제어부, 입력부, 핸드폰 충전 표시부, 게임기 충전 표시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 및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게임기 전원 공급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인가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121)는 도 1 에 도시된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핸드폰과 전기/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1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he input unit 111 for detecting input from various buttons, to display whether the mobile phone is charg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131, the game machine charge display unit 151 for displaying whether the game machine is charged, the input unit, the mobile phone charge display unit, the game machine charge display unit, and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interface ( 190, the controller, the input unit, the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171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game charge display unit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mobile phone via the interface while the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141 for supplying power to 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It is made. In this case, the interface 121 includes a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illustrated in FIG. 1, a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 mechanically coupled to the mobile phone.

또한, 상기 입력부(111)는 도 1 에 도시된 버튼(110)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버튼을 통해 입력된 각종 신호들을 상기 제어부(19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핸드폰 충전 표시부(131)는 도 1 에 도시된 해드폰 충전 램프(130)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핸드폰의 충전 여부를 빨간색 또는 녹색의 램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1 includes the button 110 shown in FIG. 1 and transmits various signals input through the button to the controller 190.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131 includes a mobile phone charging lamp 130 shown in FIG. 1, and displays whether the mobile phone is charged with a red or green lamp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Do this.

또한, 상기 게임기 충전 표시부(151)는 도 1 에 도시된 게임기 충전 램프(150)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핸드폰의 충전 여부를 빨간색 또는 녹색의 램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는 도 2 에 도시된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 인가부(141)로 부터 인가된 전원을 직접 각 부(190, 111, 131,151)에 제공하는 한편,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를 충전 시키면서 동시에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game machine charging display unit 151 includes a game machine charging lamp 150 shown in FIG. 1, and displays whether the mobile phone is charged with a red or green lamp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Do this. In addition, 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171 includes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shown in FIG. 2, and when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is not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141. While directly supplying the power supplied from each unit 190, 111, 131, 151, while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is provided while charging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while supplying power to each unit at the same time It performs the function.

한편, 상기에서는 충전용 건전지(17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충전용 건전지(170) 대신 별도의 내장형 충전용 밧데리를 사용하여 전원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bed us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70 to charge the power required for the mobile phone game co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separate built-in type instead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70 You can also charge the power using a rechargeable battery.

마지막으로, 상기 전원 인가부(141)는 도 1 에 도시된 전원 인가용 잭(140)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전원 인가용 잭(140)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송하여 핸드폰을 충전시키는 한편, 상기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로 전송하여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수 행한다. Finally, the power applying unit 141 includes a power supply jack 140 shown in FIG. 1, and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jack 140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121. While transmitting to a mobile phone to charge the mobile phone, while transmitting to 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171 performs a function to charge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한편, 이하에서는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도로써, 핸드폰 및 각종 전원 공급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원 인가용 아답터(200) 또는 차량용 시가잭(300)(이하, 간단히 "아답터"라 함)의 끝단을 전원 인가용잭(140)에 연결시키므로써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using a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various power supply.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s the end of the general power supply adapter 200 or the vehicle cigar jack 30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dapter") used for home use The power is supplied by connecting to the jack 140.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를 핸드폰의 충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즉, 상기 아답터(200 또는 300)의 끝단을 상기 전원 인가용 잭(14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핸드폰을 상기 핸드폰 삽입부(160)에 구비된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에 연결시키게 되면, 게임기(100)로 인가된 전원은 상기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를 통해 핸드폰으로 인가되어 핸드폰을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90)는 핸드폰이 상기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에 연결되면 핸드폰 충전 램프(130)의 적색 램프를 구동시키는 한편, 충전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핸드폰 충전 램프(130)의 녹색 램프를 구동시키게 된다. First, the user can use the mobile phone charging game co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That is, the mobile phone in the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adapter (200 or 3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jack 140; When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insertion unit 160, the power applied to the game machine 100 is appli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to charge the mobile phon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90 drives the red lamp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lamp 130 when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and drives the green lamp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lamp 130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Let's go.

이때,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가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면 핸드폰을 충전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를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조정하기 위한 조종장치(조이스틱)로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is provided inside 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171,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may be charged simultaneously with charging the mobile phone. Next, the user can use the mobile phone charging game conso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control device (joystick) for adjusting the game driven in the mobile phone.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100)에 구비된 버튼(110)을 통해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게임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겸용 게임기(100) 또는 이와 유사한 외부장치들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어야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in the state in which the cellular phone is coupled, the user can control the game driven by the cellular phone through the button 110 provided in the cellular phone charging game machine 100. In this case, the game driven in the mobile phone should be programmed to interface with the mobile phone game machine 100 or similar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게임은 핸드폰의 데이터 및 전원 입출력 포트에 외부 단자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 등)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 단자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설정이 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버튼(110) 조작을 통해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게임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버튼(110)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는 인터페이스(121)의 핸드폰 포트 연결부(120)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송되는것이다. That is, the game should be programmed to be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terminal when an external terminal (eg, a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data and power input / output ports of the mobile phone. If the above setting is made, the user can control the game driven in the mobile phone by operating the button 110. That is,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button 11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mobile phone port connection unit 120 of the interface 121.

이때, 상기 게임기(100)는 핸드폰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아답터(200 또는 30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작동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폰을 결합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게임기는 일반적으로 핸드폰의 전원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게임기(100)는 외부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아답터(200 또는 30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에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가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는 전원을 충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game machine 100 is operated by using a power applied through the adapter 200 or 300 rather than using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That is, the conventional game machin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used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but th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able to use an external power source. In addition, if the game machine charging battery 170 is provided in the game power supply unit 171 while the adapter 200 or 300 is connected, the game battery charging battery 170 charges power.

따라서, 사용자는 아답터(200 또는 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핸드폰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답터(200 또는 300)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상기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핸드폰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답터(200 또는 30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게임을 즐기는 경우, 상기 아답터를 통해 게임기(100)로 인가된 전원은 게임기의 구동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 3 에 도시된 전원 인가부(141)를 통해 인터페이스(121)로 전송되므로써 핸드폰을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not only enjoy the mobile phone game in the state where the adapter 200 or 300 is connected, but also the mobile phone game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even when the adapter 200 or 300 is separated. You can enjoy it. In addition, when playing the game while the adapter 200 or 300 is connected, the power applied to th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adapter is not only used for driving the game machine, but also the power applying unit 141 shown in FIG. It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charging the mobile phone by being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121 through).

즉, 게임기(100)는 아답터(200 또는 3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게임기 구동용으로 사용하는 한편, 핸드폰의 충전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를 충전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가 충전된 상태라면 아답터(200 또는 300)를 연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핸드폰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game machine 100 may use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adapter 200 or 300 for driving the game machine, and may also be used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and at the same time,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charging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Done. Therefore, when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is charged, the mobile phone game can be enjoyed even without the adapter 200 or 300 connected.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사용자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핸드폰용 게임을 더욱 박진감 넘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핸드폰의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므로써, 핸드폰의 전원량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기에 사용될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핸드폰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또한, 본 발명은 게임 기 자체의 전원 공급 뿐만 아니라, 핸드폰을 충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핸드폰 충전기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more user-friendly game by using a more convenient user button, while being driven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rather than using the power of the mobile phon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ower of the mobile phone continuously This is an excellent effect that allows you to enjoy the ga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charge the power to be used in the game machin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enjoy a mobile phone game even when there is no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Rather, it includes the ability to charge the phon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phone charger.

Claims (1)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에 있어서,In the game machine for mobile phone charging, 핸드폰의 핸드폰 포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에서 실행되는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한편, 상기 핸드폰으로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121);An interface 121 electrically coupled to a mobile phone port of a mobile phone to exchange information related to a game executed in the mobile phone and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phone; 각종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부(111);An input unit 111 for sensing input from various buttons; 핸드폰의 충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핸드폰 충전 표시부(131);A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whether a mobile phone is charged; 게임기의 충전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게임기 충전 표시부(151);A game machine charge display unit 151 for displaying whether the game machine is charged; 핸드폰 충전 표시부, 게임기 충전 표시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게임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190);A controller 190 for controlling a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and a game machine charging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a gam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a mobile phone through the interface;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 입력부, 핸드폰 충전 표시부, 게임기 충전 표시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 및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게임기 전원 공급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인가부(141) 를 포함하는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A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171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ler, input unit, mobile phone charging display unit, and game machine charging display unit using the applied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141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interfa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청구항 2.Claim 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게임기 전원 공급부(171)는,The game machine power supply unit 171,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170)에 전원을 충전시켜 두었다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게임기 충전용 건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 및 입력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겸용 게임기.After charging power to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170, when there is no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controller and input unit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 game machine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able game console. 청구항 3.Claim 3.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원 인가부(141)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원 인가용 아답터(200) 또는 차량용 시가잭(300)을 통해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 겸용 게임기.The power supply unit 141, a mobile phone combined gam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through a general power supply adapter 200 or a vehicle cigar jack 300 for home use.
KR1020070065875A 2007-06-29 2007-06-29 Game cellphone KR200900025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875A KR20090002504A (en) 2007-06-29 2007-06-29 Game cell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875A KR20090002504A (en) 2007-06-29 2007-06-29 Game cell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04A true KR20090002504A (en) 2009-01-09

Family

ID=4048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875A KR20090002504A (en) 2007-06-29 2007-06-29 Game cell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5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2462B1 (en) Video game controller with rechargeable battery system
US20200222799A1 (en) External control device for game controller and game control device
EP0450783B1 (en) Battery charging system
US7863856B2 (en) Bi-directional battery charging for coupled electronic devices
EP1355506A1 (en) Radio operating apparatus and its power supply method
KR20150016859A (en) protecting case
WO2004064953A2 (en) Gaming accessory for wireless devices
JP2001352373A (en) Display process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used for it, and conversion adaptor used for it
US20070015577A1 (en) Joypad with a display unit
KR200454809Y1 (en)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mobile terminal
KR100526742B1 (en) A Handphone-plugger And Joystick In One
KR20090002504A (en) Game cellphone
KR200350637Y1 (en) A Handphone-plugger And Joystick In One
KR20090112968A (en) Gender having battery for capable of electric charging
CN202929573U (en) Handheld type input device with wireless mouse, keyboard and gamepad
US8749093B2 (en) Electric receptacle module
US20050233807A1 (en) Massage chair controller capable of providing games
KR20100001400A (en) Hpgamer
CN211128124U (en) Neck strap type earphone
KR101762701B1 (en) A system for supplying mobile power to mobile device
KR20060080652A (en) Portable charger
KR20040103707A (en) Bluetooth Control Program and Method for Wireless Remote Controlled Toy
KR200300998Y1 (en) A Gamemachine having a battery charger
KR200312393Y1 (en) A portable handphone charger
CN210442770U (en) Detachable multifunctional touch panel assembly and note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