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450U - 진공강자흡식펌프 - Google Patents

진공강자흡식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450U
KR20090002450U KR2020070014906U KR20070014906U KR20090002450U KR 20090002450 U KR20090002450 U KR 20090002450U KR 2020070014906 U KR2020070014906 U KR 2020070014906U KR 20070014906 U KR20070014906 U KR 20070014906U KR 20090002450 U KR20090002450 U KR 200900024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mp
chamber
discharge pip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475Y1 (ko
Inventor
지효근
Original Assignee
지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효근 filed Critical 지효근
Priority to KR2020070014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4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6Floating-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7Safety measures
    • F04D15/0083Protection against sudden pressure change, e.g.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4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using priming pumps; using booster pumps to prevent vapour-lock
    • F04D9/041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using priming pumps; using booster pumps to prevent vapour-lock the priming pump having evacua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강자흡식펌프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유체가 펌핑되는 펌핑실을 가지는 기존의 펌프에 상기 상기 펌핑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진공강자흡시펌프에 있어서; 펌프실의 공기를 배출하는 새로운 구조의 진공수단을 제안하여 모터에 의해 펌핑되던 유체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전기동력을 부가하지 않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도록 모터(2)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펌프실(3)을 가지며 상기 모터(2)의 회전축(4)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임펠러(5)가 내재된 몸체(6)를 가지고 있는 통상의 펌프의 몸체(6)의 토출구에 체크밸브(7)를 설치하며, 상기 펌프실(3)과 연통되어 상기 펌프실(3)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공기배출관(8)을 설치하고, 상기 공기배출관(8)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6)의 펌프실(6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8)의 일단부를 개폐시키는 부우체(9)와 상기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가 마련된 공기차단부(11)를 설치하며, 상기 공기배출관(8)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몸체(3)의 펌프실(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펌핑실(12)과 상기 펌핑실(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후램원판(13)과 상기 다이아후램원판(13)을 직선왕복운동시키어 펌핑실(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통상의 진공강자흡식펌프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배출관(8)의 타단부에서 분기되어 구획되는 한 쌍의 펌핑실 (12)을 가지며; 상기 펌핑실(12)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일방향체크밸브(14)(15)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펌핑실(12)의 일위치에는 압축공기를 공급및 수거하는 통상의 공기가압수단(16)에 의해 공급 수거되는 공기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다이아후램원판(13)이 마련되어 상기 펌핑실(12)을 공기유동실(17)과 가압실(18)로 분활구획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제공한다.
Figure P2020070014906
펌프, 저수지, 진공강자흡식펌프, 공기가압수단, 진공펌프. 압축공기.

Description

진공강자흡식펌프{A vacuum self-priming pump}
본 고안 진공강자흡식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유체가 펌핑되는 펌핑실을 가지는 기존의 펌프에 상기 상기 펌핑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진공강자흡시펌프에 있어서; 펌프실의 공기를 배출하는 새로운 구조의 진공수단을 제안하여 모터에 의해 펌핑되던 유체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전기동력을 부가하지 않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는 진공강자흡식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유체를 펌핑하여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유체를 이동시키거나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펌프는 가동초기에 펌프실 내부에 물을 완전히 충수하여야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종래에는 수동이나 일정량의 물을 계속 공급하며 가동하는 또 다른 펌프나 수봉식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펌프의 펌프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만들면서 물이 충수되도록 하여 펌핑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 및 수봉식진공펌프는 슬러지가 많이 포함된 물을 펌핑할 경우 상기 물에 포함된 슬러지에 의해 펌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 이르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은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61147호(명칭: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제안하여 진공펌프의 자체적인 공기배출수단에 의해 펌프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므로써 유체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된 한국특허출원번호제 10-2007-61147호의 진공강자흡식펌프는 모터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펌프실을 가지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임펠러가 내재된 몸체를 가지고 있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펌프실과 연통되어 상기 펌프실의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 펌프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부를 개폐시키는 공기차단부;및 상기 공기배출관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몸체 펌프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펌핑부를 갖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펌프실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유체를 상측으로 끌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원인의 선출원된 진공강자흡식펌프는 기존에 배치 및 설치된 일반적인 펌프에 적용시키기는 것은 어려운바, 이것은 상기 공기배출수단을 구동하는 공기펌핑부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도록 되어있어, 기존 의 펌프에 적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적용이 함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배치된 펌프를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공기배출수단 및 공기펌핑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펌프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서, 모터에 의해 펌핑되던 유체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키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공강자흡식펌프는 모터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펌프실을 가지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임펠러가 내재된 몸체를 가지고 있는 통상의 펌프의 몸체의 토출구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펌프실과 연통되어 상기 펌프실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공기배출관을 설치하고,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 펌프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부를 개폐시키는 부우체와 상기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마련된 공기차단부를 설치하며, 상기 공기배출관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몸체 펌프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펌핑실과 상기 펌핑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후램원판과 상기 다이아후램원판을 직선왕복운동시키어 펌핑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진공강자흡식펌프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배출관의 타단부에서 분기되어 구획되는 한 쌍의 펌핑실을 가지며, 상기 펌핑 실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일방향 체크밸브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펌핑실의 일위치에는 압축공기를 공급및 수거하는 통상의 공기가압수단에 의해 공급 수거되는 공기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다이아후램원판이 마련되어 상기 펌핑실을 공기유동실과 가압실로 분활구획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진공강자흡식펌프는 기존에 배치된 펌프를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공기배출수단 및 공기펌핑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펌프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서, 모터에 의해 펌핑되던 유체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키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압축공기의 공급 및 수거하는 공기가압수단을 이용하여 펌프실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어 별도의 전기동력을 필요하지 않아 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진공강자흡식펌프(1)는 모터(2)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펌프실(3)을 가지며 상기 모터(2)의 회전축(4)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임펠러(5)가 내재된 몸체(6)를 가지고 있는 통상의 펌프의 몸체(6)의 토출구에 체크밸브(7)를 설치하며, 상기 펌프실(3)과 연통되어 상기 펌프실(3)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공기배출관(8)을 설치하고, 상기 공기배출관(8)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6)의 펌프실(6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8)의 일단부를 개폐시키는 부우체(9)와 상기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가 마련된 공기차단부(11)를 설치하며, 상기 공기배출관(8)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몸체(3)의 펌프실(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펌핑실(12)과 상기 펌핑실(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후램원판(13)과 상기 다이아후램원판(13)을 직선왕복운동시키어 펌핑실(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통상의 진공강자흡식펌프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배출관(8)의 타단부에서 분기되어 구획되는 한 쌍의 펌핑실(12)을 가지며, 상기 펌핑실(12)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일방향체크밸브(14)(15)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펌핑실(12)의 일위치에는 압축공기를 공급및 수거하는 통상의 공기가압수단(16)에 의해 공급 수거되는 공기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다이아후램원판(13)이 마련되어 상기 펌핑실(12)을 공기유동실(17)과 가압실(18)로 분활구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진공강자흡식펌프(1)는 모터(2)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펌프실(3)을 가지며 상기 모터(2)의 회전축(4)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임펠러(5)가 내재된 몸체(6)를 가지고 있는 기존의 펌프에 상기 펌프실(3)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공기배출관(8)과, 상기 공기배출관(8)의 일단부를 개폐시키는 공기차단부(11)를 가미한 통상의 진공강자흡식펌프에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공기가압수단(16)을 부가하여 기존의 펌프를 개량하므로써 개량된 펌프에 공기를 펌핑하는 수단으로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공기가압수단(16)을 제공하므로써 이동시키기 어려운 슬러지가 포함된 유체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작동관계를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공기가압수단(16)를 구동하여 상기 다이아후램원판(13)을 펌핑실(12)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시켜 공기배출관(8)의 공기를 흡입하여 펌프실(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을 한다.
이때 상기한 체크밸브(7)에 의해 펌프실(3)은 외부와 폐쇄되어 외부의 공기가 펌프실(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펌프실(3)의 공기를 공기배출관(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면 펌프실(3)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면서 유체가 흡인되어 상기 공기차단부(11)의 부우체(9)가 공기배출관(8)을 폐쇄시킨다.
상기와 같이 공기배출관(8)의 일부위가 부우체(9)에 의해 폐쇄되면 감지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공기가압수단의 구동을 멈추고, 이와 동시에 상기 모터(2)를 구동하여 유체를 펌핑하면 상기 체크밸브(7)가 개방되어 펌프실(3)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펌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진공강자흡식펌프의 작동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후램원판(13)의 왕복작동과 공기의 배출작동을 보다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가압수단(16)에 의해 일측의 펌핑실(12)로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일측의 펌핑실(12)의 공기는 수거하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가압실(18)의 다이아후램원판(13)은 벌어지면서 공기유동실(17)의 공간을 축소하여 공기유동실(17)의 공기를 가압하므로써 공기배출관(8)과 연결된 측의 일방향체크밸브(14)는 폐쇄 하도록 하고 배출구측의 일방향체크밸브(15)는 개방하여 공기유동실(17)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타측의 펌핑실(12)의 가압실(18)의 공기는 수거되어 다이아후팸원판(13)은 가압실(18)의 공간이 축소되도록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실(17)의 공간은 확장되어 공기배출관(8)측과 연관된 일방향체크밸브(14)는 개방되어 공기배출관(8)에서 공기를 유입받아 공기유동실(17)로 공기를 유입하고 배출구측에 위치한 일방향체크벨브(15)는 폐쇄되어 공기유동실(17)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가압수단(16)에 의해 확장된 가압실(18)측의 공기를 수거하고 축소된 가압실(16)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공간이 축소된 가압실(18)측의 공기유동실(17)이 확장되어 공기배출관(8)으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아 공기유동실(17)에 공기를 충진하게 되고 확장된 가압실(18)의 공기유동실(17)은 다이아후램원판(13)의 이동으로 공기유동실(17)을 가압하여 공기유동실(17)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양측의 가압실(18)에 공기가압수단(16)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공급 및 수거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을 하면 공기배출관(8)을 통해 펌프실(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를 도시한 개략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동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강자흠식펌프, 2 : 모터,
3 : 펌프실, 4 : 회전축,
5 : 임펠러, 6 : 몸체,
7 : 체크밸브, 8 : 공기배출관,
9 : 부우체, 10 : 감지센서,
11 : 공기차단부, 12 : 펌핑실,
13 : 다이아후램원판, 14,15 : 일방향체크밸브,
16 : 공기가압수단, 17 : 공기유동실,
18 : 가압실.

Claims (1)

  1. 모터(2)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로 이루어진 펌프실(3)을 가지며 상기 모터(2)의 회전축(4)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임펠러(5)가 내재된 몸체(6)를 가지고 있는 통상의 펌프의 몸체(6)의 토출구에 체크밸브(7)를 설치하며, 상기 펌프실(3)과 연통되어 상기 펌프실(3)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공기배출관(8)을 설치하고, 상기 공기배출관(8)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6)의 펌프실(6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8)의 일단부를 개폐시키는 부우체(9)와 상기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가 마련된 공기차단부(11)를 설치하며, 상기 공기배출관(8)의 타단부에 연통되어 상기 몸체(3)의 펌프실(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펌핑실(12)과 상기 펌핑실(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이아후램원판(13)과 상기 다이아후램원판(13)을 직선왕복운동시키어 펌핑실(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통상의 진공강자흡식펌프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배출관(8)의 타단부에서 분기되어 구획되는 한 쌍의 펌핑실(12)을 가지며;
    상기 펌핑실(12)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일방향체크밸브(14)(15)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펌핑실(12)의 일위치에는 압축공기를 공급및 수거하는 통상의 공기가압수단(16)에 의해 공급 수거되는 공기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다이아후램원판(13)이 마련되어 상기 펌핑실(12)을 공기유동실(17)과 가압실(18)로 분활구획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20070014906U 2007-09-06 2007-09-06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0445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906U KR200445475Y1 (ko) 2007-09-06 2007-09-06 진공강자흡식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906U KR200445475Y1 (ko) 2007-09-06 2007-09-06 진공강자흡식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450U true KR20090002450U (ko) 2009-03-11
KR200445475Y1 KR200445475Y1 (ko) 2009-08-04

Family

ID=4128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906U KR200445475Y1 (ko) 2007-09-06 2007-09-06 진공강자흡식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4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12B1 (ko) * 2009-11-13 2012-05-04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154058B1 (ko) * 2010-03-25 2012-06-11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가 구비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1279B (zh) * 2009-05-06 2012-05-30 王永康 水泵自吸装置
KR102311679B1 (ko) 2020-03-11 2021-10-08 김찬원 고농도 슬러지 이송용 자흡식 진공강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1280A (ja) * 1994-08-17 1996-03-08 Kubota Corp 横軸斜流ポンプの小水量管理運転装置
KR100791044B1 (ko) 2007-06-21 2008-01-04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0441268Y1 (ko) 2007-07-25 2008-08-04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12B1 (ko) * 2009-11-13 2012-05-04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154058B1 (ko) * 2010-03-25 2012-06-11 지효근 진공강자흡식펌프가 구비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475Y1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6546A (zh) 一种惰性真空辅助自吸泵
KR100791044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100084780A (ko) 공기배출수단을 가지는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0441268Y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TW201144606A (en) Pump
KR101141412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0445475Y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186738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145484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CN109236665A (zh) 一种带抽气装置离心泵
CN206738178U (zh) 移动式快速真空自吸泵
KR10170733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861970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100084781A (ko) 공기배출수단을 가지는 진공강자흡식펌프
CN211174624U (zh) 一种具有自吸抽水功能的离心泵装置
CN103133352A (zh) 一种自吸式卧式多级泵的新型结构
CN2412112Y (zh) 水泵引水吸上机
KR10179241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CN109469627A (zh) 一种离心泵便携式抽气装置及离心泵设备
KR200445591Y1 (ko) 수분 분리구조를 갖는 진공 자흡식 원심펌프
JP4184763B2 (ja) モータ一体型ポンプ
KR102581992B1 (ko) 진공강자흡펌프용 공기차단장치
KR100681468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이용한 이동식 슬러리 이송용 자흡식펌프
CN208966610U (zh) 一种惰性真空辅助自吸泵
CN107100852B (zh) 移动式快速真空自吸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