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390A -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390A
KR20090002390A KR1020070064149A KR20070064149A KR20090002390A KR 20090002390 A KR20090002390 A KR 20090002390A KR 1020070064149 A KR1020070064149 A KR 1020070064149A KR 20070064149 A KR20070064149 A KR 20070064149A KR 20090002390 A KR20090002390 A KR 2009000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network
private
server
switch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697B1 (ko
Inventor
백기진
이장원
박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6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6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사설망에서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 및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를 포함하는 연동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른 사설망들 간의 연동을 제공한다.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가 위치한 사설망과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사설망에 접속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SIP 프로토콜을 통해 로그인하여 세션 연결을 유지한다. 그리고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자신의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를 이용하여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로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는 SIP 프록시 역할을 수행하여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가 요청한 상대방 단말과의 세션 개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NAT-Traversal의 문제없이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 망간에 상호 연동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64149
사설망, 타망, 자망, VoIP 서비스

Description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Terminal unit for providing VoIP service between one private network and the other private network, interwor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연동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비대칭적 타입인 경우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 경우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3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비대칭적 타입인 경우의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4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대칭적 타입인 경우의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는 망 구조에서 서로 다른 사설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 프로토콜(IP)를 사용하여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인터넷 전화 기술이다. VoIP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F(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H.323 프로토콜 등이 정의되어 있다. 이 중에서 SIP는 간단한 텍스트 기반의 응용 계층 제어 프로토콜로서, 하나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 세션을 생성/수정/종료할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망 사업자들은 부족한 공인(Global) IP 주소의 확보 및 자(自)망의 안정성 확보 등을 이유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이하 ‘NAT’라 기술함) 기술을 이용한다. NAT는 자망의 사설(Private) IP 주소 또는 TCP/UDP의 포트 번호를 각각 공인 IP 주소 또는 포트로 변환하는 기술로서, 이종 망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은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3계층 헤더(Source IP) 및 4계층 헤더(Source Port)까지만 분석이 가능하고 그 보다 상위 계층인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내 주소 정보는 분석하지 못한다.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의 변환 영역이 IP 계층에 국한되므로 데이터 영역에 호스트 정보를 포함시키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할 경우 이종 망간 연동이 불가능하다.
즉 SIP 프로토콜은 NAT가 인식하지 못하는 SDP 내에 실제 미디어 전송을 위한 주소 정보가 수록되므로 타(他)망 단말로부터 NAT 내 자망 단말로 미디어 전송시 착신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NAT-Traversal”의 문제라고 한다.
“NAT-Traversal”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방안 중 하나가 SIP 프로토콜 계층을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게이트웨이(Application Layer Gateway, 이하 ‘ALG’이라 기술함) 기술이다. ALG 기술을 통해 사설망과 공인망 간에 연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공인망은 전세계적으로 공통의 IP인 공인 IP를 사용하는 인터넷망을 의미한다.
이때, 발/착신이 모두 패킷 기반의 사설망일 경우에는, 두 망이 연동하려면 사설망 별로 ALG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는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망 간 연동을 어렵게 하여 이종망간의 VoIP 서비스 제공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한, 하나의 사설망에 위치한 패킷 교환 단말이 발신하여 다른 사설망에 위치한 회선 교환 단말로 착신하는 경우, 미디어 변환 장치가 자신의 사설 주소에 매핑된 공인 주소를 스스로 획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패킷 교환망 및 회선 교환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장치는,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 하여 연동하는 망 환경에서 제1 사설망에 위치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외부에 위치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설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주소 처리부;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 상기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공인 주소 정보가 수록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처리부; 및 상기 주소 처리부, 상기 접속 처리부 및 상기 세션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단말장치의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여 연동하는 망 환경에서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가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외부에 위치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설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가 수록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동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간에 VoIP 서비스를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 환기 외부에 위치하여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이 상기 제1 사설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 및 제2 사설망에 위치하여 상기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세션 연결을 제어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연동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제1 사설망 및 제2 사설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가 상기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과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연결 상태가 확인된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세션 연결 메시지-여기서 세션 연결를 메시지의 호스트 주소는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가 수록됨-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여기서 공인 주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외부에 위치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함-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자망 및 타망은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 여부에 따라 구별된다. 즉 자망은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망을 의미하고 타망은 자망 이외의 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연동 시스템은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 타망(200), 네트 워크 주소 변환기(300), 자망(400) 및 연동 시스템(500)을 포함한다.
타망(200)과 자망(40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타망(200)은 자망(400)과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패킷 기반의 제1 사설망을 일컫는다. 타망(200)의 예는 비대칭형 디지털 가입자(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ADSL)망,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망, 케이블(Cable)망을 포함한다.
자망(400)은 연동 시스템(500)이 구축된 제2 사설망을 일컫는다. 이때, 자망(400)은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이하 ‘CS’라 기술함)망 및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이하 ‘PS’라 기술함)망이 중첩되어 있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타망(200)에 접속된 패킷 기반의 유/무선 단말이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SIP 기반의 Vo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타망(200)에 접속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자망(400)에 위치하는 연동 시스템(500)과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통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이 구현된 장치로서 망 간 경계에 위치하여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사설 주소를 공인 주소로 변환한다.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는 대칭적(Symmetric) 타입 및 비대칭적(Non-symmetric) 타입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대칭적(Symmetric) 타입은 각각의 목적지(Destination) 주소 마다 소스(Source) 주소의 새로운 매핑 값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즉 특정 목적지 주소를 위해 생성된 매핑 값은 다른 목적지 주소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할 수 없다.
비대칭적(Non-symmetric) 타입은 목적지 주소에 관계없이 소스 주소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즉 하나의 목적지 주소를 위해 생성된 매핑 값을 다른 목적지 주소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연동 시스템(500)은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망 간에 SIP 기반의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연동을 제공한다.
연동 시스템(500)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 외부에 위치하여 공인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와 응용 계층의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는 스턴 서버(520) 및 턴 서버(540)를 포함한다.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는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ALG, Application Layer Gateway) 서버이다.
연동 시스템(500)은 스턴 서버(520), 턴 서버(540) 및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가 서로 별개의 노드로 존재한다. 연동 시스템(500)은 스턴 서버(520), 턴 서버(540) 및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가 각각 개별 보드 형태의 ATCA(Advanced Telecom Computing Architecture) 구조일 수 있다.
스턴 서버(520)는 스턴(STUN, Simple Traversal of User Datagram Protocol(UDP) through Network Address Translators(NATs)) 프로토콜이 구현된 서버로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에 탑재되는 “스턴-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스턴 서버(52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의 외부에 위치하고 공인 주소 를 할당받는다.
스턴 서버(52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 하단에 위치하는 “스턴-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의 존재 여부,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 및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가 할당할 공인 주소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턴 서버(540)는 턴(TURN, Traversal Using Relay Network Address Translators(NATs)) 프로토콜이 구현된 서버로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에 탑재되는 “턴-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턴 서버(54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 망 구조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턴 서버(54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의 외부에 위치하고 공인 주소를 할당받는다.
턴 서버(540)는 “턴-클라이언트”가 공인 주소를 요청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인 주소 및 포트 즉 릴레이 주소(RA, Relay Address)를 할당하고 이를 자신이 관리하는 연동 테이블(Relay Table)에 저장한다. 이후 턴 서버(540)는 릴레이 주소로 수신되는 패킷을 연동 테이블의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 내부의 “턴-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가 인식하지 못하는 OSI 모델의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의 주소 정보를 분석 및 변환하는 ALG(Application Layer Gateway)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자망(300)에 위치하여 사설 주소 및 정적(Static) 공인 주소를 할당받는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SIP 클라이언트”에 대응되는 서버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하나 이상의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와 SIP 세션을 맺고 SIP 세션 처리 및 관리를 수행한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SIP 등록 요청(Register)에 대한 처리, 수신되는 SIP 메시지를 처리하는 SIP 프록시(Proxy)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연동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즉 도 1에 보인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도 1의 100)과 연동 시스템(도 1의 500)간의 연결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도 1의 100)가 스턴 서버(도 1의 520)에게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 및 매핑 주소를 요청(S101)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103).
여기서, 매핑 주소(Mapping Address, MA)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의 호스트 주소(Host Address, HA)에 대해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도 1의 300)가 할당한 주소를 일컫는다. 따라서, 호스트 주소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가 타망(도 1의 200)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주소이고 매핑 주소는 사설 주소와 매핑되는 공인 주소이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응답을 토대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을 확인(S105)한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1의 56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107). 연결 확인은 타망(200)에서 할당받은 호스트 주소와 S103 단계에서 수신한 매핑 주소를 이용하여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와의 연결성을 검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검사 방식은 핑(Ping)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태 확인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연결을 유지하거나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사용하여 주기적인 갱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연결 상태 확인(S107)을 통해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가 자신과 동일한 망인지 다른 망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와의 연결이 확인되면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SIP 등록 메시지(Register)를 이용하여 SIP 등록을 요청(S109)하고 그에 대한 응답(200 OK)을 수신(S111)한다. S109 단계 및 S111 단계를 통해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의 주소 정보는 S107 단계에서 확인한 망 여부에 따라 사설 주소 또는 공인 주소가 이용된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S105 단계에서 확인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인지 아니면 비대칭적인지를 판단한다(S113).
S11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인 경우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턴 서버(도 1의 540)에게 릴레이 주소를 요청(S115)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117).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S117 단계에서 수신한 릴레이 주소를 적용하여 SIP 메시지를 생성한다(S119). 즉 SIP 메시지의 소스 주소를 릴레이 주소로 기술하는 ALG 동작을 수행한다.
S11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비대칭적인 경우,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매핑 주소를 적용하여 SIP 메시지를 생성한다(S121). 즉 SIP 메시지의 소스 주소를 매핑 주소로 기술하는 ALG 동작을 수행한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S119 단계 또는 S121 단계에서 생성된 SIP 메시지를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로 전송하여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S12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도 1의 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따르면,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0)는 주소 처리부(120), 접속 처리부(140), 세션 처리부(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주소 처리부(120)는 제1 주소 처리부(122) 및 제2 주소 처리부(124)를 포함한다.
제1 주소 처리부(122)는 스턴 서버(도 1의 520)와 대응되는 “스턴-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주소 처리부(122)는 스턴 프로토콜 규약에 따른 스턴 메시지를 이용하여 스턴 서버(520)와 통신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 입 및 매핑 주소를 요청하여 이를 획득한다.
제2 주소 처리부(124)는 턴 서버(도 1의 540)와 대응되는 “턴-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주소 처리부(124)는 턴 프로토콜 규약에 따른 턴 메시지를 이용하여 턴 서버(54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접속 처리부(140)는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1의 560)에 호스트 주소 및 매핑 주소를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세션 처리부(160)는 매핑 주소가 수록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이용하여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560)와 세션을 연결한다.
세션 처리부(160)는 메시지 생성부(162) 및 세션 제어부(164)를 포함한다.
메시지 생성부(162)는 제1 주소 처리부(122) 및 제2 주소 처리부(124)를 통해 획득한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SIP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제1 주소 처리부(122) 및 제2 주소 처리부(124)를 통해 획득한 매핑 주소 또는 릴레이 주소를 이용하여 SIP 메시지의 미디서 수신 주소 정보를 기술한다. 여기서, 매핑 주소 또는 릴레이 주소는 SIP 메시지의 “SDP m/c line”에 수록될 수 있다.
세션 제어부(164)는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와 대응되는 “SIP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한다. 즉 SIP 요구를 초기화하는 SIP 발신 처리(User Agent Client, UAC) 및 SIP 요구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되돌리는 SIP 착신 처리(User Agent Server, UAS)를 수행한다.
세션 처리부(140)는 메시지 생성부(162)가 생성한 SIP 메시지를 이용하여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와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연동 시스템(500)과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주소 처리부(120), 접속 처리부(140) 및 세션 처리부(160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제1 주소 처리부(122)의 스턴 동작을 통해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을 확인하여 제2 주소 처리부(124)의 구동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에 따른 SIP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메시지 생성부(16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메시지 생성부(162)가 생성한 SIP 메시지를 이용하여 SIP 세션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세션 처리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을 통해 기술한 본 발명을 크게 두 가지 실시예별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하나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타망 간의 연동 서비스(또는 웹투웹 서비스)에 관한 것이고, 다른 실시예는 타망에 접속된 패킷 교환 단말과 자망에 접속된 회선 교환 단말 간의 연동 서비스(또는 웹투폰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서로 다른 타망 간의 연동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발/착신 단말장치(101, 103)가 모두 타망(201, 203)에 존재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제1 타망(201)과 제2 타망(203)은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제1 사설 및 제3 사설망이며,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1(301) 및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2(303)를 구비한다. 그리고 자망(400) 또한 제1 타망(201) 및 제2 타망(203)과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제2 사설망이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를 구비한다.
제1 타망(201)에 위치하는 발신 단말장치(101) 및 제2 타망(203)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장치(103)는 패킷 기반의 유/무선 단말이다.
발신 단말장치(101) 및 착신 단말장치(103)는 자망(400)의 스턴 서버(520), 턴 서버(540) 및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와 연동한다.
그러면, 도 4에 보인 구성을 토대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비대칭적 타입인 경우의 예이다.
도 5에 따르면, 발신 단말장치(도 4의 101) 및 착신 단말장치(도 4의 103)는 각각 스턴 서버(도 4의 520)와 스턴 바인딩 메시지(STUN: Binding Request Message) 및 스턴 바인딩 응답 메시지(STUN: Binding Response Message)의 송/수신(S201, S203, S213, S215)을 수행한다.
발신 단말장치(101) 및 착신 단말장치(103)는 스턴 동작(S201, S203, S213, S215)을 통해 각각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 및 매핑 주소 1, 2를 획득한다(S205, S217).
발신 단말장치(101) 및 착신 단말장치(103)는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4의 560)와 각각 연결 상태 확인(S207, S219)후 각각의 SIP 등록 처리(S209, S211, S221, S223)를 수행한다.
S205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비대칭적 타입인 경우, 발신 단말장치(101)이 소스 주소를 매핑 주소 1로 기술한 세션 개시를 요청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로 전송한다(S225).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S225 단계에서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서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착신 단말장치(103)에게 전달한다(S227).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착신 단말장치(103)로부터 180 Ringing 메시지가 수신(S229)되면 이를 발신 단말장치(101)에게 전달한다(S231).
착신 단말장치(103)는 S217 단계에서 확인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비대칭적인 경우 소스 주소를 매핑 주소 2로 기술한 세션 개시를 수락하는 200 OK 메시지를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에게 전송한다(S233).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S233 단계에서 수신한 200 OK 메시지를 발신 단말장치(101)로 전달한다(S235).
이후, 서로 다른 타망(201, 203)에 위치하는 발신 단말장치(101) 및 착신 단말장치(103)는 매핑 주소 1 및 매핑 주소 2를 이용하여 실시간 통신(RTP, Real-Time Protocol)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 경우의 예이다.
도 6에 따르면, S301 단계 내지 S323 단계는 도 5의 S201 단계 내지 S223 단계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발신 단말장치(도 4의 101)은 S305 단계에서 확인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이므로 턴 서버(도 4의 540)에게 턴 얼로케이트 요청(TURN: Allocat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S325).
발신 단말장치(101)은 턴 서버(540)로부터 턴 얼로케이트 응답(TURN: Allocat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S327)하여 릴레이 주소를 획득한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4의 560)는 발신 단말장치(101)로부터 수신(S329)된 소스 주소가 릴레이 주소로 기술된 인바이트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착신 단말장치(도 4의 103)에게 전달한다(S331).
착신 단말장치(103)는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를 통해 180 Ringing 메시지를 발신 단말장치(101)에게 전송한다(S333, S335).
그리고 착신 단말장치(103)는 S317 단계에서 확인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이므로 턴 서버와의 턴 동작(S335, S337)을 통해 릴레이 주소를 할당받는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착신 단말장치(103)로부터 소스 주소가 릴레이 주소로 명기된 200 0K 메시지를 수신(S339)하여 발신 단말장치(101)에게 전달한다(S341).
이후 턴 서버(540)의 릴레이 주소를 이용한 미디어 릴레이 동작을 통해 발신 단말장치(101) 및 착신 단말장치(103) 간에 실시간 통신(RTP)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4의 560)는 인터페이스부(562), 제어부(564) 및 데이터베이스(56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62)는 타망(도 4의 201, 203)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도 4의 300)와 접속되어 타망(201, 203)에 접속된 단말장치(도 4의 101, 103)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564)는 인터페이스부(562)를 통해 접속된 단말장치(101, 103)와 SIP 프로토콜에 따른 세션 연결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64)는 기능에 따른 세부적인 구성으로 접속 처리부(564a), 등록 처리부(564b) 및 프락시 수행부(564c)를 포함한다.
접속 처리부(564a)는 발/착신 단말장치(101, 103)와의 연결 상태 확인을 수행한다.
등록 처리부(564b)는 발/착신 단말장치(101, 103)와 로그인을 위한 SIP 등록을 수행한다.
프락시 수행부(564c)는 인터페이스부(562)를 통해 발/착신 단말장치(101, 103)와 송/수신하는 SIP 메시지를 어디로 보내야 할지 결정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566)는 제어부(564)의 제어 동작에 따른 단말장치(101, 103)의 연결 상태 확인 정보 및 SIP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타망에 접속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와 자망에 접속된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 간의 연동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따르면,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는 타망(205)인 제1 사설망에 위치하고 회선 교환형 단말(700)은 자망(400)인 제2 사설망에 위치한다. 타망(205)과 자망(400)은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300, 도 4의 303)를 통해 연동된다.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는 자망(400)의 스턴 서버(520), 턴 서버(540) 및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자망(400)에는 미디어 변환 서버(600)가 위치하여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와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700)간의 VoIP 통신을 위한 미디어 변환을 수행한다.
미디어 변환 서버(600)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있어서는 타망(205)의 SIP 프로토콜과 자망(400)의 No.7 프로토콜간의 변환을 수행한다. 베어러 프로토콜에 있어서는 타망(205)의 RTP 프로토콜과 자망(400)의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프로토콜간의 변환을 수행한다.
그러면, 도 8에 보인 구성을 토대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3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비대칭적 타입인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9에 따르면,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가 수행하는 S401 단계 내지 S413 단계는 앞서 설명한 도 5의 S201 단계 내지 S223 단계와 동일하다.
이때,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8의 560)는 S413 단계에서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한 결과 수신측 단말이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700)이므로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미디어 변환 서버(도 8의 600)에게 전달한다(S415).
미디어 변환 서버(600)는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700)에게 호 설정을 요구하는 시작 주소 메시지(IAM, 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한다(S417).
미디어 변환 서버(600)는 시작 주소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주소 완료 메시지(ACM, Address Complete Message)가 수신(S419)되면 180 Ringing 메시지를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에게 전송한다(S421). 그리고 180 Ringing 메시지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에게 전달된다(S423).
미디어 변환 서버(600)는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700)가 호 설정에 응한 경우 오프 훅(Off Hook) 신호 인 응답 메시지(ANM, Answer Message)를 수신한다(S425). 그리고 소스 주소를 자신의 사설 주소로 기술한 200 OK 메시지를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에게 전송한다(S427).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스턴 서버(도 8의 520)와의 스턴 동작을통해 S427 단계에서 수신한 미디어 변환 서버(600)의 사설 주소인 호스트 주소에 대한 매핑 주소를 획득한다(S429, S431). 이때,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스턴 서버(520)에 대응되는 “스턴-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매핑 주소의 획득은 IP 마스커레이딩(Masquerading)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IP 마스커레이딩을 이용하면, 스턴 바인딩 요청시 그 헤더의 주소 정보를 S427 단 계에서 수신한 미디어 변환 장치(600)의 호스트 주소로 치환하여 매핑 주소를 획득하는 것이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560)는 S432 단계에서 획득한 매핑 주소를 적용하여 S427 단계에서 수신한 200 OK 메시지의 ALG 변환을 수행한다(S433). 그리고 S433 단계를 통해 소스 주소가 매핑 주소로 명기된 200 OK 메시지를 패킷 교환 형 단말장치(105)에게 전달한다(S435).
이후, 매핑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와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700)는 미디어 변환 서버(600)를 경유하여 실시간 통신(TDM, RTP)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Vo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4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대칭적 타입인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10에 따르면,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가 수행하는 S501 단계 내지 S517 단계는 앞서 설명한 도 6의 S301 단계 내지 S327 단계와 동일하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8의 560)는 S517 단계에서 소스 주소가 턴 서버(도 8의 540)의 릴레이 주소로 기술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도 8의 700)이므로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미디어 변환 서버(도 8의 600)에 전달한다(S519).
이후의 절차 즉 S521 단계 내지 S539 단계는 도 9의 S417 단계 내지 S435 단계와 동일하다.
그러면, 자망(도 8의 400)의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700)와 타망(도 8의 205)의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105)는 미디어 변환 서버(600) 및 턴 서버(540)를 경유하여 실시간 통신(TDM, RTP)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9및 도 10에서 설명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11에 따르면,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8의 560)는 제1 인터페이스부(562), 제2 인터페이스부(563), 제어부(564) 및 데이터베이스(56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인터페이스부(562) 및 데이터베이스(566)의 구성은 도 7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 인터페이스부(563)는 자망(도 8의 400)의 미디어 변환 서버(도 8의 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어부(566)의 구성은 도 7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나 제어부(564)가 메시지 변환부(566d)를 더 포함하는 것이 도 7의 구성과 차별된다.
메시지 변환부(564d)는 제2 인터페이스부(563)를 통하여 수신되는 SIP 메시지의 미디어 수신 주소를 공인 주소로 변환하는 ALG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1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에 따르면,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서버(도 8의 560)는 도 11에 보인 구성과 동일하나 메시지 변환부(564d)가 IP 마스커레이딩 기법을 이용하여 변환을 수 행한다.
메시지 변환부(564d)는 IP 마스커레이딩 모듈(564'), 주소 처리 모듈(564d'') 및 변환 모듈(564d''')을 포함한다.
IP 마스커레이딩 모듈(564d')은 스턴 바인딩 요청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부(563)를 통하여 수신되는 SIP 메시지에서 추출한 미디어 수신 주소로 치환한다.
주소 처리 모듈(564d'')은 스턴 서버(도 8의 520)와 대응되는 “스턴-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한다. 즉 IP 마스커레이딩 모듈(564d')에 의해 헤더 정보가 변경된 스턴 바인딩 요청 메시지를 스턴 서버(5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스턴 서버(520)로부터 스턴 바인딩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스턴 응답 메시지는 헤더 정보로 치환된 호스트 정보의 매핑 주소를 포함한다.
변환 모듈(564''')은 제2 인터페이스부(564)를 통해 수신한 SIP 메시지의 미디어 수신 주소를 스턴 바인딩 응답 메시지를 통해 획득한 매핑 주소로 변환하는 ALG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패 킷 기반의 타망들 간에 각자 자체적인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기술의 구현없이도 NAT-Traversal의 문제에 구애받지 않고 VoIP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미디어 변환 장치가 스스로 매핑 주소를 획득해야 하는 문제에 구애받지 않고 패킷 기반의 타망과 회선 기반의 자망 간에 NAT-Traversal의 문제에 구애받지 않고 VoIP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망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호 연동을 통한 VoIP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Claims (23)

  1.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여 연동하는 망 환경에서 제1 사설망에 위치하여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외부에 위치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설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주소 처리부;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 상기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공인 주소 정보가 수록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처리부; 및
    상기 주소 처리부, 상기 접속 처리부 및 상기 세션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처리부는,
    제3 사설망에 위치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에게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메시지-여기서 세션 연결 메시지는 상기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의 사설 주소에 매핑된 공인 주소 정보가 호스트 주소로 수록됨-를 수신하여 상기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와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개시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처리부는,
    상기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에게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로부터 세션 연결 메시지-여기서 세션 연결 메시지는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 및 상기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패킷 교환 망과 회선 교환 망간의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는 서버의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가 호스트 주소로 수록됨-를 수신하여 상기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와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개시하는 단말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처리부는,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를 상기 주소 처리부가 수신한 공인 주소 정보로 변환하여 세션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세션 개시 프로토콜 등록을 수행하고 로그인된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가 생성한 세션 연결 메 시지를 송/수신하여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처리부는,
    스턴(STUN, Simple Traversal of UDP through NATs)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 및 상기 사설 주소에 매핑된 제1 공인 주소를 수신하는 제1 주소 처리부; 및
    턴(TURN, Traversal Using Relay NATs) 서버로부터 상기 사설 주소에 매핑된 제2 공인 주소-여기서 제2 공인 주소는 상기 제1 사설망 외부의 망과의 VoIP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상기 턴 서버의 패킷 전달에 의해 송/수신하기 위한 릴레이 주소임-를 수신하는 제2 주소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소 처리부가 수신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대칭적 타입인 경우 상기 제2 주소 처리부를 구동하여 획득한 상기 제2 공인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비대칭적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공인 주소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제어 하는 단말장치.
  7.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여 연동하는 망 환경에서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가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외부에 위치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설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가 수록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제3 사설망에 위치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와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개시하기 위한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가 전송한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세션개시를 위한 세션 연결 메시지-여기서 세션 연결 메시지는 상기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장치의 사설 주소에 매핑된 공인 주소 정보가 호스트 주소로 수록됨-를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와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개시하기 위한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가 전송한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세션을 개시하기 위한 세션 연결 메시지-여기서 세션 연결 메시지는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 및 상기 회선 교환형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패킷 교환 망과 회선 교환 망간의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는 서버의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가 호스트 주소로 수록됨-를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세션 개시 프로토콜 등록을 통해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스턴(STUN, Simple Traversal of UDP through NATs)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 및 상기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제1 공인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대칭적 타입인 경우 턴(TURN, Traversal Using Relay NATs)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제2 공인 주소-여기서 제2 공인 주소는 턴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설망 외부의 망과 송/수신하는 패킷을 전달받기 위한 릴레이 주소임-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비대칭적 타입인 경우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를 상기 제1 공인 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 경우 상기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 스트 주소를 상기 제2 공인 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생성하는 VoIP 서비스 제공 방법.
  13.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간에 VoIP 서비스를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외부에 위치하여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이 상기 제1 사설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 및
    제2 사설망에 위치하여 상기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 로그인을 수행하고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세션 연결을 제어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
    를 포함하는 연동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는,
    상기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의 로그인을 위한 세션 접속 프로토콜 등록을 수행 하는 등록 처리부; 및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가 상기 공인 주소 정보로 명기된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 및 제3 사설망에 위치하여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 간에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세션을 제어하는 프락시 수행부
    를 포함하는 연동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는,
    상기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의 로그인을 위한 세션 접속 프로토콜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 처리부;
    패킷 교환 망과 회선 교환 망간의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회선 교환형 단말이 전송한 세션 연결 메시지의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여기서 호스트 주소는 상기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는 서버의 사설 주소임-를 상기 호스트 주소와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 및
    상기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이 전송하는 세션 연결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 변환부가 변환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 상기 회선 교환형 단말 간에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세션을 제어하는 프락시 수행부
    를 포함하는 연동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변환부는,
    상기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세션 연결 메시지에서 상기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할 공인 주소 정보 요청 메시지의 헤더 정보를 추출한 호스트 주소로 치환하는 IP 마스커레이딩 모듈;
    상기 IP 마스커레이딩 모듈에 의해 헤더 정보가 변경된 상기 공인 주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공인 주소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주소 처리 모듈; 및
    상기 주소 처리 모듈이 수신한 공인 주소 정보 응답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공인 주소로 변환된 상기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변환하는 변환 모듈
    을 포함하는 연동 시스템.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는,
    스턴(STUN, Simple Traversal of UDP through NATs)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 및 상기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제1 공인 주소를 제공하는 스턴 서버; 및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요청에 따라 턴(TURN, Traversal Using Relay NATs)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제2 공인 주소-여기서 제2 공인 주소는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에게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이 외부망과 송/수신하는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릴레이 주소임-를 제공하는 턴 서버
    를 포함하는 연동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락시 수행부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대칭적 타입인 경우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에 상기 제1 공인 주소가 수록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 타입이 비대칭적인 경우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상기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에 상기 제2 공인 주소가 수록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 연동 시스템.
  19.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를 사용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제1 사설망 및 제2 사설망 간에 VoIP 서비스를 위한 연동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가 상기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과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연결 상태가 확인된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세션 연결 메시지-여기서 세션 연결를 메시지의 호스트 주소는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사설 주소에 매핑되는 공인 주소 정보가 수록됨-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사설 주소 및 상기 공인 주소 정보-여기서 공인 주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외부에 위치하는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함-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연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 및 제3 사설망에 위치하여 상기 응용 계층 주소 변환 서버에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이 전송하는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 및 상기 로그인된 패킷 교환형 단말 간에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세션을 제어하는 연동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설망에 위치하는 회선 교환형 단말이 미디어 변환 서버-여기서 미디어 변환 서버는 패킷 교환망과 회선 교환 망간의 미디어 변환을 수행함-를 통해 전송하는 세션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세션 연결 메시지의 호스트 주소-여기서 호스트 주소는 상기 미디어 변환 서버의 사설 주소임-를 공인 주소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설망에 위치하는 패킷 교환형 단말이 전송하는 세션 연결 메시지 및 공인 주소로 변경된 세션 연결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과 상기 회선 교환형 단말 간에 상기 VoIP 서비스를 위한 호를 설정하고 세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 주소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세션 연결 메시지에서 추출한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를 공인 주소 정보 요청 메시지의 헤더 정보로 치환하는 단계;
    헤더 정보가 치환된 상기 공인 주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공인 주소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공인 주소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공인 주소 정보 응답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공인 주소로 변환된 상기 미디어 수신을 위한 호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세션 연결 메시지를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동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 교환형 단말의 세션 접속 프로토콜 등록 요청을 수행하는 연동 방법.
KR1020070064149A 2007-06-28 2007-06-28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149A KR100900697B1 (ko) 2007-06-28 2007-06-28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149A KR100900697B1 (ko) 2007-06-28 2007-06-28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90A true KR20090002390A (ko) 2009-01-09
KR100900697B1 KR100900697B1 (ko) 2009-06-04

Family

ID=4048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149A KR100900697B1 (ko) 2007-06-28 2007-06-28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71B1 (ko) * 2012-08-16 2014-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프로토콜 시큐리티 가상 사설망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83B1 (ko) * 2002-02-05 2004-08-25 (주)다보링크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582254B1 (ko) * 2003-11-03 2006-05-23 (주)싸이웨어 사설 ip를 사용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udp패킷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552513B1 (ko) * 2003-12-17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브이오아이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7069B1 (ko) * 2005-10-27 2007-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서의 타망 연동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71B1 (ko) * 2012-08-16 2014-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프로토콜 시큐리티 가상 사설망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697B1 (ko)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39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proxy-based network translation
CA2435699C (en) Methods for discovering network address and port translators
AU20052010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processing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EP2117190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alizing network address translation passing
US8204066B2 (en) Method for predicting a port number of a NAT equipment based on results of inquiring the STUN server twice
US8244876B2 (en) Providing telephony services to terminals behind a firewall and/or a network address translator
US20130308628A1 (en) Nat traversal for voip
CN102685268B (zh) 一种VoIP中基于ICE协议的快速私网穿越方法
KR101258988B1 (ko) VoIP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패킷처리방법
US200301180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telephony connections between two address domains having overlapping address ranges
KR101368172B1 (ko) 호출자 통신 클라이언트와 피호출자 통신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세션을 셋업하는 방법과 이 통신 세션의 셋업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네트워크와 컴퓨터 프로그램
KR20110055738A (ko) 일련의 경계 게이트웨이들을 통하는 ip 멀티미디어 베어러 경로 최적화를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795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traversal of real time protocol (rtp) media
US83741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NAT traversal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ystem
KR100900697B1 (ko) 서로 다른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이종망 간에 VoIP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9440B1 (ko)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장치
KR100726185B1 (ko) 서로 다른 ip 주소를 사용하는 ip 네트워크 간 연동제공 시스템, 게이트웨이 장치, 서버 및 연동 제공 방법
Thompson et al. A Distributed IP-Based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SIP
KR100438182B1 (ko) 게이트키퍼와 nat-pt 연동을 위한 서로 상이한ip 주소 연동 방법
CN101106580B (zh) 呼叫中心实现穿越防火墙/网络地址转换的系统及方法
Kirstein et al. Integrating Voice over IP Services in IPv4 and IPv6 Networks
CN101335659A (zh) 用于建立呼叫的方法、信令控制装置、网络单元及系统
Janitor SK: Efektıvne riešenie VoIP siete pre prostredie Technickej Univer
Mellouk et al. A new methodology to adapt SIP Protocol for voice traffic transported over IP Network
KR20060075321A (ko) 사설 ip 주소를 이용한 sip기반의 영상전화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