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336A -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336A
KR20090002336A KR1020070064031A KR20070064031A KR20090002336A KR 20090002336 A KR20090002336 A KR 20090002336A KR 1020070064031 A KR1020070064031 A KR 1020070064031A KR 20070064031 A KR20070064031 A KR 20070064031A KR 20090002336 A KR20090002336 A KR 20090002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lter
grating
filter device
hole
free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수
Original Assignee
윤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수 filed Critical 윤인수
Priority to KR102007006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336A/ko
Publication of KR2009000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지천 하구에 그레이팅이나,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를 설치하여 홍수시에 떠 내려오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지천의 하구 하상에 낙차공을 설치하고, 낙차공 낙하부 상부에 입구설치부의 하상과 수평하게 그레이팅 스크린 필터장치나,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를 설치하여 홍수시 떠내려오는 각종 쓰레기를 수거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홍수, 쓰레기,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 그레이팅, 낙차공

Description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횡형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종형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직결식 종형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그레이팅 스크린 필터장치의 설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U형측구상에 설치한 그레이팅의 설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2단 낙차공에 그레이팅을 설치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2단 낙차공에 그레이팅과 트래블링 필터장치를 설치한 사시도
스크린 필터장치는 수중의 일정 크기의 비부패성 무기물 및 굵은 부유물을 제거하여 방류수역의 오염, 또는 펌프나 취수설비의 파손이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취수구에 설치 한다.
그러나 홍수시에 각종 쓰레기가 하천을 통해 호수 저수지 또는 댐에 유입되는 것은 불어난 수위와 급류로 인한 위험 때문에 그대로 방치 할수밖에 없는 현실 이다.
따라서 사후에 유입된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과 시간 노동력을 투입하는 문제가 있었다.
땅에 뭍었던 쓰레기, 방치했던 쓰레기, 야적했던 쓰레기, 벌목이나 간벌했던 나뭇가지, 가지치기한 잔목들이 집중호우에 떠 내려와 호수 저수지 또는 댐에 유입되면,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배도 제대로 운항 할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고, 시간이 흐르면 심한 악취와 각종 취수구의 시설이 마비 되거나, 생태계를 망치는 일이 허다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홍수시 불어난 수위와 급류에 떠내려 오는 각종 부유물을 지천의 하구에서 낙차공을 이용하여 하상에 그레이팅이나, 트래블링 스크린필터장치를 설치하여 물은 흘러 내리게 하고, 각종 부유물질은 그레이팅이나,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로 미리 제거하여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본래의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 될수 있도록 지천의 하구에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레이팅이나,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를 하구의 낙차공에 설치하여 홍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환경이나, 저수된 물을 활용하는 각종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 그레이팅이나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를 낙차공에 설치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한다.
도1은 하상이 토사로 되어있고, 경사가 있는 지천의 하상에 낙차공(10)을 설치하고, 낙차공(10)의 입구설치부와 접한 하상과 동일한 수평면상의 하류방향으로 낙차부 상부에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설치하는 것으로, 지천의 횡방향으로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내설한 사시도이다.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은 기어드 모타(30), 스프로켓트 휠(40),(41), 샤프트(50), 브라켓트(70), 베어링(80), 이송체인에 결착된 절곡 스크린(60), 동력 체인(90)으로 구성된다. (100)은 수거판 이다.
우기 홍수시에는 상류로부터 많은량의 각종 부유물이 떠 내려온다. 이때에 홍수는 낙차공(10) 아래로 떨어져 흐르게 되며, 떠 내려오는 각종 부유물은 스크린 필터장치에 걸려 수거된다. 부유물이 계속하여 스크린 필터장치에 걸리면, 기어드 모타(30)을 가동하여 동력체인(90)으로 스프로케트 휠(40)을 가동하며, 회전하는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은 걸린 부유물을 수거판(100)에 낙하 시키고, 계속 회전운동을 하며 수거작업을 하게 된다.
도2는 낙차공(10)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복수대 내장한 사시도이다.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의 설치 방법이 종방향이든 횡방향이든 상기와 같이 부유물을 수거하는 메카니즘은 동일하다.
도3은 낙차공(10)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복수대 내장하고 기어드 모타를 샤프트에 직결한 기계실(110)을 설치한 경우의 사시 도이다.
이상의 경우는 부유물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방법이다.
도4는 지천 하상 경사도가 비교적 작은 장소에 설치한 낙차공(10)의 상류측 하상과 수평하게 설치한 그레이팅(200)의 설치 단면도이다.
복수개의 써포트(240)위에 복수개의 종빔(230), 복수개의 횡빔(220)을 결착하고, 그 위에 형강으로 된 좌대(210)을 장치하고, 좌대(210)에 그레이팅(200)을 장착하고, 나착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는 그레이팅(200)에 걸린 부유물을 작업원이 직접 수거하는 방법으로, 그레이팅(200)의 상류부에서는 홍수에 떠 내려오던 부유물이 갑자기 물은 중력으로 밑으로 낙하하는 한편 부유물은 관성으로 앞으로 밀려나가 그레이팅(200)에 걸리게 되며, 작업원이 수거한다.
도5는 완만한 경사지에 낙차공(10)을 설치한 단면도이다. 낙차공 (10) 내부에 복수개의 U형측구(300)을 부설하고, 그 위에 형강으로 된 좌대(210)을 장치하고, 좌대(210)에 그레이팅(200)을 장착하고, 나착하여 고정한다.
가장 기초적인 스크린 필터장치로 낙차가 적고 지천의 폭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 적합 하다.
도6은 2개의 낙차공(10)을 서로 연결 설치하여 하나로 기능하게한 것으로,상류측 낙차공에는 복수개의 U형 측구(300)을 내설하고 그 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하류측 낙차공에는 써포트(240)위에 복수개의 종빔(230)과 복수개의 횡빔(220)을, 횡빔(220)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장치하고 고정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는 하상이 암석으로 되어 있고, 경사가 심하여 암석이 흘러 내릴때 적합하다.
그레이팅(200)을 주물로 제작하여 내충격성을 크게 하면, 암석류가 유하 되어도 그레이팅(200)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며, 부유물이 계속 흘러내려 그레이팅(200)의 기능을 마비 시켜도, 후방에 있는 그레이팅(200)이 계속하여 부유물을 걸러내며 기능하게 된다.
도7은 2개의 낙차공(10)을 서로 연결 설치하여 하나로 기능하게 하고, 상류측 낙차공에는 복수개의 U형 측구(300)을 내설하고 그 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그리고 중류측 낙차공에는 써포트(240)위에 복수개의 종빔(230)과 복수개의 횡빔(220)을, 횡빔(220)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장치하여 고정하고, 하류측 낙차공에는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설치한 사시도 이다.
이 경우도 도6과 같이 하상이 암석으로 되어 있고 경사가 심한 경우, 부유물을 자동으로 수거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홍수시 맹렬한 기세로 흘러내리는 홍수와 함께 떠 내려오는 암석류와 부유물이 일차적으로 그레이팅(200)을 통해 U형측구로 홍수 일부가 빠지면, 수격력은 감소되어 암석류는 일차적으로 걸러지며,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은 우선 보호를 받게 된다. 시간이 흐르며 부유물이 그레이팅(200)에 계속하여 걸려 미쳐 작업원이 수거작업을 못하게 되면, 그레이팅(200)은 거의 폐쇄되고, 부유물이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에 이르면 기어드 모타(30)을 가동하여 자동으로 부유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레이팅(200)이나,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의 설치각도는 수평이나, 약간 의 양각 또는 음각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어느 지역에 집중 호우가 내리면, 우선 빗물은 하천으로 흘러 들게 되고, 동시에 동일수계내의 비점오염원으로부터 각종 부유물질을 쓸어내려 하천으로 흘러 내리게 되며, 호수 저수지 또는 댐에 각종 쓰레기로 오염 시킨다.
따라서 하구에 낙차공(10)을 설치하고, 낙차공(10)에 그레이팅(200) 스크린 필터장치나, 또는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이나, 또는 그레이팅(200) 스크린 필터와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를 직렬로 설치한다.
홍수 초기에 떠내려오는 부유물질을 그레이팅(200) 스크린 필터장치에서 홍수에 밀려, 부유물질은 앞으로 밀려나 우선 제거할수 있게 되고, 홍수는 바로 밑으로 낙하되어 흘러간다. 강우 초기에는 대부분의 부유물질을 수작업으로 제거 할수 있다.
홍수가 계속되고, 부유물질의 양이 증가되면, 그레이팅(200) 스크린 필터장치는 필연적으로 폐쇄되고, 홍수는 그레이팅(200) 스크린 필터장치를 그대로 통과하여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에 이르면, 기아드 모타(30)을 가동시켜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순환주행 시킨다. 이때 상류쪽에서 하류쪽으로 순환주행되는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은 상류쪽에서 홍수를 낙차공(10)의 낙하부로 낙하시켜 정수지를 통해 유하 시키고,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에 걸러진 부유물질은 하류쪽에 위치한 수거판(100)에 낙하시켜 제거한다.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나 고정식 그레이팅 필터장치의 설치각도는 하천의 종방향으로 수평,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현장 사정을 감안하여 정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각종 쓰레기를 호수 저수지 또는 댐에 유입되기 전에 수거 할수있게 함으로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쓰레기 수거비용 절감, 수질환경 개선과 이를 활용하는 각종 취수구 보호 및 당해 시설운영에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상에 낙차공(10)을 설치하고, 낙차공(10)의 입구설치부에 접한 하상과 동일한 수평면상의 하류방향으로 낙차부 상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수평이나 양각 또는 음각으로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은 기어드 모타(30)을 동력체인(90)으로 스프로켓트 휠(40)에 연결 하거나, 샤후트(50)에 직결하는 방법으로 구동하며,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하되, 기어드 모타(30), 스프로켓트 휠(40),(41), 샤프트(50), 브라켓트(70), 베어링(80), 이송체인에 결착된 절곡 스크린(60), 동력 체인(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3. 하천에 낙차공(10)을 설치하고, 입구설치부에 접한 하상 바닥면과 수평하게 낙차부 상부에 복수개의 써포트(240)위에 복수개의 종빔(230), 복수개의 횡빔(220)을 결착하고, 그 위에 형강으로 된 좌대(210)을 장치하고, 좌대(210)에 그레이팅(200)을 장착하고, 나착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4. 하천의 하상에 낙차공(10)을 설치하고, 낙차공 (10)내부 입구설치부에 접한 바닥면과 수평하게 복수개의 U형측구(300)을 부설하고, 그 위에 형강으로된 좌대(210)을 장치하고, 좌대(210)에 그레이팅(200)을 장착하고 나착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5. 하천의 하상에 2개의 낙차공(10)을 서로 연결 설치하여 하나로 기능하게 하고, 상류측 낙차공(10)에는 복수개의 U형 측구(300)을 내설하고, 그 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하류측 낙차공에는 써포트(240)위에 복수개의 종빔(230)과 복수개의 횡빔(220)을, 횡빔(220)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상류측 그레이팅와 수평하게 나란히 장치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6. 하천의 하상에 2개의 낙차공(10)을 서로 연결 설치하여 하나로 기능하게 하고, 상류측 낙차공에는 입구설치부에 접한 하상 바닥면과 수평하게 복수개의 U형 측구(300)을 내설하고, 그 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그리고 중류측 낙차공에는 써포트(240)위에 복수개의 종빔(230)과 복수개의 횡빔(220)을, 횡빔(220)위에 좌대(210)과 그레이팅(200)을 상류측 그레이팅과 수평하게 장치하여 고정하고, 하류측 낙차공에는 트래블링 스크린 필터장치(20)을 역시 상류측 그레이팅(200)과 수평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7. 제3항~제6항에 있어서, 그레이팅(200)은 주철, 주강 또는 스틸로 만들어지고, 스틸제는 아연도 도금 한것, 그리고 설치각도는 하천의 종방향으로 수평, 양각 또는 음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KR1020070064031A 2007-06-28 2007-06-28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KR20090002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031A KR20090002336A (ko) 2007-06-28 2007-06-28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031A KR20090002336A (ko) 2007-06-28 2007-06-28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36A true KR20090002336A (ko) 2009-01-09

Family

ID=4048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031A KR20090002336A (ko) 2007-06-28 2007-06-28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3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34B1 (ko) * 2011-06-03 2013-07-05 류광열 스틸 그레이팅
CN109868799A (zh) * 2019-04-03 2019-06-11 天津市水利科学研究院 一种具有过滤拦截功能的河道用闸门
CN113373873A (zh) * 2021-06-09 2021-09-10 李树山 一种用于水利水电工程的引水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34B1 (ko) * 2011-06-03 2013-07-05 류광열 스틸 그레이팅
CN109868799A (zh) * 2019-04-03 2019-06-11 天津市水利科学研究院 一种具有过滤拦截功能的河道用闸门
CN109868799B (zh) * 2019-04-03 2024-02-23 天津市水利科学研究院 一种具有过滤拦截功能的河道用闸门
CN113373873A (zh) * 2021-06-09 2021-09-10 李树山 一种用于水利水电工程的引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751A (en)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US8034236B1 (en) Storm water filter system having a floating skimmer apparatus
KR100673985B1 (ko) 소하천의 교량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KR20090103216A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0673986B1 (ko) 하천의 부유쓰레기 포집 기능이 있는 수중보
CN109763400B (zh) 具有应急排水功能的园林道路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50071697A (ko) 점오염원과 비정오염원에서 유입되는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과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여기에 적용되는 빗물 저장고
CN108643325B (zh) 一种市政排水系统
KR20090002336A (ko) 하상 스크린 필터장치
KR101794162B1 (ko) 부유물 수집부가 구비된 부유물 거름 시설
JPH09209434A (ja) 越流雨水の除塵装置
KR100576147B1 (ko)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19548B1 (ko) 하천 퇴적물 제거시설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20030007256A (ko)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20160060012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JP4641670B2 (ja) 水浄化構造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20150088213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과 각종 쓰레기들과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주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여기에 적용되는 빗물 저장고
JP2007224682A (ja) 水力発電所用給水設備及びこの設備の水槽内に配置された塵芥捕捉スクリーンからの除塵方法
KR101345769B1 (ko) 저류조 시스템
CN207121973U (zh) 一种城市防洪排水自动集污装置
KR101365038B1 (ko)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JP2011226108A (ja) 水流エネルギー利用水位追随型流水中浮遊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