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306A -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306A
KR20090002306A KR1020070063337A KR20070063337A KR20090002306A KR 20090002306 A KR20090002306 A KR 20090002306A KR 1020070063337 A KR1020070063337 A KR 1020070063337A KR 20070063337 A KR20070063337 A KR 20070063337A KR 20090002306 A KR20090002306 A KR 20090002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user client
server
web server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성
정호열
Original Assignee
(주) 지비테크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비테크,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지비테크
Priority to KR102007006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306A/ko
Publication of KR2009000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된 웹서버에 로그인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으로 제공받고 전용 재생기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이 소정 프레임 주기 단위로 교체 삽입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출력하는 유저 클라이언트; 유저 클라이언트의 접속에 의하여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심리 테스트를 하며 전용 재생기를 제공하고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감시하는 웹서버;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유저 클라이언트의 신상정보와 심리 테스트 결과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저장 등록하고 검색에 의하여 제공하는 디비 서버; 및 웹서버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트림 서버; 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며 스트리밍이거나 다운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사용자의 심리상태와 성향에 의한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지속적이고 저렴하게 심리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웹서버, 스트림, 다운로드, 잠재의식, 집중도, 심리치료

Description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OF EFFICIENTLY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TO USER CLIENT WITH SUBCONSCIO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유저 클라이언트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하여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에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는 개념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방법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을 위한 신규회원 루틴 처리 방법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저 클라이언트 110 : 통신망
120 : 웹서버 130 : 디비 서버
140 : 스트림서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잠재의식으로 집중 상태가 유도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인간의 잠재의식이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시켜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잠재의식에 의한 집중도를 유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상대방과의 의사전달에 사용하는 매체(MEDIA)는 시각적인 것으로 글자, 문장(TEXT), 그림, 형상 등을 이용하고 청각적인 것으로 소리, 언어, 음악 등을 이용하며, 감각적인 것으로 스킨쉽, 감촉, 냄새, 맛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매체가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멀티미디어(MULTIMEDIA)라 하고, 현재 통신방식에서의 멀티미디어는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는 동영상(VIDEO 또는 MOVIE)을 의미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CONTENTS)라고도 한다.
이러한 매체는 그 특성에 의하여 실시간 전달되고 없어지는 형태와 장시간 보관되어 필요한 시점에 반복 확인할 수 있는 형태가 있다.
가까이 위치하는 상대방에게는 매체를 직접 전달하지만, 멀리 위치하거나 보 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경우는 주변 환경의 영향에 의하여 통신내용의 전달 오류가 발생하므로, 먼 거리에 위치하는 상대방에게 오류 없이 정확한 내용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통신방법이 개발 발전되고 있다. 과거의 원거리 통신방식에는 문자가 기록된 매체를 비둘기 등의 동물을 이용하여 전달하거나, 연기와 불빛을 이용하여 전달하거나 직접 사람이 전달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였다.
통신방식에는 일대일(POINT TO POINT)로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과 일대다(POINT TO MULTIPOINT)로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통신내용을 실시간(REALTIME) 전달하는 방식과 일정한 영역에 저장하였다가 상대방이 필요한 시간에 확인하도록 하는 비실시간(NON-REALTIME) 전달방식이 있으며, 유선과 무선의 통신수단이 있고, 각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비교적 비싼 통신요금이 이용자에게 부과된다.
인간의 의사전달에 사용되는 시각, 청각, 감각 중에서 시각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동시에 대량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전달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색상이 포함되는 경우 매우 다양하며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붉은색 계통의 색상(COLOUR)을 보면 심장의 박동이 빨라지고 아드레날린의 분비가 촉진되며, 초록색 계통의 색상은 침착하고 평온한 마음이 들도록 하는 잠재의식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정한 모양이나 형상의 그림을 보는 경우, 과거 경험 또는 잠재의식에 의하여 연상되는 것이 있으며, 관심을 집중하거나 위축되어 긴장하거나 마음을 편안해 하는 등의 잠재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과거에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신목적으로만 사용하였으나, 현재에는 교육, 심리치료 등과 같이 응용(APPLICATION) 분야가 다양해지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교육 또는 심리치료로 활용하는 경우,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관심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사용자의 집중을 유도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으로, 특히 소정 색상이나 그림에 의한 요소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정한 프레임 단위 마다 교체 삽입하여 시청하는 사용자가 모르는 상태에서 집중되도록 유도하여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정한 프레임 단위마다 교체 삽입되는 요소 메시지에 의하여 사용자를 집중상태로 유도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일정한 프레임 단위마다 색상 및 영상에 의한 요소 메시지 프레임으로 교체하므로, 사용자가 집중하거나 편안한 감정을 느끼는 잠재의식이 발생되도록 유도하여 교육 또는 심리치료의 효율을 높이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제공되는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다운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정한 프레임 단위마다 색상 및 영상에 의한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므로, 사용자의 성향과 심리상태에 의한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가입된 웹서버에 로그인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으로 제공받고 전용 재생기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이 소정 프레임 주기 단위로 교체 삽입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출력하는 유저 클라이언트; 유저 클라이언트의 접속에 의하여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심리 테스트를 하며 전용 재생기를 제공하고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감시하는 웹서버;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유저 클라이언트의 신상정보와 심리 테스트 결과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저장 등록하고 검색에 의하여 제공하는 디비 서버; 및 웹서버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트림 서버; 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유저 클라이 언트, 웹서버, 디비 서버, 스트림 서버, 통신망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웹서버는 유저 클라이언트가 로그인하면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하고 등록 회원이 아닌 경우는 신규회원 루틴 처리하며 등록된 회원이면 접속을 허용하는 과정; 접속이 허용된 유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웹서버에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웹서버는 디비 서버로부터 심리정보가 포함되는 유저 정보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스트림 서버에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 스트림 서버는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신망을 통하여 유저 클라이언트에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하고 유저 클라이언트는 디코딩 후에 전용 재생기로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 및 재생하며 재생이 완료되고 테스트 하는 경우는 심리 테스트하여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하고 종료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효과적인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기능 구성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유저 클라이언트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하여 디코딩 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에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는 개념 설명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방법 순서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을 위한 신규회원 루틴 처리 방법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고, 잘 알려져 있는 기술 내용에 대하여서는 도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을 설명하면, 통신기능이 구비되는 컴퓨터(PC), PDA, 데이터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고,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이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출력하는 유저 클라이언트(100), 인터넷과 공중통신망이 포함되어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통신망(110);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된 유저 클라이언트의 로그인에 의하여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등록된 요소 메시지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120); 웹서버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의 로그인을 위한 신상정보와 심리테스트 결과 정보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기록 및 등록하는 디비서버(130);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 방식으로 제공하는 스트림서버(140)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웹서버는 유저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된 스트림 서버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으로 제공받지 못하거나 스트림 서버가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스트림 서버로부터 스트림 방식으로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고 유저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유저 클라이언트(100)의 세부 기능 구성을 설명하면, 통신망(110)을 통하여 웹서버(120)와 스트림 서버(140)에 접속하고 로그인과 심리테스트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스트림과 다운로드로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통신부를 통하여 웹서버와 접속하고 로그인과 심리 테스트를 진행되도록 하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STREAM)이거나 다운로드(DOWNLOAD)로 제공받도록 감시하는 제어부(120);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프레임을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메모리부(130);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음성신호와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로 디코딩하는 코덱부(140);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코덱부가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영상신호의 소정 주기 프레임과 메모리부가 제공하고 잠재의식 유도하는 요소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여 재생하는 재생부(150); 재생부가 디코딩된 영상신호로부터 소정 프레임 주기 단위로 요소 프레임과 교체 삽입한 멀티미디어 영상신호를 잠시 저장하는 버퍼부(160);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호를 스트림 방식으로 수신하는 스트림부(170);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 부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호를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하는 다운로드부(180); 및 제어부에 접속하고 로그인과 심리 테스트 정보를 입력하며 전용 재생기로 재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90); 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학교의 수업만으로는 학습효과가 원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므로 보충수업을 하거나 학원의 수업을 받거나 자습용 부교재를 구입하여 집에서 혼자 독학으로 보충하거나 TV 또는 라디오를 통하여 방송되는 교과과정을 이용한다.
그러나 학원 등을 이용하는 보충학습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집에서 혼자 하는 방법은 지속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TV 또는 라디오를 이용하는 방법은 학습효과가 기대치를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습방법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집중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므로 집중도만 높이면 학습효과는 높아지게 된다.
또한, 피로를 풀거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 명상을 하거나 그림을 보거나 또는 선호하는 동영상 등을 감상한다. 심리치료의 경우에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며 일예로, 전문가로부터 심리치료를 받은 후에 추천하는 그림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혼자 심리치료를 반복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집중도를 높이는 경우 치료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사람은 심리상태나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선호하거나 집중되거나 싫어하는 등의 색체, 그림 등이 다르게 되고, 또한, 특정한 색체, 그림 등을 보는 경우, 기분이 좋아지거나 긴장상태가 되거나 두려운 기분을 느끼는 상태 등이 된다.
색상 또는 그림 등에 의하여 사람의 심리상태가 변화하는 것은 잠재의식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것이고,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교육적 효과를 보는 것에는 일예로, 공부방 또는 자녀의 방에 파란색의 벽지로 도배하여 집중력을 높이고, 학교나 병원 등에는 파란색의 도색을 많이 사용하거나 의사나 간호사의 의복 색상 등으로 이용하여 집중력을 높이는 동시에 편안한 기분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사람의 잠재의식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음악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일예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교육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집중력을 높이도록 하여야 하고, 영화와 같이 동영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장르나 장면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의미에 따라 조금 복잡해 질 수 있으나 매 순간순간의 감정과 기분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
즉, 영화의 경우 장면과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긴박감, 평화스런 분위기, 공포스러운 분위기 등의 기분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소리나 음향을 부가적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그림이나 동영상이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이용하여 심리적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리나 음향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주위의 타인 또는 환경에 영향을 주므로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고 주변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이다.
극장에서 상영하는 영화의 경우 초당 24 프레임의 정지된 영상을 투영하고, TV 등에서는 초당 30 프레임의 정지된 영상을 투영한다. 인간의 눈은 1초에 10회 이상 움직이는 것을 구별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연속된 정지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투영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느끼게 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초당 30 프레임의 정지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통신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된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느끼지 못하는 상태에서 잠재의식과 같이 느끼도록 특정 순서의 정지영상 프레임에 특정한 색상의 프레임 또는 특정한 그림이나 도형이 포함된 프레임으로 교체 삽입하여 집중력을 높이거나 편안한 마음의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므로, 교육용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경우에는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심리치료용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경우에는 치료의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심리적으로 우울한 사람들을 치료하거나, 성격이 불같이 급한 사람의 성격을 유순하게 완화시켜주는 치료를 하기 위하여서는 심리의학 전문가와 상담을 거치고, 그 결과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해당 그림 또는 색상의 프로그램을 삽입시켜 시청하게 하는 경우 심리적인 안정과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특히, 가정이나 회사 등지에서 간단하게 거의 매일 치료할 수 있으므로 그 효과를 매우 크게 하고, 주기적으로 전문의를 방문하여 상태를 체크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경우 그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교육용 또는 심리치료용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경우, 색체심리와 미술을 이용한 심리치료를 이용하여 집중도를 높이는 색상 및 영상의 프레임을 해당 교육용 또는 심리치료용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일정한 프레임 주기 단위로 교체 삽입하므로 교육 및 심리치료의 효과를 높이게 된다.
통신수단을 통하여 전송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콘텐츠의 경우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다운로드(DOWNLOAD) 방식으로 전송한다. 스트리밍 방식은 수신측에서 일부가 수신되는 즉시 재생하는 방식이고, 다운로드 방식은 수신측에서 전체 파일을 모두 수신한 후에 재생하는 방식이다. 통신선로의 데이터 전송상태가 좋은 경우는 스트리밍 방식이 좋으며, 통신선로의 데이터 전송상태가 나쁜 경우는 다운로드 방식이 데이터 전송오류를 줄이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효과적인 전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저 클라이언트(USER CLIENT)(100)는 컴퓨터(PC 또는 노트북), PDA, 데이터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통신망(110)을 통하여 웹서버(120)에 접속한다. 웹서버(120)는 디비 서버(130)에 접속하여 유저 클라이언트(100)의 신상정보와 심리 테스트의 결과 정보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 정보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서버(140)를 제어하고 감시하여 유저 클라이언트에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하며, 통신망(110)은 인터넷(INTERNET)과 유선 또는 무선의 공중통신망이 포함된다.
유저 클라이언트(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코덱부(140), 재생부(150), 버퍼부(160), 스트림부(170), 다운로드부(180), 입출력부(19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유저 클라이언트(100)의 이용자가 입출력부(190)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웹서버와 접속하고자 로그인(LOGIN)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1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통신부(110)가 통신망(110)을 통하여 웹서버(WEB SERVER)(120)에 접속한다.
웹서버(120)는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회원인지를 확인하고 등록된 회원인 경우에는 접속을 허용하며, 등록되지 않은 회원인 경우에는 신규회원 등록을 요청한다. 신규회원 등록에는 유저 클라이언트(100)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소정 양식으로 입력하고, 사용자의 심리 테스트를 소정 방식으로 진행하며, 입력된 신상정보와 심리테스트 결과는 웹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디비 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므로 등록된다.
웹서버(120)와의 접속이 허용된 유저 클라이언트(100)는 교육용 또는 심리치료용 등의 목적에 의하여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을 요청하고, 웹서버(120)는 디비 서버(130)를 검색하여 유저 클라이언트(100)의 심리테스트 결과에 의하여 지정 할당된 것으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색상 또는 그림 등의 요소 메시지 프레임 정보를 검색하며 유저 클라이언트(100)에 제공한다. 또한, 스트림 서버(140)를 제어하여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저 클라이언트(100)에 스트림 방식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웹서버(120)는 스트림 서버(140)를 감시하여 통신망(110) 또는 유저 클라이언트(100)의 문제로 인하여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하지 못 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트림 서버(140)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기록하고, 다운로드 방식으로 유저 클라이언트(100)에 제공한다.
유저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공받은 요소 메시지 프레임 정보와 스트림 제공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스트림부(170)에 제공하여 스트림 방식으로 수신 및 복조 처리하고, 메모리부(130)에 인가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 이때 제어부(120)에 의하여 스트림부(170)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호를 스트림 방식으로 복조 처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호를 다운로드부(180)에 인가하여 다운로드 방식으로 복조 처리하며 메모리부(130)에 인가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30)에 기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코덱부(140)에 제공하여 디코딩(DECODING) 처리하므로 음성신호와 프레임(FRAME) 단위의 영상신호로 구분 및 분류한다. 제어부(120)는 코덱부(140)가 디코딩한 음성신호와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 및 메모리부(130)에 기록된 요소 메시지 프레임 신호를 재생부(150)에 제공한다.
재생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시에 설정된 소정의 프레임 주기 단위마다 요소 메시지 프레임 신호를 교체 삽입하는 전용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기이다.
재생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코덱부(140)가 디코딩한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를 설정된 주기의 프레임 단위마다 메모리부(130)로부터 제공된 요 소 프레임으로 교체 삽입하는 가공을 한 번 더 진행하고 버퍼부(160)에 일시 저장한다. 요소 메시지 프레임은 교육의 효과를 높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색상 또는 그림 등이 되며, 설정된 주기의 프레임 단위는 일예로, 30 프레임을 주기로 요소 메시지 프레임과 교체 삽입되도록 설정하고, 교육이나 심리치료의 효과 또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서는 더 짧은 프레임 주기로 임의 조정할 수 있고, 유저 클라이언트(100)가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는 더 긴 프레임 주기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150)는 입출력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에 의하여 재생(PLAY), 정지(STOP), 일시정지(PAUSE), 감기(REWIND), 전진(FORWARD)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즉, 재생부(150)는 유저 클라이언트(100)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시각적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주기의 프레임 단위에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여 교육에서의 집중도 및 심리치료에서의 편안한 느낌이 들도록 하며, 유저 클라이언트의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민감한 경우는 요소 프레임이 교체 삽입되는 주기 프레임은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프레임 단위 영상신호를 재생부에서 설정된 소정 프레임 주기 단위마다 해당 프레임을 삭제하고, 요소 메시지 프레임으로 교체 삽입하는 상태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버퍼부(160)에 임시 기록된 것으로, 재생부(150)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프레임 주기 마다 요소 메시지 프레임이 교체 삽입된 교육용 또는 심리치료용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재생부에서 재생되고 입출력부에 제공되며, 입출력부는 오디오 기능부에 의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비디오 기능부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므로 재생한다.
유저 클라이언트(100)는 요청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학습하거나 심리치료를 받으면서, 시각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상태로 출력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에 의하여 잠재의식이 유도되므로, 집중상태가 유지되거나 심리적인 치료를 받는다.
제어부(12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 교육의 효과 또는 심리치료의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계속되는 교육이나 심리치료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저 클라이언트(100)를 심리 테스트 할 것인지 확인하고, 심리 테스트 하는 경우는 웹서버(120)와 연계하여 심리 테스트를 진행하므로 교육 또는 심리치료의 결과를 테스트(TEST) 한다. 심리 테스트의 결과에 의하여 사용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의 색상 또는 그림을 그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효과가 낮은 것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심리 테스트의 결과는 웹서버(120)에 의하여 디비 서버(130)에 기록되고 등록되어 다음 단계의 교육 또는 심리치료에 반영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유저 클라이언트의 성향 및 심리상태를 색체심리와 미술을 이용한 심리치료 등에 적용해 적합한 색상 및 그림(IMAGE)을 이용하여 교육의 집중도를 높이거나 심리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즉,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교육용인 경우에 집중력을 최대한 높이어 효과적인 학습이 되도록 하고, 심리치료의 경우는 신상정보에 의한 유저 클라이언트의 취향 및 심리적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교체 삽입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대 사회에서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사소한 스트레스로부터 심각한 심리적 요인에 의한 문제를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로부터 상답을 받고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심리치료를 받거나 온라인 상담 및 심리치료 후의 테스트 결과물에 의하여 치료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방법을 설명하면, 웹서버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하고 신규회원이면 루틴에 의하여 등록 처리하며 등록된 회원이면 접속을 허용하는 과정; 유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하여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유저 정보에 의하여 검색된 것으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유저 클라이언트의 전용 재생기에 의하여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영상신호에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일정한 프레임 주기로 교체 삽입하고 재생하며 심리테스트를 하는 경우는 테스트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요청과정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웹서버에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과정; 웹서버에 의하여 디비 서버에 접속하고 유저 클라이언트의 심리정보가 포함되는 유저 정보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검색하여 유저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과정; 웹서버는 스트림 서버에 접속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서버는 스트림 서버가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저 클라이언트에 스트림 방식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트림 서버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고 유저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료과정은 스트림 서버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하는 과정; 유저 클라이언트는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코딩하고 전용 재생기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여 재생하는 과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재생을 계속하는 과정; 재생이 완료되면 심리테스트를 진행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 심리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는 웹서버와 접속하여 심리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 웹서버에 의하여 심리테스트의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트림 서버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저 클라이언트에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웹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을 위한 신규회원 루틴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유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의 신상정보와 로그인 정보를 웹서버에 입력하는 과정; 웹서버는 유저 클라이언트 이용자의 심리 테스트를 설정된 소정 방식으로 진행하는 과정; 웹서버에 의하여 입력된 신상정보와 심리 테스트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 및 등록하는 과정; 신규 등록된 유저 클라이언트에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교체 삽입할 전용 재생기를 제공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웹서버에 로그인하여 접속을 요청하고(S100), 웹서버는 로그인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회원인지를 확인한다(S110). 이러한 확인에서 등록회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신규회원 등록 루틴으로 진행하여 회원등록 하도록 한다(S120).
웹서버에 의하여 로그인된 유저 클라이언트가 등록된 회원으로 확인되면 접속을 허락하는 메시지를 유저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접속을 허락받은 유저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요청한다(S130).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교육용이거나 심리치료용이 된다.
웹서버는 디비 서버를 검색하여 로그인된 유저 클라이언트의 취향 및 심리상 태 정보가 포함되는 유저의 신상정보를 검색하고 해당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 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S140).
또한 웹서버는 스트림 서버를 제어하여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저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도록 요청하고(S150), 스트림 서버는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저 클라이언트에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한다(S160).
이때 웹서버는 스트림 서버가 여러 가지 원인, 일예로, 통신망의 환경 악화, 유저 클라이언트의 스트림 처리 불가 등의 원인에 의하여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 전송할 수 없는 경우로 확인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일시 저장한 후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유저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다운로드 방식은 이동 상태에서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망의 환경에서 많이 발생된다.
유저 클라이언트는 스트림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 정보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복조하며 디코딩처리에 의하여 음성신호와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로 분류하고, 전용의 재생기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소정 주기 단위 프레임을 요소 메시지 프레임으로 교체 삽입한다. 요소 메시지 프레임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요소 메시지 프레임이 교체 삽입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재생되어 교육용 또는 심리치료용 등으로 활용된다(S170).
유저 클라이언트는 교육용 또는 심리치료용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S180), 재생이 완료되었으면 교육의 결과 또는 심리치료의 결과를 테스트 할 것인지 확인한다(S190). 테스트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유저 클 라이언트는 웹서버와 연계하여 교육 또는 심리치료의 결과 테스트를 진행하고(S200), 테스트의 결과는 웹서버에 의하여 디비 서버에 기록되어 등록되므로 다음 순서의 교육 또는 심리치료에 반영되는 자료로 사용된다(S210).
또한, 신규회원 등록 루틴은, 웹서버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고(S121), 소정의 심리 테스트를 진행하며(S122), 입력된 신상정보와 심리 테스트의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하므로 회원으로 등록한다(S123).
유저 클라이언트를 신규회원으로 등록한 웹서버는 전용의 멀티미디어 재생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루틴을 종료하며 회원등록의 확인단계로 복귀한다(S124).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스트리밍 되거나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집, 학교, 사무실, 이동 중에도 교육이나 심리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일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교육용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집중력을 높이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므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므로 교육의 효과를 높이어 별도의 과외수업을 받지 않고도 학력을 높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교체 삽입하는 프레임 주기가 가감 조정되도록 하므로 유저 클라이언트가 느끼지 못하는 상태에서 교육의 집중도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리밍이거나 다운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사용자의 심리상태와 성향에 의한 잠재의식을 유도하여 지속적이고 저렴하게 심리치료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가입된 웹서버에 로그인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으로 제공받고 전용 재생기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이 소정 프레임 주기 단위로 교체 삽입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출력하는 유저 클라이언트;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의 접속에 의하여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의 심리 테스트를 하며 전용 재생기를 제공하고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감시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유저 클라이언트의 신상정보와 심리 테스트 결과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저장 등록하고 검색에 의하여 제공하는 디비 서버; 및
    상기 웹서버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트림 서버;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와 웹서버와 스트림 서버와 디비 서버를 접속하고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정보를 전송하며 인터넷과 공중통신망이 포함되는 통신망; 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된 스트림 서버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으로 제공받지 못하거나 스트림 서버가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스트림 서버로부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고 유저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서버와 스트림서버에 접속하고 로그인과 심리테스트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스트림과 다운로드로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웹서버와 접속하고 로그인과 심리 테스트와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이거나 다운로드로 제공받도록 감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프레임 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음성신호와 프레임 단위의 영상신호로 디코딩하는 코덱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코덱부가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영상신호의 소 정 주기 프레임과 메모리부가 제공하고 잠재의식 유도하는 요소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여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가 디코딩된 영상신호로부터 소정 프레임 주기 단위로 요소 프레임과 교체 삽입한 멀티미디어 영상신호를 잠시 저장하는 버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호를 스트림 방식으로 수신하는 스트림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호를 다운로드 방식으로 수신하는 다운로드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로그인과 심리 테스트 정보를 입력하며 전용 재생기로 재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5. 유저 클라이언트, 웹서버, 디비 서버, 스트림 서버, 통신망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유저 클라이언트가 로그인하면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하고 등록 회원이 아닌 경우는 신규회원 루틴 처리하며 등록된 회원이면 접속을 허용하는 과정;
    상기 접속이 허용된 유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웹서버에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고 웹서버는 디비 서버로부터 심리정보가 포 함되는 유저 정보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스트림 서버에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스트림 서버는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신망을 통하여 유저 클라이언트에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하고 유저 클라이언트는 디코딩 후에 전용 재생기로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 및 재생하며 재생이 완료되고 테스트 하는 경우는 심리 테스트하여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하고 종료하는 과정;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회원 루틴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의 신상정보와 로그인 정보를 웹서버에 입력하는 과정;
    상기 웹서버는 유저 클라이언트 이용자의 심리 테스트를 설정된 소정 방식으로 진행하는 과정;
    상기 웹서버에 의하여 입력된 신상정보와 심리 테스트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 및 등록하는 과정;
    상기 신규 등록된 유저 클라이언트에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교체 삽입할 전용 재생기를 제공하는 과정;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과정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에 의하여 웹서버에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웹서버에 의하여 디비 서버에 접속하고 유저 클라이언트의 심리정보가 포함되는 유저 정보와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정보를 검색하여 유저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웹서버는 스트림 서버에 접속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교육이거나 심리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과정;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스트림 서버가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저 클라이언트에 스트림 방식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트림 서버로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고 유저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과정은,
    상기 스트림 서버에 의하여 유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는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코딩하고 전용 재생기로 잠재의식을 유도하는 요소 메시지 프레임을 교체 삽입하여 재생하는 과정;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될 때까지 재생을 계속하는 과정;
    상기 재생이 완료되면 심리테스트를 진행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심리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는 웹서버와 접속하여 심리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
    상기 웹서버에 의하여 심리테스트의 결과를 디비 서버에 저장하는 과정; 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서버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저 클라이언트에 스트림 방식으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웹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방법.
KR1020070063337A 2007-06-26 2007-06-26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2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37A KR20090002306A (ko) 2007-06-26 2007-06-26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37A KR20090002306A (ko) 2007-06-26 2007-06-26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06A true KR20090002306A (ko) 2009-01-09

Family

ID=4048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37A KR20090002306A (ko) 2007-06-26 2007-06-26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3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1305A2 (en) * 2009-07-20 2011-01-27 Sacred Agent, Inc. 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viding user-specific psychoactive content
US9524703B2 (en) 2014-06-10 2016-12-2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 bioeffect image
US9846955B2 (en) 2014-07-08 2017-12-1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that induces eye blinking of us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990722B2 (en) 2014-05-12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 bioeffect im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1305A2 (en) * 2009-07-20 2011-01-27 Sacred Agent, Inc. 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viding user-specific psychoactive content
WO2011011305A3 (en) * 2009-07-20 2011-04-14 Sacred Agent, Inc. 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viding user-specific psychoactive content
US9990722B2 (en) 2014-05-12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 bioeffect image
US9524703B2 (en) 2014-06-10 2016-12-20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 bioeffect image
US9846955B2 (en) 2014-07-08 2017-12-1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 that induces eye blinking of us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mbard et al.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Udo et al. The rogue poster-children of universal design: Closed captioning and audio description
Alper Digital youth with disabilities
Stern et al. Sexuality and mass media: The historical context of psychology's reaction to sexuality on the Internet
Lancioni et al. A microswitch for vocalization responses to foster environmental control in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KR20060123074A (ko) 콘텐트 정보의 사용자 프로파일 제어 렌더링
Fryer et al. Audio drama and the imagination
Ten Brug et al. Making a difference? A comparison between multi‐sensory and regular storytelling for persons with profound intellect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Frediani et al. What novice family therapists experience during a session… A qualitative study of novice therapists' inner conversations during the session
Lancioni et al. Evaluating the use of multiple microswitches and responses for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KR20090002306A (ko) 잠재의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Simpson Tics in the theatre: The quiet audience, the relaxed performance, and the neurodivergent spectator
Lo et al. Investigating how immersive virtual reality and active navigation mediate the experience of virtual concerts
Murray et al. Olfaction-enhanced multimedia synchronization
Fan et al. The use of short-video mobile apps in early childhood: A case study of parental perspectives in China
McMurtry Imagination and narrative: Young people’s experiences
Luckin et al. Embedding AIED in ie-TV through broadband user modelling (BbUM)
Moss-Wellington et al. Going to the movies in VR: Virtual reality cinemas as alternatives to in-person co-viewing
Bunge et al.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y
Dunkley et al. Mindfulness: Current practices and criticisms
Tan Sound, Stories, and Psychology: The Perceptions and Motivations of Audiobook Consumption
Gardner Simultaneous media usage: Effects on attention
Shevy Integrating media effects research and music psychology
Scott A datalogical reading of online performance
US20180193587A1 (en) Method of delivering subliminal mess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