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243A - 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 Google Patents

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243A
KR20090002243A KR1020070062058A KR20070062058A KR20090002243A KR 20090002243 A KR20090002243 A KR 20090002243A KR 1020070062058 A KR1020070062058 A KR 1020070062058A KR 20070062058 A KR20070062058 A KR 20070062058A KR 20090002243 A KR20090002243 A KR 20090002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factors
analysis
term
re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소영
김홍식
문태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243A/en
Publication of KR2009000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2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A method of analyzing results of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s provided to carry out a survey for obta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exes required to evaluate result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receiving funds from the government and analyze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the survey result. A method of analyzing results of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ncludes a first step(120) for collecting data of a survey about an individu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a second step(101) for grasping relation among a fund related factor, a management environmental factor and a result evaluation factor and calculating a composite index by using the data, a third step(111) for detecting factors which largely affect technical and economical results of the project, a fourth step(102) for producing an efficiency index for the individual project, a fifth step(112) for selecting a case which shows s fruitful result as an object of bench marking, a sixth step(103) for performing analysis for detecting a factor which largely affects the efficiency index, and a seventh step(104) for providing information detecting a factor which affects the result of a follow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Description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Evaluation method for R & 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도 1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평가를 위해 수행되어야 할 관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고,1 is a view showing a management procedure to be perform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도 2는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평가 시스템의 전체 분석 과정을 요약하여 도시한 도면이고,2 is a view showing a summary of the overall analysis proc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the R & D project,

도 3은 연구개발 과제 성과간의 시간차를 나타낸 도면이고,3 is a view show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도 4는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간의 관계성 및 복합지수 산정을 위한 구조방정식모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the composite index.

도 5는 개별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EMS 소프트웨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MS software used to calculate an efficiency index for an individual R & D project.

도 6은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연구개발 과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 (Decision Tree)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cision tree analysis result for grasping characteristics of R & D projects showing high performan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1 : 설문조사 202 : 구조방정식 모형201: Survey 202: Structural Equation Model

203 : 자료포락분석 204 : 의사결정나무분석203: Data Envelopment Analysis 204: Decision Tree Analysis

본 발명은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부로부터 자금을 수혜 받고 있는 기업 및 대학 연구소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인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으로부터 기술적, 경제적 성과 측정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자금을 지원 받고 있는 기업 및 연구소를 대상으로 자금에 대한 효율성 분석 및 성공/실패를 판별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수혜자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a government-funded R & D project, and more specifically, from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for corporations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hat receive funds from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 government can not only measure economic performance, but also improve the beneficiary's performance by identifying factors that can analyze the efficiency of funds and determine success / failure for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It relates to th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supporting R & D projects.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자금사업은 농업, 금융, 정보통신에 걸쳐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각 정책 사업에 대한 규모는 크게 수천억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olicy fund projects currently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are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griculture, fina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scale of each policy project is very large, reaching hundreds of billions.

그러나, 지원을 받고 있는 기업 및 대학 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활동의 성과가 높지 않을 경우에, 기금의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다른 유망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투자되지 못한 기회비용까지 발생하므로, 이는 심각한 경제·산업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oor performance of research activities carried out by supported companies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not only will there be a loss of funds, but also the opportunity costs that are not invested in other promising R & D projects. Industrial losses may occur.

따라서 상기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지원되고 있는 자금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정확한 성과평가가 수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성과평가프레임이 구 축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even though accurate performance evaluation must be carried out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funds supported by the policy fund project, a systematic performance evaluation frame is not established.

기존의 성과분석에 대한 문제점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연구개발이 완료 되었는지, 완료 후 경과기간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단기성과(output), 중기성과(outcome), 장기성과(impact)로 나누어 구분하여 성과를 평가해야 하나, 이러한 시간적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Looking a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performance analysis in detail, divided into short-term (output), medium-term (outcome), long-term performance (impact) according to whether the current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completed, and how long has passed after completion Performance should be assessed, but this time gap is not fully taken into account.

또한 상기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기존의 요인들은, SCI 논문 게재 수, 특허 등록 실적 등을 이용하여 그 성과의 정도를 파악하고 있을 뿐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복합 지수(composite index)를 산출하는 성과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existing factors consider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the SCI paper publication number, patent registration results, etc. to grasp the degree of the performance, grouping a variety of factors having a similar nature as a composite index (composite) There is no performance evaluation to calculate the index).

그리고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자금관리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사이의 관계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성과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각 요인들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는 과정이 임의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성과분석이 어려운 상황이다. And although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 management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that are consider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detailed analysis is not carried out, and in the performance analysis, Since the process of calculating weights is arbitrary, accurate performance analysis is difficult.

마지막으로 과거 완료과제의 엄격한 평가를 통한 향후 새로운 사업의 대상 기업선정에 이용할 수 있는 분석은 현재 부족한 편이며, 더욱이 상기 성과분석에 대한 설명 요인들 간의 계층적인 관계를 파악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Lastly, the analysis that can be used to select a target company for a new business through the strict evaluation of past completion tasks is currently insufficient, and furthermore,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anatory factors of the above performance analysis is not know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has the following objects.

1.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 및 연구소의 성과평가에 필요한 정성적, 정량적인 지표를 얻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연구개발 운영의 기본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한다.1. Surveys were conducted to obta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have received or received funding through policy funding projects. To be the basis for efficient R & D operation.

2. 상기 설문으로부터 조사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유사한 요인들을 그룹화한 복합지수를 산출하며, 이는 성과 향상을 위한 피드백 정보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2.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surveyed from the questionnaire, and calculate a composite index grouping similar factors, which can be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to improve performance. .

3.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 및 연구소의 개별 연구개발 과제의 효율성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과제를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도록 하여, 높은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3. By calculating efficiency indices of individual R & D project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have received or received funding through policy funding projects, they will be able to benchmark high-performance projects and achieve high performanc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4.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별 과제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내어 향후 과제를 선정함에 있어 중점을 두어야 할 성패요인을 추출한다.4. Based on survey data on R & D project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have received or received funding through policy funding projects,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individual projects in selecting future projects. Extract success factors that should be emphasized.

5. 상기 다양한 분석을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기법으로는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5. As a data analysis technique for realizing the various analyzes, a structural equation,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are used in combin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nalyzing performance of a government-supported R & D project.

개별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사이의 관계성 파악 및 복합지수를 산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과제의 기술적, 경제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정된 복합지수들을 입력 및 출력 요소로 나누어 개별 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를 산출하는 제4단계와; 상기 효율성 지수를 통해 연구개발과제들 중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사례를 벤치마킹의 대상으로 선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효율성 지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는 제6단계와; 상기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개발 과제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해 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tep of collecting survey data on individu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 second step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related factors, the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calculating the composite index using the survey data on the R & D project; A third step of identifying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echnic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the task; A fourth step of dividing the composite indexes calculated in the step into input and output elements to calculate an efficiency index for each task; A fifth step of selecting an example of high performance among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as the target of benchmarking through the efficiency index; A sixth step of carrying out an analysis for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index; And the seventh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future R & D projects through the analysis.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단계의 설문조사는 성과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을 설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연구분야별로 설계된 요인들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정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연구개발과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rvey in the first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designing a fund-related factor, a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 and a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 for a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for which performance evaluation is to be performed; A second step of defining how to measure factors designed for each research field; And a third step of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단계에서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요인들은 재무적인 요인과, 각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는 고유의 지표들을 기존의 문헌 및 사례와 실무자들과의 논의를 통해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actors consider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first step are to identify financial factors and unique indicato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or through discussion with existing literature, examples and practitioners.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제2단계는 SCI 논문 게재수, 특허 등록 건수와 같은 정량적인 측정지표 뿐만 아니라, 현재 기술의 수준, 연구개발 리더십, 연구개발 전략적 계획과 같이 정성적인 요인들에 대한 부분들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tep is to measure not only the quantitative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of SCI article publications and patent registrations, but also how to measure qualitative factors such as current technology level, R & D leadership, and R & D strategic pl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연구개발과제의 완료 여부 및 완료후 경과기간에 따라 단기성과, 중기성과 및 장기성과, 3가지로 분류하여 성과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step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questionnaire for performance evaluation by categorizing into three categories, 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resul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R & D project and the period after completion.

또한, 상기 제2단계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요인을 그룹화하여 복합지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tep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composite index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grouping factor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또한, 상기 구조방정식모형은 개별과제에 대한 지원요인인 지원액, 사업기간 등과 같은 입력 요인과, 기술개발, 물적 및 인적 자원, 연구개발관리 정도와 같은 환경요인, 지원 받은 기업들의 직접적인 기술적 성과인 단기성과, 상기 기술적 성과로 파생된 경제적 성과인 중기성과, 거시적인 측면에서 측정된 국가적인 파급효과라고 할 수 있는 장기성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an input factor such as support amount for each project, project period, etc.,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and R & D management, and short-term direct technical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support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long-term performance that can be said to be the national ripple effect measured in terms of performance, the economic performance derived from the above technical performance, medium-term.

또한 상기 제 3단계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기술적, 경제적 성과 및 파급효과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내고 개별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step is characterized by finding th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chnic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ripple effec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o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to improve the individual performance.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개별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의 측정을 위해 자료포락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urth step, data envelopment analysis is performed to measure the efficiency index for the individual task.

또한, 상기 자료포락분석은 복합지수들 중에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을 입력요소라 하고, 단기성과, 중기성과 및 장기성과와 같은 성과평가요인을 출력요소로 구분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is characterized by being performed by dividing the performance-related factors such as 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performance as output elements, and the factors related to funding and management environment among the composite index.

또한 상기 제 5단계는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산출된 개별 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과제를 벤치마킹의 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fth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the task showing the efficient performance based on the efficiency index for each task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as the target of benchmarking.

또한, 상기 제6단계는 효율성 지수를 통해 파악한 개별 기업 및 대학 연구소의 연구성과에 대한 효율/비효율 여부와, 기업의 재무/비재무적인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수혜자들 사이의 효율성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xth step utilizes the efficiency and inefficiency of the research results of individual companies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identified through the efficiency index, and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formation of the companies. Identify the factors that most closely affect the

또한, 상기 의사결정나무분석은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산출된 개별 과제별 효율성 지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과제에 대한 특성변수(재무/비재무)를 독립변수(입력변수)로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cision tree analysis is performed by using the efficiency index for each task calculated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characteristic variable (financial / non-financial) for the task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put variable). do.

또한, 상기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산출한 효율성 지수의 값이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성공이라하고, 일정값 이하인 경우를 실패라고 정의하여, 모든 연구개발 과제들을 성공 또는 실패로 나눈 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ll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are defined as success when the value of the efficiency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before the decision tree analysis exceeds a certain value and failure when the value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is defined as failure. They are divided into successes or failures, and then the analysis is performed.

또한, 개별 과제의 성과분석을 위한 성과 데이터의 수집 기준은 현재 진행중인 연구개발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기술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만을 수집하고, 상기 과제를 완료하고 난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 및 중기 성과(경제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과제를 완료하고 난 후 3년이 지난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 중기성과 및 장기성과(파급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iteria for collecting performance data for performance analysis of individual tasks are collected only for short-term performance (technical performance) for current R & D projects, and for tasks that have not been 3 years since completing the above tasks. It collects data on short-term and medium-term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and collects data on 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performance (ripple effects) for tasks that are three years after completing the above task. It is do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현재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은 경험이 있거나 현재 자금을 지원 받고 있는 기업 및 대학연구소를 대상으로 기업의 과제담당자와의 전화통화 후, 대상 기업 및 대학연구소의 편의에 따라 웹, 우편, 팩스 및 E-mail 등의 방법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하도록 한다. First, call the company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who have experiences or are currently receiving funding through the policy funding project, and then call the web and post at the convenience of the target company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Send and retrieve questionnaires by email, fax, or e-mail.

상기 설문은 기업의 연혁, 종업원 수, 경영자 연령, 산업분류 등과 같은 기업의 비재무적인 정보뿐 아니라 자본금, 매출액, 영업이익률 등과 같은 재무적인 정보와, 수혜를 받는 자금의 규모, 지원기간, 특허 등록건수, SCI 논문 게재 수, 개발하고 있는 기술의 수준 등과 같은 정보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The questionnaire includes financial information such as capital, sales, and operating profit margins, as well as non-financial information such as company history, number of employees, manager age, industrial classification, etc. It should also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SCI papers published and the level of technology being developed.

이러한 설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저장한 DB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The analysis is performed using a DB that stores the results of responses to these questions.

본 발명에 따른 성과분석방법은 크게 논리적으로 세 가지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Th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ree logical processes, and each detailed component is as follows.

첫째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성과측정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과 같은 여러 요인들을 추출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요인들간의 관계성 파악 및 복합지수를 산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산출한 복합지수를 입력(input), 출력(output)으로 각각 구분하여 자금을 지원 받은 개별 기업 및 대학 연구소의 연구성과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자료포락분석(203)(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통하여 파악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파악한 개별 기업 및 대학 연구소의 연구성과에 대한 효율/비효율 여부를 기업의 재무/비재무적인 정보들을 활용함으로써, 수혜자들 사이의 효율성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의사결정나무분석(204)(Decision Tree)을 통해 파악하는 제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First, in order to establish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from the collected data, it is necessary to extract various factors such as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to use the structural equation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nd to calculate complex indices. Stage 1;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analyzes the efficiency of the research results of individual companies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hat received funds by dividing the composite index calculated in the first step into input and output, respectively. A second step of identifying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most closely affect the efficiency among beneficiaries by utilizing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formation of the companies on the efficiency / inefficiency of the research results of individual companies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identified in the second step. (204) can be divided into a third step to identify through the (Decision Tree).

특히 제1단계에서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평가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현재 개발하고 있는 연구분야(정보통신, 과학기술, 농업, 의학 등)에 따라, 현재 연구개발 중인지, 아니면 연구개발을 완료하였는지, 만약에 완료하였다면 몇 년이 경과하였는지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문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In particular, in the first stage, the data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 & D projects is currently under R & D or completion of R & D, depending on the research fie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griculture, medicine, etc.) currently being developed. The survey should be compl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many years have passed.

위에서 언급한 분석들이 이루어지면, 개별 연구개발 과제들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달성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별 과제의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요인들간의 관계성 파악 및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연구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들을 선별할 때 어떠한 요소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above mentioned analyzes are carried out, not only how much the individual R & D projects have achieved, but also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and the performance among the factors consider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projects. This can provide information on what factors should be focused on when screening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이러한 분석들은 보다 효율적인 연구개발자금의 운영이 가능토록 한다.These analyzes allow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R & D fund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성과평가방법을 도입하였을 경우,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개발 에 대한 성과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순서대로 설명하고 있다. 1 is a sequence of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perform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mpanies and institutes that have received or received funding through the policy funding business whe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 explain it as it is.

상기 도면은 개별 연구개발과제의 데이터(120)를 수집하고, 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과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연구개발자금의 운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The figure includes a process of collecting data 120 of individual R & D projects and presenting a strategy for efficient R & D funding by performing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the above data.

그러나 현재 성과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SCI 논문 게재 수, 특허 등록건수, 매출액 증가율 등과 같은 통계분석에 그치고 있다. However, most of the studies that are currently performing performance analysis are only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he number of SCI paper publications, patent registrations, and sales growth.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자금을 지원 받아 연구개발을 완료하였거나, 현재 자금을 지원 받고 있는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120)를 이용하여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사이의 관계성 파악 및 복합지수를 산정(101)하고, 기술적, 경제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도록 한다(111).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in the present invention,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using the survey data 120 for R & D projects that have completed R & D or are currently being funded. Identify relationships and estimate composite indexes (101)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echnical and economic performance (111).

또한 101 과정에서 산정된 복합지수들을 입력 및 출력으로 나누어 개별 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를 산출하도록 한다(102). In addition, by dividing the composite index calculated in step 101 into the input and output to calculate the efficiency index for the individual task (102).

이러한 효율성 지수(102)는 연구개발 과제들 중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사례를 벤치마킹(Bench Marking)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효율적인 과제들이 보다 효율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112). The efficiency index 102 selects high performing cases of R & D projects as benchmarking targets to provide information for inefficient tasks to produce more efficient results (112). .

또한 효율성 지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도록 한다(103). In addition, an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iency index (103).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개발 과제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해 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104), 연구개발자금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Through such analysis,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 & D fund by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ccess or failure of future R & D projects (104).

도 2는 성과평가방법의 구체적인 분석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2 shows a detailed analysis proc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에서는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개발 과제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201)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 201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of companies and institutes that have received or received funding through policy funding project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 분석과정은 크게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202)을 이용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사이의 관계성 파악 및 복합지수 산출, 개별 연구개발 과제의 효율성 지수산정을 위한 자료포락분석(203), 과제의 성패요인 분석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204)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analysis process is largely conducte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related factors, the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and calculating the composite index, and the individual R & D tasks. It consists of three parts: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for efficiency index calculation and decision tree analysis (204) for success / failure factor analysis.

상기 설문조사(201)의 첫번째 단계는 성과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을 설계하는 단계(211)이다. The first step of the survey 201 is a step 211 of designing the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o perform the performance evaluation.

현재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 및 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정보통신, 과학기술, 의학, 농·어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요인들은 재무적인 요인과 같은 공통적인 요인들도 있지만, 각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는 고유의 지표들을 기존의 문헌 및 사례는 물론 실무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R & D projects currently undertaken by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have received or received funding through policy funding projects vary widely fro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dicine, agriculture and fisheries. Although the factors considered are common factors such as financi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unique indica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or through discussions with practitioners as well as the existing literature and examples.

두번째 단계는 연구분야 별로 설계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에 대한 측정지표를 정의하는 단계(212)로써 상기한 위의 요인들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한 정의를 하는 단계이다. The second step is to define measurement indicators for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appraisal factors designed for each research area (212), and to define how to measure the above factors.

이 단계에서는 SCI 논문 게재 수, 특허 등록 건수와 같은 정량적인 측정지표도 있지만, 현재 기술의 수준, 연구개발 리더십, 연구개발 전략적 계획과 같은 정성적인 요인들에 대한 부분들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There are also quantitative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of SCI papers published and patents registered at this stage, but how to determine how to measure qualitative factors such as the current level of technology, R & D leadership, and R & D strategic planning. Step.

설문조사(201)의 마지막 단계는 구성한 설문지를 연구개발과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213)하는 단계이다. The final step of the survey 201 is a step (213) to perform the survey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composed of the questionnaire.

설문조사 방식은 연구개발과제 담당자와의 전화통화 후, 편의에 따라 웹 페이지, 우편, 팩스 및 이메일 등의 방법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하도록 한다.The survey method is to send and retrieve the questionnaire by web page, mail, fax, and e-mail at the convenience of the phone call with the R & D project manager.

설문조사를 실시할 때 현재 연구개발중인 과제도 있고 완료한지 몇 년이 지난 과제도 있으므로, 설문조사를 받는 연구개발과제의 완료 여부 및 완료 후 경과기간에 따라 단기성과(output), 중기성과(outcome), 장기성과(impact), 3가지로 분류하여 성과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도록 한다. When conducting a survey, some tasks are currently under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some have been completed several years.Therefore, depending on the completion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o be surveyed and the time period after completion of the survey, the short-term and output ), And long-term performance (impact), the questionnaire for performance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이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은 도 3에서 살펴 볼 수 있다. Detailed criteria for this can be found in FIG. 3.

도 3에서 정의한 기준을 통해 수집된 설문자료들은 다양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평가지표들은 구조방정식모형(202)을 통하여 위의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요인을 그룹화하여 복합지수를 산정하도록 한다. The survey data collected through the criteria defined in FIG. 3 include various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these evaluation indicators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factor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In addition to grouping factors, grouping factors is used to calculate the composite index.

상기 구조방정식모형(202)을 구성하는 요인들은 개별 과제에 대한 지원요인 인 지원액, 사업기간 등과 같은 입력(input)요인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 물적/인적 자원, 연구개발관리 정도와 같은 환경요인, 지원 받은 기업들의 직접적인 기술적 성과인 단기성과, 이러한 기술적 성과로 파생된 경제적 성과인 중기성과, 거시적인 측면에서 측정된 국가적인 파급효과라고 할 수 있는 장기성과로 구성되어 있다.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are input factors such as support amount, project period, etc. for each task,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material / human resources, and R & D management. It consists of short-term performance, which is the direct technical performance of companies received, medium-term economic performance derived from such technical performance, and long-term performance, which is the national ripple effect measured in the macroscopic aspect.

세부적인 구조방정식모형(202)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도 4에서 살펴 볼 수 있다.Detail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can be found in FIG. 4.

다음 단계로는 개별 과제에 대한 효율성 측정을 위한 자료포락분석(203)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next step is to perform data envelope analysis (203)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tasks.

상기 자료포락분석(203)을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202)을 통해 산출한 복합지수들을 활용하도록 한다. For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to use the composite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이러한 복합지수들 중에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을 입력요소(Input)라 하고, 단기성과, 중기성과, 장기성과와 같은 성과평가요인을 출력요소(Output)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Among these composite indexes, fund-related factors and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re called input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such as 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outcomes are classified into outputs.

상기 자료포락분석(203)을 통해 산출되는 개별 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는 성과평가 분석 가운데 마지막 단계인 의사결정나무분석(204)의 종속변수로 활용될 수 있다. The efficiency index for each task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may b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the decision tree analysis 204, which is the final step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alysis.

상기 자료포락분석(203)에 세부적인 내용은 도 5에서 살펴 볼 수 있다.Details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can be found in FIG. 5.

도 2의 마지막 단계는 자료포락분석(203)을 통해 산출된 개별 과제별 효율성 지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과제에 대한 특성변수(재무/비재무)를 독립변수(입력변수)로 하는 의사결정나무분석(204)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final step of FIG. 2 is a decision tree analysis in which the efficiency index for each task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e analysis 203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characteristic variable (financial / non-financial) for the task is an independent variable (input variable). (204).

상기 의사결정나무분석(204)을 수행하기에 앞서 자료포락분석(203)을 통해 산출한 효율성 지수의 값이 100이 넘는 경우를 성공이라고 하고, 100을 넘지 않는 경우를 실패라고 정의하여, 모든 연구개발 과제들을 성공 혹은 실패로 나눈 후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Prior to perform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204,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efficiency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exceeds 100 is defined as success, and the case where the value does not exceed 100 is defined as failure. Divide the development tasks into successes or failures and then perform the analysis.

이러한 분석은 과제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 중 그 원인 요인을 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향후 과제 선정에 있어 중점을 두어야 할 효과적인 성패 판별요인을 추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후 높은 성과를 보이는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선별이 용이하게 된다.This analysis makes it easy to identify the causal factors among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and failure of a task, and thus, it is possible to extract effective success and discrimination factors that should be focused on future task selection. This makes it easier to screen for R & D projects that show a high performance.

도 3은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은 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성과분석을 수행하고자 할 때 개별 과제들은 과제 완료 여부 및 완료 후 경과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연구개발 성과간 시간차(301)와 같은 구분을 통하여 단기성과, 중기성과, 장기 성과로 구분하고, 성과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도록 한다. 3 is a time difference between R & D results because individual tasks have different completion periods after completion and completion of individual tasks when performing performance analysis on R & D task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funded through policy funding projects. The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performance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and data for performance analysis is collected.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연구개발이 진행 중에 있거나 연구개발이 완료하고 나서 3년이 지나지 않은 연구개발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 성과(기술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data on short-term outcomes (technical achievements) can be collected for R & D projects that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or that have not been three years since they were completed.

또한 연구개발을 완료한 시점부터 연구개발 완료 후 5년 이내에 대한 과제에 대해서는 중기 성과(경제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data on medium-term outcomes (economic performances) can be collected for assignments within 5 years after completion of R & D.

또한 연구개발 완료 후 3년 이후부터는 장기적 성과(파급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ee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R & D, data on long-term performance (ripple effect) can be collected.

이러한 시간적인 차이를 고려한 개별 과제에 대한 성과분석을 위한 성과 데이터 수집 기준은 다음과 같다. The criteria for collecting performance data for performance analysis on individual tasks considering these time differences are as follows.

현재 진행 중인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기술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만을 수집하도록 하고, 과제를 완료하고 난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기술적 성과) 뿐만 아니라 중기 성과(경제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한다. Only collect data on short-term outcomes (technical outcomes) for ongoing projects; short-term outcomes (technical outcomes) as well as medium-term outcomes (economic outcomes) Collect data.

마지막으로 과제를 완료하고 난 후 3년이 지난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 성과(기술적 성과), 중기 성과(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 성과(파급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한다.Finally, for tasks that are three years old after completing the task, collect data on short-term performance (technical performance), medium-term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as well as long-term performance (ripple effects).

도 4는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은 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다양한 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202)을 이용한 구조의 예이다. FIG. 4 is an example of a structur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a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consider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R & D task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funded through the policy funding project.

이 도면은 과학기술진흥기금 연구개발 융자사업 성과평가를 위해 고려되는 요인들을 MBNQA에서 성과평가를 위한 고려해야 하는 조건(Criteria)들 사이의 구조적인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202)을 이용하여 나타낸 예로써,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요인은 과제의 장기성과인 파급효과이며, 그 왼쪽에 위치한 요인은 중기성과인 경제적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경제적 성과의 왼쪽에 위치한 요인은 기술적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This figure show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eria,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MBNQA,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The factor on the right is the ripple effect, which is the long-term performance of the task. The factor on the left represents the economic performance, which is medium-term, and the factor on the left of the economic performance represents the technical performance.

또한 왼쪽 위에 위치한 요인은 회사의 경영 요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왼쪽 아래에 있는 요인은 융자사업지원요인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오른쪽 아래에 있는 요인은 과제를 담당하고 있는 지원기관의 R&D관리요인을 나타내고 있다. The factors at the top left represent the company's management factors, and the factors at the bottom left represent the financing support factors, and the factors at the bottom right represent R & D management factors of the support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project.

이러한 각각의 요인들은 그 하위에 여러 측정변수를 포함하고 있다.Each of these factors includes several measurement variables underneath.

도 5는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은 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개발 개별 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 산출을 위한 자료포락분석(203)을 EM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envelope analysis 203 using the EMS software for the calculation of the efficiency index for the R & D individual task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funded through the policy fund project.

세부적으로 도면을 살펴보면 DMU(Decision Making Unit)는 효율성 지수를 산출하고자 하는 개별 과제를 나타낸다. Looking at the drawings in detail, the DMU (Decision Making Unit) represents an individual task to calculate the efficiency index.

예를 들어 효율성 지수를 산출하고자 하는 연구개발과제가 100개일 경우에는 DMU의 수는 100개가 된다. 스코어(Score)는 개별 DMU에 대한 효율성 지수라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re are 100 R & D projects to calculate the efficiency index, the number of DMUs is 100. Score is an efficiency index for an individual DMU.

상기 스코어가 100%를 가지게 되면 그 DMU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색깔로 칠해지지 않은 다른 DMU들은 비효율적인 연구개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When the score is 100%, the DMU is efficient, and other DMUs that are not colored are inefficient R & D tasks.

또한 벤치마크(Benchmarks)는 개별 DMU들이 효율적인 유닛(UNIT)이 되기 위해서 벤치마크가 되는 DMU들을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1번 DMU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4번, 6번, 7번 DMU를 참조해야 함을 의미한다.Benchmarks also indicate which DMUs are benchmarked so that individual DMUs can be efficient units. For example, DMU 1 means that you should refer to DMUs 4, 6, and 7 to increase efficiency.

도 6은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 받은 기업 및 연구소의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수행한 결과의 예이다. 6 is an example of the results of a decision tree analysis to identify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analysis of R & D project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funded through policy funding projects.

세부적으로 도면을 살펴보면 자료포락분석(203)을 통해 산출된 효율성 지수를 통해 개별 과제를 효율적인 과제(1), 비효율적인 과제(0)로 나누고 자금을 지원 받은 기업 및 연구소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변수(H10, H6, L1, F3, M4)로 고려하여 분석한 것이다. Looking at the drawings in detail, the efficiency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e analysis (203) divides individual tasks into efficient tasks (1) and inefficient tasks (0), and describ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funded by explanatory variables ( H10, H6, L1, F3, M4) to consider the analysis.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해석에 대한 예를 들면 연구개발 과제 가운데 설명변수 H10의 값이 5보다 작고, 설명변수 H6의 값이 5보다 작고, 설명변수 F3의 값이 4보다 작은 과제는 조사된 전체 136개 과제 가운데 30개 과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효율적으로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한 기업 및 연구소는 21개 과제 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모형을 통하여 향후 어떠한 특성을 가진 기업 및 연구소들이 효율적인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파악을 가능하게 한다.For example, amo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the value of the explanatory variable H10 is less than 5, the value of the explanatory variable H6 is less than 5, and the value of the explanatory variable F3 is less than 4 has been investigated. Among the 30 tasks, 30 tasks can be categorized. Among them, 21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performed R & D tasks efficiently. Through this classific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at are carrying out efficient R & D projects in the futur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has been clai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에 의하면, 정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책자금사업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은 기업 및 대학 연구소들의 연구개발 과제에 대한 성과분석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파악할 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측정한 성과평가요인들을 하나의 복합지수로 산정함으로써, 향후 성과 향상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analysi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of the companies and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hat received funds through the policy fund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not only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is can be ident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ut also the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aspects can be provided as a composite index to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for future performance improvement. have.

또한 개별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자료포락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개별과제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고 가장 효율성이 높은 사례를 선정하여, 벤치마크의 대상이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data envelopment analysis of individual R & D projects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projects and to select the most efficient cases to be the target of benchmarks.

마지막으로 자료포락분석을 위해 이용되는 여러 입력, 출력 변수를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적용하여 성패요인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정부차원의 정책자금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Lastly, by applying various input and output variables used for data envelopment analysis to decision tree analysis, success factor analysis can be provided, which can provide information to enable efficient management of policy funding projects at the government level.

Claims (10)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에 있어서,In th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개별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단계(120)와;A first step 120 of collecting survey data on individual R & D tasks; 상기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사이의 관계성 파악 및 복합지수를 산정하는 제2단계(101)와;A second step (101) of using the survey data on the R & D projec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to calculate a composite index; 상기 과제의 기술적, 경제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제3단계(111)와;A third step (111) of identifying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echnic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the task; 상기 단계에서 산정된 복합지수들을 입력 및 출력으로 나누어 개별 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를 산출하는 제4단계(102)와;A fourth step (102) of calculating efficiency indexes for individual tasks by dividing the composite indexes calculated in the step into inputs and outputs; 상기 효율성 지수를 통해 연구개발과제들 중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사례를 벤치마킹(Bench Marking)의 대상으로 선정하는 제5단계(112)와;A fifth step (112) of selecting a case showing a high performance among the R & D tasks through the efficiency index as an object of benchmarking; 상기 효율성 지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는 제6단계(103)와;A sixth step (103) of performing an analysis for identifying a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iciency index; 상기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개발 과제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해 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제7단계(104);A seventh step 104 of providing information capable of determining factors influencing success or failure of future R & D projects through the analysis;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설문조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rvey of the first step 성과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을 설계하는 제1단계(211)와;A first step (211) of designing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for R & D tasks to be performed; 상기 연구분야별로 설계된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정의하는 제2단계(212)와;A second step (212) defining how to measure funding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designed for each research field; 상기 연구개발과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제3단계(213);A third step (213) of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2단계는 구조방정식모형(202)을 통해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 성과평가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요인을 그룹화하여 복합지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In the second step, the government-funded R & D project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und-related factor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grouping the factors. Performance analysis metho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구조방정식모형(202)은 개별과제에 대한 지원요인인 지원액, 사업기간 등과 같은 자금관련요인과, 기술개발, 물적 및 인적 자원, 연구개발관리 정도와 같 은 관리환경요인, 지원 받은 기업들의 직접적인 기술적 성과인 단기성과, 상기 기술적 성과로 파생된 경제적 성과인 중기성과, 거시적인 측면에서 측정된 국가적인 파급효과라고 할 수 있는 장기성과로 구성된 성과평가요인을 가지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202 includes fund-related factors such as support factors for individual projects, project periods, management environment factor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and R & D management, and direct support of companies supported. A 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government-funded R & D projects with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consisting of short-term performance as a technical performance, medium-term performance as an economic performance derived from the above technical performance, and long-term performance as a national ripple effect measured in the macroscopic aspect .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4단계에서 개별과제에 대한 효율성 지수의 측정을 위해 자료포락분석(203)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And perform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to measure the efficiency index for each individual task in the fourth step.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자료포락분석(203)은 복합지수들 중에 자금관련요인, 관리환경요인을 입력요소라 하고, 단기성과, 중기성과 및 장기성과와 같은 성과평가요인을 출력요소로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과분석방법.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mance-related factors, such as 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performance, are classified as output elements, and the factors related to funding and management environment are among the composite indexes. Performance analysis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6단계는 효율성 지수를 통해 파악한 개별 기업 및 대학 연구소의 연구성과에 대한 효율/비효율 여부와, 기업의 재무/비재무적인 정보를 활요함으로써, 의사결정나무분석(204)을 통해 수혜자들 사이의 효율성에 가장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The sixth step is based on the decision tree analysis (204). A method of performance analysis of a government-funded R & D project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most closely affect efficiency.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의사결정나무분석(204)은 자료포락분석(203)을 통해 산출된 개별 과제별 효율성 지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과제에 대한 특성변수(재무/비재무)를 독립변수(입력변수)로 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The decision tree analysis 204 is performed using the efficiency index for each task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characteristic variable (financial / non-financial) for the task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put variabl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의사결정나무분석(204)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자료포락분석(203)을 통해 산출한 효율성 지수의 값이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성공이라하고, 일정값 이하인 경우를 실패라고 정의하여, 모든 연구개발 과제들을 성공 또는 실패로 나눈 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Before perform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204,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efficiency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203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s defined as a success, and a case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is defined as a failure, A method for performance analysis of a government-funded R & D project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analysis after dividing all R & D tasks by success or failur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개별 과제의 성과분석을 위한 성과 데이터의 수집 기준은 현재 진행중인 연 구개발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기술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만을 수집하고, 상기 과제를 완료하고 난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 및 중기성과(경제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과제를 완료하고 난 후 3년이 지난 과제에 대해서는 단기성과, 중기성과 및 장기성과(파급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분석방법.Criteria for collecting performance data for performance analysis of individual projects collect only data on short-term performance (technical performance) for current research development projects, and short-term for projects not more than three years after completing the above tasks. It collects data on performance and medium-term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and collects data on 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performance (ripple effects) for tasks that are three years after completing the above tasks. Performance analysis of government-funded R & D projects.
KR1020070062058A 2007-06-25 2007-06-25 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KR200900022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058A KR20090002243A (en) 2007-06-25 2007-06-25 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058A KR20090002243A (en) 2007-06-25 2007-06-25 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243A true KR20090002243A (en) 2009-01-09

Family

ID=4048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058A KR20090002243A (en) 2007-06-25 2007-06-25 Evaluation method for r&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243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09B1 (en) * 2009-03-16 2012-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nstruction Compan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KR101447316B1 (en) * 2012-04-25 2014-10-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ananlyzing service level of sewerage
KR20160104238A (en) 2015-02-26 2016-09-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CN107506888A (en) * 2017-07-07 2017-12-22 中国科学院计算机网络信息中心 A kind of general online service platform building appraisal procedure and system
KR20200118632A (en) * 2019-04-08 2020-10-16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Quality-driven Performance Evaluation in Service Provider
KR20220067885A (en)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신시웨이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calculating performance indicators according to business performance
CN117436726A (en) * 2023-12-14 2024-01-23 惠民县黄河先进技术研究院 Regional high and new technology indus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09B1 (en) * 2009-03-16 2012-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nstruction Compan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KR101447316B1 (en) * 2012-04-25 2014-10-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ananlyzing service level of sewerage
KR20160104238A (en) 2015-02-26 2016-09-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CN107506888A (en) * 2017-07-07 2017-12-22 中国科学院计算机网络信息中心 A kind of general online service platform building appraisal procedure and system
KR20200118632A (en) * 2019-04-08 2020-10-16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Quality-driven Performance Evaluation in Service Provider
KR20220067885A (en)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신시웨이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calculating performance indicators according to business performance
CN117436726A (en) * 2023-12-14 2024-01-23 惠民县黄河先进技术研究院 Regional high and new technology indus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usavi et al.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 Iranian experience in state bank branches
Stewart et al. Utilizing the balanced scorecard for IT/IS performance evaluation in construction
Marti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nd productivity based on R&D and ICT use: An empirical analysis of firms in Luxembourg
Klovienė et al.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 the context of industry 4.0: a case study
KR20090002243A (en) Evaluation method for r&amp;d projects supported by government
Haile et al.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its impact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Kitsios et al. Information systems strategy in SMEs: critical factors of strategic planning in logistics
CN113554310A (en) Enterprise credit dynamic evaluation model based on intelligent contract
US201001531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oftware applications for offshore testing
Bettayeb et al. Success Factors in Adopting AI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UAE Firms: Neutrosophic Analysis
Ponomarenko et al. Benchmarking of bank performance using the life cycle concept and the DEA approach
Wilson et al. Developing a national skills forecasting tool for South Africa
US102105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nd improving individual customer profitability for a profit-making organization
Hojabri et al. Effective methods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An evaluation of excellence models
Shahhoseini et al. Identify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an Iranian Islamic bank based on BSC and AHP
Ray et al. Success factors characterisation towards Six Sigma implementation in Indian industries
Zandhessami et al. Identification and prioritization of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on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Battagello et al. A 7-step framework for gauging strategic assets through a flexible format. An industrial case study application
Godil et al. Contingency framework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in SMEs of Pakistan
KR20010107330A (en) System for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value of an enterprise and Method thereof
Özkan et al. The effects of export import coverage ratio on economy
Tembhekar Human Resource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ing Data Analytics Techniques in Human Resource Functions
Sadiq et al. The Impacts of Total Quality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Agility in Business on Firms Financial Performance: Moderating Role of Emerging Business Competition
Susanto Usefulness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s information and market competition on strategic business unit output
Mohammadnazari et al. Redesigning business processes: a method based on simulation and process min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