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199U -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199U
KR20090002199U KR2020070014533U KR20070014533U KR20090002199U KR 20090002199 U KR20090002199 U KR 20090002199U KR 2020070014533 U KR2020070014533 U KR 2020070014533U KR 20070014533 U KR20070014533 U KR 20070014533U KR 20090002199 U KR20090002199 U KR 200900021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mold frame
reinforcing member
strength reinforc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199U/ko
Publication of KR20090002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는 표시장치가 수납되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샤시; 및 상기 샤시의 내부에 설치된 강도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시의 내부에 강도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수납장치, 몰드 프레임, 강도 보강부재, 'ㄷ'자 밴딩

Description

수납장치{Receiving Device}
실시예에서는 수납장치가 개시된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는 액정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자체발광을 하지 못하는 수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필요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성능은 액정표시장치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유닛의 성능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반사판, 도광판, 프리즘 시트, 확산시트 및 보호시트, 광원 등으로 이루어진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수납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샤시가 포함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은 백라이트 유닛 및 LCD 패널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샤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몰드 프레임과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외형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샤시는 각각 제작된 후 상호 끼움 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실시예에서는 슬림화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샤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는 표시장치가 수납되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샤시; 및 상기 샤시의 내부에 설치된 강도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는 샤시의 내부에 강도 보강부재가 설치되어 수납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백라이트 외곽 모두(상하좌우측)에 적용가능하며, 그중에서도 LED FPCB가 빠지는 부분(백라이트 정면기준으로 하여 하축, A-A'부분)에 있어서는 얇은 두께를 요하기 때문에, 이곳에 적용시 강도향상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상기 샤시가 슬림화되더라도 강도 보강부재의 설치에 의하여 강도가 향상되므로 수납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수납장치는 몰드 프레임(100) 및 샤시(200)를 포함한 다.
상기 몰드 프레임(100)은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수납되도록 표시장치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측벽들은 예를 들어 4개로 이루어져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4개의 측벽들은 각각 제1 측벽(110), 제2 측벽(120), 제3 측벽(130) 및 제4 측벽(140)으로 지칭한다.
상기 제1 측벽(110) 및 제3 측벽(130)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벽(120) 및 제4 측벽(140)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1 내지 제4 측벽(110, 120, 130, 140)들은 상호 폐루프 형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110, 120, 130, 140)들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몰드 프레임(100)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측벽(140)의 내측으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발광부(미도시)가 수납될 수 있도록 램프 수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수납부(150)는 상기 발광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4 측벽(14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측벽(140)과 상기 램프 수납부(150)는 단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4 측벽(140)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상기 램프 수납부(150)에 상기 발광부가 수납되면 상기 제4 측벽(140)과 램프 수납부(150)의 단차 로 인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전체적인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표시장치는 슬림화 될 수 있다.
상기 샤시(200)는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샤시(200)는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측벽들을 감싸도록 측벽들을 포함한다.
상기 샤시(200)의 측벽들은, 예를 들어 4개로 이루어져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측벽들을 제1 측벽(210), 제2 측벽(220), 제3 측벽(230), 제4 측벽(240)으로 지칭한다.
상기 샤시(200)는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샤시(2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기타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시(200)의 제1 내지 제3 측벽(210, 220, 230)은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1 내지 제3 측벽(110, 120, 130)과 결합되고,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은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과 결합된다.
상기 샤시(200)의 제1 내지 제3 측벽(210, 220,,230)은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1 내지 제3 측벽(110, 120, 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ㄷ'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은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241)와, 상기 제4 측벽(14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242)와, 상기 제4 측벽(14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는 제3 지지대(24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지지대(241), 제2 지지대(242) 및 제3 지지대(243)는 'ㄷ'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241)는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부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대(243)는 상기 제4 측벽(14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4 측벽(14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대(242)는 상기 제3 지지대(243)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제4 측벽(140)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4 측벽(140)의 측면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샤시(200)의 제1 내지 제3 측벽(210,220,230)도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샤시(200)의 'ㄷ' 구조 내부에는 강도 보강부재(4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상기 샤시(2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샤시(200)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수납장치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스테인리스 스틸, 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기타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그 단면이 원통형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도 보강부재(410)는 그 단면이 사각 형태인 샤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샤시(200)와 몰드 프레임(100)의 인서트 사출 공정에 의하여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제1 및 제3 지지대(241, 243) 사이에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를 설치한 후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원료 물질인 몰드 물질을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몰드 프레임(100)이 형성되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가 상기 제4 측벽(240)의 내부에 접촉된 상태가 되더라도 그 사이에는 물리적인 공간이 존재하므로 상기 몰드 물질이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상기 샤시(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강도 보강부재(410)는 접착 부재(500)에 의하여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24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즉,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과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 사이에 접착 부재(500)를 개재하여 일체화시킨 후, 몰드 프레임(100)의 원료 물질인 몰드 물질을 주입한다. 이때,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는 일차적으로 접착 부재(500)에 의 하여 상기 샤시(20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몰드 프레임(100)이 형성되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와 상기 샤시(200)의 결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강도 보강부재(400)가 상기 제4 측벽(240)의 제1 및 제3 지지대(241, 243)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샤시(200) 및 몰드 프레임(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ㄷ' 자 해밍 구조의 내부에 금속으로 형성된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은 백라이트 유닛의 발광부가 설치되는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이 얇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도 얇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1 내지 제3 측벽(110,120,130)보다 그 강성이 약할 수 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의 내부에 강도 보강부재(400)를 설치함으로써 얇은 제4 측벽(240)의 두께를 커버하여 전체적인 수납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240)에 강도 보강부재(400)가 설치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샤시(200)가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샤시(200)의 제1 내지 제3 지지대(243)도 'ㄷ'자 해밍 구조로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상기 강도 보강부재(400)를 설치함으로써 수납장치의 전체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힌다.
도 5는 다른 형태의 샤시에 강도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340)은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341)와, 상기 제4 측벽(14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342)와, 상기 제4 측벽(140)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대(34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지지대(341), 제2 지지대(342) 및 제3 지지대(343)는 'ㄷ'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시(200)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부재(4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대(341)는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의 하부면의 세로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지지대(343)는 상기 제4 측벽(140)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4 측벽(140)의 상부면의 세로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 지지대(341) 및 제3 지지대(343)는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의 상부면 및 하부면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지지대(342)는 상기 제3 지지대(343)가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제4 측벽(140)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4 측벽(140)의 측면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부재(420)의 형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강도 보강부재(420)의 크기는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340)의 내부 구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도 보강부재(420)는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34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원통형의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강도 보강부재(420)가 상기 샤시(200)의 제1 내지 제3 지지대(341,342,343) 사이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샤시(200)가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강도 보강부재(420)가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3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몰드 프레임(100)의 인서트 사출 공정에 의하여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340)에 접하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420)가 상기 샤시(200)의 제1 내지 제3 지지대(341,342,343)와 접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340)을 지지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수납장치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샤시(200)의 제4 측벽(340)의 구조 및 강도 보강부재(420)의 설치는 상기 샤시(200)의 제1 내지 제3 측벽(210,220,23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강도 보강부재(42)는 상기 도 3과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 및 방법으로 상기 몰드 프레임(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상기 실시예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에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예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니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 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강도 보강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강도 보강부재가 접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샤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형태의 샤시에 강도 보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9)

  1. 표시장치가 수납되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샤시; 및
    상기 샤시의 내부에 설치된 강도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하는 측벽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상기 샤시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단면의 형태가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수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상기 샤시의 제1 지지대 내지 제3 지지대와 접하도록 설치된 수납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상기 샤시의 제3 지지대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수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접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샤시에 고정된 수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재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원료물질에 의하여 상기 샤시에 고정된 수납장치.
KR2020070014533U 2007-08-31 2007-08-31 수납장치 KR200900021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533U KR20090002199U (ko) 2007-08-31 2007-08-31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533U KR20090002199U (ko) 2007-08-31 2007-08-31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99U true KR20090002199U (ko) 2009-03-04

Family

ID=4150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533U KR20090002199U (ko) 2007-08-31 2007-08-31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1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43B1 (ko) * 2009-10-06 2012-03-23 (주)청호시스템 수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43B1 (ko) * 2009-10-06 2012-03-23 (주)청호시스템 수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2410B1 (en) Display device
US8905617B2 (en) Display apparatus
US759474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2725412B1 (en) Supporter of diffuser plate in backlight unit
US8786801B2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467011B2 (en) Display device
US7762709B2 (en) Backlight module
US8902376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698974B2 (en) Receiv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he same
KR20150017444A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4156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8008989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US8174644B2 (en) Liquid crystal module
KR10063748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02199U (ko) 수납장치
KR200467525Y1 (ko) 수납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77156A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US10641948B2 (en) Frame assembly and display device
KR1015906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1446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893062B1 (ko) 수납장치
KR20070076902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수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JP2009238397A (ja) 照明装置、液晶装置、電子機器
KR100907179B1 (ko) 수납장치
KR101495209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