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119A -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119A
KR20090002119A KR1020070059395A KR20070059395A KR20090002119A KR 20090002119 A KR20090002119 A KR 20090002119A KR 1020070059395 A KR1020070059395 A KR 1020070059395A KR 20070059395 A KR20070059395 A KR 20070059395A KR 20090002119 A KR20090002119 A KR 2009000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service request
service
request message
financi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5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119A/ko
Publication of KR2009000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19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 제공사, 교통 카드사 등의 금융 기관 전분야에 대하여 지원할 수 있는 통합된 하나의 VM(Virtual Machine)을 이동 단말 내에 탑재하여 각 금융 기관마다 별도의 VM을 이용하지 않고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기관 전분야에 대한 이체, 결제, 계좌조회, 공과금 납부 등 금융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을 이용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을 통하여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은, 복수의 금융 기관들에 대한 융합된 모바일 뱅킹을 지원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VM)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합 VM, 금융 기관, 모바일 뱅킹, 금융 융합 서버

Description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tal Mobile Banking Service of Finance Through Unified VM in Mobile Station}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은행 접속의 경우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드사 접속의 경우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증권사 접속의 경우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멤버십 포인트 제공사 접속의 경우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융합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설명 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이동 단말
220: 기지국
230: 코어망
240, 250, 260, 270: 금융 기관 서버
280: 금융 융합 서버
290: 과금 서버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 제공사, 교통 카드사 등의 금융 기관 전분야에 대하여 지원할 수 있는 통합된 하나의 VM(Virtual Machine)을 이동 단말 내에 탑재하여 각 금융 기관마다 별도의 VM을 이용하지 않고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기관 전분야에 대한 이체, 결제, 계좌조회, 공과금 납부 등 금융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을 이용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을 통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인터넷을 접속한 후 해당 금융 기관이 지원하는 VM을 구동하여야만 한다. 도 1과 같 이,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membership) 제공사, 교통 카드사 등 금융 기관들은 각기 다른 VM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에 이들을 다운받아 해당 금융 기관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은행 A가 제공한 VM을 이용하여 은행 A의 서버에 접속하여 타행 이체 서비스를 이용한 후, 유사한 금융 서비스를 은행 B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다시 은행 B가 제공한 VM을 이용하여 은행 B의 서버에 접속하여 이체, 결제, 계좌조회, 공과금 납부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을 통하여 서로 다른 금융 기관에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각 금융 기관의 VM을 구동하는 과정과 각 VM을 통하여 이체, 결제, 계좌조회, 공과금 납부 등 금융 거래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 등이 상호 연계성 없이 별도로 진행됨으로써,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위와 같은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번거롭고 복잡한 과정을 이용하기 어렵고 무선 인터넷 과금에도 부담을 가지므로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들어,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 등을 단말에 탑재하여 모바일 뱅킹 등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작고 간단한 칩에 다양한 종류의 애플릿(applet)을 저장하여 종래 보다는 좀더 편리한 환경에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칩 탑재 방식이 칩 관점에서는 하나로 융합되는 형태이기는 하지만, 이때에도 각 금융 기관의 VM을 별도로 칩에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기는 마찬가지이므로 위와 같이 사용자는 번거롭고 복잡한 과정과 무선 인터넷 과금의 부담을 가지면서 모바 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을 이용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 제공사, 교통 카드사 등의 금융 기관마다 별도의 VM을 이용하지 않고, 통합된 하나의 VM을 이동 단말 내에 탑재하여 금융기관 전분야에 대하여 이체, 결제, 계좌조회, 공과금 납부 등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통합된 하나의 VM을 탑재한 이동 단말로부터의 모든 모바일 뱅킹 관련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여 해당 금융기관으로부터 서비스 관련 금융 전문을 이동 단말로 제공하도록 중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단말을 통하여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은, 복수의 금융 기관들에 대한 융합된 모바일 뱅킹을 지원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 인터넷 플랫폼과 연동하는 VM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후에, 다른 금융기관 서버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경우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없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금융 기관 ID, 사용자 ID,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신청 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융 전문은 상기 서비스 신청 내역에 대한 정상 처리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처리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금융기관 서버 간의 금융 서비스를 중계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해당 금융 기관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금융전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금융 전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 금융기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생성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금융 전문을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금융 기관들의 서로 다른 각 금융전문을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 른 단말은, 금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수단; 및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단은 복수의 금융 기관들에 대한 하나의 융합된 모바일 뱅킹 지원 수단이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단은 상기 금융 전문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단은, 각 금융기관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해당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금융 전문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금융기관 서버 간의 금융 서비스를 중계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해당 금융 기관을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금융전문을 수신하는 금융기관 접속부; 및 상기 금융 전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문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 금융기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생성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문 전송부는 복수의 금융 기관들의 서로 다른 각 금융전문을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210), 기지국(220), 코어망(core network)(230), 은행 서버(240), 신용카드 서버(250), 증권 서버(260), 멤버십 서버(270), 금융 융합 서버(280) 및 과금 서버(2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200)은 금융 융합 서버(28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210)과 은행 서버(240), 신용카드 서버(250), 증권 서버(260), 멤버십 서버(270) 등과 같은 금융기관 서버 간의 금융 서비스를 중계함으로써 금융 전분야에 대하여 통합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융기관 서버로는 위에서 열거한 서버들 이외에도 대중 교통 이용에 사용되는 교통 카드, 학교 내외에서 결제 등에 이용되는 학생 카드, 우체국 현금 카드 등 사용자의 금융 관련 업무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모든 서버들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210)은, 예를 들어, WCDMA( Wideband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각 금융 기관을 통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210)은, 모바일 뱅 킹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복수의 금융 기관들에 대한 융합된 모바일 뱅킹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의 융합 VM만을 탑재하여,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사 등 금융 기관 전분야에 대한 모바일 뱅킹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10)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융합 VM이 구동되고, 이때 사용자가 이체, 계좌조회, 거래 내역 조회, 공과금 납부, 대출 조회 등의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융합 VM은 해당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융 융합 서버(280)에서는 이동 단말(210)이 전송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어느 금융 기관에 대한 서비스 요청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 전송한다. 금융 융합 서버(280)가 전송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는 해당 서비스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금융전문을 만들어 금융 융합 서버(280)로 보낸다. 금융 융합 서버(280)는 금융전문을 수신하면 이를 이동 단말(210)의 상기 융합 VM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210)의 상기 융합 VM은 수신되는 금융전문을 처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융합 VM을 통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210)은 WCDMA 등 이동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이외에도, 이동 단말(210)은 기지국(220)의 중계를 받아 통화, 디지털 방송, 디지털 미디어 스트리밍, 다운로드 및 업로드 등의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기지국(220)과 코어망(230) 사이에는, 통신 상에서 발생하는 서킷 트래픽(circuit traffic) 또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 트래픽(packet traffic) 등이 해당 위치의 목적지 이동 단말, 유선 전화, 응용서버 등으로 적절히 송수신 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무선 자원의 스케줄링에 따른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 및 셀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핸드오프(handoff) 기능 등을 수행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 제어기)가 있으나 편의상 도 2에 도시하지 않았다. 여기서 코어망(230)은 WCDMA 등 이동 통신망이 인터넷과 연결된 통합된 망을 의미하며 나아가서 일반 유선 공중망이나 휴대 인터넷망 등이 결합된 망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융합 VM을 통한 금융 기관 전 분야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210)은 한번 어느 금융 기관 서버와의 모바일 뱅킹을 처리한 후에, 연속하여 다른 금융기관과의 모바일 뱅킹을 위하여, 해당 금융 기관이 제공한 새로운 VM을 구동할 필요없으며, 동일한 상기 융합 VM을 다시 이용하여 필요한 다른 금융기관 서버로 해당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금융 융합 서버(280)로부터 이에 응답하는 해당 금융 전문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융 기관마다 별도의 VM을 이용하지 않고, 융합된 하나의 VM을 이동 단말(210) 내에 탑재하여 금융기관 전분야에 대하여 금융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러 금융 기관에 대하여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게 하고 과금 서버(290)에서 산출되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도 줄어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지향적인 서비스가 가능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동 단말(210)로부터 각 금융 기관에 대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융합된 하나의 VM을 통하여 상호 연계성 있게 유사하고 편리한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금융 융합 서버(280)는 각 금융기관으로 접속하여 해당 금융 전문의 요청과 수신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210)과 각 금융기관 간의 서비스 처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중계할 수 있다.
도 2의 이동 단말(210)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300)의 내부 구성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300)은 제어부(310), 통신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 금융 융합 VM(350), 및 메모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이동 단말(300)의 위와 같은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에 해당하고, 위와 같은 구성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통신부(320)는 WCDMA, IMT-2000, 휴대 인터넷 등의 규격에 따른 통화, 디지털 방송 시청, 디지털 미디어 스트리밍, 다운로드 및 업로드 등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마이크, 스피커,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나 이들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모두 포함하며, 사용자가 음성 통화나, 데이터 패킷 서비스 등을 받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수단들을 통칭한다.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은 각 이동 통신사에서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수단인 BREW, GVM, SKVM, MAP, KVM 등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 무선 인터넷 지원 수단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은 무선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드, 스트리밍 등을 지원하며, 이동 단말 내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자원을 운영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관련 데이터의 관리나 실행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중간의 미들웨어적인 성격을 가지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 관련한 지원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금융 융합 VM(350)은 이동 단말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때, 금융 기관과의 금융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수단으로서, 특히,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사 등 다양한 금융 기관들에 대하여 융합된 금융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금융 기관 마다 별도의 VM을 구동하지 않고 단 하나의 VM만으로 모바일 뱅킹을 지원한다. 금융 융합 VM(350)을 위하여 각 금융 기관이나 통신사 서버로부터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금융 융합 VM(350)은 이와 같이 다운로드형 프로그램 형태 로 소정 저장 수단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과 연동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이용될 때마다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금융 융합 VM(350)을 위한 프로그램은 메모리(360)에 저장되어 사용되거나, 제어부(310)의 프로세서의 한 부분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의 한 부분으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360)는 이동 단말(210)에 설치된 소정 소켓 등에 탈부착이 가능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태그 칩, 스마트 카드 칩 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10)에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후 모바일 뱅킹을 시작할 때, 금융 융합 VM(350)이 구동되어 도 4의 411, 도 5의 421, 도 6의 431, 도 7의 44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화면과 같이 각 금융 기관에 대한 금융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대상으로서, 예를 들어, 도 4의 411과 같이 은행 접속을 선택하면, 도 4의 412와 같이 국민은행, 외환은행, 신한은행,...등 지원되는 각 금융기관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해당 거래 은행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 받고자하는 은행을 선택하면 도 4의 413과 같이 각 은행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금융 서비스로서 이체, 잔액 조회, 기간별 내역조회, 대출조회나 상환, 공과금 납부, 공제 조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융 서비스의 종류는 각 금융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나, 유사한 금융 기관에 대해서는 동일한 형태의 금융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의 421과 같이 카드 접속인 경우에는, 도 5의 422와 같이 BC 카드, 삼성 카드, 현대 카드,...등 지원되는 각 신용 카드사에 공통적인 금융 서비스로서, 도 5의 423과 같이 카드 이용 내역 조회, 현금 서비스, 스피드 론(loan), 결제 등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의 431과 같이 증권 접속인 경우에는, 도 6의 432와 같이 우리투자증권,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지원되는 각 증권사에 공통적인 금융 서비스로서, 도 6의 433과 같이 보유 계좌 조회, 송금, 입금, 보유 주식/선물 조회 등이 지원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7의 441과 같이 멤버십 접속인 경우에는, 도 7의 442와 같이 KTF, SKT, LGT, CGV, 신세계,...등 멤버십 포인트제를 운용하는 매장이나 쇼핑몰 등 각 사에 공통적인 금융 서비스로서, 도 7의 443과 같이 현재 포인트 조회, 포인트 사용 내역 조회, 포인트 결제 등이 지원될 수 있다.
도 4의 413, 도 5의 423, 도 6의 433, 도 7의 443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면, 금융 융합 VM(350)은 해당 금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금융 융합 서버(280)로 전송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금융 기관 ID, 사용자 ID,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신청 내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금융 기관 ID는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 카드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고, 사용자 ID는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주민번호 등 각 금융기관에 등록되어 인증에 사용되는 정보이며, 서비스 종류는 413, 423, 433, 443과 같은 금융 서비스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이고, 서비스 신청 내역은 계좌번호 또는 카드번호 등 해당 서비스의 구체적인 처리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서비스 신청 내역에는 계좌번호(또는 카드번호) 이외에도, 예를 들어, 이체의 경우에 상대 계좌 번호와 이체 금액, 기간별 내역 조회인 경우에 요청 기간, 예를 들어, 1개월, 2개월, 3개월 등, 대출 상환인 경우에 해당 대출 계좌 번호와 상환 금액, 공과금 납부인 경우에 해당 지로 번호와 납부 금액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잔액 조회, 대출 조회, 공제 조회 등과 같이 부가 정보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서비스 신청 내역에 대한 정보로서 계좌번호(또는 카드번호)만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금융 융합 VM(350)이 해당 금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면, 제어부(310)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통신부(320)를 통하여 해당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금융 융합 서버(280)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금융 기관에 접속하여 금융 전문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금융 융합 서버(280)가 해당 금융 기관으로부터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경우에, 이를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의 금융 융합 VM(350)은 해당 금융 기관으로부터 수신하는 금융 전문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30)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해당 금융 전문에 따라 서비스 신청 내역에 대한 정상 처리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처리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융 융합 VM(350)은 이동 단말을 통하여 각 금융기관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해당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금융 전문을 처리하도록 동작한다.
도 2의 금융 융합 서버(280)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융합 서버(500)의 내부 구성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금융기관 서버 간의 금융 서비스를 중계하는 금융 융합 서버(500)는 메시지 수신부(510), 제어부(520), 금융 기관 접속부(530) 및 전문 전송부(540)를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이동 단말의 금융 융합 VM(350)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메시지 수신부(510)는 이를 수신하게 된다. 제어부(520)는 금융 융합 서버(500)의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면서, 특히, 메시지 수신부(510)가 수신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금융 기관 ID를 참조하여 해당 금융 기관이 어디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520)가 해당 금융 기관을 확인하면, 제어부(520)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해당 금융기관으로 전송되도록 금융 기관 접속부(5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금융 기관 접속부(530)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부터 금융전문을 수신하게 된다.
금융 기관 접속부(530)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 2의 은행 서버(240), 신용카드 서버(250), 증권 서버(260), 멤버십 서버(270) 등 금융기관 서버들 중 의 한 서버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금융전문으로 생성하여 금융 기관 접속부(530)로 전송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금융기관 ID뿐만아니라,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사용자 ID, 서비스 종류, 서비스 신청 내역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해당 금융 기관의 서버는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주민번호 등 사용자 ID를 참조하면서 서비스 신청 내역에 포함된 해당 계좌번호 또는 카드번호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성공되면 해당 금융 기관의 서버는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신청 내역에 따라 은행 금융 서비스인 이체, 잔액 조회, 기간별 내역조회, 대출조회나 상환, 공과금 납부, 공제 조회 등을 처리하거나, 신용카드사 금융 서비스인 카드 이용 내역 조회, 현금 서비스, 스피드 론(loan), 결제 등을 처리하거나, 증권사 금융 서비스인 보유 계좌 조회, 송금, 입금, 보유 주식/선물 조회 등을 처리하거나, 멤버십 포인트사 금융 서비스인 현재 포인트 조회, 포인트 사용 내역 조회, 포인트 결제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당 금융 서비스를 처리한 금융 기관의 서버는, 상기 인증 과정에서의 실패나 서비스 처리 중에 기기 장애 등으로 인한 처리 오류 시에 처리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 예를 들어, '비밀 번호를 확인해 주십시오.', '거래은행이 현재 서비스 장애 중입니다.' 등을 포함하는 금융전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금융 서비스를 처리한 금융 기관의 서버는, 상기 인증 과정과 서비스 처리가 모두 정상적인 경우에, 해당 서비스 신청 내역에 대한 정상 처리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 예를 들어, '일금 5만원이 계좌번호 ***-*****-****로 정상 이체되었습니다.', '최근 1개월간의 거래 내역 조회 결과입니다.(내역 리스트 포함)' 등을 포함하는 금융전문을 생성할 수 있다.
해당 금융 기관의 서버가 위와 같은 금융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금융전문으 로 생성하여 금융 기관 접속부(530)로 전송하면, 제어부(520)는 해당 금융 전문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전문 전송부(540)를 제어한다. 전문 전송부(540)는 해당 금융 기관의 서버로부터 받은 금융 전문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금융 융합 VM(350)이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금융 기관들마다 서로 다른 금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금융 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금융 전문의 형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각 금융 기관 서버로부터의 금융 전문들이 금융 융합 VM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문 전송부(540)는 이와 같은 금융 전문들에 포함된 의미있는 고유 정보, 예를 들어, 이체금액, 결제금액, 기간별 사용 내역 리스트 등을 추출하고, 이러한 고유 정보가 포함된 소정 금융 전문을 금융 융합 VM(350)에서 인식될 수 있는 통일된 포맷, 예를 들어, 무선인터넷을 위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200)의 동작을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2와 같은 이동 단말(210)에서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후 모바일 뱅킹을 시작할 수 있다(S61). 이때, 무선 인터넷 플랫폼(340)과 연동하는 금융 융합 VM(350)이 구동되어 도 4의 411, 도 5의 421, 도 6의 431, 도 7의 44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화면과 같이 각 금융 기관에 대한 금융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62). 이때 사용자가 금융 서비스 대상으로서, 예를 들어, 은행 접속을 선택하면, 412와 같이 국민은행, 외환은행, 신한은행,...등 지원되는 각 금융기관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해당 거래 은행을 선택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가 서비스 받고자하는 금융기관을 선택한 후 413과 같이 각 금융기관에서 지원되는 금융 서비스들 중 어느 한 금융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S63).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각 금융 기관에서 지원하는 금융 서비스는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이들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여 413과 같은 화면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은행의 경우에 이체, 잔액 조회, 기간별 내역조회, 대출조회나 상환, 공과금 납부, 공제 조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각 신용 카드사의 경우에 도 5의 423과 같이 카드 이용 내역 조회, 현금 서비스, 스피드 론(loan), 결제 등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증권사의 경우에 도 6의 433과 같이 보유 계좌 조회, 송금, 입금, 보유 주식/선물 조회 등이 지원될 수 있다. 그리고, 멤버십 포인트제를 운용하는 매장이나 쇼핑몰 등 각 사인 경우에 도 7의 443과 같이 현재 포인트 조회, 포인트 사용 내역 조회, 포인트 결제 등이 지원될 수 있다.
도 4의 413, 도 5의 423, 도 6의 433, 도 7의 443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의 금융 융합 VM(350)은 해당 금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금융 융합 서버(280)로 전송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금융 기관 ID, 사용자 ID, 서비스 종류, 및 서비스 신청 내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320)를 통하여 해당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된다(S65). 특히, 서로 다른 금융기관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른 VM이 기동되지 않으며, 금융 융합 VM(350)은 모든 금융기관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해당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금융 전문을 처리하도록 동작한다.
사용자 단말의 금융 융합 VM(350)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금융 융합 서버(280)의 메시지 수신부(510)는 이를 수신하고, 금융 융합 서버(280)의 제어부(520)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금융 기관 ID를 참조하여 해당 금융 기관이 어디인지를 확인한다(S66). 제어부(520)가 해당 금융 기관을 확인하면, 제어부(520)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해당 금융기관으로 전송되도록 금융 기관 접속부(5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금융 기관 접속부(530)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 전송한다(S67).
금융 기관 접속부(530)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 2의 은행 서버(240), 신용카드 서버(250), 증권 서버(260), 멤버십 서버(270) 등 금융기관 서버들 중 의 한 서버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금융전문으로 생성하여 금융 기관 접속부(530)로 전송한다(S68). 이와 같은 해당 금융 서비스를 처리하는 금융 기관의 서버는, 상기 인증 과정에서의 실패나 서비스 처리 중에 기기 장애 등으로 인한 처리 오류 시에 처리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금융전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금융 기관의 서버는, 상기 인증 과정과 서비스 처리가 모두 정상적인 경우에, 해당 서비스 신청 내역에 대한 정상 처리 결과를 알리는 메 시지를 포함하는 금융전문을 생성할 수 있다.
해당 금융 기관의 서버가 위와 같은 금융 서비스의 처리 결과를 금융전문으로 생성하여 금융 기관 접속부(530)로 전송하면, 금융 융합 서버(280)의 전문 전송부(540)는 해당 금융 기관의 서버로부터 받은 금융 전문을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금융 융합 VM(350)이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는 WAP 등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69).
이에 따라, 이동 단말의 금융 융합 VM(350)은 수신하는 금융 전문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30)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해당 금융 전문에 따라 서비스 신청 내역에 대한 정상 처리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처리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은행, 신용카드사, 증권사, 멤버십 제공사, 교통 카드사 등의 금융 기관마다 별도의 VM을 이용하지 않고, 융합된 하나의 VM을 이동 단말 내에 탑재하여 금융기관 전분야에 대하여 이체, 결제, 계좌조회, 공과금 납부 등 금융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을 이용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에서는, 금융 융합 서버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 각 금융기관 간의 서비스 처리를 중계함으로써, 위와 같은 융합된 하나의 VM을 통하여 이동 단말로부터 각 금융기관으로의 금융 전문의 요청이 해당 금융 기관으로 전달되어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융합된 하나의 VM을 통한 금융기관 전 분야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지원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다가가는 고객지향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이에 따라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활성화가 확대되어 이동 통신사의 매출 창출에도 크게 기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단말을 통하여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금융 기관들에 대한 융합된 모바일 뱅킹을 지원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 인터넷 플랫폼과 연동하는 VM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후에,
    다른 금융기관 서버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경우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없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금융 기관 ID, 사용자 ID, 서비 스 종류, 및 서비스 신청 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전문은 상기 서비스 신청 내역에 대한 정상 처리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 또는 처리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방법.
  6. 사용자 단말과 금융기관 서버 간의 금융 서비스를 중계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해당 금융 기관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금융전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금융 전문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 금융기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생성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금융 전문을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금융 기관들의 서로 다른 각 금융전문을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방법.
  8. 금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수단; 및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금융기관 서버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단은 복수의 금융 기관들에 대한 하나의 융합된 모바일 뱅킹 지원 수단이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금융 전문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단은 상기 금융 전문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단은,
    각 금융기관에 대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해당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금융 전문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사용자 단말과 금융기관 서버 간의 금융 서비스를 중계하는 모바일 뱅킹 서 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부터 해당 금융 기관을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해당 금융기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금융전문을 수신하는 금융기관 접속부; 및
    상기 금융 전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문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각 금융기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생성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문 전송부는 복수의 금융 기관들의 서로 다른 각 금융전문을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059395A 2007-06-18 2007-06-18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2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395A KR20090002119A (ko) 2007-06-18 2007-06-18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395A KR20090002119A (ko) 2007-06-18 2007-06-18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19A true KR20090002119A (ko) 2009-01-09

Family

ID=4048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395A KR20090002119A (ko) 2007-06-18 2007-06-18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1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88B1 (ko) * 2011-11-03 2013-07-26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모듈형 공동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88B1 (ko) * 2011-11-03 2013-07-26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모듈형 공동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79189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post-sale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s
US89731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requests for tasks from unregistered devices
US76065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ata items for service requests
US200701070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ation of transactions
KR20150013950A (ko) 모바일 송금/결제
WO2013063446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nabling a downloadable service to access components in a mobile device
KR20030024893A (ko) 전자 지불 거래의 개시
CN103782317A (zh) Ad-hoc现金分配网络
US201001677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smart card
US92928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commands
KR20120138175A (ko)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가계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032048B2 (en) Method for top-up information and computer device
US10115092B1 (en) Service composi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 framework
KR20200097535A (ko) 쿠폰 소유권 기반 통합 쿠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02119A (ko)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금융 전분야의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142442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nabling a downloadable service to access components in a mobile device
KR20090002118A (ko) 이동 단말 내의 통합 vm을 통하여 가입자 전계좌에 대한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9246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utilizing an available balance in mobile money account while roaming
KR20120042254A (ko) 카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88288B1 (ko) 모듈형 공동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20040052133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및 시스템
Zmijewska et al. Towards a successful global payment system in mobile commerce
Tsalgatidou et al. Requirements for Mobile E-commerce
CN106940852A (zh) 一种账户信息的获取方法以及终端设备
Song Mobile Commerce and Wireless E-Business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