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413U -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 Google Patents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413U
KR20090001413U KR2020080001081U KR20080001081U KR20090001413U KR 20090001413 U KR20090001413 U KR 20090001413U KR 2020080001081 U KR2020080001081 U KR 2020080001081U KR 20080001081 U KR20080001081 U KR 20080001081U KR 20090001413 U KR20090001413 U KR 20090001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sty
specific
existed
book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510Y1 (ko
Inventor
오현자
Original Assignee
노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원 filed Critical 노정원
Priority to KR2020080001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1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에 관한 것으로, 특정 인물이 어느 왕조 어느 시대에 실존하였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특정인물이 존재하였던 시대, 왕명 또는 사건을 표시한 특정 인물표시부(A)와, 특정 인물의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책명과 그림을 나타낸 표시부(B)를 계보도로 나타내고, 상기 특정 인물표시부(A)와 표시부(B)를 점선으로 연결하여TJ 된 구성으로 특정 인물을 특정 왕조의 계보도에 점선으로 연결 표시하여 둠으로써 학습자가 특정 인물을 독서할 때에 어느 왕조 어느 시대에 실존하였는지를 미리 인식하거나 기억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이는 각별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Figure P2020080001081
왕조계보도, 삼국, 왕조, 이야기책, 학습효과

Description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A genealogical chart of dynasty of the three tribes in Korean Peninsula}
본 고안은 특정인물이 표기된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거 한반도에 실재하였던 고구려, 백제 및 신라 3국 왕조의 계보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특정 인물이 어느 특정 왕조에 실존했었는지를 표시해두고 그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하여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특정 인물에 관한 책은 특정 인물이 어느 시대 어느 왕조에 실존했었는지를 인식하거나 파악할 수 없이 단순한 특정 인물의 이야기책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그에 따라 종래 특정 인물에 관한 책은 특정인물이 실존했던 왕조와 시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학습할 수 없었다.
따라서 특정 인물이 실존하였던 왕조나 시대를 알고자 하면, 다시 백과사전이나 인물사전 또는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학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학습효율도 떨어져 동일한 내용을 학습하는데에도 시간과 노력이 과중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특정 인물에 관한 책으로는 특정 인물이 존재하였던 왕조와 시대를 학습할 수 없으므로 학습용으로는 부적절하므로 단지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 책으로밖에 역할을 하지 못하여 아동과 학생들의 학습효과가 낮다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이야기책의 학습 효과가 낮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왕조도 함께 기억하거나 암기할 수 있도록 특정인물이 표기되고 특정왕조계보도가 수록된 뛰어난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는 특정 인물이 어느 왕조 어느 시대에 실존하였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특정인물이 존재하였던 시대, 왕명 또는 사건을 표시한 특정 인물표시부(A)와, 특정 인물의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책명과 그림을 나타낸 표시부(B)를 계보도로 나타내고, 상기 특정 인물표시부(A)와 표시부(B)를 점선으로 연결하여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특정 인물을 특정 왕조의 계보도에 점선으로 연결 표시하여 둠으로써 학습자가 특정 인물을 독서할 때에 어느 왕조 어느 시대에 실존하였는지를 미리 인식하거나 기억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이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이 표기된 신라왕조계보도,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이 표기된 백제왕조계보도,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이 표기된 고구려왕조계보도,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는 특정 인물이 어느 왕조 어느 시대에 실존하였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특정인물이 존재하였던 시대, 왕명 또는 사건을 표시한 특정 인물표시부(A)와, 특정 인물의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책명과 그림을 나타낸 표시부(B)를 계보도로 나타내고, 상기 특정 인물표시부(A)와 표시부(B)가 점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삼국왕조계보도의 삼국왕조는 고구려, 백제, 신라 중 어느한 왕조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시도로서 이야기책의 뒷쪽(44p ∼ 45p)에 신라왕조계보도를 수록하고 특정 인물 박혁거세에 관한 이야기책이 3권째임을 병기한 것이고 도 2는 특정 인물인 '박혁거세'에 관한 이야기책을 수록한 책의 첫 페이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박혁거세'에 관한 이야기책의 뒷쪽(44p ∼ 45p)에는 '박혁거세'가 실존하였던 신라시대의 신라왕조계보도가 나타나 있고, 특 정 인물표시부(A)에는 "1.혁거세(B.C57 ∼ A.D4)"가 표기되어 있고, 이 특정 인물표시부(A)에 점선으로 박혁거세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표시부(B)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책을 사용하는 자는 신라시대의 신라왕조계보도를 보고 박혁거세가 실존하였던 시대와 신라왕조계보를 한눈에 보고 학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시도로서 이야기책의 뒷쪽(44p ∼ 45p)에 백제왕조계보도를 수록하고 특정 인물 온조왕에 관한 이야기책이 6권째임을 병기한 것이고 도 4는 특정 인물인 '온조왕'에 관한 이야기책을 수록한 책의 첫 페이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온조왕'에 관한 이야기책의 뒷쪽(44p ∼ 45p)에는 '온조왕'이 실존하였던 백제시대의 백제왕조계보도가 나타나 있고, 특정 인물표시부(A)에는 "1.온조왕(B.C18 ∼ A.D28)"가 표기되어 있고, 이 특정 인물표시부(A)에 점선으로 온조왕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표시부(B)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책을 사용하는 자는 백제시대의 백제왕조계보도를 보고 온조왕이 실존하였던 시대와 백제왕조계보를 한눈에 보고 학습할 수 있다.
제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시도로서 이야기책의 뒷쪽(44p ∼ 45p)에 고구려왕조계보도를 수록하고 특정 인물 동명왕(주몽)에 관한 이야기책이 4권째임을 병기한 것이고 도 6은 특정 인물인 '동명왕(주몽)'에 관한 이야기책을 수록한 책의 첫 페이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동명왕(주몽)'에 관한 이야기책의 뒷쪽(44p ∼ 45p)에는 '동명왕(주몽)'이 실존하였던 고구려시대의 고구려왕조계 보도가 나타나 있고, 특정 인물표시부(A)에는 "1.동명왕(주몽)(B.C37 ∼ B.C19)"가 표기되어 있고, 이 특정 인물표시부(A)에 점선으로 동명왕(주몽)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표시부(B)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책을 사용하는 자는 고구려시대의 고구려왕조계보도를 보고 동명왕(주몽)이 실존하였던 시대와 백제왕조계보를 한눈에 보고 학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를 특정 인물의 이야기책 앞쪽 또는 뒤쪽, 바람직하기로는 뒤쪽에 도시하고, 왕조 하단에는 서력기원을 부기하여 시대 표시를 하며, 실선 또는 점선으로 계보를 연결 정리한 다음 특정 인물의 사진과 이름이 기록된 특정 인물의 이야기책을 권수를 병기하여 표시한 후 점선으로 특정 왕명과 연결하여 특정 왕조의 계보도를 작성하고 상기 특정 인물의 이야기가 책으로 수록되어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를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 인물이 특정 왕조계보도를 통하여 어느 왕과 서력기원 어느 시대에 실존하였는지를 독서 전에 인식하거나 기억하여 파악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현저히 높이며 독서 의욕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지식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이 표기된 신라왕조계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이 표기된 백제왕조계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이 표기된 고구려왕조계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정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특정인물 표시부 B : 표시부

Claims (2)

  1. 특정 인물이 어느 왕조 어느 시대에 실존하였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특정인물이 존재하였던 시대, 왕명 또는 사건을 표시한 특정 인물표시부(A)와, 특정 인물의 이야기를 수록한 책의 책명과 그림을 나타낸 표시부(B)를 계보도로 나타내고, 상기 특정 인물표시부(A)와 표시부(B)를 점선으로 연결하여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반도 삼국왕조는 고구려, 백제, 신라 중 어느 한 왕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KR2020080001081U 2007-08-07 2008-01-24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KR200445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081U KR200445510Y1 (ko) 2007-08-07 2008-01-24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178 2007-08-07
KR2020080001081U KR200445510Y1 (ko) 2007-08-07 2008-01-24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13U true KR20090001413U (ko) 2009-02-11
KR200445510Y1 KR200445510Y1 (ko) 2009-08-06

Family

ID=4129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081U KR200445510Y1 (ko) 2007-08-07 2008-01-24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3664A (zh) * 2018-06-12 2020-10-27 宋雨宸 一种中国历史学习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074Y1 (ko) 2005-10-20 2006-01-10 오현자 접이식 학습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3664A (zh) * 2018-06-12 2020-10-27 宋雨宸 一种中国历史学习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510Y1 (ko)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lingham The reading mind: A cogni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how the mind reads
Rudwick The emergence of a visual language for geological science 1760—1840
Eisenchlas et al. The importance of literacy in the home language: The view from Australia
Roopnarine et al.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hildren's play
Morrow ‘To Set the Name’in the Deuteronomic Centralization Formula: A Case of Cultural Hybridity
Levin Encouraging ethical respect through multicultural literature
Duguid Is Jesus in the Old Testament?
KR200445510Y1 (ko) 한반도 삼국왕조계보도
Koet et al. Multiple teachers in biblical texts
KR20090099314A (ko)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
Richmond et al. Transfer of the method of loci, pegword, and keyword mnemonics in the eighth grade classroom
Karolides et al. Censored books: Critical viewpoints
KR101582341B1 (ko) 이미지 및 해설을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Dockrell et al. Distinguishing numeracy from literacy: Evidence from children’s early notations
Davidson et al. The impact of explicitly teaching vocabulary on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Baker Perceptions of bilinguals
Arthur et al. How to study your Bible
Walker THE NECESSITY OF NARRATIVE IN WILLIAM LEAST HEAT-MOON'S" BLUE HIGHWAYS" AND" PRAIRYERTH"
Lupino Taking place: The teacher in reading
KR101954424B1 (ko) 연상 기억 학습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용 스토리 북
Nadera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in a foreign language classroom
Sung et al. Extension: Rethinking Cultural Authenticity in Global Literature: A Korean Example
Korstad Education in Black and White: Myles Horton and the Highlander Center's Vision for Social Justice
Bushra et al.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Reading Skills by Using Cartoon Clips/Comic Strips in Saudi Context
Breckenridge et al. Lila Quintero Weaver's" Darkroom: a memoir in black and white": Envisioning E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