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298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298A
KR20090001298A KR1020070065563A KR20070065563A KR20090001298A KR 20090001298 A KR20090001298 A KR 20090001298A KR 1020070065563 A KR1020070065563 A KR 1020070065563A KR 20070065563 A KR20070065563 A KR 20070065563A KR 20090001298 A KR20090001298 A KR 20090001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ized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06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298A/en
Publication of KR2009000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2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apable of providing a menu item based on the selection number of each menu are provided to execute a specific item which is used for predetermined time. A keypad inputting part(110) inputs a menu selection of a mobile terminal. A memory part(130) stores the selection number of each menu is selected by a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keypad inputting part. A menu selection analyzing part(121) transmits the analyzed result of the preference of each menu to a personalized menu composing part(122) by using the selection number of each menu stored in the memory part(130). A display unit(140) displays a personalization menu composed from the personalized menu composing part.

Description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화 메뉴의 설정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personaliz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화 메뉴가 도시된 도면이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화 메뉴가 도시된 도면이다.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메모리부에 저장된 개인화 메뉴의 선택 횟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a personalization menu stored in a memor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키패드 입력부110: keypad input unit

120: 제어부120: control unit

121: 메뉴 선택 분석부121: menu selection analysis unit

122: 개인화 메뉴 구성부122: personalization menu component

123: 기간 설정부123: period setting unit

130: 메모리부130: memory

140: 디스플레이부140: display unit

본 발명은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메뉴의 사용 패턴에 맞춘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a menu item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of a personal menu.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 시키고, 정보화의 확산 선도 등을 통하여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변화 시키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 necessity of life for modern peop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hanging the life patterns of modern people 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and leading the spread of informatization.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한 기능들을 제공하여, 기존에 제공하던 전화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 벨소리 설정, 전화번호부 관리 등의 기능은 물론, MP3 감상, 동영상 재생, 웹(Web)을 통한 인터넷 사용, 메신저 사용, DMB TV시청, 게임 실행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functions for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such as functions such as telephone call, text message transmission, ringtone setting, and phonebook management, as well as MP3 viewing, video playback, and Web (Web). It provide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internet use, messenger use, DMB TV watching, and game play.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이와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메뉴가 구비되어 있으며, 다수의 메뉴를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효 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트리(tree) 구조로 구성하여, 상위 메뉴의 항목을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하위 메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nus for executing such various and complex functions, and has a tre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enus can be intuitively and effectively used by the user, and the upper menu is provided. By sequentially selecting the items, it is possible to finally select and execute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ubmenu.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에서 기본적으로 탑재하여 제공하는 메뉴 구조 형태의 방식을, 사용자가 그대로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탑재된 메뉴 방식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또는 개인의 기능 선호도에 따른 메뉴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메뉴 목록을 수정 및 등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used the method of the menu structure type basically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n order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menu system mounted on the basis of the convenience of use, or to optimize the menu according to the personal preference of the us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directly modify and register the menu list.

이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메뉴 항목을 직접 수정 및 등록하여야 하는 불편함 없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ew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utomatically register a frequently used menu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directly modify and register a menu i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기간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에 기초한 순서에 의하여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간대의 자신의 사용 패턴의 통계적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된 개인화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enu items in the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ach menu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u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sonalized menu constructed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of its own usage pattern in a desired time zone.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의 통계를 계산하기 위한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최근의 사용 패턴을 최대한 반영한 개인화 메뉴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a predetermined period for calculating the statistics of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menu that reflects the latest usage pattern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키에 개인화 메뉴가 매핑되어 표시되는 대신에, 특정 키에 직접 특정 메뉴 항목이 매핑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특정 항목이 별도의 메뉴의 선택 없이도 즉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being displayed by mapping a personalized menu to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mapping a specific menu item directly to a specific key, when a specific key is input, Its purpose is to allow certain items used most often in a time zone to be executed immediately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menu.

또한 본 발명은, 개인화 메뉴의 제공 시에 팝업(Pop-up)메뉴 또는 위젯(Widget) 메뉴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environment that maximizes efficiency by implementing a personalized menu in the form of a pop-up menu or a widget menu.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기간 동안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menu sel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ach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zon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onfiguring a personalized menu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각 메뉴의 선택 횟수 또는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ng each menu or the analysis resu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저장된 각 메뉴의 선택 횟수 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개인화 메뉴가 소정의 키패드에 매핑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nstructing a personalized menu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r analysis of each stored menu, and displaying the configured personalized menu mapped to a predetermined keypa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개인화 메뉴는 상기 각 메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소정의 배열 규칙에 기초하여 구성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ersonalized menu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nu configured based o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성된 개인화 메뉴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소정의 키패드에 매핑되어 실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personalized menu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executing the mapping to a predetermined keypad.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on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one, a CDMA-2000 (1X, 3X) phone, WCDMA ( Wideband CDMA phone, Dual Band / Dual Mode phone, Global Standard for Mobile (GSM) phone,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hone, Smart phone, Handheld devices that may include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held PC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WiBro terminals, MP3 players, MD players, etc. And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for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n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and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MT-2000) terminal that provides an extend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Code Divisio n Predetermined devices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quipped with GPS chips to enable location tracking via Multiplexing Access modules, Bluetooth modules, Infrared Data Association, wired and wireless LAN cards, and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t can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f, and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s interpreted as a concept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certain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 입력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메뉴 선택 분석부(121), 개인화 메뉴 구성부(122) 및 기간 설정부(123)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input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memory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menu selection analyzer 121, a personalized menu configuration unit 122, and a period setting unit 123.

키패드 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을 입력 받는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키패드 입력부(110)의 조작을 통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The keypad input unit 110 receives a menu sel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user may issue a comman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keypad input unit 110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키패드 입력부(110)는 후술하는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산출하기 위한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keypad input unit 110 may input a command for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ach menu to be described later.

메모리부(130)는 상기 키패드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에 의하여 각 메뉴가 선택되는 횟수를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부(130)는 각 메뉴가 시간대 별로 선택되는 횟수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지난 일주일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이용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130)에 지난 일주일 동안의 각 시간대 별로 각각의 메뉴가 선택되어 실행된 횟수가 저장된 다. 즉, 오전 9시에서 오전 10시 사이에 'MP3 감상' 메뉴가 1번, '게임 실행' 메뉴가 4번, '웹 실행' 메뉴가 5번 실행된 경우에, 각 시간대에 해당하는 각 메뉴의 실행 횟수가 모두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각 메뉴의 시간대별 사용 빈도에 대한 판단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130 stores the number of times each menu is selected by a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pad input unit 110. In this case, the memory unit 130 stores the number of times each menu is selected for each time zone. For example, when a personalized menu is configured and provided by us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for the last week, the memory 130 stores the number of times that each menu is selected and executed for each time period for the past week. All. In other words, if the 'MP3 Watch' menu is executed once, the 'Play Game' menu is executed 4 times, and the 'Web Launch' menu is executed 5 times between 9 AM and 10 AM, The number of executions is all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and may be used as the judgment data about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메뉴 선택 분석부(121)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이용하여 각 메뉴의 선호도의 분석 결과를 개인화 메뉴 구성부(122)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각 메뉴의 선호도 분석 결과를 메모리부(130) 측으로 전달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기간 동안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분석한다.The menu selection analyzer 121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ference of each menu to the personalized menu configuration unit 122 by us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stored in the memory 130. In addition, the preference analysis result of each menu may be transferred to the memory 130 to be stored. That is,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ng each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zone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is analyzed.

기간 설정부(123)는 상기 메뉴 선택 분석부(121)에서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이용한 선호도 분석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키패드 입력부(110)로부터 수신하여, 소정의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통계 내기 위한 기간을, 지난 하루 동안, 지난 일주일, 지난 한달 또는 소정의 기간 등으로 정할 수 있다.The period setting unit 123 may receive a command from the keypad input unit 110 to calculate a preference analysis result us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in the menu selection analyzer 121, and set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a period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ach menu may be set as a past day, past week, past month, or a predetermined period.

개인화 메뉴 구성부(122)는 상기 메뉴 선택 분석부(121)로부터 수신한 각 메뉴의 선호도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개인화 메뉴라 함은, 각 메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소정의 배열 규칙에 기초하여 구성된 메뉴를 말한다. The personalization menu configuration unit 122 configures a personalization menu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ference of each menu received from the menu selection analysis unit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ized menu refers to a menu configured based o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개인화 메뉴 구성부(122)에서 구성된 개인화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부(140)에서 표시되는 개인화 메뉴는 사용빈도 순 서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140 displays a personalization menu configured in the personalization menu configuration unit 122. In the personaliza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a function li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이와 같은 개인화 메뉴는 기존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인터페이스로서 널리 사용되는 바와 같이, 키패드 입력부(110)에 구현된 숫자 키패드 번호 및 그에 해당하는 기능이 표시되는 목록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키패드 입력부(110)에 구현된 내비게이션 키패드 및 입력 명령 키패드에 의해서 선택이 가능한 팝업(Pop-up) 메뉴, 또는 위젯(Widg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위젯이라 함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형태의 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UI)를 말한다.Such a personalized menu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ist in which a numeric keypad number implemented in the keypad input unit 110 and a corresponding function are displayed, as is widely used as a menu interf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keypad input unit 110.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p-up menu or a widget that can be selected by the navigation keypad and the input command keypad implemented in the). In this case, the widget refers to a small user interface tool (UI) in the form of a graphic displayed on the display.

즉,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 입력부(110)를 통하여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통계 내기 위한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면, 메뉴 선택 분석부(121)는 상기 소정의 설정 기간 동안 상기 키패드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분석하고, 개인화 메뉴 구성부(122)는 수신한 각 메뉴의 선호도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개인의 각 메뉴 사용 빈도에 따라 개인화 메뉴를 구성한다.That is, when the user sets a predetermined period for statistically count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through the keypad input unit 110, the menu selection analysis unit 121 performs the keypad input unit 110 during the predetermined setting period. After analyz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to be input, the personalized menu configuration unit 122 configures a personalized menu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of the individual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ceived preference of each menu.

예를 들어, 개인화 메뉴의 환경 설정의 기간을 일주일 동안으로 설정한 경우, 일주일 동안의 소정의 모든 시간대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1시간 단위로 통계를 내어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저장된 시간대별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에 따른 순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개인화 메뉴는, 키패드의 '#' 버튼 등의 단축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팝업 메뉴 또는 위젯 메뉴 등을 통하여 해당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의 순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한다. 즉, 지난 한 주 동안, 오후 9시에서 오후 10시 사이에 'MP3감상'을 1번, '게임 실행'을 4번, '웹 실행'을 5번 실행한 경우에는, 개인화 메뉴 단축 버튼인 '#' 버튼을 입력하면, 위젯 메뉴에 '웹 실행', '게임 실행', 'MP3감상'의 순서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uration of the personalization menu is set to one week,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all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s during the week is counted in one-hour increments to the memory unit. Save it. The order according to the most used menu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is analyzed by us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for each time zone, and a personalized menu is configured based on this. When the shortcut button such as the '#' button of the keypad is input, the personalized menu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menu most used at the corresponding time period through the pop-up menu or the widget menu. In other words, in the past week, if you played 'MP3 Watch' once, 'Play Game' four times, and 'Web Launch' five times between 9 PM and 10 PM, the personalization menu shortcut button ' If you enter the # 'button, the widget menu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Web Launch ',' Game Launch ', and' MP3 Watch '.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menu most frequently used in the time zon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o be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화 메뉴의 설정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personaliz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입력부를 통한 명령의 입력에 의하여, 개인화 메뉴 환경 설정이 가능하다. 개인화 메뉴 환경 설정(210)은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화 메뉴의 소정의 키패드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분석하기 위한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personalization menu environment may be set by inputting a command through the keypad input unit. In more detail, the personalization menu environment setting 210 may set a predetermined period for analyz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input through a predetermined keypad input unit of the personalization menu.

즉, 사용자는 1달, 1주, 2주 및 1일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간 설정(211)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nd set the period setting 211 basically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one month, one week, two weeks, and one day.

따라서, 사용자는 장기적인 기간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1일 또는 1주 등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제공 받도록 설정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의 통계적 결과에 따라 개인화 메뉴를 제공받거나, 최근의 사용 패턴에 따라 맞춘 개인화 메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may set the personalization menu to be provided based on the selection input of each menu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provide the personalization menu based on the selection input of each menu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such as one day or one week. By setting to receive, a personalized menu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statistical result of a user's usage pattern, or a personalized menu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recent usage pattern.

특히, 개인화 메뉴 환경 설정(210)에 사용자가 직접 기간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간 설정 입력창(21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설정'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기간 설정 입력창(212)에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 버튼을 입력 하여 직접 기간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최근의 사용패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정을 통하여, 각 개인의 시간대별 및 사용 빈도별 개인화 메뉴의 개인 맞춤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a predetermined period setting input window 212 may be provided to allow a user to directly enter and set a period in the personalized menu environment setting 210. That is, when 'user setting' is selected, a period may be directly input by inputting a numeric button provided on the keypad in the period setting input window 21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ized service of a personalized menu for each individual time zone and frequency of use through more detailed setting of the user's recent usage pattern.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화 메뉴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화 메뉴가 도시된 도면이다.3A illustrates a personaliz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llustrates a personalization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메뉴는 위젯 메뉴 또는 팝업 메뉴의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개인화 메뉴는 각 메뉴의 시간대별 및 사용 빈도별 분석 결과를 이용한 배열 규칙에 의하여 구성 된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시켜서 사용하는 현재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개인화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the personalization menu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idget menu or a popup menu. The personalization menu is configured by the arrangement rule using the analysis result by time zone and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That is, a personalization menu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zone used by the use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상기와 같은 개인화 메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입력부(110)에 구현된 내비게이션 키패드 및 입력 명령 키패드에 의해서 선택이 가능한 팝업(Pop-up) 메뉴, 또는 위젯 메뉴(31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키(미도시)를 이용하여 개인화 메뉴의 항목을 이동시키고 확인 키(미도시) 등을 입력하여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 및 실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personalization menu is in the form of a pop-up menu or a widget menu 310 selectable by the navigation keypad and the input command keypad implemented in the keypad input unit 110. Can be implemented. In this case, an item of the personalization menu may be moved using a navigation key (not shown), and a confirmation key (not shown) may be input to select and execute the corresponding menu item.

또한,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인터페이스로서 널리 사용되는 바와 같이, 키패드 입력부에 구현된 숫자 키패드 번호 및 그에 상응하는 기능이 표시되는 목록의 형태(320)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widely used as a menu interface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3B, the keypad 3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ist 320 in which a numeric keypad number implemented in the keypad input unit and a corresponding function are displayed. .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인화 메뉴의 환경 설정에서의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 고 개인화 메뉴 실행 버튼을 입력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메뉴(330) 형태의 개인화 메뉴의 항목이 표시된다. 즉, 기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된 'MP3감상', '메모', '카메라 촬영' 등의 항목이 사용 빈도에 따라서 표시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preference of the personalization menu and inputs a personalization menu execution button, as shown in FIG. 3B, an item of the personalization menu in the form of a widget menu 330 is displayed. . That is, items such as 'MP3 watch', 'memo', and 'camera shoot' which are most used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메모리부에 저장된 개인화 메뉴의 선택 횟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으로, 특히 지난 하루(24시간) 동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항목을 사용한 결과를 1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a personalized menu stored in a memor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result of using the menu i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last day (24 hours) is divided by the unit of 1 hour. The figure is show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개인화 메뉴의 선택 횟수 데이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 및 사용 가능한 메뉴 항목(410),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항목의 사용 결과가 소정의 시간 단위(420)로 구분되어 저장된다.As shown in FIG. 4, the selection count data of the personalization menu stored in the memory unit includes a menu item 410 that can be selected and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sult of using the menu i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 420).

예를 들어, 16시에서 17시 사이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화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간대에 실행된 메뉴 항목은 카메라촬영(430) 항목이 총 4회, 웹 항목의 총 실행 횟수인 1회 및 기타 메뉴 항목의 실행 횟수는 0회 등이므로, 메뉴 항목의 실행 횟수 순으로 카메라 촬영(430), 웹, 기타 항목 등의 순서로 개인화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다.For example, when the personalization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ecuted between 16:00 and 17:00, the menu item executed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is 4 times for the camera shooting 430 items and 1 for the total number of execution of the web items. Since the number of times of execution of the menu item and other menu items is 0, etc., the personalized menu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execution of the menu item in the order of camera shooting 430, the web, and other items.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부를 통한 메뉴 선택을 입력 받는다(S510). 즉, 사용자는 이동통 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키패드 입력부(110)의 조작을 통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menu selection through a keypad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510). That is, a user may issue a comman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keypad input unit 110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메뉴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이전에,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이 먼저 선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통계 내기 위한 기간을, 지난 하루 동안, 지난 일주일, 지난 한달 또는 소정의 기간 등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number of selection of each menu, a process of inputting a command for setting a predetermined period may be preceded before the step of receiving the menu selecti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period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ach menu may be set for the past day, the past week, the past month, or a predetermined period.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메뉴가 선택되는 횟수를 저장한다(S52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기간 동안 각 메뉴가 시간대 별로 선택되는 횟수를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난 일주일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이용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지난 일주일 동안의 각 시간대 별로 각각의 메뉴가 선택되어 실행된 횟수가 저장된다.Thereafter, the number of times each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lected is stored (S520). More specifically, the number of times each menu is selected for each time period is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se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a personalized menu is configured and provided us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for the last week, the number of times each menu is selected and executed for each time period for the past week is stored.

이와 같이 저장된 소정의 기간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분석한다(S530). 또한, 상기 저장된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이용하여 각 메뉴의 선호도의 분석하고, 각 메뉴의 선호도 분석 결과를 메모리부 측으로 다시 전달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ach menu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analyzed (S530). In addition, the preference of each menu may be analyzed us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the stored menus, and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analysis of each menu may be transferred back to the memory unit to be stored.

이후, 상기와 같은 각 메뉴의 선호도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한다(S540). 본 발명에서 개인화 메뉴라 함은, 각 메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소정의 배열 규칙에 기초하여 구성된 메뉴를 말한다. Thereafter, a personalized menu is configured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ference of each menu as described above (S5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ized menu refers to a menu configured based o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이와 같이 구성된 개인화 메뉴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을 통한 명령에 의해 개인화 메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개인화 메 뉴를 디스플레이 한다(S550).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개인화 메뉴는 사용빈도 순서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목록이 표시된다. The personalization menu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isplays the personalization menu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executes the personalization menu by a command through a keypad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550). In the personalization menu displayed as above, the function li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이와 같은 개인화 메뉴는 기존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뉴 인터페이스로서 널리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숫자 키패드 번호 및 그에 해당하는 기능이 표시되는 목록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비게이션 키 및 입력 명령 키에 의해서 선택이 가능하도록 팝업(Pop-up) 메뉴, 또는 위젯(Widge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위젯이라 함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형태의 작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UI)를 말한다.Such a personalized menu is embodied in the form of a list in which a numeric keypad number and its corresponding function are displayed as is widely used as a menu interfa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can be selected by a navigation key and an input command key.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p-up menu or a widget. In this case, the widget refers to a small user interface tool (UI) in the form of a graphic displayed on the display.

즉,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통계 내기 위한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면, 상기 소정의 설정 기간 동안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저장 및 분석하고, 수신한 각 메뉴 선호도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개인의 각 메뉴 사용 빈도에 따라 개인화 메뉴를 구성한다. 따라서, 개인화 메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소정의 기간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에 기초한 순서에 의하여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는 소정의 시간대의 자신의 사용 패턴에 맞춘 개인화 메뉴를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user sets a predetermined period for statistics o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through the keypad, the user stores and analyzes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input through the keypad during the predetermined setting period, and receives each received number.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menu preferences, a personalized menu i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of the individual. Therefore, when a command for executing a personalized menu is input, the menu items are displayed in an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personalized menu according to his or her usage pattern 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t is possibl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키에 개인화 메뉴가 매핑되어 표시되는 대신에, 특정 키에 직접 특정 메뉴 항목이 매핑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특정 항목이 즉시 실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nstead of displaying a personalized menu mapped to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pecific menu item may be mapped and executed directly on the specific key. That is, when a specific key is input, the specific item most used 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can be executed immediately.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주일간에 사용된 메뉴 항목을 분석하여, 21시에서 22시 사이에 가장 많이 사용된 메뉴 항목이 '웹 실행' 항목인 경우, 21시에서 22시 사이에 사용자가 개인화 메뉴 실행 키를 입력하면, 즉시 '웹 실행' 항목이 실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alyzes a menu item used for a week, and the most used menu item is between 21 and 22 o'clock, the web launch item is used, the user is personalized between 2 and 21 o'clock. Entering the menu launch key will immediately launch the 'Web launch' ite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기간 동안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에 기초한 순서에 의하여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간대의 자신의 사용 패턴의 통계적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된 개인화 메뉴를 제공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items can be provided in an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user's usage pattern of the time zone in which the user wishes to use the mobile terminal. It can provide a personalized menu configu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의 통계를 계산하기 위한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최근의 사용 패턴을 최대한 반영한 개인화 메뉴를 제공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a predetermined period for calculating the statistics of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ized menu that reflects the latest usage pattern to the maximu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키에 개인화 메뉴가 매핑되어 표시되는 대신에, 특정 키에 직접 특정 메뉴 항목이 매핑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시간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특정 항목이 별도의 메뉴의 선택 없이도 즉시 실행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displaying a personalized menu mapped to a specific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pecific menu item may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being mapped directly to the specific key, so that when a specific key is input, The specific item most used at a given time can be executed immediately without selection of a separate menu.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화 메뉴의 제공 시에 팝업(Pop-up)메뉴 또는 위젯(Widget) 메뉴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p-up menu (widget) menu when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environment with the maximum efficiency.

Claims (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a menu sel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소정의 기간 동안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분석하는 단계; 및Analyz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zone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And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하는 단계Constructing a personalized menu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메뉴의 선택 횟수 또는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ach menu or an analysis resul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further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저장된 각 메뉴의 선택 횟수 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하는 단계Constructing a personalized menu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the stored menus or an analysis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성된 개인화 메뉴가 소정의 키패드에 매핑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Displaying the configured personalized menu mapped to a predetermined keypa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인화 메뉴는,The personalization menu, 상기 각 메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소정의 배열 규칙에 기초하여 구성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And a menu configured on the basis of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성된 개인화 메뉴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소정의 키패드에 매핑되어 실행되는 단계Executing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ed personalized menu mapped to a predetermined keypa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further comprising a.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을 입력 받는 키패드 입력부;A keypad input unit for receiving a menu sel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소정의 기간 동안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메뉴의 선택 횟수를 분석하는 메뉴 선택 분석부; 및A menu selection analyzer for analyz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zon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상기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개인화 메뉴를 구성하는 개인화 메뉴 구성부Personalization menu configuration unit for configuring a personalization menu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소정의 기간을 설정하는 기간 설정부A period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redetermined perio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각 메뉴의 선택 횟수 또는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부Memory unit for stor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r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menu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구성된 개인화 메뉴가 소정의 키패드에 매핑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configured personalized menu on a predetermined keypa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개인화 메뉴는,The personalization menu, 상기 각 메뉴의 사용 빈도에 따라 소정의 배열 규칙에 기초하여 구성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메뉴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personalized menu, characterized in that the menu is configured based o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rul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menu.
KR1020070065563A 2007-06-29 2007-06-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900012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563A KR20090001298A (en) 2007-06-29 2007-06-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563A KR20090001298A (en) 2007-06-29 2007-06-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298A true KR20090001298A (en) 2009-01-08

Family

ID=4048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563A KR20090001298A (en) 2007-06-29 2007-06-2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2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515B2 (en)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split screen mode, comput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751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information in a UI table
EP187680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9081469B2 (en) Dynamic bar oriented user interface
CN103037064B (en) Individual screen unlock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US8185149B2 (en) User programmable switch
KR101486345B1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ing method thereof
ES2281757T3 (en) USER INTERFACE ORIENTED TO DYNAMIC BARS.
EP2075681B1 (en) Method of displaying menu items and related touch screen device
US20090165145A1 (en) Changing modes in a device
CN110011907B (en) Message display method,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7693549B2 (en) Integrated smart card and battery for mobile devices
WO2010111192A2 (en) Secondary status display for mobile device
US20090251418A1 (en) Method of configuring an idle scree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102890A1 (en) Effecting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EP1929394A1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ntrol method
EP198125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therein
JP2007064758A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method, timepiece device
US201403729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list view through a sliding operation
US2011006101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Widget
US9928078B2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booting,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7104882A (en) The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of good friend&#39;s speech information are shown in social software
US201001698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mmand
KR10122464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uman data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human data displaying the same
KR2009000129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and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