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296A - 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296A
KR20090000296A KR1020070064247A KR20070064247A KR20090000296A KR 20090000296 A KR20090000296 A KR 20090000296A KR 1020070064247 A KR1020070064247 A KR 1020070064247A KR 20070064247 A KR20070064247 A KR 20070064247A KR 20090000296 A KR20090000296 A KR 2009000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icrophone
sound
portable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완재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296A/en
Publication of KR2009000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deliver the radiation signal provided to the signaling transfer point to the case part or the printed circuit by positioning closely the ground portion to the signaling transfer point. The microphone(200) comprises the sound collecting part(201), the case part(202), and the signaling transfer point(203) and ground portion(204). The sound collecting part converts the sound wave to the electric signal. The sound collecting part is surrounded with the case part. The sound wave inlet(221) is formed in the one-side of the case part. The sound wave inputted to the terminal is delivered to the sound collecting part through the sound wave inlet. The vibration plate is installed so that the vibration plate be adjacent to the sound wave inlet. The vibration plate vibrates with the sound wave. The magnetic material is located in the case part which is adjacent to the vibration plate.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폰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microphone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폰을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icrophone illustrated in FIG. 2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폰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이크로폰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microphone shown in FIG. 6.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1, 301: 집음부 202, 302: 케이스부201 and 301: Sound collector 202 and 302: Case part

203, 303: 신호 전달부 204, 304: 그라운드부203, 303: signal transmission section 204, 304: ground se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 입력 장치로 이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used as a voice input device.

휴대용 단말기는 상용화된 초기부터 지금까지 단순한 음성 통화에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화에 이용되기 위해 스피커 폰과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스피커폰이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하면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입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이크로폰을 스피커 폰과 조합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used for simple voice calls since the early commercializ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peaker phone and a microphone for use in a voice call, and when the speaker phone is located near the user's ear, the microphone is located near the user's mouth. Thus, the user can make a voice call by combining the microphone with the speaker phone.

한편, 최근 사용자는 소형화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진 단말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안테나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게 되어, 현재에 대부분의 단말기는 안테나를 내장한 형태이다. 하지만, 안테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서 실장 공간 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전파수신율이 낮아지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면서 안테나의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안테나를 단말기의 하단부에 배치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음성의 입력 장치로 이용되는 마이크로폰에 인접하게 안테나 장치를 배치하게 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users are demanding a terminal having a small size and a beautiful appearance. As a result, an attempt is made to incorporate an antenna device of a form protruding outward into a portable terminal, and most terminals have a built-in antenna. However, the antenna device has a difficulty in securing the mounting space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adio wave reception rate is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order to implement stable operation of the antenna, the antenna has been placed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 In other words, the antenna device is arranged adjacent to the microphone used as the voice input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100)은 케이스부(101)와 신호 전달부(102)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부(101)는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모아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신호 전달부(102)로 전달한다. 상기 신호 전달부(102)는 상기 케이스 부(101)와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아울러, 상기 신호 전달부(102)는 (+), (-) 극성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안테나의 방사 신호는 상기 신호 전달부(102)로 제공되어 상기 인쇄회로로 전달된다. 상기 인쇄회로는 방사 신호가 포함된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신호에서 변형된 형태의 신호를 제공받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변형된 형태의 신호를 제공받게 되어, 상대방과의 음성통화에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phone 100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the microphon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case part 101 and a signal transmitting part 102. The case unit 101 collects sound wav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2.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2 is connected to the case unit 101 and is used as a passage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rinted circui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2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of (+), (-) polarity. At this time, the radiation signal of the antenna is provid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2 is transmitted to the printed circuit. The printed circuit receives a signal of a modified form from a signal input to a microphone including a radiation signal. As a result, the user is provided with a deformed form of signal,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user feels discomfort in the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그로부터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lock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antenna to reduce the effect therefrom.

아울러, 본 발명은 왜곡된 신호의 입력을 방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to prevent the input of the distorted signal.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에 있어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phon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상기 단말기로 유입되는 음파를 모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집음부;A sound collector configured to collect sound waves flowing into the terminal and convert the sound waves into electrical signals;

상기 집음부를 둘러싸면서 그 일면에 음파 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부;A case part which surrounds the sound collecting part and has a sound wave inlet formed at one surface thereof;

상기 집음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음부를 통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 및A signal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sound collecting unit and transferring the electric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sound collecting unit to the terminal; And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신호 전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그라운드부를 구비하고,A ground part extending from the case part and installed adjac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집음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 전달부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차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을 개시한다.The ground unit discloses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for blocking an electrical signal provid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sound collect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폰(200)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폰(200)을 휴대용 단말기(10)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폰(200)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200)은 집음부(201), 케이스부(202), 신호 전달부(203) 및 그라운드부(204)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인쇄회로(400)로 전달하여 입력하게 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phone 200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phone 200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llustrated microphone 20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microphone 200 illustrated in FIG. 2. 2 to 5, the microphone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collecting unit 201, a case unit 202, a signal transmitting unit 203, and a ground unit. 204, the voice signal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10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transmitted to the printed circuit 400 of the terminal for input.

상기 집음부(201)는 상기 단말기(10)로 유입되는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케이스부(202)에 의해 둘러싸여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부(202)의 일면에는 음파 유입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10)로 유입되는 음파는 상기 음파 유입구(221)를 통해 상기 집음부(201)로 유입, 전달된다. 아울러, 상기 집음부(201)는 진동판(211), 자성체(213) 및 코일(215)을 구비한다.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converts sound waves flowing into the terminal 1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s enclosed and accommodated by the case unit 202. A sound wave inlet 22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unit 202, and the sound wave flowing into the terminal 10 is introduced into 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through the sound wave inlet 221. In addition, 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includes a diaphragm 211, a magnetic body 213, and a coil 215.

상기 진동판(211)은 상기 음파 유입구(22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파 유입구(221)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202)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파에 의해 진동한다. 상기 자성체(213)는 영구 자석으로써, 상기 진동판(211)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부(202)에 수용된다. 아울러, 상기 자성체(213)는 상기 케이스부(202)에서 자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코일(215)은 권선되어 상기 자성체(213)를 감싸며, 상기 신호 전달부(203)와 연결된다. 상기 코일(215)은 상기 진동판(211)의 진동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215)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음파 유입구(211)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202)의 내부로 유입된 음파는 상기 진동판(211)을 진동시켜 상기 자성체(213)와 코일(215)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것이다. The diaphragm 211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ound wave inlet 221 and vibrates by the sound wave introduced into the case part 202 through the sound wave inlet 221. The magnetic body 213 is a permanent magnet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se part 202 while being adjacent to the diaphragm 211. In addition, the magnetic body 213 exerts a magnetic force on the case part 202. The coil 215 is wound to surround the magnetic body 213 and is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The coil 215 is affected by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211. At this time, the coil 215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the sound wave introduced into the case part 202 through the sound wave inlet 211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vibrating the diaphragm 211 using the magnetic material 213 and the coil 215. .

상기 신호 전달부(203)는 상기 집음부(201)와 연결되어 상기 집음부(201)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하우징(10) 내부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전달부(203)는 상기 코일(215)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215)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전기적 신호는 (+), (-) 극성을 띠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 전달부(203)는 (+), (-) 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의 단자를 형성한다. 상기 신호 전달부(203)는 각각의 단자를 상기 인쇄회로(400)에 연결하여, 상기 집음부(201)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인쇄회로(400)에 전달가능하게 한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is connected to 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and provide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into the housing 10 of the terminal. In detail,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215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il 215. At this time, the electrical signal has (+) and (-) polarities. Therefor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forms terminals of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 and (-) polarities. The signal transfer unit 203 connects each terminal to the printed circuit 400 to transfer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sound collector 201 to the printed circuit 400.

상기 그라운드부(204)는 상기 케이스부(20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신호 전달부(203)에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상기 인쇄회로(400)에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그라운드부(204)는 상기 집음부(201)의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 전달부(203)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차단한다. 아울러, 상기 그라운드부(204)는 (-)극성의 전기적 신호의 단자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호 전달부(203)의 (+), (-) 극성의 전기적 신호에 대한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그라운드부(204)는 상기 신호 전달부(203)에 인접하게 위치할 때 상기 신호 전달부(203)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음부(201)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그라운드부(204)를 거쳐 상기 케이스부(202)나 인쇄회로(40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202)와 인쇄회로(400)로 이동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단말기(10)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그라운드부(204)는 상기 신호 전달부(203)로부터 상기 인쇄회로(400)로 전달되는 신호를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로 인한 왜곡됨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e ground part 204 extends from the case part 201 and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203 and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400. In addition, the ground unit 204 blocks an electrical signal provid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from the outside of 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In addition, the ground portion 204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erminal of the (-) polar electrical signal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 (-) polarity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 The ground unit 204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signal transfer unit 203 when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gnal transfer unit 203. Accordingly,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outside of 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is moved to the case unit 202 or the printed circuit 400 through the ground unit 204. At this time, the electrical signal moved to the case unit 202 and the printed circuit 400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In addition, the ground unit 204 may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fer unit 203 to the printed circuit 400 to be distorted due to a signal provided from the outside.

한편, 본 실시 예의 상기 마이크로폰(200)은 안테나부(3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말기의 소형화와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300)는 상기 단말기(10)를 이용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상기 안테나부(300)는 그 주변에 방사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폰(200)은 상기 안테나부(3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부(30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 신호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방사 신호는 상기 신호 전달부(203)의 (-)극성의 전기적 신호 단자로 전달되어 상기 집음 부(201)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특히, 시분할 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안테나부를 통해 TDMA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TDMA 노이즈는 217Hz이기에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면서 상기 집음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왜곡시킨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n example disposed adjacent to the antenna unit 300. This can provide miniaturization and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terminal. The antenna unit 300 provid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electrical signals using the terminal 10. For this reason, the antenna unit 300 generates a radiation signal around the periphery. In this case, the microphone 2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ntenna unit 300 to be affected by the radi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300. For this reason, the radi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negative electrical signal terminal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to distort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201.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portable terminal, TDMA noise is generated through the antenna unit. Since the TDMA noise is 217 Hz,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and distorts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As a result,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하지만, 상기 신호 전달부(201)를 감싸고 있는 상기 그라운드부(204)는 방사 신호를 차단한다. 다시 말해서, 방사 신호는 상기 그라운드부(204)로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부(202)나 상기 인쇄회로(4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그라운드부(204)는 방사 신호의 상기 신호 전달부(203)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마이크로폰(200)을 통해 상기 단말기(10)로 유입되는 음파의 왜곡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시분할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TDMA 노이즈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200)은 시분할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뿐 아니라 다른 통신 규격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부에 인접한 경우에도 안테나부로부터 발생된 방사 신호의 영향을 줄이는 데 적용할 수 있다.However, the ground part 204 surround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201 blocks the radiation signal. In other words, the radi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part 204 and to the case part 202 or the printed circuit 400. Therefore, the ground unit 204 prevents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03 of the radiation signal, and prevents the distortion of sound waves flowing into the terminal 10 through the microphone 2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ects of TDMA noise in the time division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microphon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radi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even when adjacent to the antenna unit in a time division typ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a portable terminal of another communication standar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3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이크폰(300)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300)은 집음부(301), 케이스부(302), 신호 전달부(303) 및 그라운드부(304)를 구비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phone 300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icrophone 300 shown in FIG. 6 and 7, the microphone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collecting unit 301, a case unit 302, a signal transmitting unit 303, and a ground unit. 304 is provided.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300)은 제1 실시 예의 휴대 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200)과 동일한 구성으로써, 안테나부로 발생되는 방사 신호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302) 상에는 상기 그라운드부(304)와 연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납땜부(305)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300)은 상기 납땜부(305)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폰(200)보다 안테나부로 발생된 방사 신호의 차단을 향상한다.The microphone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icrophone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and can reduce the influence of the radi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antenna unit. On the other hand, a soldering portion 305 is formed on the case portion 302 to maintain the state connected with the ground portion 304. In addition, the microphon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mproves the blocking of the radiation signal generated to the antenna unit by the soldering unit 305 than the microphon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은 집음부, 케이스부, 신호 전달부 및 그라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집음부에 의해 단말기로 유입되는 음파를 모아져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신호 전달부를 통해 인쇄회로로 전달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은 음성 신호의 입력 장치로 이용가능하다. 한편, 단말기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안테나부를 마이크로폰에 인접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은 안테나부로부터 발생된 방사 신호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그라운드부는 신호 전달부를 인접하게 설치되어 신호 전달부로 제공되는 방사 신호를 전달받아 케이스부나 인쇄회로로 전달한다. 따라서, 그라운드부는 시분할 방식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부로부터 발생되는 TDMA 노이즈를 차단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미치는 TDMA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게 되었다. 아울러, 시분할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규격의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부로부터 발생되는 방사 신호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마이크로폰은 그라운드부에 의해 왜곡된 신호의 입력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collecting unit, a case unit, a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a ground unit, thereby collecting sound waves introduced into the terminal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and converting the sound waves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inted circuit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hus, the microphone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for voice signal.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is installed near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Therefore, the microphone is affected by the radi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At this time, the ground un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receives the radiation signal provid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delivers to the case unit or the printed circuit. Therefore, the ground portion blocks TDMA noise generated from the antenna portion of the time division type portable terminal and reduces the influence of the TDMA noise on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ect of the radi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other communication standard, as well as the time division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microphone can prevent the input of a signal distorted by the ground portion.

Claims (7)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에 있어서,In a microphon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상기 단말기로 유입되는 음파를 모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집음부;A sound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sound waves flowing into the terminal and converting the sound waves into electric signals; 상기 집음부를 둘러싸면서 그 일면에 음파 유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부;A case part which surrounds the sound collecting part and has a sound wave inlet formed at one surface thereof; 상기 집음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음부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 및A signal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sound collecting unit and transferring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sound collecting unit to the terminal; And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신호 전달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그라운드부를 구비하고,A ground part extending from the case part and installed adjac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집음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신호 전달부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The ground unit microphon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blocking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sound col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음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collector, 상기 음파 유입구에 인접하고, 유입되는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A vibration plate adjacent to the sound wave inlet and vibrating by the incoming sound wave; 상기 진동판에 인접하면서 상기 케이스부에 수용되는 자성체; 및A magnetic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ase part while being adjacent to the diaphragm; And 권선되면서 상기 자성체를 감싸고, 상기 신호 전달부와 연결되는 코일을 구비하고,Winding and surrounding the magnetic material, and having a coil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상기 음파 유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로 유입된 음파는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켜 상기 자성체와 코일을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The sound wave introduced into the case unit through the sound wave inlet is vibrated by the diaphragm an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coi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양단은 각각 상기 신호 전달부와 연결되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인쇄회로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The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both ends of the coil are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o transmit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o the printed circuit of th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코일의 양단과 연결되면서 (+),(-)극성의 전기적 신호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그라운드부는 (-)극성의 전기적 신호의 단자에 인접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to form an electrical signal terminal of (+), (-) polarity, and the ground por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erminal of the (-) polar electrical signal. A microphon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발생된 방사 신호는 상기 그라운드부에 의해 차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The microphone of claim 1, wherein the case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antenna unit of the terminal, and the radi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is blocked by the ground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를 감싸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The microphone of claim 1, wherein the ground part is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surround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부를 상기 케이스부와 연결하는 납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폰.7. The microphone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soldering portion connecting the ground portion to the case portion.
KR1020070064247A 2007-06-28 2007-06-28 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0002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47A KR20090000296A (en) 2007-06-28 2007-06-28 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47A KR20090000296A (en) 2007-06-28 2007-06-28 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96A true KR20090000296A (en) 2009-01-07

Family

ID=4048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247A KR20090000296A (en) 2007-06-28 2007-06-28 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29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827B1 (en) Audio apparatus
AU755180B2 (en) Telephone with a receiver arousing bone-conduction and air-conduction hearing
US20030125096A1 (en)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ager unit with capability of short range radio frequency transmissions
KR100934273B1 (en) Vibrative type ear phone
JP2004266321A (en) Ear installation-type calling device
KR101983792B1 (en) Speaker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WO2000005924A1 (en) Two-way communication earpiece
CN214125513U (en) Bone conduction earphone
CN107105373B (en) Loudspeaker module for a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US20050244022A1 (en) Hearing aid compatible device
KR20090000296A (en) Microphone for portable terminal
KR20010008806A (en) Contact-type Sounder
CN209930315U (en) Bone conduction vibrator and microphone for fixed telephone
JP2002077352A (en) Portable terminal system
JP3557361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receiving
CN109451115A (en) A kind of completely waterproof mobile phone
CN106993251B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8109599A (en) Compound operation type receiver operating as bone conduction receiver and respiratory tract receiver
KR100359455B1 (en) Speaker Unit for Hearing Aid
KR100294622B1 (en) Receiver arousing bone air conduction and telephone having the same
KR101785602B1 (en) Patch-Speech Device Having a Speaker and Microphone Integrated
KR200337682Y1 (en) Ergonomic ear piece
KR101419491B1 (en) Vibrative type ear phone for outputting sound in multiple channel
KR100359447B1 (en) Ear-phone Microphone for Hearing Aid
JP2007511949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an RFID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