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255A -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255A
KR20090000255A KR1020070013322A KR20070013322A KR20090000255A KR 20090000255 A KR20090000255 A KR 20090000255A KR 1020070013322 A KR1020070013322 A KR 1020070013322A KR 20070013322 A KR20070013322 A KR 20070013322A KR 20090000255 A KR20090000255 A KR 20090000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fram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환
최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255A/ko
Publication of KR2009000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에 있어서 객체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여 그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 내에서 수신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미디어 데이터에 BIFS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지 않고도 수신단의 필요에 따라 동일한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객체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지 않아 스트리밍 서비스 데이터에 있어서 대역폭 낭비나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bject information in image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와의 객체 정보를 상호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를 특정하고 탐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에 있어서 객체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여 그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버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에서 화면상의 객체(object)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스트림 데이터 자체에서 화면상의 표현된 모든 객체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은 영상 스트림 데이터가 객체 기반(object-oriented)으로 부호화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서버가 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객체 정보도 모두 포함하여야 함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큰 용량의 스트림 데이터는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네트워크상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와의 객체 정보를 상호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객체(전경)를 배경과 구분하여 부호화하는 MPEG-4 기반의 영상 데이터에서는 부호화하여 전송해야 할 3차원 공간정보를 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람과 건물 등의 각각의 객체를 별도로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각 객체의 가공 및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객체는 매크로 블록과 같은 정방형뿐만 아니라 임의의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한 화면 SOO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객체를 각각 비디오 객체 평면(VOP: Video Object Plane)이라고 한다. 각각의 비디오 객체 평면들은 독립적으로 부호화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 삽입 등이 가능하며 ,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비디오 객체 평면의 중요도에 따라서 중요도가 높은 물체는 고화질로, 중요도가 낮은 물체는 저화질로 부호화하는 등 부호화하는 방법을 달리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에서 전송되는 영상 스트림 데이터의 한 화면 내에 속해 있는 각각의 객체들(110a 내지 130a)은 별도의 비디오 객체 평면으로 부호화되며, 이는 미디어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로 모두 전송된다. 이때, 장면 이진 부호(BIFS: Binary Format for Scene)라고 하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기술 규격의 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BIFS 정보는 MPEG-4 기반의 미디어에 다양한 2D/3D 그래픽을 첨가할 수 있으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핸들링하고, 시간에 따라 장면 변화를 로컬 또는 원격으로 다룰 수 있게 한다. 이는 가상 현실 모델링 언어(VLML: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2.0 규격을 이진 형태로 확장시킨 것이다.
BIFS 는 4개의 요소로 구성되는데, 이는 (i)노드(node)와 라우트(route)로 구성된 장면의 동작 요소(operational elements), (ii)이진 구문 라우트 및 노트 트리를 압축하기 위한 이진 구문(binary syntax), (iii)장면 변화를 스트리밍하고, 새로운 장면 및 객체를 삽입하고, 객체를 삭제하기 위한 BIFS-명령 프로토콜(BIFS-Command protocol), (iv)오디오/비디오 객체의 노드 파라미터의 애니메이션을 스트리밍하는 BIFS-애니메이션 프로토콜(BIFS-Anim protocol) 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가지고 있는 영상 스트림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비디오 객체 평면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송받은 영상 스트림 데이터의 각각의 객체(110b 내지 130b)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선택하고 각 객체가 가지고 있는 부가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전송 방법에 의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네트워크 상황에서 원활한 스트리밍 서비스 및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가능한 네트워크에서 BIFS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영상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특정객체 정보를 생성하여 컨트롤 채널을 통해 서버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화면상의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단에서 객체의 부가 정보(BIFS)를 모두 포함한 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도 작은 미디어 대역폭을 사용하여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가진 미디어처럼 동작하게 하여 수신단에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송 및 수신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상기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 어 영상 내에서 상기 수신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전송되는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은 장면 이진 부호(BIFS: Binary Format for Scene)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영상 내의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의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미디어 전송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상기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객체 정보 수신부와 상기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내에서 상기 수신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는 객체 정보 탐색부와 상기 탐색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부가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을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되는 영상 내의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객체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객체 정보 전송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의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부가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210),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220),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내에서 수신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여(230), 탐색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계 220을 살펴보면, 외부 장치에서 선택한 객체로서 이에 대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란 해당 객체가 속해 있는 프레임의 정보를 분간할 수 있는 시간 영역의 정보로서 영상 스트리밍의 시퀀스에 따른 재생 시간(running time)이 될 수 있으며, 물론 이와 호환되는 부호화 시간(encoding time) 또는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 등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해당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는 2D/3D 의 좌표축을 기준으로 한 포인팅 값 또는 기준점과 벡터값으로 표현되는 위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의 예시 화면을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230에서, 상기 수신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 비디오 객체 평면(VOP) 등의 객체 기반으로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내에서 상기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별하여, 단계 240에서 이 객체에 대한 각종 부가 정보(상품 상세정보, 문화재 유래, 위치 교통정보, 이벤트 안내정보 등)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전송 방법에 의하여 사전에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시에 BIFS 정보를 함께 보내야하는 부담이 해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먼저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을 디코딩하여 재생하고(310), 수신단에서 사용자가 화면상의 객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원하여 재생되는 영상 내의 소정의 객체를 선택한다(320).
이때, 선택된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프레임 내에서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데(330), 이는 수신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 내에서의 객체를 특정하기 위한 작업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간 정보는 해당 객체가 속해 있는 프레임의 정보를 분간할 수 있는 시간 영역의 정보로서 영상 스트리밍의 시퀀스에 따른 재생 시간, 부호화 시간, 샘플링 시간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는 2D의 x,y 좌표축이나 3D 의 x,y,z 좌표축을 기준으로 한 포인팅 값 또는 기준점과 벡터값으로 표현되는 위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원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은 채널이 아닌 다른 컨트롤 채널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340), 이렇게 전송된 시간/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다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게 된다(35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를 특정하고 탐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괄적으로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신단의 화면상의 객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해당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정보와 해당 프레임에서 화면상의 위치정보를 서버에게 보내고, 서버에서 해당 개체에 대한 객체를 찾아 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단에게 다시 보내어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미디어 서버(스트림 서버)내에 저장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는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이며, 수신단에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BIFS 정보를 제외하고 전송 프로토콜(미디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수신단에서 부 가 정보의 획득을 위해 객체 정보를 서버에 보낼 때에는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며, 서버에서 수신단으로 부가 정보를 전송할 때도 동일한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단에서의 미디어 재생을 위하여 초기에 미디어 서버와 수신단 간의 연결을 맺는다. 연결이 된 후, 수신단에서는 재생하기를 원하는 미디어에 대하여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전송 요청을 하고, 서버는 요청에 대하여 요구된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때 전송하기 위한 미디어는 객체 기반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이며, 전송할 때에는 BIFS 정보를 제외하고 전송 프로토콜을 통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단에서는 전송되는 스트림을 해당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하고 화면상에 재생한다. 스트림을 재생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화면상의 객체(사람, 물건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원하여 해당 개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경우에 수신단은 서버에게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알아내기 위한 특정 정보를 생성하여 컨트롤 채널을 통하여 서버에 제공한다.
이때의 특정 정보는 화면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지정하는 개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정보(재생시간,부호화시간 등)와 해당 프레임에서 화면상의 위치 정보(x값, y값, 벡터 등)를 말한다.
이러한 시간/위치 정보를 받은 서버는 해당 미디어의 객체 기반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에서 상기 정보와 일치하는 객체를 찾아내고, 해당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컨트롤 채널(시간/위치 정보를 받은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하여 제공한다.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미디어 서버가 객체의 부가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대용량의 영상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단에 제공하지 않고도, 수신단에서는 작은 미디어 대역폭을 사용하면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가진 미디어를 수신 및 재생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500)는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미디어 채널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미디어 전송 인터페이스부(510)와 상기 외부 장치에서 선택된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프레임 내에서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컨트롤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객체 정보 수신부(520)와 수신된 시간/위치 정보에 따라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는 객체 정보 탐색부(530)와 탐색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다시 컨트롤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부가 정보 전송부(540)로 구성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600)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외부 장치로부터 미디어 채널을 통해 입력받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을 디코딩하고, 재생하는 재생부(610), 이렇게 재생되는 영상 내에서 사용 자의 입력에 따라 객체를 선택하는 객체 선택부(620), 상기 객체 선택부(620)에서 선택된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선택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정보 생성부(630), 이렇게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컨트롤 채널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객체 정보 전송부(640), 전송된 시간/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다시 컨트롤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부가 정보 수신부(6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와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와 CD-ROM, 광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미디어 데이터에 BIFS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지 않고도 수신단의 필요에 따라 동일한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객체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지 않아 스트리밍 서비스 데이터는 작은 대역폭을 가지므로 대역폭 낭비나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셋째, 서버 내의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에서 객체에 대한 정보는 전송을 하지 않음으로써 필요시마다 미디어 서버 내의 객체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넷째, 동일한 부호화 방식의 미디어 서버에 대하여 큰 수정 없이 관련기능을 추가하여 이용 가능하므로 확장이 용이하다.

Claims (5)

  1.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상기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수신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는 장면 이진 부호(BIFS: Binary Format for Scene)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3.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미디어 영상 데이터 내의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의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4.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미디어 전송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상기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객체 정보 수신부와;
    상기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 내에서 상기 수신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를 탐색하는 객체 정보 탐색부와;
    상기 탐색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부가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5. 영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기반의 부호화된 미디어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되는 미디어 영상 데이터 내의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객체 선택 부와;
    상기 선택된 객체가 속한 프레임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객체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객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객체 정보 전송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객체의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부가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KR1020070013322A 2007-02-08 2007-02-08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20090000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322A KR20090000255A (ko) 2007-02-08 2007-02-08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322A KR20090000255A (ko) 2007-02-08 2007-02-08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55A true KR20090000255A (ko) 2009-01-07

Family

ID=4048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322A KR20090000255A (ko) 2007-02-08 2007-02-08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2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373B1 (ko) 가상 현실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오디오 전달의 최적화
KR101575138B1 (ko) 무선 3d 스트리밍 서버
KR102551081B1 (ko) 고품질의 경험을 위한 오디오 메시지들의 효율적인 전달 및 사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0903698A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 data
US20100033484A1 (en) Personal-oriented multimedia studio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orization 3d content
KR20120062758A (ko) 오디오 객체들을 적응적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시스템
US20210076024A1 (en) File generation apparatus and file generation method as well as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JP2012523781A (ja) ビデオファイルを処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7690018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00383764C (zh) 交互通信中客户机-服务器交互方法和系统
US2021013289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data related to transition effect and device therefor
CN107635142B (zh) 一种视频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KR20030056034A (ko) 엠펙 데이터의 수신 장치, 엠펙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송수신방법
CN115396647A (zh) 一种沉浸媒体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07142A (ko) 5g 네트워크들을 통한 확장 현실 데이터의 분할 렌더링
KR20090000255A (ko) 영상의 객체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US202202399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produc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processing method
EP14357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nput file using meta language regarding graphic data compression
US202300435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3169003A1 (zh) 点云媒体的解码方法、点云媒体的编码方法及装置
CN116347118A (zh) 一种沉浸媒体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20230144620A (ko) 포인트 클라우드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포인트 클라우드 인코딩 및 디코딩 장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
JP2005159878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140115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using depth-based visual object groupings
Zhang et al. MPEG-4 based interactive 3D visualization for web-based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