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274A -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274A
KR20080114274A KR1020070063659A KR20070063659A KR20080114274A KR 20080114274 A KR20080114274 A KR 20080114274A KR 1020070063659 A KR1020070063659 A KR 1020070063659A KR 20070063659 A KR20070063659 A KR 20070063659A KR 20080114274 A KR20080114274 A KR 20080114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redistribution
broadcast signal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형
김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4274A/ko
Priority to US12/213,885 priority patent/US20090013364A1/en
Publication of KR2008011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신호는 컨텐츠 보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재분배에 대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의 저장이나 복사 등을 제한할 수 있어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고, 편집 여부 및 그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TV, PSIP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the sig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PMT(Program Map Table)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EIT(Event Information Table)를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DET(Data Event Table)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rc_descriptor"의 신택스(syntax)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external_copy_num" 필드 값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content_edit" 필드 값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또 다른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보호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편집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 튜너 702 : 복조부
704 : 역다중화부 706 : A/V 디코더
708 : 디스플레이부 710 : 데이터 베이스부
712 : 데이터 디코더 714 : CM부
716 : 채널 맵 718 : 어플리케이션/UI 매니저
720 : 시스템 매니저 722 : 메모리
724 : 저장 제어부 726 : 저장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HD(High Definition)급의 동영상과 돌비(Dolby) 디지털의 음성 등의 뛰어남을 경험하게 되었고, 압축 알고리즘의 계속적인 발전과 하드웨어의 고성능화에 의해 앞으로 더 나은 환경을 접하게 될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DTV)은 텔레비전(TV)의 고유 기능인 영상, 음성과 더불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로서 방송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등을 들 수 있다.
방송국에서 각종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들을 전송 패킷 안에 포함하여 전송하면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패킷 안에 포함된 각종 정보 가운데 상기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들을 추출해낸다. 수신기는 상기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복사가 용이하며, 다시 재분배(redistribution)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 방송 시스템에서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저장, 복사, 재분배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재분배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저장 또는 복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이용하여 재분배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내용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파싱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저장 또는 복사를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파싱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파싱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파싱된 컨텐츠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파싱된 컨텐츠 편집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 예는, 상기 방송신호는 컨텐츠의 저장 또는 복사에 관한 보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신호는 컨텐츠의 재분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재분배에 관한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신호는 컨텐츠의 편집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편집 내용에 관한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송 신호는 방송 시스템의 정보를 전달하는 규격에 컨텐츠의 저장, 복사, 편집,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방송 규격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의 방송 정보 전달 규격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송신 측에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따라 상기 정보 등을 인코딩(encoding)하여 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이를 수신하고 파싱(parsing)하여 프로그램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SIP은 기본적으로 MPEG 시스템의 PSI(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와 유사한 골격을 가지며, 동일한 목적을 가진 테이블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테이블들은 여러 섹션(section)으로 나뉘어져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SIP은 테이 블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립터들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를 PSIP에 포함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테이블을 만들어 정의할 수도 있고,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테이블의 리저브 필드(reserved field)나 디스크립터(descriptor)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테이블의 디스크립터 가운데 "rc_descriptor"를 확장하여 정의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1)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2)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와 (3) 방법을 나누어서 살펴본다.
(1)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rc_descriptor")는 오디오, 비디오, 또는 데이터 이벤트에 대한 권리자가 제공하는 재분배(redistribu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 측에서 상기 "rc_descriptor"를 전송하는 경우, 지상파 방송(terrestrial broadcast)에서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와 PMT(Program Map Tabl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케이블 방송(cable broadcast)에서는 PMT에 포함하여 전송하며, EIT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EIT에도 포함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방송의 데이터 온리(data-only) 서비스의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DET(Data Event Tabl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PMT(Program Map Table)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PMT 테이블은 프로그램 넘버와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사이의 맵핑(mapping)을 제공한다. 상기 테이블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션(section)으로 나뉘어 전송된다.
상기 도 1의 테이블을 구성하는 필드 가운데 몇 개의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보다 간단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신택스를 구성하는 각 필드(field)에 대한 영어 표현은 그대로 사용하되, 큰 따옴표를 함께 표기하기로 하겠다.
"table_id"는 상기 PMT 테이블의 식별 정보(id)를 포함내며, '0x02'값을 가질 수 있다. "program_id"는 "program_map_PID"가 적용되는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필드는 방송 채널을 지칭(designation)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CR_PID"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 필드를 포함하는 TS(Transport Stream) 패킷의 PID(Packet ID) 정보를 포함하며, "program_info_length"는 다음에 오는 디스크립터의 바이트(byte) 정보를 포함한다.
"stream_type"은 패킷으로 전송되는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타입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elementary_PID"는 엘리먼터리 스트림을 전송하는 TS 패킷의 PID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rc_descriptor"는 상기 도 1의 테이블 가운데, "program_info_length" 다음의 디스크립터 위치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MT 테이블에 "rc_descriptor"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rc_descriptor"는 "program_number" 필드에 의해 식별되는 비디오, 오디오, 또는 데이터 프로그램에 관련된 재분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EIT(Event Information Table)를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EIT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는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의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2의 테이블을 구성하는 필드 가운데 몇 개의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보다 간단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신택스를 구성하는 각 필드에 대한 영어 표현은 그대로 사용하되, 큰 따옴표를 함께 표기하기로 하겠다.
"table_id"는 상기 EIT 테이블의 식별 정보(id)를 포함내며, '0xCB'값을 가질 수 있다. "source_id"는 상기 테이블에 기술된 이벤트들을 전송하는 가상채널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num_events_in_section"은 상기 EIT 테이블 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이벤트의 수를 나타낸다. "event_id"는 이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start_time"은 상기 이벤트의 시작시간 정보를, "length_in_seconds"는 이벤트의 지속 시간 정보를, "title_text()"는 이벤트의 타이틀 정보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rc_descriptor"는 상기 도 2의 테이블 가운데, 디스크립터 위치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EIT 테이블에 "rc_descriptor"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rc_descriptor"는 "event_id" 필드에 의해 식별되는 비디오, 오디오, 또는 데이터 프로그램에 관련된 재분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DET(Data Event Table)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DET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는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의 데이터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은 3시간 단위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3의 테이블을 구성하는 필드 가운데 몇 개의 필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보다 간단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신택스를 구성하는 각 필드에 대한 영어 표현은 그대로 사용하되, 큰 따옴표를 함께 표기하기로 하겠다.
"table_id"는 상기 EIT 테이블의 식별 정보(id)를 포함내며, '0xCE'값을 가질 수 있다. "source_id"는 상기 테이블에 기술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가상채널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num_data_in_section"은 상기 DET 테이블 섹션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이벤트의 수를 나타낸다. "data_id"는 데이터 이벤트를 식별하는 정보를, "start_time"은 상기 데이터 이벤트의 시작시간 정보를, "length_in_seconds"는 데이터 이벤트의 지속 시간 정보를, "title_text()"는 데이터 이벤트의 타이틀 정보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rc_descriptor"는 상기 도 3의 테이블 가운데, 디스크립터 위치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DET 테이블에 "rc_descriptor"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rc_descriptor"는 "data_id" 필드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 프로그램에 관련된 재분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rc_descriptor"의 신택스(syntax)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rc_descriptor"는 컨텐츠 보호 정보, 컨텐츠 재분배 정보, 컨텐츠 편집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디스크립터의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scriptor_tag"는 상기 디스크립터의 식별 태그 값으로 '0xAA'값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or_length"는 상기 디스크립터의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pvr_availability_indicator"는 컨텐츠의 저장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필드 값이 'true'인 경우 수신된 컨텐츠를 PVR(Personal Video Recoder) 등에 저장할 수 있다.
"external_copy_num"는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한 경우,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 장치로 복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복사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external_copy_num" 필드 값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의 예에서는 필드 값이 0x0인 경우 외부 장치로의 복사가 허용되지 않으며, 필드 값이 0xF인 경우 외부 장치로의 복사가 제한없이 허용된다. 다만, 상기 필드 값 등은 예로서 설명된 것이며, 상기 수치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아니한다.
"content_redistribution_indicator"는 해당 컨텐츠가 재분배(redistribution)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필드 값이 'true'인 경우 해당 컨텐츠는 재분배되는 컨텐츠 임을 나타낸다.
"content_origin_name_length"는 'content_origin_name_string()' 필드의 바이트 단위의 길이 정보를 나타낸다. "content_origin_name_string()"는 해당 컨텐츠의 원(original) 제작자 또는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redistribution_count"는 해당 컨텐츠가 재분배된 횟수를 카운트한 정보를 포함한다. "redistributed_date"는 해당 컨텐츠가 재분배된 날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edistributor_name_length"는 'redistributor_name_string()' 필드의 바이트 단위의 길이 정보를 나타내고, "redistributor_name_string()"는 해당 컨텐츠의 재분배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재분배되는 현재의 컨텐츠에 대한 재분배자의 다른 정보는, 상기 재분배되는 컨텐츠에 대한 VCT 또는 EIT에 포함되어 수신되므로, 상기 "rc_descriptor"에 포함하지 않는다.
"content_edit"는 해당 컨텐츠의 편집 여부와 편집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content_edit" 필드 값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에서는 종횡비(aspect ratio)의 편집, 스트림 타입(stream type) 편집, 컨텐츠 지속 시간(content duration) 편집, 컨텐츠 등급(content advisory rating) 편집을 컨텐츠 편집의 예로 들고 있다.
상기 도 6의 "content_edit" 필드는 8비트이며, 최하위 비트(Least Signficant Bit : LSB)부터 시작하여 첫 번째 비트는 종횡비의 편집 여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두 번째 비트는 스트림 타입의 편집 여부를, 세 번째 비트는 컨텐츠 지속 시간의 편집 여부를, 네 번째 비트는 컨텐츠 등급의 편집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8비트인 "content_edit" 필드 값이 '0000 0001'인 경우 해당 컨텐츠는 오리지널(original) 컨텐츠에서 종횡비가 편집된 컨텐츠를 나타낸다. '0000 0010'인 경우에는 오리지널 컨텐츠에서 스트림 타입이 편집된 컨텐츠를, '0000 0100'인 경 우에는 오리지널 컨텐츠에서 컨텐츠 지속 시간이 편집된 컨텐츠를, '0000 1000'인 경우에는 오리지널 컨텐츠에서 컨텐츠 등급이 편집된 컨텐츠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하나 이상의 편집 내용으로 편집된 경우에는 상기 값들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ontent_edit" 필드 값이 '0000 0101'인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는 오리지널 컨텐츠에서 컨텐츠 지속 시간과 종횡비가 편집된 컨텐츠를 나타낸다.
상기 도 6의 편집 내용의 종류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예 이외의 다른 편집 내용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예로 든 필드 값 또한 일 예이며,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aspect_ratio_information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의 비디오 종횡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aspect_ratio_information_current"는 현재 컨텐츠의 비디오 종횡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number_elements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에 포함되는 엘리먼터리(elementary) 스트림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stream_type_origin"은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에 포함되는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타입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타입 정보는 비디오/오디오/데이터 등의 타입을 말한다.
편집된 현재의 컨텐츠에 대한 스트립 타입 정보는, 상기 편집되어 재분배되는 컨텐츠에 대한 VCT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 또는 PMT에 포함되어 수신되므로, 상기 "rc_descriptor"에 포함하지 않는다.
"ISO_639_language_code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언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필드는 엘리먼터리 스트림이 상기 "stream_type_origin" 필드에 의해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 타입으로 식별되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상기 필드의 값은 편집되기 이전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엘리먼터리 스트림에 대한 'service_location_descriptor()'와 PMT에 포함된 필드의 값과 같다.
"surround_mode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서라운드 모드(surround mod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bsmod_origin" 필드는 오리지널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서비스 모드에 대한 정보를, "num_channels_origin" 필드는 오리지널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채널 수에 대한 정보를, "full_svc_origin" 필드는 오리지널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이 모든 서비스(full service)를 제공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surround_mode_origin", "bsmod_origin", "num_channels_origin", "full_svc_origin" 필드는 엘리먼트 스트림이 상기 "stream_type_origin" 필드에 의해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 타입으로 식별되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상기 필드의 값은 편집되기 이전의 컨텐츠에 포함되는 엘리먼터리 스트림에 대한 'AC-3_audio_stream_descriptor()'에 포함된 필드의 값과 같다.
"content_duration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의 방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content_duration_current" 필드는 편집된 현재 컨 텐츠의 방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rating_region_count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가 PSIP의 RRT(Rating Region Table)에 기반하여 등급이 매겨진 'rating_region'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ating_region_origin" 필드는 상기 등급이 매겨진 'rating_reg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rated_dimensions_origin" 필드는 상기 등급이 매겨진 범위(dimesion)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rating_dimension_j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오리지널 컨텐츠가 PSIP의 RRT에 기반하여 등급이 매겨진 'rating_dimens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rating_value_origin" 필드는 편집되기 이전의 컨텐츠에 매겨진 'rating_value'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rating_description_origin_length" 필드는 "rating_description_origin_text()" 필드의 바이트 단위의 길이 정보를 나타내고, "rating_description_origin_text()"는 편집되기 이전의 컨텐츠에 매겨진 등급에 대한 기술(description)을 나타낸다.
편집된 현재의 컨텐츠에 대한 등급 정보는, 상기 편집되어 재분배되는 컨텐츠에 대한 EIT의 'content_advisory_descriptor'에 포함되어 수신되므로, 상기 "rc_descriptor"에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도 4의 "rc_descriptor"를 구성하는 필드 가운데 "pvr_availability_indicator", "external_copy_num" 필드는 컨텐츠 보호 정보에 관한 필드이며, "content_redistribution_indicator", "content_origin_name_length", "content_origin_name_string()", "redistribution_count", "redistribution_date", "redistributor_name_length", "redistributor_name_string()" 필드는 컨텐츠 재분배 정보에 관한 필드이다.
그리고, "content_edit", "aspect_ratio_information_origin", "aspect_ratio_information_current", "number_elements_origin", "stream_type_origin", "ISO_639_language_code_origin", "surround_mode_origin", "bsmod_origin", "num_channels_origin", "full_svc_origin", "content_duration_origin", "content_duration_current", "rating_region_count_origin", "rating_region_origin", "rated_dimensions_origin", "rating_dimension_j_origin", "rating_value_origin", "rating_description_origin_length", "rating_description_origin_text()" 필드는 컨텐츠 편집 정보에 관한 필드이다.
상기 도 4의 각 필드의 명칭, 수치나 필드의 내용 등은 일 실시예이다. 그리고 상기 예로든 필드 이외의 필드가 더 추가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필요하지 않은 필드를 제외하고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보호 정보에 관한 필드만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컨텐츠 편집 정보에 관한 필드만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재분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구성한 일 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도 4의 디스크립터는 일 예로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구성하는 각 필드도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 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드러나는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튜너(700), 복조부(702), 역다중화부(704), A/V디코더(706), 디스플레이부(708), 데이터 베이스부(710), 데이터 디코더(712), CM(Channel Manager)부(714), 채널 맵(716), 어플리케이션 & UI(User Interface)매니저(718), 시스템 매니저(720), 메모리(722), 저장 제어부(724), 및 저장부(726)를 포함한다.
튜너(700)는 PSI/PSIP 테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튜닝(tuning)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되는 PSI/PSIP 테이블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복조부(702)는 상기 튜너(700)에서 튜닝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역다중화부(704)는 상기 복조부(702)에서 복조되어 수신되는 전송 패킷들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 PSI/PSIP 테이블 데이터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한다.
역다중화부(704)는 데이터 디코더(712)에서 원하는 테이블에 대한 PID(packet identifier)를 조건으로 설정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들로부터 상기 PID를 만족하는 PSI/PSIP 테이블의 섹션들을 상기 데이터 디코더(71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부(704)는 A/V 기본 스트림을 역다중화한 후 A/V디코더(706)로 전송한다. 즉, 상기 A/V 데이터의 역다중화는 CM(Channel Manager)부(7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PSI/PSIP 테이블의 역다중화는 데이터 디코더(7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디코더(712)는 PSI/PSIP 테이블 섹션(section)을 파싱(parsing)하고,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정보들을 분석한다. 상기 데이터 디코더(712)에서 분석된 정보들은 데이터 베이스부(71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A/V 디코더(706)는 수신된 A/V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708)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디코더(712)는 파싱을 함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부(704)에서 섹션 필터링하지 않거나 그렇지 못한 나머지 액츄얼 섹션 데이터(actual section data) 부분을 모두 읽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71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디코더(712)는 채널 및 이벤트 관련 정보 테이블인 시스템 정보 테이블의 역다중화를 제어하여, A/V PID 리스트를 CM(Channel Manager)부(71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M부(714)는 채널 맵(Channel Map)(716)을 참조하여, 시스템 관련 정보 테이블 수신 요청을 상기 데이터 디코더(712)에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M부(714)는 상기 튜너(700)의 채널 튜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CM부(714)는 상기 역다중화부(704)를 직접 제어하여, A/V PID를 직접 셋팅함으로써, A/V 디코더(706)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A/V 디코더(706)는 역다중화된 오디오와 비디오를 각각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 UI 매니저(718)는 채널 전환과 같은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 UI 매니저(718)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를 통해 수신 시스템으로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스크린 상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응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리모콘, 키패드, 조그 다이얼,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아 어플리케이션 & UI 매니저(718) 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 UI 매니저(718)는 CM부(714)를 제어하여 채널 관련 운영 즉, 채널 맵(716)의 관리 및 데이터 디코더(712)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 UI 매니저(718)는 수신 시스템 전체의 GUI 제어, 사용자 요구 및 상기 수신 시스템의 상태를 메모리(722)에 저장, 복원한다.
시스템 매니저(720)는 전원 온 및 오프에 의해 수신 시스템의 부팅을 제어하고, 롬 이미지(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포함)를 메모리(722)에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722)는 수신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OS(operating system) 등의 운용 프로그램과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722)에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은 다운로드되는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갱신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저장 제어부(724)는 역다중화부(704)와 인터페이스하여 데이터의 즉시 녹화, 예약 녹화, 타임 시프트(Time shift) 등을 제어한다. 데이터는 상기 저장 제어부(72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726)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726)에 저장된 데이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 제어부(724)는 상기 저장부(726)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여 해당 역다중화부(70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제어부(724)는 상기 저장부(726)에 저장되어 있거나 현재 버퍼링되고 있는 데이터의 재생(play), 빨리 감기(fast forward), 되감기(rewind), 슬로우 모션(slow motion), 인스턴트 리플레이(instant replay)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 제어부(724)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부(726)에 저장되었을 때 불법 복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스크램블(또는 인크립션이라 하기도 함)하여 상기 저장부(726)에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 용량의 효율성을 위해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저장부(726)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재분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가 튜너(700)를 통해 수신되면, 복조부(702)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역다중화부(704)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704)는 데이터 디코더(7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재분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섹션을 역다중화하여 데이터 디코더(712)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분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c_descriptor"는, 지상파 방송의 경우 PMT와 EIT에, 케이블 방송의 경우 PMT 그리고 EIT가 전송되는 경우 EIT에 포함된다. 데이터 방송의 경우 PMT, DET에 포함된다.
상기 역다중화부(704)는 테이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에 해당하는 섹션을 데이터 디코더(712)로 역다중화한다. 데이터 디코더(712)는 상기 역다중화된 섹션을 파싱하여 상기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 베이스부(710)에 저장한다. 상기 "rc_descriptor"에 포함된 정보는 파싱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710)에 저장, 관리된다.
어플리케이션 & UI 매니저(718)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710)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08)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 제어부(724)는 파싱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71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부(726)에 저장할지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저장부(726)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복사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또 다른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8의 데이터 방송의 DSMCC(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and Control) 수신부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튜너(800), 복조부(802), 역다중화부(804), 오디오 디코더(806), 비디오 디코더(808),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10), CM(Channel Manager)부(812), 채널 맵(814), 메모리(816), 데이터 디코더(818), 데이터 베이스부(820), 시스템 매니저(822), 데 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24), 저장 제어부(826), 및 저장부(828)를 포함한다.
튜너(800)는 PSI/PSIP 테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튜닝(tuning)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되는 PSI/PSIP 테이블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복조부(802)는 상기 튜너(800)에서 튜닝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역다중화부(804)는 상기 복조부(802)에서 복조되어 수신되는 전송 패킷들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 PSI/PSIP 테이블 데이터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한다.
역다중화부(804)는 데이터 디코더(818)에서 원하는 테이블에 대한 PID(packet identifier)를 조건으로 설정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패킷들로부터 상기 PID를 만족하는 PSI/PSIP 테이블의 섹션들을 상기 데이터 디코더(818)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부(804)는 A/V 기본 스트림을 역다중화한 후 오디오 디코더(806), 비디오 디코더(808)로 전송한다. 즉, 상기 A/V 데이터의 역다중화는 CM(Channel Manager)부(8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PSI/PSIP 테이블의 역다중화는 데이터 디코더(8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디코더(818)는 PSI/PSIP 테이블 섹션(section)을 파싱(parsing)하고,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정보들을 분석한다. 또한, DSMCC 섹션과 데이터 캐로즐(carousel)을 수신하여 파싱하고 분석한다. 상기 데이터 디코더(818)에서 분석된 정보들은 데이터 베이스부(82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디코더(818)는 파싱을 함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부(804)에서 섹션 필터링하지 않거나 그렇지 못한 나머지 액츄얼 섹션 데이터(actual section data) 부분을 모두 읽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82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디코더(818)는 채널 및 이벤트 관련 정보 테이블인 시스템 정보 테이블의 역다중화를 제어하여, A/V PID 리스트를 CM(Channel Manager)부(81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M부(812)는 채널 맵(Channel Map)(814)을 참조하여, 시스템 관련 정보 테이블 수신 요청을 상기 데이터 디코더(818)에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M부(812)는 상기 튜너(800)의 채널 튜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CM부(812)는 상기 역다중화부(804)를 직접 제어하여, A/V PID를 직접 셋팅함으로써, 오디오 디코더(806), 비디오 디코더(808)를 제어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10)는 채널 전환과 같은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10)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를 통해 수신 시스템으로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스크린 상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응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리모콘, 키패드, 조그 다이얼,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아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10),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24) 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810)는 CM부(812)를 제어하여 채널 관련 운 영 즉, 채널 맵(814)의 관리 및 데이터 디코더(818)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810)는 수신 시스템 전체의 GUI 제어, 사용자 요구 및 상기 수신 시스템의 상태를 메모리(816)에 저장, 복원한다.
시스템 매니저(822)는 전원 온 및 오프에 의해 수신 시스템의 부팅을 제어하고, 롬 이미지(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포함)를 메모리(816)에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816)는 수신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OS(operating system) 등의 운용 프로그램과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816)에 저장된 운영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은 다운로드되는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갱신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24)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메모리(816)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요청된 데이터를 처리함에 의해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저장 제어부(826)는 역다중화부(804)와 인터페이스하여 데이터의 즉시 녹화, 예약 녹화, 타임 시프트(Time shift) 등을 제어한다. 데이터는 상기 저장 제어부(826)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828)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828)에 저장된 데이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 제어부(826)는 상기 저장부(828)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여 해당 역다중화부(80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제어부(826)는 상기 저장부(828)에 저장되어 있거나 현재 버퍼링되고 있는 데이터의 재생(play), 빨리 감기(fast forward), 되감기(rewind), 슬로우 모션(slow motion), 인스턴트 리플레이(instant replay)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 제어부(826)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부(828)에 저장되었을 때 불법 복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스크램블(또는 인크립션이라 하기도 함)하여 상기 저장부(828)에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 용량의 효율성을 위해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하여 저장부(828)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재분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가 튜너(800)를 통해 수신되면, 복조부(802)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역다중화부(804)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부(804)는 데이터 디코더(8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재분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섹션을 역다중화하여 데이터 디코더(818)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분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c_descriptor"는, 지상파 방송의 경우 PMT와 EIT에, 케이블 방송의 경우 PMT 그리고 EIT가 전송되는 경우 EIT에 포함된다. 데이터 방송의 경우 PMT, DET에 포함된다.
상기 역다중화부(804)는 테이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에 해당하는 섹션을 데이터 디코더(818)로 역다중화한다. 데이터 디코더(818)는 상기 역다중화된 섹션을 파싱하여 상기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 베이스부(820)에 저장한다. 상기 "rc_descriptor"에 포함된 정보는 파싱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820)에 저장, 관리된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8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820)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 제어부(826)는 파싱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82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보호 정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부(828)에 저장할지 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저장부(828)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복사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보호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9는 상기에서 설명한 컨텐츠 보호 정보가 "rc_descriptor"에 포함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보호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rc_descriptor"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분석한다(S900).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립터가 포함된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한 후 상기 테이블 섹션을 디코딩하여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립터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가 녹화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902).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디스크립터의 경우 'pvr_availability_indicator'를 통해 녹화 가능한 컨텐츠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902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가 녹화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녹화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고 녹화를 수행하지 아니한다(S906). 상기 S902 판단 결과, 해 당 컨텐츠가 녹화 가능한 경우에는, 녹화 가능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녹화를 수행한다(S904).
상기 컨텐츠를 녹화한 경우, 외부 장치로 녹화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8).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디스크립터의 경우 'external_copy_num' 필드를 통해 외부 장치로 복사할 수 있는 컨텐츠인지와 복사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S908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가 외부 장치로 복사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복사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고 외부 장치로 복사를 수행하지 아니한다(S910). 상기 S908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가 외부 장치로 복사 가능한 경우에는, 외부 복사 가능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 저장 장치로 복사를 수행한다(S912). 상기 복사 횟수의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횟수만큼 복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10은 상기에서 설명한 컨텐츠 재분배 정보가 "rc_descriptor"에 포함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rc_descriptor"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분석한다(S1000).
상기 디스크립터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가 재분배된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 단한다(S1002).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디스크립터의 경우 'content_redistribution_indicator'를 통해 재분배된 컨텐츠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002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가 재분배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재분배에 대한 정보는 출력되지 아니하며 과정은 종료된다. 상기 S1002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가 재분배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오리지널 컨텐츠 제작 정보를 추출한다(S1004). 상기 오리지널 컨텐츠 제작 정보로 제작자 또는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디스크립터의 경우 'content_origin_name_string()'을 통해 오리지널 제작자 또는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재분배된 횟수에 따른 재분배 정보를 추출한다(S1006). 상기 재분배 정보는 재분배 횟수, 재분배 날짜, 재분배자에 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디스크립터의 경우, 상기 재분배 정보는 'redistribution_count', 'redistributed_date', 'redistributor_name_string()'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오리지널 컨텐츠 제작 정보나 재분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화면에 출력한다(S1008).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컨텐츠 편집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11은 상기에서 설명한 컨텐츠 편집 정보가 "rc_descriptor"에 포함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편집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rc_descriptor"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분석한다(S1100).
상기 디스크립터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가 오리지널 컨텐츠에서 편집된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2).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디스크립터의 경우 'content_edit'를 통해 편집된 컨텐츠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102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가 편집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편집에 대한 정보는 출력되지 아니하며 과정은 종료된다. 상기 S1102 판단 결과, 해당 컨텐츠가 편집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의 편집 내용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도 11의 순서도는 편집 내용인 종횡비(aspect ratio), 스트림 타입(stream type), 컨텐츠 지속 시간(duration), 컨텐츠 등급(rating)을 예로 들었다.
상기 수신된 컨텐츠가 오리지널 컨텐츠에 대해 화면 종횡비가 편집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04), 오리지널 종횡비와 편집된 종횡비 정보를 추출하고(S1106), 스트림 타입이 편집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08), 오리지널 스트림 타입과 편집된 스트림 타입 정보를 추출한다(S1110). 그리고 컨텐츠 지속 시간(duration)이 편집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12), 오리지널 지속 시간과 편집된 지속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S1114), 컨텐츠 등급이 편집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16), 오리지널 등급과 편집된 등급 정보를 추출한다(S1118).
예를 들어, 상기 도 4와 같은 디스크립터의 경우, 'aspect_ratio_information_origin', 'aspect_ratio_information_current'에서 오리지널 종횡비와 편집된 종횡비 정보를 얻을 수 있고, 'stream_type_origin'에서 오리지널 스트림 타입을 얻을 수 있다. 편집된 스트림 타입에 대한 정보는 편집된 컨텐츠의 VCT 내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 또는 PMT에서 얻을 수 있다.
오리지널 컨텐츠 지속시간과 편집된 컨텐츠 지속시간은 'content_duration_origin', 'content_duration_current'에서 얻을 수 있고, 오리지널 등급 정보는 'rating_region_origin', 'rating_dimension_j_origin', 'rating_value_origin'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편집된 등급에 대한 정보는 편집된 컨텐츠의 EIT에서 제공하는 'content advisory descriptor'에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출력한다(S1120).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분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재분배에 대한 각종 정보 등을 제공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방송 컨텐츠의 저장이나 복사 등을 제한할 수 있어 컨텐츠를 보호할 수 있고, 편집 여부 및 그에 대한 정보 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보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저장 또는 복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컨텐츠 녹화 가능 여부 정보, 컨텐츠 외부 복사 가능 여부 및 가능 횟수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편집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6.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이용하여 재분배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분배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분배 정보는,
    컨텐츠의 재분배 여부 정보, 컨텐츠의 제작자 또는 저작권자 정보, 컨텐츠의 재분배 횟수 정보, 컨텐츠의 재분배 날짜 정보, 컨텐츠 재분배자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보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편집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 단계에서 추출된 컨텐츠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내용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정보는,
    컨텐츠의 편집 여부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의 종횡비 정보, 편집된 컨텐츠의 종횡비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에 포함되는 엘리먼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개수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에 포함되는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타입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언어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서라운드 모드(surround mode)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서비스 모드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채널 수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풀 서비스(full service) 제공 여부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의 지속 시간 정보, 편집된 컨텐츠의 지속 시간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의 등급 지역(rating_region) 개수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의 등급이 매겨진 지역(rating_region)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의 등급 범위(dimension)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의 등급 정보, 편집 이전 컨텐츠의 등급에 대한 디스크립션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니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 송 신호 처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보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처리 방법.
  16.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파싱된 컨텐츠 보호 정보에 따라 컨텐츠의 저장 또는 복사를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편집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0.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파싱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파싱된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분배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보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편집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4.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필터링된 섹션을 파싱하는 데이터 디코더;
    상기 파싱된 컨텐츠 편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파싱된 컨텐츠 편집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보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컨텐츠 재분배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28. 디지털 방송신호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컨텐츠의 저장 또는 복사에 관한 보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보호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29. 디지털 방송신호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컨텐츠의 재분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재분배에 관한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30. 디지털 방송신호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컨텐츠의 편집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편집 내용에 관한 정보는 재분배 제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KR1020070063659A 2007-06-27 2007-06-2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 KR20080114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659A KR20080114274A (ko) 2007-06-27 2007-06-2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
US12/213,885 US20090013364A1 (en) 2007-06-27 2008-06-25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659A KR20080114274A (ko) 2007-06-27 2007-06-2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274A true KR20080114274A (ko) 2008-12-31

Family

ID=4022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659A KR20080114274A (ko) 2007-06-27 2007-06-27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13364A1 (ko)
KR (1) KR200801142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390A1 (ko) * 2015-05-15 201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03A (ko) * 2013-01-07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473407B2 (en) * 2014-10-22 2019-11-12 Grand Mate Co., Ltd. Water heater having secondary heat exchanger
JP2018508732A (ja) * 2015-01-23 2018-03-29 シーメンス アクテ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発電所設備における未処理水の予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3326B2 (en) * 2001-08-03 2010-09-07 Comcast Ip Holdings I, Llc Video and digital multimedia aggregator
US7073193B2 (en) * 2002-04-16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descriptions
US7643564B2 (en) * 2003-10-28 2010-01-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editing digital broadcast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390A1 (ko) * 2015-05-15 201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3364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736B1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 방법 및 장치
JP7239763B2 (ja) 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コピー制御方法
JP7239762B2 (ja) 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コピー制御方法
KR20080114274A (ko)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수신기
JP2023175751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2023010771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2023001198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KR100762555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 장치 및 방법
JP7176057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7159419B2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7237220B2 (ja) 放送受信システム
JP6997888B2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6828213B2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6826228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6826229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7150950B2 (ja) 放送番組のコンテンツのコピー制御方法
JP6767177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KR101448640B1 (ko)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2022107669A (ja) 放送受信方法
JP2022107670A (ja) 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
JP2023067939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2020182225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2020182222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2022191436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