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120A -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120A
KR20080114120A KR1020070063377A KR20070063377A KR20080114120A KR 20080114120 A KR20080114120 A KR 20080114120A KR 1020070063377 A KR1020070063377 A KR 1020070063377A KR 20070063377 A KR20070063377 A KR 20070063377A KR 20080114120 A KR20080114120 A KR 20080114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subscriber information
subscrib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4262B1 (en
Inventor
이영진
윤동성
박준욱
김석룡
박주석
유태현
민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262B1/en
Publication of KR2008011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2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Abstract

A call originating method of a communications terminal which separately does not need to input a video call key in a video call is provided to perform the video call through a shortcut key of a user without additionally inputting the video call key. A function to be performed is selected(215). If originating request signal is inputted, it confirms a call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originating request signal(220). The call originating is performed based on call identify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er identifier. The call identifying information is one of video call information or voice call information.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How to make a call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orig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registering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 통화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a call func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erforming an outgoing call in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현재 정보 통신 과학이 발전해감에 따라 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다시 말해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또는 단문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의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화면을 통해 상대방과 얼굴을 보며 통화할 수 있는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 various communication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perform a camera function,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etc.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such as voice call or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particular, by using a camera func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user with a video call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talk face to face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screen.

그러나 화상 통화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통화 기능이 수행될 때, 사용자는 일반 음성 통화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call function using a shortcut key is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a user may use only a general voice call.

또한 화상 통화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는 음성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키와 화상 통화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키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과 통화를 하려고 전화번호를 입력했을 때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통화 종류에 따라 통화키를 입력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is provided with a key for performing a voice call mode and a key for performing a video call mode. Therefore, when a user enters a phone number to make a call with other peopl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put a call key according to the type of call the user wants to u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 입력시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a video call when a shortcut key is input in a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화가 가능한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바로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a video call immediately upon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capable of making a video call in a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은 발신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통화 식별 정보에 따른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hecking a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utgoing request signal when an outgoing request signal is input; And performing a call origination according to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발신 통화'는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통화 요청에 따라 특정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발신 통화 요청은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다음 발신 통화를 요청하는 키(이하 '통화키'라 칭한다)를 입력하거나, 착신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해 당하는 단축키를 입력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발신 통화 요청은 사용자가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가입자의 전화 번호를 검색한 후, 발신 통화를 요청하는 키를 입력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going call'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lls a specific called subscriber to perform a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outgoing call request. In this case, the outgoing call request is performed by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party and then entering a ke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l key') for requesting an outgoing call, or by inputt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s phone number. Can be done. Alternatively, the outgoing call request may be made by the user searching fo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subscriber stored in the phone book and then inputting a key for requesting the outgoing call.

'착신 가입자'는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통화 요청에 의해 호출되는 상대 가입자를 의미한다.'Incoming subscriber' means a counterpart subscriber who is called by an outgoing call request in a communication terminal.

'가입자 정보'는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착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이다. 가입자 정보는 이름, 사진, 생일,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가입자 정보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될 때, 단축키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축키를 입력하면, 통신 단말기는 단축키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거나 발신 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called subscriber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s name, photo, birthday, email address,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Whe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shortcut key can be set. Therefore, when a user inputs a shortcut key,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check and display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or perform a function such as an outgoing call.

'통화 식별 정보'는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 중에서 수행될 수 있는 통화 종류를 구분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통화 식별 정보는 음성 통화용 정보, 화상 통화용 정보로 구분되어 진다.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all type that can be performed among subscri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vided into voice call information and video call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100)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portable terminal as an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입력부(150), 카메라부(160), 영상 처리부(170), 표 시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controller 130, an audio processor 140, an input unit 150, a camera unit 160, and an image processor 170. ), The display unit 180 is included.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110)는 제1 무선 통신부(110a)와 제2 무선 통신부(110b)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는 두 개 이상의 이동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a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b.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perform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using two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저장부(120)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는 휴대 단말기에서 발신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가입자 정보로는 이름, 전화번호, 사진, 이메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정보는 통화 식별 정보에 따라 음성 통화와 화상 통화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20 stores a program execut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data process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20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In this case, the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an outgoing call in the mobile terminal. The subscriber information may be a name, a telephone number, a picture, an emai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according to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어부(130)는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과 코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뎀은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변조된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기와, 무선 통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변조된 수신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복조기로 구성된다. 또한 코덱은 송신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변조기에 전달하는 부호기와 상기 복조기에서 출력되는 복조된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data processor (not shown). The data processor is composed of a modem and a codec. The modem includes a modulator for modulating a transmission signal to output the modulated transmission signal, and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modulated reception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to an original signal. In addition, the codec may include a coder for encoding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ferring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modulator and a decoder for decoding the demodulated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50)를 통해 발신 통화를 위한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축키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통화 식별 정보가 화상 통화용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If a shortcut key for an outgoing cal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checks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video call, and performs the video call accordingly.

오디오 처리부(140)는 데이터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K)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한다.The audio processor 140 reproduc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through the speaker SPK or transmits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MIK to the data processor.

입력부(15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과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측면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발신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통화키를 따로 구비하거나, 음성 통화키와 화상 통화키를 통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5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s may include direction keys, side keys, shortcut keys, and the like, which are set to perform specific functions. The input unit 150 has a call key for conducting an outgoing call. In addition, the input unit 150 may be provided with a video call key for conducting a video call or may be provided by integrating a voice call key and a video call key.

카메라부(16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카메라 센서와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하거나, 분리해서 구현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60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apturing image data, converting the photographed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 처리부(170)는 카메라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처리한다. 영상 처리부(170)는 카메라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80)의 크기에 맞 추어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7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8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170 processes screen data for displaying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60. The image processor 170 processe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6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80. The image processor 17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original frame image data. In this case,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표시부(180)는 영상 처리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80)는 LCD 제어부(130),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50)로 동작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on a screen, and displays subscribe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30. The display unit 18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8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130,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 LCD display element, and the lik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LCD may operate as the input unit 150.

통신 단말기(100)는 심카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심카드는 전화번호, 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등이 등록된 카드이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SIM card (not shown). The SIM card is a card in which a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a user who us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like are registered.

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100)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등록되는 가입자 정보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정보인지를 설정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를 통해 발신 통화를 위한 가입자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가입자 정보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정보인지 음성 통화가 가능한 정보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확인된 가입자 정보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정보이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착신 가입자와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발신 통화를 위한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축키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가입자 정보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정보인지 음성 통화가 가능한 정보 인지를 판단한다. 확인된 가입자 정보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정보이면,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가입자 정보에 따른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130 may set wheth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is information capable of a video call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20. In addition, when the subscriber information for the outgoing cal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input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a video call or information capable of a voice call.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video call with the called subscriber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when the confirmed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a video call. In addition, when a shortcut key for an outgoing cal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ler 130 checks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firmed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a video call or voice call information. do. If the confirmed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a video call,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video call according 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orig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가 대기 모드일 때, 제어부(130)는 215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가입자 정보 등록이 선택되는지, 발신 통화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가입자 정보가 등록될 때, 가입자 정보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식별을 위한 통화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축키를 이용하거나, 번호 입력에 따른 발신 통화가 선택되었을 때, 제어부(130)는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 식별 정보에 따라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2, in step 210,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is selected or an outgoing call is reques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in step 215.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s register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30 may not only store the subscriber information but also set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voice call and video call identification. Accordingly, when an outgoing call using a shortcut or a number inpu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according to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tored subscriber information.

215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메뉴에 포함된 가입자 정보 등록을 선택하거나, 기능키 등을 입력하여 가입자 정보 등록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220단계에서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가입자 정보 등록창을 표시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 등록창은 도 3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입자 정보 등록창은 착신 가입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진 입력창, 이름 입력창, 전화번호 입력창, 단축번호 입력창 등이 포함된다. 특히 가입자 정보 등록창은 통화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통화 식별 정보 선택창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는 가입자 정보가 음성 통화가 가능한 가입자 정보인지, 화상 통화가 가능한 가입자 정보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In operation 215, the user may select registration of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d in a menu through the input unit 150, or select registration of subscriber information by inputting a function key. Then,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80 in step 220. Here,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3,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includes a photo input window, a name input window, a phone number input window, a shortcut number input window, etc. for in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subscriber. In particular,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may further include a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lection window for setting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subscriber information capable of a voice call or subscriber information capable of a video call.

사용자가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정보 등록창에 입력한 후 입력부(150)를 통 해 가입자 정보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225단계에서 가입자 정보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30단계에서 입력된 가입자 정보와 통화 식별 정보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35단계에서 저장부(120)를 제어하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If the user inputs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and then inputs that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ler 130 confirms that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is completed in step 225. Next,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in step 230 are set. Next, in step 235,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torage 120 to store subscriber information.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메뉴 등을 통해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으로 설명했으나 착발신 통화가 완료된 다음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Although the method of registering subscriber information is described as a method in which a user registers subscriber information through a menu or the like, there may be a method of registering subscriber information by using log data generated after an incoming / outgoing call is completed.

다시 말해 로그 데이터가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로그 데이터를 선택한 다음, 가입자 정보 등록을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가입자 정보 등록창을 표시부(18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가입자 정보 등록창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에 로그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를 수행한 로그 데이터인지, 음성 통화를 수행한 로그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가입자 정보 등록창의 통화 식별 정보를 선택하는 창에 확인된 통화 종류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고, 이름 등의 가입자 정보를 추가로 입력하고, 입력부(150)를 통해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가입자 정보 등록창에 입력된 정보들을 확인한 후 저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log data is displayed, the user selects log data to register subscriber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50 and then selects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Then,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on the display unit 18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log data in the window for enter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log data is a video call or the log data is a voice call.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confirmed call type in a window for selecting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The user checks this, additionally inputs subscriber information such as a name, and inputs that registr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n, the controller 130 may detect this, check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and store the information.

반면에 215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발신 통화를 하기 위한 단축키를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이를 발신 통화 요청으로 감지하고, 240단 계에 단축키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발신 통화 요청은 단축키 입력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부 검색, 전화번호 입력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step 215, the user inputs a shortcut key for making an outgoing call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n,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is as an outgoing call request and checks the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in step 240. In this case, the outgoing call request can be made not only by inputting a shortcut key but also by searching a phone book and entering a phone number.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45단계에서 확인된 가입자 정보에서 통화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화상 통화용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확인된 가입자 정보의 통화 식별 정보가 화상 통화용 정보이면, 제어부(130)는 250단계에서 선택된 가입자 정보의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화상 통화 발신을 수행한다. 반면에 확인된 가입자 정보의 통화 식별 정보가 화상 통화가 아니면, 제어부(130)는 255단계에서 선택된 가입자 정보의 전화 번호에 의거하여 음성 통화 발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발신 화상 통화 또는 발신 음성 통화를 수행할 때, 화상 통화키 또는 음성 통화 키가 따로 입력되지 않아도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신 통화를 위한 단축키를 입력했을 때, 제어부(130)는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 식별 정보에 따라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information confirmed in step 245 to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is for a video call. If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video call,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video call transmission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selected in step 250. On the other hand, if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rmed subscriber information is not a video call,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 voice call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selected in step 255. Accordingly, when performing the outgoing video call or the outgoing voice call,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the outgoing call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ubscriber information even if the video call key or the voice call key is not separately input.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a shortcut key for an outgoing call,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according to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tored subscriber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화상 통화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가 입력되었을 때, 저장된 가입자 정보의 통화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통화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화상 통화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가 입력되었을 때 단축키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가 화상 통화가 가능한 정보이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80)에 화상 통화가 가능한 가입자 정보임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가 가능한 가입자 정보임을 표시할 때, 화상 통화를 수행할 것인지 음성 통화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발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onfirming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tored subscriber information and performing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 shortcut key is input in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 video call has been described. In addition, when the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is the information that allows the video call when the shortcut key is input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ideo call,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at the video call is possibl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whether to conduct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when displaying that the video call is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an outgoing cal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상 통화를 사용할 때,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화상 통화 키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화상 통화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축키를 통해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uses a video call, the user can use the video call without inputting a video call key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ers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video calls through shortcut keys.

Claims (8)

발신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When the call request signal is input, checking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request signal; And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통화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통화 발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And transmitting the call based on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식별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화상 통화용 정보 및 음성 통화용 정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Call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information for the video call and the information for the voice cal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통화 요청 신호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going call request signal is 단축키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Call origin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generated by the hot ke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통화 요청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utgoing call request signal is 전화번호 입력 및 전화번호 검색을 통해 전화번호가 선택된 후 통화키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And a signal generated by a call key input after a phone number is selected through a phone number input and a phone number search.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대기 모드시 가입자 등록이 선택되면, 가입자 정보 등록창을 표시하는 과정; 및If subscriber registration is selected in the standby mode, displaying a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And 상기 가입자 정보 등록창에 가입자 정보와 통화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저장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And stor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등록창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gistration window 이름 입력창, 전화 번호 입력창, 통화 식별 정보 선택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And a name input window, a telephone number input window, and a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lection window.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식별 정보 선택창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lection window is 화상 통화용 정보 및 음성 통화용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And a region for selecting video call information and voice call information. 발신 통화를 위한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에 해당하는 가입자 정보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When a shortcut key for an outgoing call is input, checking a phone number of subscri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통화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Checking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통화 식별 정보가 화상 통화용 정보이면, 상기 가입자 정보의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및If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video call, performing a video call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상기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통화 식별 정보가 음성 통화용 정보이면, 상기 가입자 정보의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If the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s voice call information, performing a voice call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KR1020070063377A 2007-06-27 2007-06-27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KR101394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77A KR101394262B1 (en) 2007-06-27 2007-06-27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77A KR101394262B1 (en) 2007-06-27 2007-06-27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120A true KR20080114120A (en) 2008-12-31
KR101394262B1 KR101394262B1 (en) 2014-05-14

Family

ID=4037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77A KR101394262B1 (en) 2007-06-27 2007-06-27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26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644A (en) * 2004-07-13 2004-08-25 류미선 Phone number text inquiry ser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070016510A (en) * 2005-08-04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riginating call after attaching call identification code in telephone numbe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262B1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2349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7932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calling telephone number in a mobile station
KR100724964B1 (en) Method for deleting/re-transmission of media data in mobile phone's
EP1753238A2 (en) Method of transmitting image data in video telephone mode of a wireless terminal
KR100725946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calling line area information o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0663480B1 (en) Method for deleting message in mobile telephone
KR200800375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phone number regist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51607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aking Image Call List by Using Captured Image
KR101394262B1 (en) Method for sending call of mobile terminal
KR101030418B1 (en) Method of video call for transmission reserved media data
KR20070088083A (en) Method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28930A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using photo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58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number while taking over ?he telephone in wireless terminal
KR100724892B1 (en) Method for calling using inputted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KR100605956B1 (en)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service in wireless telephone
KR100547769B1 (en) How to send a phone number during a call on your mobile device
KR20070065752A (en) Method and system for dialing by using stored imag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0348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call list in wireless terminal
JP2002112338A (en) Contents transmission method and contents transmission server
KR100678157B1 (en) Method for setting and use the simple key in wireless terminal
KR100547807B1 (en) How to send a message from your mobile device
KR100810362B1 (en) Method for performing file of external memory in wireless terminal
KR1007033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eting the send number in mobile terminal
KR100678173B1 (en) Method for recoding the data in wireless terminal
KR100735379B1 (en) Method for retransmitting message automatically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