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906A - 수직도 관리 파일 - Google Patents

수직도 관리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906A
KR20080113906A KR1020070062923A KR20070062923A KR20080113906A KR 20080113906 A KR20080113906 A KR 20080113906A KR 1020070062923 A KR1020070062923 A KR 1020070062923A KR 20070062923 A KR20070062923 A KR 20070062923A KR 20080113906 A KR20080113906 A KR 2008011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vertical
bubble
management file
vertic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6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3906A/ko
Publication of KR2008011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00Measuring ang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 간편하게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일(말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일몸체 중앙부에, 투명판을 통해 액체에 함입된 기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준계가 매설된 수직도 관리 파일 및 파일몸체 상부에, 각도가 표시된 투명판을 통해 액체에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도계가 더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을 제공한다.
파일, 수직도, 수준계, 각도계

Description

수직도 관리 파일{Vertical care pile}
도1은 파일의 수직도를 측정하는 종래의 방법에 대한 예시사진이다.
도2a 및 도2b는 수직도 관리 파일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수직도 관리 파일에 매설되는 수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수직도 관리 파일에 매설되는 각도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도 관리 파일 110 : 파일본체
120 : 수준계 130 : 각도계
본 발명은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 간편하게 수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일(말뚝)에 관한 것이다.
파일 시공관리에서는 파일의 수직도 관리가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도1에 예시된 사진과 같이 파일이 설치된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측량기 등을 사용하여 수직도 관리를 하고 있어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일의 수직설치 여부는 크레인 기사와 측량기사만이 알 수 있어 해당 인원이 불성실하게 일할 경우에는 파일의 수직도 관리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일시공 전에 수직도를 확인하였다고 해도 시공 중에 지중의 돌이나 경사암반에 의해 파일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시공이 완료된 후의 수직도를 계측할 수 없어 정밀시공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에 수직도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수준계를 달아 시공 현장에 있는 누구든지 파일의 수직도를 알 수 있도록 하고, 파일 시공 완료 후에도 수직도를 확인하여 관리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완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일몸체 중앙부에, 투명판을 통해 액체에 함입된 기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준계가 매설된 수직도 관리 파일 및 파일몸체 상부에, 각도가 표시된 투명판을 통해 액체에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도계가 더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도 관리파일(100)은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몸체(110)에 수직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계(120)를 매설하여 시공현장에 있는 누구라도 파일의 수직도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준계(120)는 일반적인 수준계와 같이 투명판(121)을 통해 액체(122)에 함입된 기포(12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데, 상기 투명판(121)은 아크릴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간편하며, 상기 수준계(120)의 설치 위치는 파일시공 중 사람의 눈높이에 맞추어 질 수 있도록 파일몸체(110)의 중앙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기포(123)가 수준계(120)의 중앙에서 멀리 벗어난 정도에 의해 파일의 기울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파일의 수직도 측정을 위한 별도의 측량기가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일의 수직도에 따른 기포의 움직임이 과도하게 민감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준계(120)의 상단 중심선상에 기 포홈(124)을 형성하여, 파일이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포(123)가 상기 기포홈(124)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3의 (a)는 수준계가 매설된 상태의 정면을, 도3의 (b)는 수준계가 매설된 파일의 종단면을, 도3의 (c)는 수준계가 매설된 파일의 횡단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면 파일이 지면에 정확히 수직으로 서있을 때 뿐만 아니라 좌우로 미세한 기울어짐이 있더라도 상기 기포홈(124)에 기포(123)가 머물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파일이 수직도 관리 기준을 넘어서는 기울기로 기울어진 후에야 비로소 기포(123)가 이동하게 되므로, 파일이 건설현장에서 허용되는 기울기 범위 내에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포(123)는 유색기체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여 멀리서도 파일의 수직도를 파악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준계(120)는 파일몸체 중앙부 둘레에 4방향으로 매설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파일의 수직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파일몸체(110) 상부에, 각도가 표시된 투명판(131)을 통해 액체(132)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도계(130)가 더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100)을 함께 제공한다.
파일이 지반에 삽입된 후에는 파일의 상부가 지면 위로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파일몸체(110) 상부에 각도기(130)를 설치함으로써 파일 시공 완료 후 파일의 수직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파일의 기울기가 관리기준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재하시험을 실시하거나 기초공사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 보완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계(130)도 상기 수준계(120)와 마찬가지로 투명판을 통해 보이는 액체의 기울기로 파일의 수직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상기 각도계(130)의 투명판(131)에는 액체(132)가 기울어진 각도를 직접 파악할 수 있도록 각도표시를 하여 도5에서와 같이 파일이 지면의 연직방향에서 몇도로 기울어져 있는지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4의 (a)는 파일이 수직상태로 시공된 경우에 각도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4의 (b)는 파일이 기울어진 상태의 각도계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각도계(130)를 파일몸체(110) 상부 둘레에 4방향으로 매입하여 어느 방향에서든지 파일이 수직상태로 시공이 되었는지 파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파일시공시의 수직도 관리가 용이하다.
둘째, 수준계의 상단 중심선상 기포홈에 의해 기준상 허용가능한 기울기를 넘어섰는지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유색기체로 기포를 형성함으로써 멀리서도 파일의 수직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넷째, 파일몸체 상부에 각도기를 설치함으로서 파일시공 완료 후의 수직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수준계 및 각도기를 4방향으로 매설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든지 손쉽게 파일의 수직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파일몸체(110) 중앙부에, 투명판(121)을 통해 액체(122)에 함입된 기포(12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준계(120)가 매설된 수직도 관리 파일(100).
  2. 제1항에서,
    상기 수준계(120)의 상단 중심선상에는 기포홈(124)이 형성되어 있어, 파일이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포(123)가 상기 기포홈(124)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100).
  3. 제1항에서,
    상기 기포(123)는 유색기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100).
  4. 제1항에서,
    상기 수준계(120)는 파일몸체(110) 중앙부 둘레에 4방향으로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파일몸체(110) 상부에, 각도가 표시된 투명판(131)을 통해 액체(132)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도계(130)가 더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100).
  6. 제5항에서,
    상기 각도계(130)는 파일몸체(100) 상부 둘레에 4방향으로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관리 파일(100).
KR1020070062923A 2007-06-26 2007-06-26 수직도 관리 파일 KR20080113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23A KR20080113906A (ko) 2007-06-26 2007-06-26 수직도 관리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23A KR20080113906A (ko) 2007-06-26 2007-06-26 수직도 관리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06A true KR20080113906A (ko) 2008-12-31

Family

ID=4037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923A KR20080113906A (ko) 2007-06-26 2007-06-26 수직도 관리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39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18B1 (ko) * 2018-06-01 2019-11-07 한국전력공사 전주 경사도 측정용 밴드
CN111794236A (zh) * 2020-05-26 2020-10-20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等截面预制桩垂直度的检测方法
CN114718366A (zh) * 2022-05-13 2022-07-0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电线杆或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18B1 (ko) * 2018-06-01 2019-11-07 한국전력공사 전주 경사도 측정용 밴드
CN111794236A (zh) * 2020-05-26 2020-10-20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等截面预制桩垂直度的检测方法
CN114718366A (zh) * 2022-05-13 2022-07-0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电线杆或塔
CN114718366B (zh) * 2022-05-13 2024-02-09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电线杆或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340B2 (en) Measuring staff
KR101162918B1 (ko) 경사계를 이용한 지중변위 계측 방법
CN201059959Y (zh) 一种全站仪和摄影测量变形监测两用靶标
KR200416324Y1 (ko) 연약지반의 지하수위 및 침하 계측 구조
KR20080113906A (ko) 수직도 관리 파일
JP3194509B2 (ja) 地下埋設管の沈下測定装置
KR101010333B1 (ko) 수준측량에 사용되는 조립식 수준점 설치장치
JP2022061704A (ja) 鋼材の傾斜計測装置および変位測定方法と山留壁の変位測定方法
KR20090105555A (ko) 스타프가 장착된 침하봉을 갖는 침하량 계측장치 및 그계측장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1인 계측방법
KR100714654B1 (ko) 도로의 콘크리트 옹벽 수직도 진단 구조
CN109029338B (zh) 一种埋入式混凝土应变测量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235746B1 (ko) 이중관 지표 침하계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방법
JP2010038631A (ja) 屈曲角度測定器および屈曲角度測定方法
KR100793696B1 (ko) 쓰레기매립장의 폐기물층 침하 계측기기
JP2011214307A (ja) 逆打ち支柱の鉛直精度計測システム
CN201803708U (zh) 空间结构竖向变形测量装置
CN206034509U (zh) 一种联合测定灌注桩桩顶和桩端位移的试验装置
KR100413952B1 (ko) 경사도 측량자
JP2008020367A (ja) 測量用ポ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測量方法
CN210507391U (zh) 一种地基的沉降检测装置
KR200370806Y1 (ko) 연약 지반 구조물 침하 거동 계측 장비
JP3538461B2 (ja) 地下埋設管の沈下測定装置
CN214530820U (zh) 一种地基沉降检测装置
CN106284438A (zh) 一种联合测定灌注桩桩顶和桩端位移的试验方法
KR200266892Y1 (ko) 건물 등의 기울기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