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514A - 절수용 세척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절수용 세척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514A
KR20080112514A KR1020070061018A KR20070061018A KR20080112514A KR 20080112514 A KR20080112514 A KR 20080112514A KR 1020070061018 A KR1020070061018 A KR 1020070061018A KR 20070061018 A KR20070061018 A KR 20070061018A KR 20080112514 A KR20080112514 A KR 2008011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op
water
link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097B1 (ko
Inventor
정자룡
Original Assignee
(주)천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하테크 filed Critical (주)천하테크
Priority to KR1020070061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097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47L13/59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with movable squeez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47L13/60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with squeezing roller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걸레의 일단에는 상단부에 파지걸이구가 구비된 걸레봉을 링크로 연결하여 대걸레를 형성하고; 절수용세척건조장치는 하우스의 내부에는 대걸레의 걸레를 세척수로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세척장치부, 세척장치부에서 세척된 대걸레의 걸레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탈수장치부, 탈수장치에서 탈수된 대걸레를 열풍으로 일차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장치, 열풍으로 일차 건조된 대걸레는 하우스의 외부(벽면)에 설치된 걸이대에 차례로 걸어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대걸레에 의해서는 걸레의 양면을 사용할 수 있고; 절수용세척건조장치에 의해서는 오염된 대걸레의 세척과, 세척된 대걸레의 걸레의 탈수와, 탈수된 대걸레를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와, 열풍건조된 대걸레는 장치하우스의 외부에 걸어 건조시키는 과정;을 각 개인이 차례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세척과 탈수 및 보관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처리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세척과 탈수를 할 때에 발생하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정화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오수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대걸레. 절수용세척건조장치. 세척장치부. 탈수장치부. 건조장치부.

Description

절수용 세척 건조장치{A WASHING DRY SYSTEM OF MOP}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에 설치되는 세척장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에 설치되는 세척장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에 설치되는 탈수장치부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에 설치되는 걸이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대걸레 2: 걸레봉 10: 절수용세척건조장치
11: 세척실 12: 세척장치부 15: 세척수분배관
16: 세척수틀 17: 세척수분사노즐 20: 오수받이통
21: 오물집수함 23: 망틀 30: 탈수장치부
31: 감속모터 32: 플라이휠 33: 메인기동링크
36: 보조기동링크 38: 승하강링크 39: 연동링크
40: 움직축 41: 고정축 42: 탈수롤러
50: 고정압착판 51: 움직압착판 54: 받침대
60: 작동봉지지틀 63: 작동봉 64: 링크
65: 절곡작동레버 66: 손잡이 70. 75: 걸이대
71. 76: 장착판 73. 78: 걸이봉
본 발명은 대걸레를 세척하고 탈수한 후에 건조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절수용세척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스의 내부에는 대걸레의 걸레를 세척수로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세척장치부, 세척장치부에서 세척된 대걸레의 걸레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탈수장치부; 탈수장치에서 탈수된 대걸레를 열풍으로 일차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장치; 열풍으로 일차 건조된 대걸레는 하우스의 외부(벽면)에 설치된 걸이대에 차례로 걸어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절수용세척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학교나 사무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종래의 대걸레(일명: 마포대걸레)는, 자루의 하단에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고정수단에 의해 여러가닥으로 된 걸레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대걸레는 걸레가 구비된 고정수단에만 힘이 가해지므로 바닥을 누르는 힘에 대한 접촉면적이 작아 청소시간이 많이 소용되고, 청소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303862호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가 알려져 있다.
이는 외면(상면 및 밑면)에 걸레가 부착(덮어진)된 받침판의 일면(후면)에는 링크부재가 형성된 헤드를 축으로 설치하고, 헤드의 링크부재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설치하며, 중간부재에는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봉재를 축(힌지)으로 장착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헤드의 링크부재에 장착되는 중간부재의 폭이 좁기 때문에 걸레가 부착된 받침판의 전체 폭을 눌러 줄 수 없으므로 걸레 전체에 강한 힘이 전달되지 못하고, 중간부재에 장착된 봉재가 축(힌지)에 의해 좌우로 요동하므로 걸레질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으며, 결국 바닥을 깨끗하게 닦아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대걸레(밀대)의 세척장치로서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88-377호 "대걸레세척탈수기"와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5-8129호 "대걸레탈수장치"와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3-23020호 "대걸레세척통"과 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369호 "대걸레의 압착탈수기" 및 실용신안등록 제20-186972호 "밀대걸레세척장치"가 알려져 있다.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88-377호 "대걸레세척탈수기"는, 물받이통(용기)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롤러와 움직롤러의 사이에 대걸레의 걸레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작동간을 작동시켜 움직롤러를 고정롤러 측으로 인접시킨 상태에서 대걸레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탈수를 하도록 된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5-8129호 "대걸레탈수장치"와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3-23020호 "대걸레세척통"은, 용기(물통)의 외측에 설치된 패달(발판대)에 압력을 가하면(밟으면) 내측에 X교차형으로 설치된 지지구(작동간)가 접속되면서 그 X교차형 지지구(작동간)의 상단에 설치된 롤러를 인접시키고, 패달(발판대)에서 압력을 제거하면 지지구(작동간)가 확개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을 이용하여 대걸레의 걸레를 탈수시킬 때에 고정롤러와 움직롤러의 사이 또는 움직롤러의 사이에 대걸레의 걸레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고정롤러(움직롤러)와 움직롤러(움직롤러)를 인접시킨 상태에서 대걸레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탈수를 하여야 하므로 탈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고, 탈수시킬 때에 오염된 물이 외부로 튀어 의복을 더럽히거나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369호 "대걸레의 압착탈수기"는, 상부가 개방형으로 된 물통의 내측 상단부에 다수의 탈수공이 뚫어진 걸레받침판을 설치하고, 걸레받침판의 상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걸레누름판을 경첩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걸레받침판의 위에 대걸레의 걸레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손잡이를 작동시 켜 걸레누름판으로 걸레를 압착하여 탈수시키므로 걸레를 다른 곳에서 세척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탈수된 오수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186972호 "밀대걸레세척장치"는, 세척수가 충진되는 물탱크와, 노즐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물공급관이 내부 양측에 설치된 분사실과, 한 쌍씩의 수직롤러가 전후 이중으로 구비되어 동력수단(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된 탈수실을 나란하게 형성한 것으로서, 분사실로 대걸레의 걸레를 유입시킨 상태에서 물탱크의 물을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세척하고, 세척된 대걸레를 동력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롤러의 사이로 반복적으로 통과시켜 탈수를 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장치실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실에서 세척한 후에 탈수실에서 탈수하는 과정을 세척공정과 탈수공정을 개별적으로 실시하지 못하고 한 사람이 일괄 실시한 후에 다른 사람이 다시 실시하여야 하므로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 탈수한 청소용구를 보관하는 것으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283638호 "청소도구 함"과 실용신안등록 제20-333874호 "캐비닛형의 청소용구 보관함" 및 특허등록 제10-462246호 "청소용구함"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보관함의 내부에는 대걸레를 걸어 줄 수 있도록 된 걸고리가 형성된 받침틀을 구비하여 수납 인출하거나, 하단 양측에 바퀴가 설치되고 지지봉에 의해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된 수직판에 걸이구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대걸레를 걸어 주거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캐비닛 형 상의 본체의 내부에 탄성클립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탄성클립에 대걸레를 걸어 주도록 된 것으로서, 이들은 단순히 세척 탈수시킨 대걸레를 걸어서 보관하는 기능만을 실시하였다.
특히, 상기 세척장치와 탈수장치 및 보관함이 각기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걸레를 효과적으로 세척하고 탈수하여 보관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세척과 탈수 및 보관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세척과 탈수를 할 때에 발생하는 세척수를 하수도로 흘러보내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자연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대걸레를 세척하고 탈수한 후에 건조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절수용 세척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스의 내부에는 대걸레의 걸레를 세척수로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세척장치부; 세척장치부에서 세척된 대걸레의 걸레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탈수장치부; 탈수장치에서 탈수된 대걸레를 열풍으로 일차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장치, 열풍으로 일차 건조된 대걸레는 하우스의 외부(벽면)에 설치된 걸이대에 차례로 걸어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절수용세척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염된 대걸레의 세척과, 세척된 대걸레의 걸레의 탈수와, 탈수된 대걸레를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와, 열풍건조된 대걸레는 장치하우스의 외부에 걸어 건조시키는 자연건조과정;을 각 개인이 차례로(순서대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세척과 탈수 및 보관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처리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세척과 탈수를 할 때에 발생하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정화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오수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절수용세척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대걸레(1)의 걸레(5)를 세척하고, 압착하여 탈수하며, 걸이봉에 걸어 자연건조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1출입문(10-2)과 제2출입문(10-3)이 별도로 구비된 하우스(10-1)와;
하우스(10-1)의 내부에서 제1출입구(10-2)측에 설치되고,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실(11)의 내부에 걸어지는 대걸레(1)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부(12)와;
하우스(10-1)의 내부에서 제2출입문(10-3)측에 설치되고, 세척된 대걸레(1)의 걸레(5)를 압착하여 걸레(5)에 함침된 세척수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부(30)와;
탈수장치부(30)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탈수된 대걸레(1)의 걸레(5)에 열풍을 분사시켜 일차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45)와;
하우스(10-1)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일차 열풍으로 건조된 대걸레(1)를 나란하게 걸어 재차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걸이대(70)(75);를 포함하 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에 설치되는 세척장치부(12)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와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에 설치되는 탈수장치부(30)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에 설치되는 걸이대(70)(75)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대걸레(1)를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하우스(10-1)를 지붕(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있는 장방형으로 형성하였고, 하우스(10-1)에는 제1출입문(10-2)과 제2출입문(10-3)을 이격시켜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제1출입문(10-2)는 들어가는 문으로 사용하고 제2출입문(10-3)은 나가는 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우스(10-1)의 내부에서 제1출입구(10-2)측에는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 실(11)의 내부에 걸어지는 대걸레(1)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부(12)를 설치하였고, 제2출입문(10-3)측에는 세척된 대걸레(1)의 걸레(5)를 압착하여 걸레(5)에 함침된 세척수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부(30)를 설치하였으며, 세척수가 탈수된 대걸레(1)의 걸레(5)에 열풍을 분사시켜 일차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45)를 탈수장치부(30)에 함께 설치하거나 별도로 설치하였다.
하우스(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세척장치부(12)와 탈수장치부(30) 및 건조장치부(45)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ㅡ" 자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세척장치부(12)는 도 2 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전면이 개방되도록 세척실(11)을 형성하였고, 세척실(11)의 하단에는 오물집수함(21)이 구비된 오수받이통(20)을 호퍼형으로 형성하였으며, 오물집수함(21)의 내부에는 손잡이(23-1)가 구비된 망틀(23)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오물집수함(21)의 하단에는 배수관(22)을 연결하여 오수를 별도의 오수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세척실(11)의 내부에는 세척수분사노즐(17)이 구비된 세척수틀(16)과 걸이대(70)(75)로 형성된 세척장치를 하나 이상 설치하였는데, 세척장치를 복수로 설치할 때에는 각 세척장치의 사이에 칸막이(18)를 설치하여 분할하였다.
세척수틀(16)과 걸이대(70)(75)로 형성된 세척장치는, 세척실(11)의 내부 하측에 세척수분사노즐(17)이 구비된 한 쌍의 세척수틀(16)을 이격시켜 세척수분사노즐(17)이 내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하였고, 이들 세척수분사노즐(17)의 사이에서 상단과 하단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하여 대걸레(1)의 파지봉(3) 및 압착부재(4)를 걸어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걸이대(70)(75)에 걸어지는 대걸레(1)의 걸레(5)가 세척수틀(16)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각 세척수틀(16)에는 분배구(28)와 급수관(28-1)으로 연결하고, 분배구(28)를 수도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직접 연결하여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24)의 상단과 하측에는 통상의 수위조절세척수공급장치(25)와 최저수위감지센서(26)를 각각 설치하여, 수위조절세척수공급장치(25)에는 세척수공급관(25-1)을 연결하여 세척수를 최고 수위까지 공급(충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최저수위감지센서(26)에 의해서는 세척수의 최저수위를 감지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세척수틀(16)에는 분배구(28)와 급수관(28-1)으로 연결하였고, 분배구(28)에는 흡입관(27-1)에 의해 수중펌프(27)와 연결하여 수중펌프(27)의 작동에 의해 물탱크(24)에 충진되는 세척수를 각 세척수틀(16)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우스(10-1)의 내부에서 제2출입문(10-3)측에 설치되어 세척된 대걸레(1)의 걸레(5)에 함침된 세척수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부(30)는 다음(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도 6)과 같이 형성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탈수장치부(30)를 보인 일 예시도이다.
동일 수직선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하였고, 하단에 설치되는 걸이대(65)의 양측 하단부에는 연동링크(39)의 하단을 고정축(41)으로 설치하였으며, 연동링크(39)의 상단에는 탈수롤러(42)가 상단에 축으로 설치된 승하강링크(38)의 하단을 움직축(40)으로 연결하되 승하강링크(38)의 상단이 내측을 향하도록 하였다.
승하강링크(38)의 하측부에는 보조메인링크(36)의 상단을 중간축(37)으로 연결하였고, 좌우 양측 보조메인링크(36)의 하단을 메인기동링크(33)의 상단에 축(35)으로 연결하였으며, 메인기동링크(33)의 하단을 감속모터와 같은 작동수단(31)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휠(32)에 축(34)으로 설치하였다.
도 5a 및 도 5b는 탈수장치부(3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 예시도이다.
동일 수직선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하였고, 하단에 설치되는 걸이대(65)의 일측에는 내면에 압착돌기(52)와 수직배수홈(5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압착판(50)을 설치하였으며, 걸이대(65)의 타측에는 내면에 압착돌기(52)와 수직배수홈(5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움직압착판(51)을 설치하였다.
상기 움직압착판(51)의 배면에는 한 쌍의 연동링크(54)를 이격시켜 축으로 설치하였고, 각 연동링크(54)의 타단을 보조연동링크(36)에 축으로 설치하였으며, 보조연동링크(36)에는 메인기동링크(33)의 일단에 축(35)으로 연결하였으며, 메인기동링크(33)의 타단을 감속모터와 같은 작동수단(31)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휠(32)에 축(34)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의 탈수장치부(30)에서 작동수단(31) 으로서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보조연동링크(36)에 커플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으로 연결하여, 유압실린더의 정역 작동에 의해 보조연동링크(36)와 함께 움직압착판(51)을 작동(전진 및 후진)시키면서 걸레(5)를 탈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예시된 탈수장치부(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받침대(54)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압착판(50)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중간에는 작동봉지지틀(60)을 설치하였으며, 고정압착판(50)과 작동봉지지틀(60)과의 사이에서 받침대(54)에는 배수공(54-1)을 뚫어 주었다.
상기 받침대(54)의 상면 중간에 설치되는 작동봉지지틀(60)은, 고정판(61)의 선단에는 유통공(62-1)이 전후로 유통되게 뚫어진 전방지지블럭(62)을 일체로 형성하고 후단에는 후방지지편(63)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고정판(61)의 유통공(62-1)에는 작동봉(67)을 삽입하고 후방지지편(63)에는 상단에 손잡이(66)가 구비된 절곡작동레버(65)의 후단을 후방축(69)으로 하여 장착하였으며, 작동봉(67)의 후단과 절곡작동레버(65)의 중간과의 사이에는 링크(64)를 전방축(68-1)과 중간축(68-2)으로 장착하였으며, 작동봉(67)의 선단에는 움직압착판(51)을 장착하였다.
특히, 상기 고정압착판(50)과 움직압착판(51)과의 대향 면에는 압착돌기(52)와 수직수직배수홈(53)을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형성하였다.
탈수장치부(30)에서 세척수가 탈수된 대걸레(1)의 걸레(5)에 열풍을 분사시켜 일차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45)를 설치하였는데, 건조장치부(45)는 탈수장치부(30)에 일괄적으로 설치하거나 탈수장치부(30)의 후공정으로서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건조장치부(45)는 동일 수직선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하였고, 하단에 설치되는 걸이대(65)의 하부 양측에는 열기노즐(47)이 구비된 열풍틀(46)을 나란하게 설치하되 열기노즐(47)이 대향하도록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열풍발생장치를 하우스(10-1)의 내부에 설치하여 열풍을 각 열풍틀(46)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세척장치부(10)와 탈수장치부(30) 및 건조장치부(45) 그리고 하우스(10-1)의 외벽에는 일차 열풍으로 건조된 대걸레(1)를 나란하게 걸어 재차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걸이대(70)(75)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걸이대(70)(75)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장착공(72)(77)이 뚫어진 장착판(71)(76)에는 한 쌍의 걸이봉(73)(78)을 나란하도록 일체로 형성하였고, 각 걸이봉(73)(78)의 선단을 상향절곡편(74) 또는 하향절곡편(79)으로 형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걸레(1)는 걸레(5)가 양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착부재(4)를 일측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며, 손잡이(3)를 일측 손으로 파지하고 타측손으로는 파지봉(32)을 파지한 상태에서 통상의 대걸레를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걸레(5)의 일면을 사용한 후에는 압착부재(4)를 타면으로 이동 시킨 후에 걸레(5)의 다른 면을 사용하고, 걸레(5)의 양면을 모두 사용한 대걸레(1)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를 이용하여 세척 및 탈수하고 건조시킨다.
대걸레(1)를 사용한 사용자는 제1출입문(10-2)을 통하여 하우스(1)의 내부로 들어간다.
제1출입문(10-2)을 통하여 하우스(1)의 내부로 들어온 사용자는 대걸레(1)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척장치부(10)의 각 세척장치에 걸어 준다.
세척장치에 대걸레(1)를 걸어줄 때에 파지봉(3)을 상측에 설치된 걸이대(70)의 걸이봉(73)에 끼워 걸어주고, 압착부재(4)를 하측에 설치된 걸이대(75)의 걸이봉(78) 위에 안치시켜 준다.
상기 세척장치의 걸이대(70)(75)에 대걸레(1)를 걸어준 상태에서 그 세척장치의 작동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세척수틀(16)의 세척분사노즐(17)을 통하여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을 실시한다.
세척수틀(16)의 세척분사노즐(17)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는 분배구(28)가 수도관과 같은 세척수공급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척수가 세척수공급관에서 분배구(28)로 직접 공급되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4)에 설치되는 수중펌프(27)가 흡입관(27-1)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중펌프(27)의 작동에 의해 물탱크(24)에 충진된 세척수가 급수관(28-1)을 통하여 분배구(28)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분배구(28)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분배되어 각 급수관(28-1)을 통해 각 세척수틀(16)로 각각 공급되고, 각 세척수틀(16)의 세척분사노즐(17)을 통해 분사되면서 대걸레(1)의 걸레(5)를 세척하게 된다.
세척수틀(16)의 세척분사노즐(17)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는 1차 이상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을 실시하되, 메인 컨트롤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이미 설정되어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한번 수초동안 바람직하게는 5 ~ 15초 동안 세척한 후에 자동으로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세척을 실시할 때에 발생하는 오염된 세척수는 오수받이통(20)으로 낙하하여 오물은 망틀(23)에 걸러지면서 노물집수통(21)에 집수되고, 망틀(23)를 통과한 오수는 배수관(22)을 통하여 오수집수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으로 집수된다.
세척장치부(10)의 각 세척장치에 의해 걸레(5)를 세척시킬 때에 각 세척장치는 칸막이(8)에 의해 공간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일측 세척장치에서 발생하는 세척수는 칸막이(8)에 의해 차단되어 다른 세척장치로 비산되지 않게 된다.
특히,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4)에 충진되는 세척수를 수중펌프(27)의 작동에 의해 공급할 때에 수위조절세척수공급장치(25)는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질 때마다 감지하여 세척수를 보충시켜 세척수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고, 세척수가 보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위가 최저수위감지센서(26)에 도달하게 되면 세척수가 재차 공급되도록 하거나 수중펌프(27)의 작동을 정지시켜 세척수가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장치부(10)의 각 세척장치에 의해 걸레(5)를 세척한 대걸 레(1)를 인출하여 탈수장치부(30)로 이동시킨다.
세척된 대걸레(1)를 탈수장치부(30)에 걸어 주는데, 대걸레(1)의 파지걸이구(9)를 상측에 설치된 걸이대(60)의 걸이봉(63)에 끼워 걸어주고, 압착부재(4)를 하측에 설치된 걸이대(65)의 걸이봉(68) 위에 안치시켜 준다.
이와 같이 탈수장치부(30)에 대걸레(1)를 걸어준 상태에서 도 4a 및 도 4b 또는 도 5a 및 도 5b 또는 도 6에 예시된 탈수장치(30)를 작동시켜 탈수를 실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탈수장치(30)에 의한 탈수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걸레(1)를 걸어준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감속모터(31)를 작동시킨다.
감속모터(31)가 작동하여 플라이휠(32)을 일회전 또는 수회 회전시키는데, 플라이휠(32)이 반 회전하면 축(34)은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게 되고, 축(34)은 하사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메인기동기어(33)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축(35)으로 역려된 양측의 보조메인링크(36)를 동시에 당기게 된다.
양측의 보조메인링크(36)가 동시에 하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양측의 각 승하강링크(38)는 가상선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41)을 기준으로 하향하게 되고,
각 승하강링크(38)가 하향 이동할 때에 움직축(40)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벌어지면서) 하향하게 되고, 각 승하강링크(38)가 하향 이동할 때에 선단(상단)에 장착된 양측의 탈수롤러(42)가 걸레(5)의 양면을 압착하면서 하향하게 되며, 이와 같이 양측의 탈수롤러(42)가 걸레(5)의 양면을 압착하면서 하향할 때에 탈수가 이루어진다.
감속모터(31)의 작동에 의해 플라이휠(32)이 완전히 일 회전하게 되면 축(35)이 원상태(상사점)로 이동하면서 각 링크들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반면에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탈수장치(30)에 의해서는 다음과 같이 걸레(5)를 탈수시키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걸레(1)를 걸어 걸레(5)가 고정압착판(50)과 움직압착판(51)과의 사이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감속모터(31)를 작동시킨다.
감속모터(31)가 작동하게 되면 플라이휠(32)이 일 회전하게 되는데, 플라이휠(32)이 반 회전하게 되면 외측에 위치하고 있던 축(34)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메인기동링크(33)를 이동하게(밀어주게) 되고, 메인기동링크(33)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연동링크(54)로 연결된 움직압착판(51)을 고정압착판(50)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움직압착판(51)이 고정압착판(50)측으로 밀어지면 그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대걸레(1)의 걸레(5)를 압착하여 탈수시키게 된다.
감속모터(31)의 작동에 의해 플라이휠(32)이 완전히 일 회전하게 되면 축(35)이 원상태(외측)로 이동하게 되면 움직압착판(51)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탈수장치(30)는 상기 도 4a 및 도 4b 또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세척수를 자동으로 탈수시키지 않고 수동으로 탈수시키는 것이 특 징이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곡레버(65)가 후방으로 젖혀져 이격되어 있는 고정압착판(50)과 움직압착판(51)과의 사이에 대걸레(1)의 걸레(5)를 유입시키고, 손잡이(66)를 전방으로 밀어 주게 되면 절곡레버(65)는 후방축(69)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중간축(68-2)으로 연결된 링크(64)를 밀어 주게 되며, 링크(64)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방축(68-1)으로 연결된 작동봉(67)은 전방지지블럭(62)의 유통공(62-1)을 통하여 전진(이동)하게 되며, 작동봉(67)이 전진하게 되면 움직압착판(51)이 전진하여 걸레(5)를 압착하여 탈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움직압착판(51)을 전진시켜 걸레(5)를 압착하여 탈수시킨 후에 손잡이(66)를 후방으로 젖혀 주게 되면 절곡레버(65)는 후방축(69)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중간축(68-2)으로 연결되어 있는 링크(6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링크(64)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방축(68-1)으로 연결된 작동봉(67)이 전방지지블럭(62)의 유통공(62-1)을 통하여 후진하게 되며, 작동봉(67)이 후진하게 되면 움직압착판(51)도 후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움직압착판(51)이 원상태로 복귀한 후에 대걸레(1)를 인출한다.
상기와 같이 도 4a 및 도 4b 또는 도 5a 및 도 5b 또는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탈수장치(30)에 의해 탈수를 실시한 후에 그 탈수장치(30)와 함께 설치되거나 또는 설치된 건조장치부(45)에 의해 걸레(5)를 건조시킨다.
건조장치부(45)의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게 되면 하우스(10-1)의 내부에 설치된 열풍발생장치(구체적으로 도하지 아니함)가 이미 설정 된 시간만큼 작동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5 ~ 15초 동안 열풍을 공급시키게 된다.
열풍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열풍은 좌우 양측의 각 열풍틀(46)로 공급되고, 열풍은 각 열풍틀(46)의 열기노즐(47)을 통해 걸레(5)의 양측으로 분사되면서 걸레(5)를 열풍건조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건조장치부(45)의 열풍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열풍건조된 대걸레(1)를 인출하여 제2출입문(10-3)을 통하여 하우스(10-1)의 외부로 나오고, 하우스(10-1)의 외벽에 설치된 각 걸이대(70)(75)에 걸어 재차 자연 건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용세척건조장치(10)는, 제1출입문(10-2)을 통하여 하우스(10-1)의 내부로 들어가고, 세척장치부(12)와 탈수장치부(30) 및 건조장치부945)를 차례로 거치면서 대걸레(10)를 차례 세척하고 탈수하여 건조시킨 후에 새로 들어오는 사람과 충돌하지 않도록 제2출입문(10-3)을 통하여 하우스(10-1)의 외부로 나오며, 대걸레(1)를 하우스(10-1)의 외벽에 설치된 각 걸이대(70)(75)에 걸어 재차 자연 건조시켜 주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걸레의 일단에는 상단부에 파지걸이구가 구비된 걸레봉을 링크로 연결하여 대걸레를 형성하고; 절수용세척건조장치는 하우스의 내부에는 대걸레의 걸레를 세척수로 세척하는 세척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세척장치부, 세척장치부에서 세척된 대걸레의 걸레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가 하나 이상 구비된 탈수장치부, 탈수장치에서 탈수된 대걸레를 열풍으로 일차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장치, 열풍으로 일차 건조된 대걸레는 하우스의 외부(벽면)에 설치된 걸이대에 차례로 걸어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대걸레에 의해서는 걸레의 양면을 사용할 수 있고; 절수용세척건조장치에 의해서는 오염된 대걸레의 세척과, 세척된 대걸레의 걸레의 탈수와, 탈수된 대걸레를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와, 열풍건조된 대걸레는 장치하우스의 외부에 걸어 건조시키는 과정;을 각 개인이 차례로(순서대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세척과 탈수 및 보관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처리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세척과 탈수를 할 때에 발생하는 세척수를 집수하여 정화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오수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대걸레(1)의 걸레(5)를 세척하고, 압착하여 탈수하며, 걸이봉에 걸어 자연건조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1출입문(10-2)과 제2출입문(10-3)이 별도로 구비된 하우스(10-1)와;
    하우스(10-1)의 내부에서 제1출입구(10-2)측에 설치되고, 세척수를 분사시켜 세척실(11)의 내부에 걸어지는 대걸레(1)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부(12)와;
    하우스(10-1)의 내부에서 제2출입문(10-3)측에 설치되고, 세척된 대걸레(1)의 걸레(5)를 압착하여 걸레(5)에 함침된 세척수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부(30)와;
    탈수장치부(30)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탈수된 대걸레(1)의 걸레(5)에 열풍을 분사시켜 일차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45)와;
    하우스(10-1)의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일차 열풍으로 건조된 대걸레(1)를 나란하게 걸어 재차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걸이대(70)(75);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출입구(10-2)측에 설치되어 세척수로 대걸레(1)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부(12)는;
    전면이 개방되도록 세척실(11)을 형성한 것과;
    세척실(11)의 하단에는 오물집수함(21)이 구비된 오수받이통(20)을 호퍼형으로 형성하고, 오물집수함(21)의 내부에는 손잡이(24)가 구비된 망틀(23)를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오물집수함(21)의 하단에는 배수관(22)을 연결한 것과;
    세척실(11)의 내부에는 세척수분사노즐(17)이 구비된 한 쌍의 세척수틀(16)을 대향되게 설치하고, 세척수틀(16)의 사이에서 상측에는 걸이대(70)(75)를 구비한 세척장치를 하나 이상 설치한 것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세척수틀(16)은 급수관(28-1)을 통해 분배구(28)와 연결하고, 분배구(28)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한 것과;
    세척장치를 복수로 설치할 때에는 각 세척장치의 사이에 칸막이(18)를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출입문(10-3)측에 설치되어 세척된 대걸레(1)의 걸레(5)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부(30)는;
    동일 수직선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한 것과;
    하단에 설치되는 걸이대(65)의 양측 하단부에는 연동링크(39)의 하단을 고정축(41)으로 설치한 것과;
    연동링크(39)의 상단에는 탈수롤러(42)가 상단에 축으로 설치된 승하강링크(38)의 하단을 움직축(40)으로 연결하되 승하강링크(38)의 상단이 내측을 향하도록 한 것과;
    승하강링크(38)의 하측부에는 보조메인링크(36)의 상단을 중간축(37)으로 연결하고, 좌우 양측 보조메인링크(36)의 하단을 메인기동링크(33)의 상단에 축(35)으로 연결하며, 메인기동링크(33)의 하단을 감속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 휠(32)에 축(34)으로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출입문(10-3)측에 설치되어 세척된 대걸레(1)의 걸레(5)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부(30)는;
    동일 수직선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한 것과;
    하단에 설치되는 걸이대(65)의 양측에는 고정압착판(50)과 움직압착판(51)을 이격시켜 설치한 것과;
    움직압착판(51)의 배면에는 한 쌍의 연동링크(54)를 이격시켜 축으로 설치하고, 각 연동링크(54)의 타단을 보조연동링크(36)에 축으로 설치하며, 보조연동링크(36)에는 메인기동링크(33)의 일단에 축(35)으로 연결하며, 메인기동링크(33)의 타단을 감속모터(31)에 의해 회전되는 플라이휠(32)에 축(34)으로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출입문(10-3)측에 설치되어 세척된 대걸레(1)의 걸레(5)를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부(30)는;
    받침대(54)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압착판(50)을 일체로 형성하고, 중간에는 작동봉지지틀(60)을 설치하며, 고정압착판(50)과 작동봉지지틀(60)과의 사이에서 받침대(54)에는 배수공(54-1)을 뚫어 준 것과;
    작동봉지지틀(60)은 고정판(61)의 선단에 유통공(62-1)이 전후로 유통되게 뚫어진 전방지지블럭(62)을 일체로 형성하고 후단에는 후방지지편(63)을 일체로 형 성한 것과;
    고정판(61)의 유통공(62-1)에는 작동봉(63)을 삽입하고, 후방지지편(63)에는 상단에 손잡이(66)가 구비된 절곡작동레버(65)의 후단을 후방축(69)으로 하여 장착하며, 작동봉(63)의 후단과 절곡작동레버(65)의 중간과의 사이에는 링크(64)를 전방축(67)과 중간축(68)으로 장착한 것과;
    작동봉(63)의 선단에는 움직압착판(51)을 장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수된 대걸레(1)의 걸레(5)를 열풍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부(45)는;
    동일 수직선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한 것과;
    하단에 설치되는 걸이대(65)의 하부 양측에는 열기노즐(47)이 대향하도록 열풍틀(46)을 나란하게 설치한 것과;
    각 열풍틀(46)은 열풍발생장치에 연결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장치부(10)와 탈수장치부(30)와 건조장치부(45) 및 하우스(10-1)의 외벽에 설치되는 걸이대(70)(75)는;
    양단에 장착공(72)(77)이 뚫어진 장착판(71)(76)에는 한 쌍의 걸이봉(73)(78)을 나란하도록 일체로 형성한 것과;
    각 걸이봉(73)(78)의 선단을 상향절곡편(74) 또는 하향절곡편(79)으로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세척실(11)의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세척장치는;
    세척실(11)의 내부 하측에 세척수분사노즐(17)이 구비된 한 쌍의 세척수틀(16)을 이격시켜 세척수분사노즐(17)이 대향하도록 설치한 것과;
    세척수분사노즐(17)의 사이에서 상단과 하단에는 걸이대(70)(75)를 설치하여 대걸레(1)의 파지걸이구(9) 및 압착부재(4)를 걸어 줄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스(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세척장치부(12)와 탈수장치부(30) 및 건조장치부(45)는;
    "ㄱ"자형 또는 "ㅡ" 자형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대향되게 구비되는 세척수틀(16)에 세척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분배구(28)를 수도관과 직접 연결하여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분배구(28)에는 수중펌프(27)가 구비된 흡입관(27-1)을 연결하여 물탱크(24)에 충진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1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압착판(50)과 움직압착판(51)과의 대향 면에는 압착돌기(52)와 수직수직배수홈(53)을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세척수가 충진되는 물탱크의 상측부에는 세척수의 최고 수위를 감지하여 세척수의 충진을 단속하는 수위조절세척수공급장치(25)를 설치하고, 물탱크의 하측부에는 최저 수위를 감지하여 세척수가 충진되도록 하거나 수중펌프(27)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수위최저수위감지센서(26)를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세척건조장치.
KR1020070061018A 2007-06-21 2007-06-21 절수용 세척건조장치 KR100900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18A KR100900097B1 (ko) 2007-06-21 2007-06-21 절수용 세척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018A KR100900097B1 (ko) 2007-06-21 2007-06-21 절수용 세척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514A true KR20080112514A (ko) 2008-12-26
KR100900097B1 KR100900097B1 (ko) 2009-06-02

Family

ID=4037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018A KR100900097B1 (ko) 2007-06-21 2007-06-21 절수용 세척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795A (zh) * 2018-09-19 2019-01-18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洛阳)机器人与智能装备创新研究院 机器人用滚筒拖把清洗旋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64A (ko) * 2006-03-30 2006-04-19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건물구조체용 마포걸레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795A (zh) * 2018-09-19 2019-01-18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洛阳)机器人与智能装备创新研究院 机器人用滚筒拖把清洗旋干装置
CN109222795B (zh) * 2018-09-19 2023-08-25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洛阳)机器人与智能装备创新研究院 机器人用滚筒拖把清洗旋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097B1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3113B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washing bag
US73202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mbined laundry washer and dryer
EP1914337B1 (en) Washer with bio prevention cycle
JP2011501996A (ja) 衣類および衣服を洗濯し、洗浄し、乾燥させて、アイロンをかけるための機械
EP0747523B1 (de) Wäschebehandlungsgerät zum Waschen und Trocknen von Wäsche
US2020018182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flexible washing compartment
KR101232220B1 (ko) 롤러형 마대 걸레 탈수 장치
CN210354596U (zh) 拖把桶
US9027369B2 (en) Towel washing and drying appliance
CN104027052A (zh) 自动洗碗机
KR100900097B1 (ko) 절수용 세척건조장치
KR102302456B1 (ko) 동력 정수부 및 세척부가 구비된 이동식 청소 장치
KR20230035828A (ko) 마포걸레용 세척탈수기
KR200284417Y1 (ko) 걸레 세척장치
US20120192596A1 (en) Actuation Mechanism Configured to Exert Mechanical Forces on Laundry Items in a Wash Basin
CN209094042U (zh) 载玻片清洗装置
CN116460088A (zh) 一种智能清洗烘干监管设备及工作方法
TW201538240A (zh) 清洗裝置
CN214484431U (zh) 一种公共用具有自动清洁功能的工具收纳装置
KR20120050057A (ko) 발판을 가져서 된 걸레 세척기용 탈수 장치
CN217078139U (zh) 一种带有除毛絮功能的服装生产清洗装置
CN211355284U (zh) 一种壁柜式全自动拖把洗干机
CN214115930U (zh) 一种双幅进布水洗机
CN209404680U (zh) 一种移动式拖把清洗水箱
CN210826785U (zh) 一种洗衣洗碗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