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577A - 가입자 정합모듈 - Google Patents

가입자 정합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577A
KR20080111577A KR1020070059691A KR20070059691A KR20080111577A KR 20080111577 A KR20080111577 A KR 20080111577A KR 1020070059691 A KR1020070059691 A KR 1020070059691A KR 20070059691 A KR20070059691 A KR 20070059691A KR 20080111577 A KR20080111577 A KR 2008011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ubscriber
signal
matching modu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만
Original Assignee
(주)뉴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온시스 filed Critical (주)뉴온시스
Priority to KR102007005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1577A/ko
Publication of KR2008011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5Details of gatew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8 핀 SIP-타입의 하이브리드(HYBRID)으로 형성되어 국설 교환기, PBX, Key-phone의 Line Card, FLC 장비의 Line card, Access G/W의 Line Card, VoIP 소형 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 정합에 필요한 가입자 정합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가입자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정합모듈에 있어서,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48V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정합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전원에 따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일정한 전류로 정합모듈에 전원을 변환 제공하는 급전부와, 급전부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정합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정합모듈과 연결되고, 연결된 주변회로, 가입자 신호를 인지하는 외부신호 수신부와, 외부신호 수신부를 통해 유입되는 직류 전류의 변화에 따라 훅-오프, 훅-온을 감지하는 훅 변환부와, 훅 변환부의 검출신호에 의해 가입자 회선에 호출음을 송출하는 링 신호 송출부와, 링 신호 송출부를 통해 송출된 호출음에 의해 통화를 위해 사용자 단말의 음성신호를 구분하여 신호를 분리하는 정합부와, 정합장치와 연결된 공중전화기, 사설교환기와 정합시 과금을 위해 제어신호에 따라 극성반전을 하는 극성반전부와, 정합모듈의 일 구성으로서 정합모듈의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접지, 음성신호 구동, 채널 디코드 입력, 링 신호입력 동작에 필요한 신호가 입출력되도록 28개 핀으로 구성된 복수의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입자 정합모듈{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입자 정합모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 핀 배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 외형 및 치수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과 주변회로와 결합상태를 표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전원부 20 : 급전부
30 : 제어부 40 : 외부신호 수신부
50 : Hook 변환부 60 : 링신호 송출부
70 : 정합부 80 : 극성 반전부
90 : 복수핀
본 발명은 가입자 정합모듈에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설교환기, PBX 또는 Key-phone의 라인 카드, FLC 장비의 라인 카드, Access G/W의 라인카드, VoIP 소형 게이트웨이(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 정합 등 가입자 정합이 필요한 부분에서 효율적으로 가입자와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는 가입자 정합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입자 정합을 위해 많은 장치 및 부가 장비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지만, 가입자와 정합(interface)을 위해 국설교환기, 사설교환기(PBX), Key-phone 연력 장치, FLC 장비의 정합장치, Access G/W 정합장치 등 가입자와 통신을 위해 통신에 적합한 장치가 각각 개별적인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각 장치의 개발에 따른 연구비가 소요되고, 소요된 비용에 따라 그 비용이 가입자 또는 통신사업자에게 전환되어 궁극적으로 통신요금 인상이라는 비용부담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장치와 연동하기 위해 가입자 정합장치의 경우, 각 장치별로 그 규격(spec)에 맞는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고, 적용된 가입자 정합장치의 경우 일정 기간동안 계속해서 사용하거나 새로운 기능 추가에 따라 새로운 장치로 변경, 교체함으로써 비용부담과 아울러 교체된 장치를 폐기하기 위해 번잡한 절차 및 폐기에 따른 사회적 공해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8 핀 SIP-타입의 하이브리드(HYBRID)으로 형성되어 액티브(Active) 소자와 패시브(Passive) 소자를 이용하여 국설 교환기, PBX 또는 Key-phone의 Line Card, FLC 장비의 Line card, Access G/W의 Line Card, VoIP 소형 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 정합에 필요한 가입자 정합모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국설 전전자 교환기, PBX, Key-phone의 라인 카드, FLC 장비의 라인 카드, Access 게이트웨이(G/W)의 라인 카드, VoIP 게이트웨이(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 정합에 사용되며, 전화기와의 정합을 위해 각 가입자 회로가 하나의 독립적인 모듈로서 가입자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정합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48볼트(Volt)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에 따라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변환 제공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입자 정합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관계를 유지하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주변회로, 상기 전화기 가입자의 신호를 인지, 송신 및 수신하는 외부신호 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를 통해 유입되는 직류(DC)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10mA 이상의 신호가 들어오면 훅-오프(Hook-off), 10mA 이하의 신호가 들어오면 훅-온(Hook-on)으로 감지하여 이를 검출하는 훅(Hook) 변화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훅(Hook) 변환부의 검출신호에 의해 링 제너레이터(Ring Generator)의 릴레이(Relay)을 통해 전화기 가입자 회선에 호출음(Bell)을 송출하는 링 신호 송출부와, 상기 링 신호 송출부를 통해 송출된 호출음(Bell)에 의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를 위해 사용자 단말의 음성신호의 송신신호와 통화 상대 음성신호의 수신신호를 구분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정합부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공중전화기 또는 사설교환기와 정합시 과금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극성반전을 이용하는 극성반전부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일 구성으로서 정합장치의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보호접지, 단말로부터 음성신호 구동, 채널의 디코드(decoder) 입력, 링 신호입력 등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입출력되도록 28개 핀으로 구성된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가입자 정합모듈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핀 중, 1번째 핀(PGND)은 상기 급전부에서 유입되는 전원을 영(zero) 전위를 연결하기 위해 서지 전류(surge current)가 그라운드(ground) 터미널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호접지 핀이며, 2번째 핀(TIP_A) 및 17번째 핀(TIP_B)은 가입자 루프(loop)의 TIP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를 하기 위해 링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이고, 3번째 핀(RING_A) 및 18번째 핀(RING_B)은 가입자 루프(loop)의 RING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모니터를 하기 위해 상기 TIP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이고, 4번째 핀(C2_A) 및 19번째 핀(C2_B)은 각 채널의 상태 디 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5번째 핀(BGND) 및 20번째 핀(BGND)은 루프(loop) 전류와 잔여 정지전류가 그라운드(ground) 터미널로 유입되도록 영(zero) 전위를 연결하는 전원 그라운드이고, 6번째 핀은 상기 극성 반전부의 구동에 의해 +5볼트(V) 또는 ±0.25볼트(V)의 입력 핀이고, 7번째 핀(C1_A) 및 22번째 핀(C1_B)은 각 채널의 상태 디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8번째 핀(RR_A) 및 23번째 핀(RR_B)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외부 터미널로 A, 또는 B 각 채널의 링(RING) 트립(TRIP) 센서를 송출하는 입력 핀이고, 9번째 핀(DET_A) 및 24번째 핀(DET_B)은 루프(loop) 전류가 8.5mA 초과될 때 표시고, 5mA 이하 일때 표시되지 않는 가입자의 훅(Hook) 스위치를 감지하는 출력 핀이고, 10번째 핀(RS_A) 및 25번째 핀(RS_B)은 내부저항이 5옴(ohm)의 그라운드 전원과 연결되고, 연결된 팁(tip)이 오픈될 때 Ring 신호를 송출하는 20Hz 입력신호이고, 11번째 핀(AGND) 및 26번째 핀(AGND)은 영(zero) 전위와 연결되고, 출력 및 입력터미널의 기준의 기능을 갖는 아날로그 접지(그라운드, Groud)이고, 12번째 핀(TX_A) 및 27번째 핀(TX_B)은 0.1 마이크로패롯(uF)의 결합(coupling)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팁(Tip) 및 링(Ring)을 통한 차이가 나는 저(low) 임피던스 아날로그 출력의 전압을 표시하는 A 또는 B 채널의 음성 전송 출력이고, 13번째 핀(RX_A) 및 28번째 핀(RX_B)은 4선식의 아날로그 수신 입력 채널이고, 14번째 핀 및 21번째 핀은 상기 극성 반전부의 구동에 의해 +5볼트(V) 또는 ±0.25볼트(V)의 입력 핀이고, 15번째 핀은 미 사용 입력핀으로서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접속을 위한 여분 입력 핀이고, 16번째 핀은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48V(볼트)의 전원을 인가하는 입력 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핀간의 간격은 2.54 미리미터(mm)로 구성되고, 각 핀의 폭은 0.78 미리미터(mm)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사이즈가 93.4 밀리미터(mm) * 16 밀리미터(mm) * 1.0 밀리미터(mm)(가로 * 세로 * 두께)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의 사이즈에서 1번째 핀의 시작의 간격은 6.0 미리미터(mm) 이격되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은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입자 정합모듈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 핀 배열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 외형 및 치수의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과 주변회로와 결합상태를 표시한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10은 전원부를 나타내는데, 이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 PBX(사설교환기), Key-phone의 라인 카드(line card), FLC 장비의 라인 카드(line card), Access 게이트웨 이(G/W)의 라인 카드(line card), VoIP 게이트웨이(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 정합에 사용되며, 전화기와의 정합을 위해 각 가입자 회로가 하나의 독립적인 모듈로서 가입자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48볼트(Volt)을 제공한다.
또한, 참조번호 20은 상기 전원부(10)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에 따라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변환 제공하는 급전부를 나타내고, 30은 본 발명의 가입자 정합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는 급전부(20)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링신호 호출, 음성통화, 과금 등의 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
참조번호 40은 외부신호 수신부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국설 교환기, PBX(사설교환기), Key-phone의 라인 카드(line card), FLC 장비의 라인 카드(line card), Access 게이트웨이(G/W)의 라인 카드(line card), VoIP 게이트웨이(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와 연결관계를 유지하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주변회로와 전화기 가입자의 신호를 인지, 송신 및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하며, 50은 훅(hook) 변환부로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직류(DC)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10mA 이상의 신호가 들어오면 훅-오프(Hook-off)로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전송하고, 10mA 이하의 신호가 들어오면 훅-온(Hook-on)으로 감지하여 이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참조번호 60은 링 신호 송출부로서,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훅(Hook) 변환부(50)의 검출신호에 의해 링 제너레이터(Ring Generator)의 릴레이(Relay)을 통해 전화기 가입자 회선에 호출음(Bell)을 송출하고, 70은 상기 링 신호 송출부(60)를 통해 송출된 호출음(Bell)에 의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를 위해 사용자 단말의 음성신호 송신신호와 통화 상대 음성신호의 수신신호를 구분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정합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80은 극성반전부로서,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공중전화기 또는 사설교환기와 정합시 과금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극성반전을 이용하여 과금여부를 결정하고, 90은 28개의 핀(pin)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일 구성으로서 정합장치의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보호접지, 단말로부터 음성신호 구동, 채널의 디코드(decoder) 입력, 링 신호입력 등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 핀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가입자 정합모듈는 첨부된 도 2에 정합장치의 전면, 후면의 사시도로 표시되고,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핀(90)의 구성 및 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복수핀(90)은 총 28개의 핀(pin)으로 구성되며, 1번째 핀(PGND)(P1)은 상기 급전부(20)에서 유입되는 전원을 영(zero) 전위를 연결하기 위해 서지 전류(surge current)가 그라운드(ground) 터미널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호접지 핀이며, 2번째 핀(TIP_A)(P2)은 가입자 루프(loop)의 TIP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40)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를 하기 위해 링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을 나타낸다.
또한, 3번째 핀(RING_A)(P3)은 가입자 루프(loop)의 RING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40)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모니터를 하기 위해 상기 TIP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이고, 4번째 핀(C2_A)(P4)은 A 채널의 상태 디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5번째 핀(BGND)(P5)은 루프(loop) 전류와 잔여 정지전류가 그라운드(ground) 터미널로 유입되도록 영(zero) 전위를 연결하는 전원 그라운드를 나타낸다.
6번째 핀(P6)은 상기 극성 반전부(80)의 구동에 의해 +5볼트(V) 또는 ±0.25볼트(V)의 입력 핀이고, 7번째 핀(C1_A)(P7)은 각 채널의 상태 디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8번째 핀(RR_A)(P8)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외부 터미널로 A 채널의 링(RING) 트립(TRIP) 센서를 송출하는 입력 핀을 나타낸다.
또한, 9번째 핀(DET_A)(P9)은 루프(loop) 전류가 8.5mA 초과될 때 표시되고, 5mA 이하 일때 표시되지 않는 가입자의 훅(Hook) 스위치를 감지하는 출력 핀이며, 10번째 핀(RS_A)(P10)은 내부저항이 5옴(ohm)의 그라운드 전원과 연결되고, 연결된 팁(tip)이 오픈될 때 Ring 신호를 송출하는 20Hz 입력신호를 나타낸다.
11번째 핀(AGND)(P11)은 영(zero) 전위와 연결되고, 출력 및 입력터미널의 기준의 기능을 갖는 아날로그 접지(그라운드, Groud)이고, 12번째 핀(TX_A)(P12)은 0.1 마이크로패롯(uF)의 결합(coupling)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팁(Tip) 및 링(Ring)을 통해 차이가 나는 저(low) 임피던스 아날로그 출력의 전압을 표시하는 A 채널의 음성 전송 출력이고, 13번째 핀(RX_A)(P13)은 4선식의 아날로그 수신 입력 채널을 나타낸다.
14번째 핀(P14)은 상기 극성 반전부(80)의 구동에 의해 +5볼트(V) 또는 ±0.25볼트(V)의 입력 핀이고, 15번째 핀(P15)은 미 사용 입력핀으로서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접속을 위한 여분 입력 핀으로 사용자에 따라 상기 15번째 핀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16번째 핀(P16)은 상기 전원부(10)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48V(볼트)의 전원을 인가하는 입력 핀이고, 17번째 핀(TIP_B)(P17)은 상기 2번째 핀(P2)와 대칭되는 것으로 가입자 루프(loop)의 TIP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40)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를 하기 위해 링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이고, 18번째 핀(RING_B)(P18)은 상기 3번째 핀(P3)과 대칭되는 것으로 가입자 루프(loop)의 RING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40)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모니터를 하기 위해 상기 TIP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을 나타낸다.
19번째 핀(C2_B)(P19)은 상기 3번째 핀(P3)과 대칭되는 것으로 B 채널의 상태 디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20번째 핀(BGND)(P20)은 루프(loop) 전류와 잔여 정지전류가 그라운드(ground) 터미널로 유입되도록 영(zero) 전위를 연결하는 전원 그라운드이고, 21번째 핀(P21)은 상기 극성 반전부(80)의 구동에 의해 +5볼트(V) 또는 ±0.25볼트(V)의 입력 핀을 나타낸다.
또한, 22번째 핀(C1_B)(P22)은 상기 4번째 핀(P4)와 대칭되고 채널 B의 상태 디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23번째 핀(RR_B)(P23)은 상기 8번째 핀(P8)과 대칭되고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외부 터미널로 B 채널의 링(RING) 트립(TRIP) 센서를 송출하는 입력 핀이고, 24번째 핀(DET_B)(P24)은 상기 9번째 핀(P9)와 대칭되어 루프(loop) 전류가 8.5mA 초과될 때 표시되고, 5mA 이하 일때 표시되지 않는 가입자의 훅(Hook) 스위치를 감지하는 출력 핀을 나타낸다.
25번째 핀(RS_B)(P25)은 상기 10번째 핀(P10)과 대응되어 내부저항이 5옴(ohm)의 그라운드 전원과 연결되고, 연결된 팁(tip)이 오픈될 때 Ring 신호를 송출하는 20Hz 입력신호이고, 26번째 핀(AGND)(P26)은 영(zero) 전위와 연결되고, 출력 및 입력터미널의 기준의 기능을 갖는 아날로그 접지(그라운드, Groud)를 나타낸다.
27번째 핀(TX_B)(P27)은 상기 12번째 핀(P12)와 대칭되어 0.1 마이크로패롯(uF)의 결합(coupling)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팁(Tip) 및 링(Ring)을 통한 차이가 나는 저(low) 임피던스 아날로그 출력의 전압을 표시하는 B 채널의 음성 전송 출력을 나타내며, 28번째 핀(RX_B)(P28)은 상기 13번째 핀(P13)과 대칭되어 4선식의 아날로그 수신 입력 채널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28개의 핀 구조를 가지는 가입자 정합모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외형 및 세부 치수를 살펴보면, 상기 각 핀(P1 내지 P28)간의 간격은 2.54 미리미터(mm)로 구성되고, 각 핀의 폭은 0.78 미리미터(mm)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사이즈는 가로 93.4 밀리미터(mm), 세로 16 밀리미터(mm), 두께 1.0 밀리미터(mm) 즉, 93.4 밀리미터(mm) * 16 밀리미터(mm) * 1.0 밀리미터(mm)(가로 * 세로 * 두께)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의 사이즈에서 1번째 핀의 시작의 간격은 6.0 미리미터(mm) 이격되어 시작된다.
그 세부적인 각 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치 크기 위치 크기
A 93.4 E 2.54
B 16 F 0.78
C 2.54 G 2.5
D 18.0 H 1.0
D1 6.0 I 5.5
D2 15.2 L 3.5
단위 미리미터(mm) (표준공차 : ± 0.3mm)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입자 정합모듈의 호처리 절차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가입자 정합모듈에서는 발신신호 절차를 살펴보면, 상기 Tip선(2,17)과 Ring선(3,18)을 통해 전원을 가입자 선로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에 공급하게 되고, 이후, 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Hook-off 상태를 만들기 위해 hand-set 을 들게 된다.
이때, hook-off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해당 채널 /DET핀(9,24)의 logic 신호가 high 상태에서 low 상태로 천이하게 되고, 상위의 processor 에서는 이 /DET(9.24) 상태를 보고 상기 RX핀(13,28)을 통해 dial tone (아날로그 신호) 을 단말기쪽으로 공급하고, 단말기의 가입자에 의해 digit 를 누르면 해당 digit 의 아날로그 신호가 상위로 전달되는데 모듈의 TX핀(12,27)을 통해 송출이 된다.
본 발명의 가입자 정합모듈을 통해 외부 발신신호가 착신되는 절차를 살펴보면, 발신가입자가 본 발명의 착신가입자로 호 접속하면, 가입자 정합모듈의 20Hz에서 인입된 Ringer 신호를 Ringer Relay 를 ON-OFF 단(1초속 2초단) - ( 가입자 정합모듈의 RR핀(8,23)을 high로 set)을 하여 가입자 line 에 연결된 단말기에 공급 하면 Bell 이 울리게 된다. 이때 단말기가 Hook-off 하게되면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입자정합 모듈의 /DET핀(9,24)이 low가 되며, 모듈의 내부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Ringer Relay 가 복구 상태가 된다.
이때, 상위에서는 /DET핀(9,24)이 low를 감지한 후 RR핀(8,23)을 clear (low) 상태로 만들고 통화 상태로 천이되며, 발신가입자와 본 발명에 연결된 착신가입자와 통화 상태가 되면 상대방 채널의 TX 아날로그 신호가 해당채널의 RX핀(13,28)으로 입력되어 단말기로 전달되고 해당채널의 단말기에서 전달한 아날로그 신호는 자기 채널의 TX 신호로 송출되어 상대방 채널의 RX핀(13,28)을 통해 tip(2,17) / ring(3,25)을 거처 단말기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통화중인 양 채널의 /DET핀(9,24)은 계속 low 상태를 유지하여 통화중임을 알리고 통화가 끝나면 hook-on 상태가 되며 /DET핀(9,24)은 high 가 되고, 상위 processor가 high 를 감지하면 통화로를 절단하여 통화를 종료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일반적인 발신 또는 착신에 따라 본 발명의 각 복수핀(90)의 구동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입자 정합모듈을 통한 급전기능, hook 변환기능, 극성반전기능 등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고, 교환기를 통한 가입자의 호처리, 부가서비스 기능의 절차와 유사하게 구동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입자 정합모듈는 하나의 정합장치에서 국설 교환기, 사설교환기(PBX) 또는 Key-phone의 Line Card, FLC 장비의 Line card, Access G/W의 Line Card, VoIP 소형 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와 정합이 가능하여 개별적인 장비이 필요없어 시설투자에 따른 비용부담이 절감되고, 부가장비 개발에 따른 단가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정합모듈에 구성된 핀 배열을 사용자의 용도 및 정합 장비와 연동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적으로 변경이 가능하고, 미 사용 핀을 추가적인 기능 개발에 따라 활용할 수 있어 장치 사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가입자 정합모듈를 모듈별로 확장, 변경을 자율롭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국설 전전자 교환기, PBX, Key-phone의 라인 카드, FLC 장비의 라인 카드, Access 게이트웨이(G/W)의 라인 카드, VoIP 게이트웨이(G/W) 또는 VoIP 단말의 전화기 정합에 사용되며, 전화기와의 정합을 위해 각 가입자 회로가 하나의 독립적인 모듈로서 가입자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정합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48볼트(Volt)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에 따라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여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변환 제공하는 급전부와,
    상기 급전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입자 정합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관계를 유지하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주변회로, 상기 전화기 가입자의 신호를 인지, 송신 및 수신하는 외부신호 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를 통해 유입되는 직류(DC)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10mA 이상의 신호가 들어오면 훅-오프(Hook-off), 10mA 이하의 신호가 들어오면 훅-온(Hook-on)으로 감지하여 이를 검출하는 훅(Hook) 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훅(Hook) 변환부의 검출신호에 의해 링 제너레이터(Ring Generator)의 릴레이(Relay)을 통해 전화기 가입자 회선에 호출음(Bell)을 송출하는 링 신호 송출부와,
    상기 링 신호 송출부를 통해 송출된 호출음(Bell)에 의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를 위해 사용자 단말의 음성신호의 송신신호와 통화 상대 음성신호의 수신신호를 구분하여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정합부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공중전화기 또는 사설교환기와 정합시 과금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극성반전을 이용하는 극성반전부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일 구성으로서 정합장치의 외측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보호접지, 단말로부터 음성신호 구동, 채널의 디코드(decoder) 입력, 링 신호입력 등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입출력되도록 28개 핀으로 구성된 복수의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합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 중, 1번째 핀(PGND)은 상기 급전부에서 유입되는 전원을 영(zero) 전위를 연결하기 위해 서지 전류(surge current)가 그라운드(ground) 터미널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호접지 핀이며,
    2번째 핀(TIP_A) 및 17번째 핀(TIP_B)은 가입자 루프(loop)의 TIP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모니터를 하기 위해 링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이고,
    3번째 핀(RING_A) 및 18번째 핀(RING_B)은 가입자 루프(loop)의 RING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가입자 단말로부터 모니터를 하기 위해 상기 TIP 터미널과 함께 구동하는 입출력 핀이고,
    4번째 핀(C2_A) 및 19번째 핀(C2_B)은 각 채널의 상태 디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5번째 핀(BGND) 및 20번째 핀(BGND)은 루프(loop) 전류와 잔여 정지전류가 그라운드(ground) 터미널로 유입되도록 영(zero) 전위를 연결하는 전원 그라운드이고,
    6번째 핀은 상기 극성 반전부의 구동에 의해 +5볼트(V) 또는 ±0.25볼트(V)의 입력 핀이고,
    7번째 핀(C1_A) 및 22번째 핀(C1_B)은 각 채널의 상태 디코드(decoder)를 입력하는 입력 핀이고,
    8번째 핀(RR_A) 및 23번째 핀(RR_B)은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와 연결된 외부 터미널로 A, 또는 B 각 채널의 링(RING) 트립(TRIP) 센서를 송출하는 입력 핀이고,
    9번째 핀(DET_A) 및 24번째 핀(DET_B)은 루프(loop) 전류가 8.5mA 초과될 때 표시고, 5mA 이하 일때 표시되지 않는 가입자의 훅(Hook) 스위치를 감지하는 출력 핀이고,
    10번째 핀(RS_A) 및 25번째 핀(RS_B)은 내부저항이 5옴(ohm)의 그라운드 전원과 연결되고, 연결된 팁(tip)이 오픈될 때 Ring 신호를 송출하는 20Hz 입력신호 이고,
    11번째 핀(AGND) 및 26번째 핀(AGND)은 영(zero) 전위와 연결되고, 출력 및 입력터미널의 기준의 기능을 갖는 아날로그 접지(그라운드, Groud)이고,
    12번째 핀(TX_A) 및 27번째 핀(TX_B)은 0.1 마이크로패롯(uF)의 결합(coupling)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팁(Tip) 및 링(Ring)을 통한 차이가 나는 저(low) 임피던스 아날로그 출력의 전압을 표시하는 A 또는 B 채널의 음성 전송 출력이고,
    13번째 핀(RX_A) 및 28번째 핀(RX_B)은 4선식의 아날로그 수신 입력 채널이고,
    14번째 핀 및 21번째 핀은 상기 극성 반전부의 구동에 의해 +5볼트(V) 또는 ±0.25볼트(V)의 입력 핀이고,
    15번째 핀은 미 사용 입력핀으로서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접속을 위한 여분 입력핀이고,
    16번째 핀은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에 -48V(볼트)의 전원을 인가하는 입력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합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핀간의 간격은 2.54 미리미터(mm)로 구성되고, 각 핀의 폭은 0.78 미리미터(mm)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 자 정합모듈.
  4. 상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합모듈의 사이즈가 93.4 밀리미터(mm) * 16 밀리미터(mm) * 1.0 밀리미터(mm)(가로 * 세로 * 두께)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의 사이즈에서 1번째 핀의 시작의 간격은 6.0 미리미터(mm) 이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정합장치.
KR1020070059691A 2007-06-19 2007-06-19 가입자 정합모듈 KR20080111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91A KR20080111577A (ko) 2007-06-19 2007-06-19 가입자 정합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91A KR20080111577A (ko) 2007-06-19 2007-06-19 가입자 정합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577A true KR20080111577A (ko) 2008-12-24

Family

ID=4036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691A KR20080111577A (ko) 2007-06-19 2007-06-19 가입자 정합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15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8738B (zh) 基于蓝牙的手机来电转接装置及其转接方法
US6920313B2 (en) Cellular based universal telephone system adapted for both cellular and land line mimicked service
JPH01245662A (ja) 電話通話あるいは情報伝送に関する伝達システム
CN1945994B (zh) 蓝牙手机来电自动转到固话接听的方法
US5222124A (en) PBX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CN104052885B (zh) 一种声力交换通信系统
CN104735669A (zh) 基于蓝牙的手机接入内部安全通信网的实现方法及系统
US200501070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 utilization of a cell phone
CN102510415B (zh) 磁石电话转换器
KR20080111577A (ko) 가입자 정합모듈
US20030206623A1 (en) Pair gain system
CN201682546U (zh) 通话转接器
CN220156518U (zh) 一种基于隔离变压器的电梯对讲系统
US6671375B1 (en) Telephone circuit
CN210490944U (zh) 一种带分机接口的无线固话
CN201063686Y (zh) 程控交换机用户线信号检测器
CN201174707Y (zh) 从用户端取电的adsl中继器
KR200319430Y1 (ko) 전전자교환기의가입자보드에서의알씨회로
KR19980060258U (ko) 일반 전화기와 키폰 접속 혼합회로 장치
KR100320229B1 (ko) 사령전화장치
RU204086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елефонный концентратор
JPH10313353A (ja) 通信接続装置
KR200223325Y1 (ko) 전화 절환장치
CN203233441U (zh) 蓝牙无线小交换机
CN201563153U (zh) 数字程控用户交换机直线用户板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