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551A -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 Google Patents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551A
KR20080110551A KR1020080056439A KR20080056439A KR20080110551A KR 20080110551 A KR20080110551 A KR 20080110551A KR 1020080056439 A KR1020080056439 A KR 1020080056439A KR 20080056439 A KR20080056439 A KR 20080056439A KR 20080110551 A KR20080110551 A KR 2008011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panel
green panel
parking lot
gar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324B1 (ko
Inventor
홍채호
Original Assignee
건융건설 주식회사
홍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융건설 주식회사, 홍채호 filed Critical 건융건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1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공간을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주차장의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그린 패널과; 상기 그린 패널의 상부에 실현되는 정원 시설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주차장의 상부 공간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합성수지 소재의 그린 패널을 이용하여 초경량 인공지반을 형성하고, 그 위에 녹지 공간 등의 공중 정원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삭막한 노천 주차장의 상부 공간을 자연 녹지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쾌적한 주차장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주차 공간의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주차장, 녹화, 지지대, 그린 패널, 초경량, 정원

Description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Garden superstructure on open-air parking place using green panel}
본 발명은 주차장 상부에 구성되는 공중 정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장의 상부 공간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그린 패널을 이용하여 초경량 인공지반을 형성하고, 그 위에 녹지 공간 등의 공중 정원을 구성하여 주차 공간을 친환경적이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와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도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도시 환경 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의 녹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보다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들이 진행되고 있다.
도시에서 부족한 녹지 면적을 늘려 보다 쾌적한 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나, 도시지역의 높은 밀집도와 지가로 인해 녹지의 확보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에는 유수지를 시민을 위한 녹지 공간 및 휴식 공간으 로 활용하고 있으며, 기존 도로변 및 하천변 등을 정비하여 자전거 전용도로, 보행 산책로 등으로 활용하는 등 도심지 내에 유휴 공간들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물 옥상을 녹화하는 방법 역시 녹지 면적 확대를 위한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으나, 그것만으로 도심의 녹지공간을 확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수지 등의 유휴 공간의 활용과 옥상 녹화 이외에도 새로운 녹지공간의 확충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하여, 그만큼 많은 주차 공간이 요구되고 있는데, 도심의 좁은 공간에서는 주차난 해소를 위해 주차 타워를 설치하거나 담장을 허물어 주차 공간을 확보하기도 한다.
또한 대규모 공공시설이나 공원 등에는 다량의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대형 노천 주차장을 확보하여 주차 시설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 노천 주차장은 오히려 도심의 녹지공간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보다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데 역행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대부분의 노천 주차장은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바닥 위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주차 공간이 커지면 커질수록 주변의 녹지공간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교통 편의는 향상될 수 있으나 녹지 공간의 확보는 퇴보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주차 공간 사이사이에 화단을 조성하거나, 대 한민국 등록실용공보 20-2527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식생 블록을 이용하여 주차장 바닥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주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녹지공간을 축소하지 않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녹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공원이나 학교 또는 공공시설 등의 노천 주차장은 차량이 주차될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빈 공터로 남아 있는 게 현실이므로, 이러한 주차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천 주차장의 상부 공간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초경량 그린 패널을 이용하여 공중 정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도심지 등의 녹지 면적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쾌적한 주차장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그린 패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간단한 시공 구조로 우수한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 프레임, 그린 패널 등을 상호 조립하여 구성함으로써 시공 후, 필요에 따라 쉽게 구조 변경이 가능하고, 또한 이동 및 해체 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 장 공중 정원 구조물은, 하부 공간을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주차장의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그린 패널과; 상기 그린 패널의 상부에 실현되는 정원 시설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주차장의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대과,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그린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린 패널들 사이에는 소배수로가 설치되고, 소배수로의 끝단에는 대배수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배수로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그 위에 배수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린 패널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아치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강성 보강을 위해 리브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그린 패널은, 사각 모양의 패널 구조로 형성되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가운데 부분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를 포함한 패널의 상면에 다수의 리브들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며, 한 쪽 양측 면은 그린 패널과 인접한 다른 그린 패널을 엇걸이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양측면은 그린 패널과 인접한 다른 그린 패널 사이로 저수부에서 넘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 형성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린 패널의 상면에 수분이 통과하는 다공성 시트를 깔고, 그 위에 상기 녹화를 위한 정원 시설물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그린 패널들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판재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은, 하부 공간을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 구조물과, 이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주차장의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그린 패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그린 패널의 상부에, 정원 시설물, 산책로, 운동 시설물, 벤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시설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경량의 그린 패널들을 조립하여 주차장의 상부 공간에 녹지 공간을 포함한 공중 정원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면서 주차장을 친환경적인 시설물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노천 주차장의 상부 공간을 녹화 공간 및 정원 휴게 공간 등으로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 공간을 입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더불어 도심지 녹지 면적 확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 시설과도 조화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그린 패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식생 및 공원 시설물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시공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경량의 그린 패널들을 이용하여 주차장 상부 공간의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경량이면서 시공이 간단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쉽게 구조 변경이 가능함과 아울러 구조물의 이동 및 해체 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주차장의 지지 구조물이 지붕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내부에 주차된 차량이 햇볕 등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눈이 나 비에 의해 차량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이 도시된 예시도로서, 노천 주차장의 상부에 정원 구조물(10)이 설치되어 녹지 휴식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은, 공공 시설물의 옥외 주차장, 학교 주차장, 대규모 위락 또는 공원 시설물의 옥외 주차장 등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상기와 같은 정원 구조물(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녹화물 설치전 상태의 지지 구조물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주차 공간의 상부에 지지 구조물(11)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난간(13)과 계단(15)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1)은 크게 지지체(20)와 그린 패널(50) 등이 상호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지지 구조물(11) 위에 녹화 시설물 등이 설치된 정원 구조물(10)의 설치 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그린 패널(50) 위에 다양한 녹화 시설물이 설치하여, 지상 공간은 주차 공간으로 이용하고, 상부 공간은 녹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본 구조물을 이용하여, 도 5a에서와 같은 천변 주차장의 상부 공간에, 도 5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원 구조물(1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 구조물(11)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물의 설치 순서를 보인 도면들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물을 밑에서 본 상세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11)의 설치 구조 및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면 등의 평면 공간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 공간이 확보되고, 이 주차 공간에 지지체(20)를 설치하고, 이 지지체(20) 위에 그린 패널(50)들을 설치하여 지지 구조물(11)을 구성하게 된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주차장의 바닥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개의지지대(21)가 세워진다.
지지대(21)는 일반적인 지지 구조체와 같이, 철골 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유사한 지지 강도를 갖는 철재 빔 등의 수직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대(21)는 주차장 바닥에 기초 공사를 통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시공후 구조물 이동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철재 빔 등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21) 위에 수평 방향으로 프레임(23)이 설치된다.
프레임(23)은 철재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철재 구조물과 유사한 지지 강성을 갖는 복합 재료를 이용한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프레임(23)은 동일 평면 위에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서로 짜여진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지지대(21) 위에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는 주 프레임(24)과 이 주 프레임(24)들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 프레임(25)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23) 위에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나란히 배치된 지지 파이프(27)가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다. 이때 지지 파이프(27)는 상기 보조 프레임(25)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 파이프(27)는 도면에서와 같이 절단면이 사각인 사각 통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소배수로(3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중공의 파이프가 아닌 막대형 부재도 가능하다.
다음,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 파이프(27) 사이에 소배수로(30)가 끼워져 설치된다.
소배수로(30)는 그 절단면이 대략 'U'자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쪽 상단에 바깥쪽 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31)가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 파이프(27) 상부에 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23)의 측면에 상기 소배수로(30)에서 흘러나온 물을 받아서 한꺼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대배수로(35)가 설치된다.
대배수로(35)는 한쪽 측면에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36)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27)와 프레임(23)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홀(35a)이 형성되고, 이 배수홀(35a)에는 배수 파이프(37)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대(21), 프레임(23), 지지 파이프(27), 소배수로(30)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체(20)에 그린 패널(50)들을 조립하게 된다.
다음, 도 11에서와 같이, 양쪽 소배수로(30)에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그린 패널(50)이 조립된다.
이때 상기 그린 패널(50)은, 충분한 지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아치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한 하중을 줄이면서도 상부에 녹화를 실현할 때에도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진 합성수지재 또는 복합 합성수지재, FRP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린 패널(50)의 양단부에는 상기 소배수로(30)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고, 직렬로 결합되는 그린 패널(50) 사이에는 암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린 패널(50)에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리브들이 형성되어 강 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치형 그린 패널(5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7a 내지 도 21c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아치형 그린 패널이 아닌 평판형 그린 패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는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 도 12에서와 같이, 그린 패널(50)들 사이에 소배수로(30)를 덮을 수 있도록 배수로 덮개(40)가 설치된다.
배수로 덮개(40)는 배수로의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그 폭은 소배수로(30)를 완전히 덮으면서 양측부가 양쪽에 위치된 그린 패널(5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수로 덮개(40)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그린 패널(50)을 구성하는 소재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23)의 상부에 난간벽(42) 및 철재 난간(44)이 설치된다. 이때 난간벽은 이후, 녹화를 위한 토양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다른 각도에서 본 발명의 지지 구조물(11)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 구조물(11)의 밑에서 본 도면으로서, 그린 패널(50)이 고정 핀(46)에 의해 상기 지지 파이프(27)의 측면에 조립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린 패널(50)의 하부에도 강성 보강을 위한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구성된 지지 구조물(11)의 상부에 녹화물을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원 구조물(10)을 구성하게 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그린 패널(50)의 상부에 부직포(47) 등을 깔고, 그 위에 식생 토양(48)을 덮은 후에, 녹화를 위한 나무, 잔디 등을 심게 되면, 본 발명의 정원 구조물(10)의 기본 구성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그린 패널(50)의 상부 공간에 정원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 외에도 도 1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책로, 운동 시설물, 벤치 구조물 등을 다양하게 설치하여 녹지 휴식 공간 등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17 내지 도 21c를 참조하여, 아치형 그린 패널(5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7a 내지 도 21c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노천 주차장 상부 정원 구조물에 이용되는 그린 패널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a 내지 17d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그린 패널이 도시된 도면들 로서, 도 17a는 앞방향 사시도, 도 17b는 뒷방향 사시도, 도 17c와 도 17d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들이다.
제1실시예의 그린 패널(50)은, 도 17a와 도 17b를 참고하면,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라운드형 구조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아치형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패널(5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리브(51)가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물이 고이는 저수부(52)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리브(51)들과 교차되게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저수 리브(5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부(52)는 물고임이 가능하게 하여 그 위에 설치되는 녹화물의 토양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그린 패널(50)은 패널의 앞쪽부분과 뒤쪽부분이 다른 패널과 암수 방식으로 결합되어 패널 상호간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패널의 앞쪽 부분에는 다른 패널의 뒤쪽 부분의 상부 리브(55)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맨 뒤쪽의 상부 리브(55)에는 저수 리브(53)가 연결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린 패널(50)은 그 저면에도 도 17c와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마다 강성 보강을 위한 하부 리브(56)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한 소배수로에 끼워지는 역'U'자형 구조의 끼움부(5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린 패널(50)의 상면 양측의 상부 리브(58)들은 도 17a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수로 덮개(40)가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 리 브(51) 가운데 부분과 달리 동일 평면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그린 패널(50)은 도 2 내지 도 4,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0)에 연속하여 조립되어 지지 구조물(11)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의 그린 패널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그린 패널(50)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그린 패널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제2실시예의 그린 패널(50A)은 도 17에 도시된 그린 패널(50)에서 저수 리브(53)가 생략된 구성을 보여준다.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그린 패널(50)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19a 내지 19c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그린 패널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9a는 앞방향 사시도, 도 19b는 측면도, 도 19c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의 그린 패널(50B)은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상부 리브(51)들 사이에 사각 구조로 돌출된 돌출부(51a)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51a)와 리브(51) 사이에는 배수홈(51b)이 형성되어 배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그린 패널(50)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20a 내지 20c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그린 패널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20a는 앞방향 사시도, 도 20b는 측면도, 도 20c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의 그린 패널(50C)은, 위에서 설명한 제3실시예의 그린 패널(50B)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돌출부(51a')가 라운드형 구조로 돌출되어 그 양쪽의 낮은 부분이 배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그린 패널(50)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21a 내지 21c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그린 패널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21a는 앞방향 사시도, 도 21b는 측면도, 도 21c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5실시예의 그린 패널(50D) 역시, 전술한 제3실시예의 그린 패널(50B)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나, 돌출부(51a")의 상면이 곡면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양쪽에 배수홈(51b")이 형성된다.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그린 패널(50)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물은 아치형 구조를 갖는 그린 패널(50)을 이용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바,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은 평판형 구조의 그린 패널을 이용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100)은 주차 공간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지지대(110)를 세우고, 이 지지대(110) 위에 대략 격자 구조로 배치된 프레임(120)을 설치한 다음, 프레임(120) 위에 그린 패널(130)을 조립하여 구성한다.
도 22 내지 도 42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물(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와 도 23은 지지 구조물(100)을 구성하는 지지대(110), 프레임(120), 배수 유로(145)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그린 패널(130)이 설치된 지지 구조물(100)을 상부 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5는 지지 구조물(100)을 하부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 내지 도 29는 그린 패널(130)을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31은 그린 패널(130)들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 24의 "A" 부분 방향의 상세도, 도 32는 배수 유로(145)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 24의 "B" 부분 방향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물(100)은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대(110), 프레임(120), 그린 패널(130), 배수 유로(145) 등이 상호 조립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상부에 식생, 조경, 휴식 등의 추가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 구조물(100)은, 주차장 바닥 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대(110)와, 이 지지대(110)의 상부에 대략 격자 구조 등으로 상호 조립되는 프레임(120)과, 이 프레임(120)의 상부에 매트릭스 구조로 상호 조립되는 그린 패널(130)들과, 그린 패널(130)들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 구조물(100) 밖으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유로(14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 구조물(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지대(110)는, 도 25를 참조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에서와 같이 철재 빔 등 일반적인 지지 구조체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프레임(120)은, X축, Y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린 패널(1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 예시된 프레임(120)은, 도 22 및 도 23을 참고하면, 한쪽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그린 패널(130)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21)과, 이 상부 프레임(121)의 하부에서 상부 프레임의 설치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1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21)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25)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예시한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21)은 배수 유로(145)와 배수 유로(14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진 단위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단위 프레임 구조는 가운데 위치되는 중앙 프레임(121a), 이 중앙 프레임의 바깥쪽에 위치되어 배수 유로(145)가 조립되는 지지 프레임(121b), 그리고 중앙 프레임(121a)과 지지 프레임(121b)의 앞쪽 또는 뒤쪽에 결합되어 두 종류의 프레임들(121a, 21b)을 하나의 세트로 연결하는 외곽 프레임(12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프레임이 배수 유로(145)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그 양쪽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21)은 중앙 프레임(121a)이 지지 프레임(121b) 사이에서 실시 조건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설치할 수 있는데, 도 22와 도 23은 이러한 상부 프레임(L 또는 K)이 모두 구비된 구성을 보여준다.
다음, 배수 유로(145)는 상기 상부 프레임(121)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의 외곽 둘레에는 상기 배수 유로(145)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유도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외곽 배수로(147) 및 배수통(148)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 유로(145)의 조립 구조에 대해서는, 도 3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24와 도 25에서는 상기와 같이 지지대(110), 프레임(120), 배수 유로(145), 외곽 배수로(147)가 상호 조립된 구조물 위에 그린 패널(130)들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 그린 패널(13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그린 패널(130)은, 전체적으로 패널의 강성 증대, 조립성 개선, 저수기능 강화, 상부 구조물의 설치 편의성 향상 등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그린 패널(130)의 구성에 대해,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6은 상부 쪽에서 본 사시도, 도 27은 상부에서 본 정방향 사시도, 도 28은 평면도, 도 29는 하부 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0은 하부 쪽에서 본 정방향 사시도이다.
그린 패널(130)은, 전술한 그린 패널이 아치형 구조인 것과 달리 사각 평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그린 패널(130)은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120) 위에 다수개가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어 연속하여 설치되는데, 도 26에서 Y 축 방향으로 양쪽면에는 패널과 패널이 상호 엇걸어지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연속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쪽은 'U'자형 홈 구조를 갖는 암결합부(131a)가 형성되고, 다른 쪽은 'I'자형 돌출 구조를 갖는 수결합부(131b)가 형성된다. 도 31은 한 쪽 그린 패널(130A)의 암결합부(131a)와 다른 쪽 그린 패널(130B)의 수결합부(131b)가 결합된 상태를 자세히 보여준다.
반면, 그린 패널(130)에서 X축 방향으로 양쪽면에는 배수 유로(145)와 조립되는 부분으로서, 인접한 다른 그린 패널(130)과의 사이에 그린 패널(130)에서 넘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도 32에서와 같이 일정한 틈새(C)를 가질 수 있도록 형 성된다. 이때 틈새(C)를 확보하는 구조는 패널과 패널 사이가 소정 간격이 발생하도록 돌출부(또는 홈부)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고,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리브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그린 패널(130)의 상면 구조를 설명한다.
그린 패널(130)은 주변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에서 설명한 프레임(120)에 나사 등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보스공(132)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공(132)은 기본적으로 막힌 구조로 형성되고, 나사 체결 부분만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된 부분은 아래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스공(132) 상부에 씌워지는 캡 또는 보스공에 삽입되는 플러그 등에 의해 밀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운데 부분에는, 후술할 리브들과 함께 패널의 중앙에서 상부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원통형 구조로 돌출된 중앙 보스(134)가 형성된다. 이 중앙 보스(134)는 필요에 따라서는 상표나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부분으로 활용하거나, 그린 패널(130) 위에 설치되는 대리석 등의 바닥 판재(160; 도 41 또는 도 42)를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를 장착하는 포스트 장착부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포스트를 장착하지 않고 바닥 판재(16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그린 패널(130)은, 강성 보강을 위해, 패널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다수의 주 리브(135)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주 리브(135)는 그 사이에 저수 공간이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저수 공간 내 부에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터진 구조로 형성되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주 리브(135)는 가운데 부분에 끊어진 부분(135a)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주 리브(135)의 끊어진 부분(135a)에는 보조 리브(136)들이 양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앙 보스(134)의 주변에도 주 리브(135)의 끝단에 보조 리브(136)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리브(136)들은 그린 패널의 가운데 부분에서 주 리브(135)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주 리브(135)는 패널의 외곽 쪽에서 상호 연결되는데, 주 리브(135)를 연결하는 연결 리브(137)는 인접한 다른 그린 패널의 연결 리브(137)와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새(C)를 만드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연결 리브(137)는 그린 패널(130)의 저수부(140)에서 넘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패널의 가장 자리부분과의 사이에 다수의 배수구(139)가 형성될 수 있도록 주 리브(135)의 상부 쪽에만 길게 연결된 상태에서 패널의 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 리브(138)에 의해 지지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면 리브(138)는 상기 주 리브(135)가 패널(130)의 측면까지 연장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연결 리브(137)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139)를 통해 넘친 물이 아래로 배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 리브(137)와 측면 리브(138)가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새(C)를 만드는 틈새 형성부를 구성하게 되고, 이 틈새 형성부를 통해 그린 패 널(130)에서 넘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린 패널(130)은, 저수 기능을 높이기 위해,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당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부(140)를 갖는다. 이러한 저수부(14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에 끊어져 있는 주 리브(135)와 서로 연결되지 않은 보조 리브(136)들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저수 공간 사이를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제,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그린 패널(130)의 밑면 구조를 설명한다.
그린 패널(130)의 밑면은 그린 패널(130)이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관계로, 상부면의 형성 모양과 반대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도 29에서와 같이 저수부(140) 및 보스(132) 등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낮게 형성되고, 그 외의 부분들은 상측으로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수(132)의 밑면 중 일부 보스에는 그린 패널을 쌓아둘 경우에, 안정적인 적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래쪽 패널의 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132a)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린 패널(130)의 밑면에도 강성 보강을 위해 격자 구조로 다수의 리브(141)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그린 패널(130)에서 배수 유로(145)가 결합되는 양쪽 부분에는, 배수유로의 양쪽 부분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유로 결합홈(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 결합홈(142)과 배수 유로(145)의 조립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린 패널(130)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저수부(140)로 구성함에 따라 저수 기능을 키우고, 다수의 리브(135)(136)들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강성을 크게 보강함과 아울러, 결합부(131a,131b) 및 틈새 형성부(137)(138)를 통해 패널과 패널 사이 또는 다른 구조물과의 조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다음, 상기 배수 유로(145)는, 도 24 및 도 25에서와 같이, 그린 패널(130)과 그린 패널(130) 사이에 조립되어 그린 패널의 저수부(140)에서 넘친 물이 지지 구조물(10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배수 유로(145)는, 도 32를 참고하면, 대략 'U'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그린 패널(130) 사이에 결합되는데, 양쪽의 상단부가 상기 그린 패널(130)의 유로 결합홈(14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유로 결합홈(142)에 삽입되는 양쪽 상단부는 유로 결합홈(142)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미도시)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그린 패널(130)에 조립된 배수 유로(145)는 그린 패널(130)과 함께 상기한 프레임(120)의 의해 하부가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지지 구조물(100)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는,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유로(145)를 통해 배출된 물을 주차장 외부 공간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유로(145)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외곽 배수로(147)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평판형 그린 패널(130)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평판형 그린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평판형 그린 패널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 33은 그린 패널의 상부 쪽에서 본 사시도, 도 34는 상부에서 본 정방향 사시도, 도 35는 평면도, 도 36은 하부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은,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과 기본적인 구조는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과 일부 구성 및 형상을 달리하는데, 이를 중심으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른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은, 패널과 패널이 상호 엇걸어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양측에 암결합부(131a') 및 수결합부(131b')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도 36에서와 같이 암결합부(131a')의 양쪽에는 터진 구조가 아닌 막힌 구조(131K)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막힌 구조(131K)에 의해 상기 수결합부(131b')는 암결합부(131a')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에, 암결합부(131a')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다른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은, 보스공(132')의 둘레에서 주 리 브(135')가 연결되는 부분에 일정 깊이만큼 삭제된 부분(132a)이 형성되는데, 이는 보스공(132')에 나사 홀을 형성한 후에, 보스공(132')을 밀폐하기 위해 캡을 씌울 경우에 캡이 조립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삭제한 것이다.
다음, 다른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은, 대부분의 주 리브(135')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중앙 보스(134) 부분만 끊어지는데, 마찬가지로 중앙 보스(134)에 홀을 형성할 경우에, 캡이 원활하게 씌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다른 실시예의 그린 패널(130')은, 주 리브(135')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 리브(1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 리브(135')와 보조 리브(136')가 이어지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돌출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보강부(135K)(136K)가 격자 구조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135K)(136K)는 그린 패널(130')의 상부의 저수부(140')를 일정 높이로 구획함과 아울러, 주 리브(135')와 보조 리브(136')들 사이에서 패널 전체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부(135K)(136K)의 구조는 도 34와 도 36에 잘 나타나 있다.
이외의 그린 패널(130')의 구성은, 전술한 그린 패널(130)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110), 프레임(120), 그린 패널(130), 배수 유로(145), 외곽 배수로(147) 등으로 구성된 지지 구조물(100)은, 빗물 등이 주차장 바닥에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 구조물(100)을 기초로 하여, 그 위에 정원 구조물을 비롯하여, 조경 및 휴식 공간 등을 창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7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지지 구조물(100) 위에 정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의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37과 같은 지지 구조물(100)의 그린 패널(130) 상면에, 도 38에서와 같이, 녹화 공간만큼의 넓이로 부직포 등의 다공성 시트(154)를 깐다. 여기서 다공성 시트(154)는 하부로 수분은 배출하면서 식생을 위한 토양(15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시트(154) 위에, 도 39에서와 같이, 식생을 위한 토양(150)을 소정의 두께만큼 도포하고, 도 40에서와 같이, 원하는 식재 등을 심어서, 정원 구조물을 완성한다.
여기서, 그린 패널(130)에는 저수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양(150)을 거쳐 흘러내린 물이 저수부(140)에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물은 저수부(140)가 갖는 저수량이 넘을 경우에만 배수 유로(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부에 설치된 식생 토양(150)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녹화 구조물을 이루는 식생 토양(150)에 수분을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도 38에서와 같이, 식생 토양(150)에서 그린 패널(130)의 저수부(140) 바닥으로 모세관 부재(155)를 설치할 수 있다.
즉, 그린 패널(130)의 저수부(140)에 고인 물이 증발 등에 의해서만 토양(150)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므로, 식생 토양(150)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토양(150)과 저수부(140) 사이에 모세관 부재(155)를 설치함으로써 저수부(140)에 고여 있는 물이 모세관 부재(155)를 따라 식생 토양(150)에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장시간 비가 오지 않더라도 그린 패널(130)에 고인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있게 되어 보다 우수한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 그린 패널(130)에 각각 하나씩의 저수부(140)가 구비될 경우에, 모세관 부재(155)는 각 그린 패널(130)과 토양(150) 층 사이에 하나씩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린 패널(130)의 크기가 큰 경우나, 하나의 그린 패널에 다수의 저수부(140)가 구획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그에 맞게 모세관 부재(155)의 개수를 적절하게 늘려서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모세관 부재(155)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공성 미세 섬유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이면 공지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지지 구조물(100) 위에 상기와 같은 녹화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 외에도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상부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산책로 또는 일반 휴식 공간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지지 구조물(100) 위의 녹화 구조물 사이에 산책로 또는 휴식 공간(또는 다용도 공간, 예를 들면 벤치 또는 체육 시설물 설치 공간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통상 그린 패널(130)의 상부에 바닥판재(160)를 연속하여 깔게 되는데, 도 41과 도 42에서 이를 잘 보여준다.
도 41은 산책로 또는 통로 등을 확보하기 위해, 그린 패널(130)의 상부에 대리석 등의 바닥판재(161)를 설치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 패널(130) 위에 바닥판재(161)를 격자 구조로 깔게 되는데, 이때, 바닥판재(161)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그린 패널(130)의 중앙 보스(134)에 '+'자형 구조를 갖는 포스트(162) 등을 설치하고, 이 포스트(162)에 대리석의 모서리 등이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재(161)의 설치 위치는, 구조물의 구조적 강성 및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그린 패널(130)들이 만나는 교차 지점에 바닥판재(161)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하여, 그린 패널(130)과 바닥판재(161)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포스트(162)는 그린 패널(130)의 중앙 보스(134)에 홀을 형성하여, 수직으로 끼워서 설치한 상태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바닥판재(16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포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바닥판재(161)를 그린 패널(130)의 상부에 바로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1에서는 그린 패널(130)의 상부에 바닥판재(160)로 대리석을 깔아서 산책로(통로)를 구성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바, 대리석 대신에 콘크리트 블록, 보도용 블록, 석재, 목판재 등 실시 조건에 따라 다른 바닥판재(160)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2에서는 바닥판재(165)로 목판재, 또는 목판재 모양으로 형성한 콘크리트 판재 등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외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43 내지 도 45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에 적용되는 지지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즉, 도 43과 도 44에서와 같이 지지 구조물(100A)의 상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도 45에서와 같이 지지 구조물(100B)의 상면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합성수지재와 같은 초경량 그린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100A)의 높이 조절 구조는, 도 43 및 도 44을 참조하면, 지면 등에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대(11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린 패널(130)이 설치된 상부 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대(110A)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은, 유압식 또는 기 계식 등 다양한 높이 조절 구조를 채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압식의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기계식의 경우에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한 랙과 피니언, 웜기어 등의 직선운동 변환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압식과 기계식이 아닌, 지지대(110A)를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삽입 타입으로 구성하여 크레인 등으로 프레임을 포함한 상부 구조물을 들어 올려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도 구현 가능하다.
위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대(11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어느 경우든 지지대(110A)의 높이를 결정한 후에는 그 높이가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하는 높이 고정수단(112)이 필요하다. 높이 고정수단(112)은 지지대(110A)의 높이가 조절된 후에, 지지대(110A)의 신장 수축부에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고정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태풍이 불거나 기상이 악화된 조건에서 공중 정원 구조물을 하향 이동시켜 외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정원 구조물을 수리하거나 정원을 새로 꾸밀 때도 적절한 높이로 설정하여 보다 편리하게 수리 및 변경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공중 정원 구조물의 높이를 더 높여 이용할 수 있는데, 하천 등에 설치할 경우에 물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불어난 물에 의해 상부의 녹화 시설물 등이 유실되지 않도록 정원 구조물의 상부를 높여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5은 지지 구조물(100B)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지지대(110B)와 프레임(120)이 연결된 부분에 힌지 결합부(126)를 구성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한쪽 지지대(110B)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양쪽 지지대(110B)들의 높이차를 다르게 조절하게 되면, 본 발명의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어도 한쪽 지지대(110B) 쪽은 수평 방향으로 경사도에 따른 변위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슬롯 형태의 힌지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노천 주차장 공정 정원 구조물의 경사도 조절은 주변 조경 시설물 등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주변의 일조 조건 등에 따라 경사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여러 실시예들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경량의 그린 패널을 다수 조립하여 상부 구조체를 구성하고, 그 위에 정원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외부로 노출된 노천 주차장 공간에 폭넓게 적용 가능함과 아울러 그린 패널의 위치 변화 등 다양한 연출 및 변형도 가능하고, 특히 도심지 등에서 부족한 녹지 면적을 확충하여 보다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이 도시된 예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정원 구조물 설치전 상태의 지지 구조물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정원 구조물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천변 주차장에 본 발명에 따른 노천 주차장 정원 구조물 설치전 상태와 설치 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의 설치 순서를 보인 도면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을 밑에서 본 상세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그린 패널의 제 1 실시예의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그린 패널의 제 2 실시예의 도면,
도 19a 내지 19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그린 패널의 제 3 실시예의 도면,
도 20a 내지 20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그린 패널의 제 4 실시예의 도면,
도 21a 내지 21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그린 패널의 제 5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을 구성하는 지지대, 프레임, 배수 유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을 상부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을 하부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그린 패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26은 그린 패널의 상부 쪽에서 본 사시도,
도 27은 상부에서 본 정방향 사시도,
도 28은 평면도,
도 29는 하부 쪽에서 본 사시도,
도 30은 하부 쪽에서 본 정방향 사시도이다.
도 31은 그린 패널들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도 24의 "A" 부분 방향의 상세도이다.
도 32는 배수 유로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 24의 "B" 부분 방향의 상세도이다.
도 33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그린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33은 그린 패널의 상부 쪽에서 본 사시도,
도 34는 상부에서 본 정방향 사시도,
도 35는 평면도,
도 36은 하부 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서 주차장의 지지 구조물 위에 정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시공 순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서 주차장의 지지 구조물 위에 산책로 등을 구성할 경우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서 주차장의 지지 구조물 위에 휴식 공간 등을 구성할 경우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은 본 발명에 따른 노천 주차장에 적용되는 지지 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5은 본 발명에 따른 노천 주차장에 적용되는 지지 구조물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9)

  1. 하부 공간을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주차장의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그린 패널과;
    상기 그린 패널의 상부에 실현되는 정원 시설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주차장의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대과, 상기 지지대들 사이에 지지되어 상기 그린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린 패널들 사이에는 소배수로가 설치되고, 소배수로의 끝단에는 대배수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 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배수로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 파이프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그 위에 배수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린 패널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아치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린 패널은 상면과 하면에 강성 보강을 위해 리브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린 패널은,
    사각 모양의 패널 구조로 형성되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가운데 부분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를 포함한 패널의 상면에 다수의 리브들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며, 한 쪽 양측 면은 그린 패널과 인접한 다른 그린 패널을 엇걸이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 양측면은 그린 패널과 인접한 다른 그린 패널 사이로 저수부에서 넘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 형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린 패널의 상면에 수분이 통과하는 다공성 시트를 깔고, 그 위에 상기 녹화를 위한 정원 시설물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9. 하부 공간을 차량의 주차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 구조물과, 이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주차장의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그린 패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그린 패널의 상부에, 정원 시설물, 산책로, 운동 시설물, 벤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시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KR1020080056439A 2007-06-14 2008-06-16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KR101009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614 2007-06-14
KR20070058614 2007-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551A true KR20080110551A (ko) 2008-12-18
KR101009324B1 KR101009324B1 (ko) 2011-01-18

Family

ID=4036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439A KR101009324B1 (ko) 2007-06-14 2008-06-16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021A (zh) * 2018-12-29 2019-04-26 深圳市中科利亨车库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观景平台与立体车库的组合结构
CN109930867A (zh) * 2019-03-01 2019-06-25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城市架空公园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150B1 (ko) * 2016-08-18 2017-07-18 김재욱 방음터널 녹화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382A (ja) * 1993-12-22 1995-07-18 Hayashi Prod Corp グランド構造
JP2005155095A (ja) * 2003-11-21 2005-06-16 Kimura Giken:Kk 床ユニット
KR100614493B1 (ko) * 2006-03-07 2006-08-22 주식회사 고려풍국건축사사무소 주택단지의 주차공간용 지붕에 설치된 조경시설
KR100629782B1 (ko) * 2006-05-26 2006-09-28 건융건설 주식회사 슬래브 에지의 레벨다운이 포함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021A (zh) * 2018-12-29 2019-04-26 深圳市中科利亨车库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观景平台与立体车库的组合结构
CN109930867A (zh) * 2019-03-01 2019-06-25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城市架空公园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324B1 (ko)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324B1 (ko) 그린 패널을 이용한 노천 주차장 공중 정원 구조물
KR101132405B1 (ko)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CN216787349U (zh) 光电型透水铺面地下储水自动化系统
KR100999938B1 (ko) 그린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최상층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옥상 정원 구조체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EP2826925A2 (de) Gebäudekomplex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15289577U (zh) 一种支撑结构
CN205688583U (zh) 建筑单元的支撑骨架结构、基本建筑单元、建筑单元及应用其的产品化建筑
US20220268008A1 (en) Modular rain garden system
KR100972133B1 (ko) 초경량 인공지반을 이용한 공중 정원 구조체 및 이에사용되는 그린 패널
JP4275681B2 (ja) Alc自立塀
CN112064891A (zh) 一种具有种植功能的梁结构
CN218952929U (zh) 一种带充电桩的双挑式非机动车棚
KR200245391Y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KR200408191Y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101200845B1 (ko) 실외 이동로가 부설된 고층건물 구조
WO2023065647A1 (zh) 光电型透水铺面地下储水自动化系统
CN215563828U (zh) 一种梁结构、空中绿道走廊、绿化屋顶和活动平台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CN216075224U (zh) 高落差装配式绿色挡墙结构
CN201301572Y (zh) 一种充分利用楼宇间空间的库房建筑结构
CN215482031U (zh) 一种风景园林路面施工结构
CN215421854U (zh) 一种用于高架桥侧壁绿化种植花箱
CN213390890U (zh) 一种用于地下室顶板排水的透水孔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