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113A -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 Google Patents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113A
KR20080110113A KR1020070058464A KR20070058464A KR20080110113A KR 20080110113 A KR20080110113 A KR 20080110113A KR 1020070058464 A KR1020070058464 A KR 1020070058464A KR 20070058464 A KR20070058464 A KR 20070058464A KR 20080110113 A KR20080110113 A KR 2008011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message
node
propagation
vehicl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534B1 (ko
Inventor
홍원기
변정식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영광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영광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영광학원
Priority to KR102007005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534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8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predict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고, 네트워크 단절 시에만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의 노드들을 응급메시지 전파에 참여시키므로, 노드밀도가 낮은 경우에도 네트워크 단절에 강하며 높은 노드밀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응급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 에드혹, 네트워크, 단절, 브로드캐스팅방법

Description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BROADCASTING METHOD TO REDUCE NETWORK FRAGMENTATION IN VEHICLE AD-HOC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에 적용되는 주행차량에 각각 설치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의 경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에서 차량간 협업주행할 경우의 브로드캐스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에 있어서 브로드 캐스팅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 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에 있어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가 연결모드일 경우에 응급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에 있어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가 단절모드일 경우에 응급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전송거리가 50m에서 차량밀도에 대한 네트워크의 전파 단절 발생율의 실측 그래프,
도 9는 전송거리가 400m에서 차량밀도에 대한 네트워크의 전파 단절 발생율의 실측 그래프,
도 10은 전송거리가 50m에서 차량밀도에 대한 응급메시지 수신율의 실측 그래프,
도 11은 전송거리가 400m에서 차량밀도에 대한 응급메시지 수신율의 실측 그래프,
도 12는 전송거리가 5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거리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
도 13은 전송거리가 5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다중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롤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
도 14는 전송거리가 40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거리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
도 15는 전송거리가 40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다중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롤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GPS 수신기 2:마이크로 프로세서
3:안테나 4:RF송ㆍ수신기
9:장애물 10:텔레매틱스 단말기
12:제1 주행차량 14:제2 주행차량
16:제3 주행차량
본 발명은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고, 차량밀도가 높거나 낮아도 안정적으로 응급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Vehicle Ad-hoc Network)은 고속의 이동성, 높은 차량 밀도, 잦은 토폴로지(topology) 변화 등의 특징으로 인해 잦은 네트워크 단절과 네트워크 부하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 단절은 응급 메시지 전파시간 지연시킴과 동시에, 네트워크 연결성 을 저하시킨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protocol)들은 대부분 지구전체 위치 확인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통한 위치정보를 활용하므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가 영향을 미치는 영역 즉, 브로드캐스팅 영역에만 응급 메시지를 전파한다. 이를 통해 응급 메시지 전파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메시지 중복과 충돌을 줄일 수는 있으나,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모든 노드가 응급 메시지 전파에 참여하는 프로토콜에 비해 낮은 노드밀도에서 빈번하게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모든 노드가 응급 메시지를 전파에 참여하는 프로토콜들은 네트워크 단절이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특성은 있으나, 메시지 중복과 충돌에 의한 전파지연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고, 차량밀도가 높거나 낮아도 안정적으로 응급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 단절 시에만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의 노드들을 응급메시지 전파에 참여시키므로, 노드밀도가 낮은 경우에도 네트 워크 단절에 강하며 높은 노드밀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응급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짧은 전송거리와 낮은 차량 밀도에서도 네트워크 단절을 일으키지 않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은 도로를 주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면, 소스 노드에서 연결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결모드 판별단계와, 상기 연결모드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연결모드일 경우, 연결모드에서 소스 노드로부터 응급메시지를 전송하는 응급메시지 전송단계와, 상기 응급메시지 전송단계에서 전송되는 응급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들이 거리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대기시간 설정단계와, 상기 대기시간 설정단계 후에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대기시간이 만료된 노드들이 응급메시지를 재전파하는 응급메시지 재전파단계와, 상기 응급메시지 재전파단계에서 대기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응급메시지를 재전송 받은 노드들을 릴레이 노드로 선정하는 릴레이 노드 선정단계와, 상기 릴레이 노드 선정단계에서 릴레이 노드로 선정된 노드들이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는 응급메시지 전파단계와, 상기 응급메시지 전파단계에서 응급메시지가 전파되고 나서 전파의 연결생존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전파 연결생존 시간 판별단계와, 상기 전파 연결생존 시간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전파 연결생존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의 전파를 종료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에 적용되는 주행차량에 각각 설치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서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의 경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에서 차량간 협업주행할 경우의 브로드캐스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에 있어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가 연결모드일 경우에 응급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 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에 있어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가 단절모드일 경우에 응급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는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차량의 속도신호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1)와, 상기 GPS 수신기(1)에서 출력되는 차량의 속도,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받아서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입력한 차량고유의 ID 및 차량의 주행방향신호를 받아 연산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와, 각각의 차량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도로의 주행정보(예를 들면 장애물 또는 사고차량의 정부)를 인접하는 차량에 설치된 안테나(3)를 통해서 무선신호로 송신하는 RF송ㆍ수신기(4)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텔레매틱스 단말기(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장애물(9)이 존재할 경우의 텔레매틱스 단말기(10)가 장애물(9)이 전방에 있음을 무선으로 감지하고, 주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장애물(10)이 있음을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텔레매틱스 단말기(10)가 각각 설치된 특정 차량, 예를 들면 제1 주행차량(12)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장애물(9)이 있을 경우에, 안테나(3)를 통해서 장애물(9)이 있음을 검출하고, 장애물(9)에 관한 정보를 RF송ㆍ수신기(4)에서 받아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입력하고, 이와 동시에 GPS 수신기(1)에 의해 자체 차량의 주행속도 및 위치정보를 위성으로부터 받아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입력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에서는 장애물(9)에 대한 데이터와 속도 및 위치정보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RF송ㆍ수신기(4)에 출력한다.
상기 RF송ㆍ수신기(4)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에서 출력되는 자체 차량의 위치정보와 속도정보 및 장애물(9)에 대한 정보를 주위에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 상기 안테나(3)를 통해서 무선신호로 송신하며, 주위에 주행하고 있는 차량은 자체의 차량에 설치된 텔레매틱스 단말기(10)의 안테나를 통해서 각각 수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위의 또 다른 차량에 자신의 주행 속도와 위치정보를 장애물(9) 신호와 함께 송신한다.
이와 같이 반복해서 장애물(9)에 대한 정보를 주위 차량에 전파하여 차량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텔레매틱스 단말기(10)가 주행차량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를 주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주행차량(12,14,16)에 각각 장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10)들이 서로 자체의 주행속도정보와, 위치정보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송ㆍ수신하면서 안전 운행을 도모하면서 차량의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를 주행 중에 인접하는 차량과 접촉사고를 발생하거나 또는 인사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연결모드에서 소스 노드(20 ; 사고차량)에서 응급메시지(EWM)를 전송하면, 릴레이노드(23)를 응급메시지가 전파의 연결생존시간(TTL ; Time To Live) 동안 재전송되며, 단절모드에서는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노드(N1)는 전달자 노드(N2)를 검색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팅 외부영역에 메시지 단절이 발생되었다고 메시지를 전파하여, 브로드캐스팅 외부영역에서 메시지 단절발생을 최초로 전송받은 노드(N2)를 전달자 노드(N2)로 선정하며, 상기 전달자 노드(N2)는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최초의 노드(N1) 이후의 지역에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면서 이동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을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캐스팅방법은 스텝S1에서 도로를 주행 중에 인접하는 차량과 접촉사고를 발생하거나 또는 인사사고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스텝S2로 나아가서 소스 노드(20)에서 연결모드인지 여부를 판별(연결모드 판 별단계)하고, 상기 연결모드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연결모드일 경우(YES일 경우),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연결모드에서 소스 노드(20 ; 사고차량)로부터 응급메시지(EWM)를 전송한다(응급메시지 전송단계).
다음에 스텝S4로 나아가서 상기 응급메시지(EWM) 전송단계에서 전송되는 응급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들은 거리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대기시간을 설정하고(대기시간 설정단계), 상기 대기시간 설정단계후에 스텝S5로 나아가서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대기시간이 만료된 노드들은 응급메시지를 재전파하고(응급메시지 재전파단계),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상기 응급메시지 재전파단계에서 대기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응급메시지를 재전송 받은 노드들을 릴레이 노드(23)로 선정하고(릴레이 노드 선정단계), 상기 릴레이 노드 선정단계에서 릴레이 노드(23)로 선정된 노드(23)들은 스텝S7로 나아가서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EWM)를 전파한다(응급메시지 전파단계).
다음에 스텝S8로 나아가서 상기 응급메시지 전파단계에서 응급메시지(EWM)가 전파되고 나서 전파의 연결생존 시간(TTL)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전파 연결생존 시간 판별단계), 상기 전파 연결생존 시간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전파 연결생존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YES일 경우),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의 전파를 종료한다(종료단계).
한편, 상기 스텝S2의 연결모드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연결모드가 아닐경우(NO일 경우), 스텝S9로 나아가서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네트워크 단절 판별단계), 상기 네트워크 단절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였을 경우(YES일 경우), 스텝S10으로 나아가서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노드(N1)는 전달자 노드(N2)를 검색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팅 외부영역에 메시지 단절발생 메시지를 전파하고(메시지 단절발생 메시지 전파단계), 상기 메시지 단절발생 메시지 전파단계 후에 스텝S11로 나아가서 브로드캐스팅 외부영역에서 메시지 단절발생을 최초로 전송받은 노드를 전달자 노드(N2)로 선정하고(전달자 노드 선정단계), 상기 전달자 노드 선정단계 후에 스텝S12 로 나아가서 전달자 노드(N2)는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노드(N1) 이후의 영역에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면서 이동하고(응급메시지 전파/이동단계), 상기 응급메시지 전파/이동단계에서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면서 이동한 다음 상기 스텝S7의 응급메시지 전파단계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 : Adaptive Relay Node Search)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브로드캐스팅 영역을 설정하고 응급메시지 전파에 참여하는 노드를 제한함으로 메시지 중복과 충돌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의 노드를 응급메시지 전파에 선택적으로 참여시켜 응급메시지 전송가능경로를 확보함으로써 네트워크 단절을 해결한다. 이는 모든 노드들이 항상 브로트캐스팅에 참여하는 프로토콜들에 비해 불필요한 메시지 중복과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반면 선택적으로 모든 노드가 응급메시지 전파에 참여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RBM(Role Based Multicast ; 다중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롤검색)과 같이 이웃노드의 정보를 테이블로 유지하지 않고 거리에 기반 하여 최소의 노드만을 통해 응급메시지를 전파함으로써 전송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크게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한다.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연결모드와 단절이 발생하였을 때의 단절모드이다. 도 4는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의 전체 동작을 유한 상태 머신으로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는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지 않으면 연결모드로써 응급메시지를 소스 노드(20)로부터 TTL까지 전파하게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면 노드는 단절지역 이후의 노드, 사고지점이후의 노드(차량)들에게 응급메시지를 전달할 전달자 노드를 선택적으로 검색하여 선택된 전달자 노드를 통해 단절지역 이후의 브로드캐스팅 영역 내의 노드들에게 응급메시지을 전송한다.
상기 전달자 노드에게 응급메시지를 전송받은 브로드캐스팅 영역(A)내의 노드들은 다시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지 않으면 연결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는 양방향 고속도로를 이동모델로 가정하고 있으며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의 두 동작모드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연결모드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지 않으면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를 전파한다. 연결모드에서는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할 때까지 브로드캐스팅 영역(A) 내에서 센더와 리시버의 거리에 기반하여 릴레이 노드를 선정하고 TTL(Time To Live ; 전파의 연결 생존시간)구간까지 응급메 시지를 전파한다.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노드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브로트캐스팅 영역(A)을 결정한다. 브로드캐스팅 영역(A)은 소스 노드(20 ; 사고 차량)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소스 노드(20)로부터 발생하는 응급메시지의 전파영역을 브로드캐스팅 영역(A)으로 제한함으로써 브로드캐스팅에 참가하는 노드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는 메시지 중복 및 충돌을 줄일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브로드캐스팅을 가능하게 한다. 브로드캐스팅 영역(A)은 소스 노드(20)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영역이며 이는 소스 노드(20)로 부터 TTL까지의 구간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TTL을 거리로써 제한한다. TTL을 hop count(응급 메시지가 거쳐가는 노드의 수)로 설정할 경우 노드의 밀도에 따라 TTL의 거리가 가변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거리 기반 브로드캐스팅의 경우 노드 밀도(주행차량의 밀도)가 낮으면 센더의 전송거리 가장자리에 노드가 위치할 확률이 낮아지게 되어 일정한 거리의 TTL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TTL을 5Km로 제한한다. 도 5에서 백색의 원은 주행차량, 즉 노드를 표시하고, 화살표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각각 표시하며, 빗금친 부분은 소스 노드(20 ; 사고차량)가 있는 지역을 통과하여야 할 차량(21)이 있는 브로드 캐스팅 영역(A ; 위험지역)을 표시한다.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기존의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ODAM ; Optimized Dissemination of Alarm Message)과 같이 응급메시지의 센더와 리시버의 거리에 기반한 차등 재전송을 통해 응급메시지를 전파한다. 아래 식은 거리를 기반 으로 재전송을 담당할 릴레이 노드(23)를 선정하기 위해 응급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의 전송대기시간(이하 WTB : Waiting Time for Broadcasting)을 계산하는 식이다.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WTB는 센더와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노드가 가장 짧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최소한의 메시지 교환으로 브로드캐스팅 영역(A)내의 모든 노드들에게 응급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함이다. 브로드캐스팅 영역(A) 내에서 WTB가 만료된 노드는 응급메시지를 재전송하게 되고 WTB가 만료되기 전에 응급메시지를 재수신한 노드들은 재전송을 포기한다. 그리고 센더는 릴레이 노드(23)로부터 응급메시지를 재수신 받음으로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 영역으로 계속 전파됨을 알 수 있다. 만약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최대 대기시간 WTBmax가 만료될 때까지 센더가 응급메시지를 재수신하지 못하면 이는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했음을 의미하고,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최대 대기시간 WTBmax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해진다.
WTB(d) = WTBmax (1-
Figure 112007043179072-PAT00001
)
여기서, WTBmax는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최대 대기시간이고, D는 거리이고, R은 전송범위이다.
연결 모드에서 만약 응급메시지가 TTL까지 전파되기 전에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면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단절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단절모드에 대해서 후술한다.
낮은 노드밀도로 인해 센더의 전송반경 내에 응급메시지를 전송받을 노드가 존재하지 않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의 노드를 응급메시지 전파에 선택적으로 참여시켜 응급메시지 전송가능경로를 확보함으로써 네트워크 단절을 해결한다.
연결모드의 응급메시지 전파 과정에서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면 앞의 각 노드의 전송대기시간(WTB) 계산식의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노드 N1은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에서 네트워크 단절 발생지역 이후의 노드에게 응급메시지를 전달해줄 전달자노드를 검색하게 된다. 이는 노드 N1이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달자노드는 연결모드에서 릴레이 노드로 선정된 노드가 선택된다. 이를 수신한 여러 노드들 중에 대표 노드를 선출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전달자 노드를 선정하기위한 메시지 교환을 최초화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면 최초 단절을 인식한 노드 N1은 브로드캐스팅 영역(A) 외부에서 단절지역 이후의 노드들에게 응급메시지를 전파해 줄 전달자 노드(N2)를 찾게 된다. 그리고 전달자 노드(N2)가 노드 N1의 전파를 수신하면 노드 N1은 더 이상 전파를 전송하지 않고 네트워크 단절이 해결된 것으로 간주한다. 응급메시지를 수신한 전달자 노드(N2)는 노드 N1 이후에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응급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브로드캐스팅 영역(A)내의 새로운 노드가 나타날 때 까지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며 이동한다. 브로드캐스팅 영역 (A)내에 새로운 노드가 전달자 노드(N2)의 응급메시지를 수신하면 새로운 노드(N3)는 다시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를 전파하게 된다.
이때 전달자 노드(N2)는 응급메시지 전파를 멈추고 를 다시 수신 할 때 까지 리스닝 모드로 전환한다. 단, 브로드캐스팅 영역(A) 내에서의 응급메시지 전파속도 는 전달자 노드(N2)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다. 전달자 노드(N2)는 최초 소스 노드(20)로부터 TTL까지 리스닝 모드를 유지하며 수신시 상기 설명과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전달자 노드(N2)가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는 구간은 브로드캐스팅 영역(A) 내에 응급메시지를 수신 받을 노드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전달자 노드(N2)가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이 해당 구간의 네트워크 로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릴레이노드는 전파전송차량을 말하고, 소스 노드는 사고차량을 말하며. N1은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노드를 의미하고, N2는 전달자 노드(N2)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달자 노드는 네트워크 단절발생시에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 응급메시지 전파에 참여하는 노드를 말하며,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의 노드들을 EWM 전파에 참여시킴으로서 네트워크 단절을 해결한다. N3는 응급메시지를 수신한 새로운 노드를 의미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2가지 동작을 통해 높은 노드 밀도에서는 ODAM과 대등한 전파 접속성과 전파지연을 나타내며 또한 낮은 노드밀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네트워크 단절을 극복할 수 있다.
다음에,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의 성능을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 중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ODAM과 RBM을 비교대상으로 각 성능요소를 비교하였다.
실험 모델
본 실험에서는 모든 노드들은 GPS를 통해 위치정보를 알 수 있고, 유일한 ID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된 MAC은 2.4Ghz 대역의 IEEE 802.11을 사용하였으며 차량의 추월이나 차선 변경은 없다고 가정한다. 연결생존시간(TTL)은 최대 홉(hop ; 응급메시지가 거쳐가는 노드의 수)이 아닌 최대 전파 거리로 결정된다. 최대 전파 거리는 5Km이다. 이는 최대 홉으로 연결생존시간을 결정 할 경우 노드밀도에 따라 연결생존시간의 거리가 변하기 때문이다.
즉, 전파의 전송거리가 50 내지 500m이고, 전파의 연결생존시간이 5km이며, 도로 길이가 10km이고, 도로 폭이 6m인 옹복 4차선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속도가 100km/hr이고, 차량밀도가 1 내지 30v/km/L인 도로에서 전파의 전송반경(m)은 50에서 500까지 변화시키면서 각 알고리즘의 네트워크 단절 발생율과 응급메시지 수신율, 네트워크 로드를 각 1,000회 반복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분석
도 8은 전송거리가 50m에서 차량밀도(1~30V/Km/V)에 대한 네트워크의 전파 단절 발생율의 실측 그래프이다. 도 8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는 전송거리가 50m일 때 노드밀도 전 구간에서 평균 99%의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반하여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과 다중 기반의 롤검색(RBM)의 그래프(P)는 노드밀도의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 단절율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노드밀도가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 그래프은 21이상, 다중 기반의 롤검색(RBM) 그래프는 25이상에서 더 이상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은 ODAM에 비 해 전송거리 50m에서 네트워크 단절율이 평균 39.9% 낮게 나타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은 ODAM에 비해 짧은 전송거리에도 네트워크 단절이 강함을 보여주며 테이블 기반인 RBM과도 유사함을 증명하고 있다.
도 9는 전송거리가 400m에서 차량밀도(1~30V/Km/V)에 대한 네트워크의 전파 단절 발생율의 실측 그래프이다. 도 9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는 노드밀도가 9이하일 때는 38%~100%의 네트워크 단절 발생율을 나타내지만,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는 노드밀도 5이상부터는 0%의 네트워크 단절 발생율을 나타내며 노드밀도가 1일 때에도 30%이하의 네트워크 단절 발생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다중 기반의 롤검색(RBM)의 그래프(R)는 전송거리 400m에서는 네트워크 단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은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에 비해 전송거리 400m에서 네트워크 단절율이 평균 21.2% 낮게 나타난다. 이는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는 전송거리가 보장(400m 이상)되면 낮은 노드밀도에서도 네트워크 단절을 극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0은 전송거리가 50m에서 차량밀도에 대한 응급메시지 수신율의 실측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와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 그래프(P)는 거리 기반의 검색(ODAM)의 그래프(Q)는 노드밀도가 높을 경우(30V/Km/L)에서도 10%이하의 낮은 응급메시지 수신율을 나타낸다. 이에 반해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는 높은 노드밀도(30V/Km/L)에서는 89%의 응급메시지 수신율을 나타낸다. 이에 반하여 다중 기반 의 롤검색(RBM)의 그래프(R)는 전 구간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에 비해 약 11% 높은 응급메시지 수신율을 나타낸다.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는 전송거리가 짧고 노드밀도가 낮은 경우 잦은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게 됨으로 단절 이후 지역에는 더 이상 메시지가 전달할 수 없음이 밝혀졌다. 이에 반해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는 짧은 전송거리(50m)에도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에 비해 평균 41.9%의 높은 응급메시지 수신율을 나타낸다.
도 11은 전송거리가 400m에서 차량밀도에 대한 응급메시지 수신율의 실측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긴 전송거리를 가지는 경우에도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는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보다 높은 응급메시지 수신율을 나타내며 노드밀도 12이상에서는 100%의 응급메시지 수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노드밀도 11이하에서는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에 비해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가 평균 22.3%의 높은 응급메시지 수신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전송거리가 5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거리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이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송거리 5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는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에 비해 메시지 교환이 잦다. 이는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가 전송거리 50m에서 빈번한 네트워크 단절로 인해 더 이상 응급메시지를 전파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가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에 비해 메시지 교환이 많은 것 은 네트워크 단절모드의 동작 때문이다. 네트워크 단절모드는 노드의 밀도가 낮아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지역에서 동작함으로 네트워크 부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3은 전송거리가 5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다중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롤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이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기반의 롤검색(RBM)의 그래프(R)는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에 비해 전 구간에서 약 10,000배 이상의 메시지 교환이 발생하며 이는 네트워크 부하를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다중 기반의 롤검색(RBM)의 그래프(R)는 앞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보다 네트워크 단절성능과 응급메시지 전송율이 같거나 우수하지만 이러한 네트워크 부하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네트워크 부하의 급증은 잦은 메시지 충돌과 네트워크 대역폭의 고갈로 인해 정상적인 메시지 전파를 할 수 없다.
도 14는 전송거리가 40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거리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이고, 도 15는 전송거리가 400m에서 선택적 전달자 노드검색과 다중 기반의 브로드 캐스팅 롤검색과의 응급메지지 교환회수를 차량밀도에 대해 실측한 그래프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적 전달자 노드 검색(ARNS)의 그래프(P)은 긴 전송거리와 노드밀도가 보장되면 메시지 교환회수는 거리 기반의 검색(ODAM) 그래프(Q)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다중 기반의 롤검색(RBM)의 그래프(R)는 노드밀도와 전송거리의 증가에 따라 메시지 교환회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함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은 종래의 거리 기반의 검색(ODAM)과 다중 기반의 롤검색(RBM)에 있어서 높은 차량 밀도에서도 차량의 고속이동성과 토폴로지 변화로 인해 네트워크 단절이 자주 발생하며, 이는 응급메시지 전파 시간의 지연 , 네트워크 연결성을 저하시킴으로 효과적인 응급메시지 전파를 방해한다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형 전달 노드 검색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에 의해 네트워크 단절 발생시에만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트 영역 외의 영역에서 노드를 검색함으로 네트워크 단절 및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에 의하면,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고, 네트워크 단절 시에만 선택적으로 브로드캐스팅 영역 외부의 노드들을 응급메시지 전파에 참여시키므로, 노드밀도가 낮은 경우에도 네트워크 단절에 강하며 높은 노드밀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응급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로를 주행 중에 사고가 발생하면, 소스 노드(20)에서 연결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연결모드 판별단계와,
    상기 연결모드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연결모드일 경우, 연결모드에서 소스 노드(20)로부터 응급메시지(EWM)를 전송하는 응급메시지 전송단계와,
    상기 응급메시지(EWM) 전송단계에서 전송되는 응급메시지를 수신한 노드들이 거리에 따른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대기시간 설정단계와,
    상기 대기시간 설정단계 후에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대기시간이 만료된 노드들이 응급메시지를 재전파하는 응급메시지 재전파단계와,
    상기 응급메시지 재전파단계에서 대기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응급메시지를 재전송 받은 노드들을 릴레이 노드(23)로 선정하는 릴레이 노드 선정단계와,
    상기 릴레이 노드 선정단계에서 릴레이 노드(23)로 선정된 노드(23)들이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EWM)를 전파하는 응급메시지 전파단계와,
    상기 응급메시지 전파단계에서 응급메시지(EWM)가 전파되고 나서 전파의 연결생존 시간(TTL)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전파 연결생존 시간 판별단계와,
    상기 전파 연결생존 시간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전파 연결생존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연결모드로 응급메시지의 전파를 종료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드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연결모드가 아닐 경우,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네트워크 단절 판별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단절 판별단계의 판별결과,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노드(N1)는 전달자 노드(N2)를 검색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팅 외부영역에 메시지 단절발생 메시지를 전파하는 메시지 단절발생 메시지 전파단계와,
    상기 메시지 단절발생 메시지 전파단계 후에 브로드캐스팅 외부영역에서 메시지 단절발생을 최초로 전송받은 노드를 전달자 노드(N2)로 선정하는 전달자 노드 선정단계와,
    상기 전달자 노드 선정단계 후에 전달자 노드(N2)가 네트워크 단절이 발생한 노드(N1) 이후의 영역에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면서 이동하는 응급메시지 전파/이동단계와,
    상기 응급메시지 전파/이동단계에서 응급메시지를 전파하면서 이동한 다음 상기 응급메시지 전파단계로 나아가서 상기 응급메시지 전파단계 이하의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 브로드 캐스팅방법.
KR1020070058464A 2007-06-14 2007-06-14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KR10092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464A KR100924534B1 (ko) 2007-06-14 2007-06-14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464A KR100924534B1 (ko) 2007-06-14 2007-06-14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113A true KR20080110113A (ko) 2008-12-18
KR100924534B1 KR100924534B1 (ko) 2009-11-02

Family

ID=4036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464A KR100924534B1 (ko) 2007-06-14 2007-06-14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5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20B1 (ko) * 2009-03-13 2012-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차량에 설치된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KR101453315B1 (ko) * 2013-02-13 2014-10-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움직이는 영역 내 최근접 질의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225496A (zh) * 2018-03-02 2019-09-10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终端的车联网近场广播方法及系统、车载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9685B (zh) * 2015-07-24 2017-06-06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最大流率路径优先的路网疏散规划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20B1 (ko) * 2009-03-13 2012-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차량에 설치된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KR101453315B1 (ko) * 2013-02-13 2014-10-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움직이는 영역 내 최근접 질의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225496A (zh) * 2018-03-02 2019-09-10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终端的车联网近场广播方法及系统、车载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534B1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7890B (zh)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US8554920B2 (en) Linked equivalent cell header-based approach and protocol for organizing an ad-hoc network
Tonguz et al. Broadcasting in VANET
JP2007266876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WO2008051264A1 (en) A roadside network unit using local peer groups as network groups
Chitra et al. Efficient broadcasting mechanisms for data dissemination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JP2006221286A (ja) 通信装置
Aron et al. A witness-aided routing protocol for mobile ad-hoc networks with unidirectional links
Ahmed et al. Research Article Survey on Broadcasting in VANETs
KR100924534B1 (ko) 차량간 에드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단절을 줄이기 위한브로드캐스팅방법
KR20090056070A (ko) 차량 애드혹네트워크에서 경쟁윈도우를 이용한 릴레이노드선정방법
Nguyen et al. Combining V2I with V2V communications for service continuity in vehicular networks
Nuri et al. Strategy for efficient routing in VANET
KR100982298B1 (ko) 차량간 통신에서 긴급메시지전파를 위한 적응적 릴레이노드선정방법
Rana et al. VANET: expected delay analysis for location aided routing (LAR) Protocol
KR101119437B1 (ko)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
KR20090056072A (ko) 차량 애드혹네트워크를 위한 영역기반 릴레이노드선택알고리듬을 이용한 긴급경고메시지 브로드캐스팅방법
Ksouri et al. Hybrid routing for safety data with intermittent V2I connectivity
Bae Design and evaluation of a hybrid intelligent broadcast algorithm for alert message dissemination in vanets
JP2007174389A (ja) モバイル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端末のパケット中継方法、その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335803B1 (ko)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적응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Doukha et al. Dissemination of an emergency message in a vehicular ad hoc network
Batish et al. Efficient broadcasting protocol for vehicular ad-hoc network
Koti et al. Intelligent safety information dissemination scheme for V2V communication in VANETs
Doukha et al. An efficient emergency message dissemination protocol in a vehicular ad hoc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