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645A -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645A
KR20080108645A KR1020070056455A KR20070056455A KR20080108645A KR 20080108645 A KR20080108645 A KR 20080108645A KR 1020070056455 A KR1020070056455 A KR 1020070056455A KR 20070056455 A KR20070056455 A KR 20070056455A KR 20080108645 A KR20080108645 A KR 2008010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client
dcd
serv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훈
황승오
이종효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8645A/ko
Publication of KR2008010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65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for initial activation of new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서버의 컨텐츠 전송을 위한 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을 생성하고 인증 관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세션 아이디를 할당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가입하기 원하는 채널별로 그룹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고 할당하여 채널 가입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전송 방법에 따라, 세션 아이디 또는 그룹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OMA DCD, Session-ID

Description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 to Provide Content in Dynamic Content Delivery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세션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 아이디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그룹 세션 아이디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세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을 위한 세션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DCD 컨텐츠 전송시 세션 정보의 전송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장은 기존 기술들의 재조합 또는 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생산을 지속적으로 요구받고 있으며,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방송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폰, PDA의 등 휴대 단말기(이하, "이동 단말")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있다. 이러한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시장 수요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급증하는 사용자 요구, 기존의 음성 서비스 외에 방송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전략, 그리고 수요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이동통신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IT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이동통신 서비스와 IP의 융합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pen Mobile Alliance : OMA)는 개별 모바일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로서, 상기 OMA는 이동 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특히, 상기 OMA의 작업 그룹 중 OMA CD(Open Mobile Alliance Content Delivery Working Group)에서는 동적 컨텐츠 전송(Dynamic Content Delivery, DCD)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상기 DCD는 이동 단말에서 인터넷 서비스 활용이 검색 불편, 입력 제한, 느린 속도 등의 이유로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점점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본인이 정한 분야의 컨텐츠를 맞춤형의 형태로 전송해주는 서비스이다.
이하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를 들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기술 표준중의 하나인 OMA BAC CD기술을 바탕으로 설명하나, 이 설명이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DCD의 구성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조도를 나타낸다.
DCD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10)와 서버(130)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110)는 이동 단말기에 위치하며 DCD 서버(130)에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DCD클라이언트(110)는 가입과 관리 기능(Subscription and Administration function)(111), 컨텐츠 전송과 저장 관리 기능(Content Delivery and Storage Management function)(112),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연동 기능(Client Application Interaction Function)(113)의 3가지 논리적 기능(logical function)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입과 관리 기능(111)은 DCD 서버(130)와 서비스 관리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컨텐츠 전송과 저장 관리 기능(112)은 서버(130)로부터 수신받는 컨텐츠의 관리를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연동 기능(113)은 해당 클라이언트를 통해 DCD 시스템을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 (DCD Enabled Client Application)(120)으로부터 DCD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지원한다.
DCD 서버(130)는 DCD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한다. DCD 서버(130)는 두 가지의 논리적 기능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입과 관리 기능(131)은 DCD 클라이언트(110)와 서비스 관리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전송과 적용 기능(Distribution and Adaptation Function)(132)은 DCD 클라이언트(110)에게 DCD 컨텐츠와 DCD 컨텐츠 notification을 제공한다.
그리고, 하기 <표 1>은 도 1의 구성 요소(논리 개체)들 간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7041954903-PAT00001
상술한 바와 같은 DCD 시스템 상에서 일반적인 DCD 서비스에서 세션 생성 방법의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은 DCD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DCD 서버)에 그 사용을 알리는 절차로, 그 결과 특정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세션을 생성하여 DCD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을 통하여 가입자 보안 등급과 인증 종류에 따라 가입자 인증 절차가 수행된다.
도 2의 201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210)는 DCD 서버(220)에 DCD Enabled Application을 등록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을 요청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DCD클라이언트(210)가 DCD 서버(220)에게 보내는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요청 메시지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Figure 112007041954903-PAT00002
상기 <표 2>에서 메시지-타입(Message-Type)은 DCD 클라이언트가 DCD 서버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항목이다. 단말-ID(Device-ID)는 가입자 단말기의 종류 또는 DCD 클라이언트의 버전 등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고, 버전(Version)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가장 최신의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인증-종류(Authentication-Mode)는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인증 종류를 DCD서버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필요하다. 인증-정보(Auth-Info)는 요청한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에 대한 응답을 DCD 서버로부터 수신받기 위해 DCD클라이언트가 반드시 제공해야 되는 인증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202 단계에서 DCD 서버(220)가 DCD클라이언트(210)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DCD서버(220)는 DCD 클라이언트(21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처리하고, 수신받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고 DCD클라이언트(210)에 전송한다.
Figure 112007041954903-PAT00003
상기 <표 3>은 상기 202단계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로, 메시지-타입(Message-Type)은 DCD클라이언트가 DCD서버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항목이다. 세션-ID(Session-ID)는 DCD서비스에 참여하는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의 인증 관계를 증명함과 아울러, 세션-ID는 일대일 통신일 경우에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기능도 있다. 이는 세션-ID가 서버에서 사용자와 단말기를 인증한 다음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값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세션-TTL(Session-TTL)은 DCD서비스를 받기위해 생성된 세션의 유효한 기간을 나타낸다. 인증-정보(Auth-Info)는 클라이언트가 DCD서버에게 추가적인 사항을 요청할때 DCD 클라이언트가 반드시 제공해야 되는 인증관련 정보를 담고 있다.
도 3은 동적 컨텐츠 전달(Dynamic Content Delivery, DCD)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 방송 서비스와 같은 일대다 통신 방식에서 클라이언트-서버간의 세션-ID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CD Enabled Application을 DCD 서버에 등록하기에 앞서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간에 세션이 생성된다. DCD의 경우,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간 생성되는 세션은 클라이언트별로 생성되고, 각 세션은 고유의 식별자(세션-ID)를 갖게 된다.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 간의 일대일 DCD 통신에서는 생성되는 세션 개수가 한 개로 그 수가 많지 않으므로 세션 관리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3에서와 같이 일대일 통신 뿐만 아니라 방송의 경우와 같은 일대다 통신을 지원하는 DCD에서는 여러 클라이언트들이 서버로부터 동일한 컨텐츠를 수신받는 경우라도 세션이 각 클라이언트 별로 생성되어 있어, 동일한 컨텐츠 수신시 n개의 세션-ID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방송의 경우와 같이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경우, 동일한 컨텐츠에 다수 개의 세션-ID를 사용하게 되어 전송시 세션 정보의 전송 오버 헤드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 시, 세션 정보의 전송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통신 방식에 따라 개별 세션 설정과 채널 그룹 별 세션을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적 컨텐츠 전송 시 스템에서 서버의 컨텐츠 전송을 위한 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을 생성하고 인증 관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세션 아이디를 할당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가입하기 원하는 채널별로 그룹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고 할당하여 채널 가입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전송 방법에 따라, 세션 아이디 또는 그룹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을 위한 세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액티베이션 요청을 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고,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을 하여 그룹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액티베이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을 생성하고 인증 관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가입하기 원하는 채널별로 그룹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고, 컨텐츠 전송 방법에 따라, 세션 아이디 또는 그룹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혹은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기구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DCD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DCD 통신 시스템 상에서 컨텐츠 통신 방식의 종류에 따라 일대일 방식일 경우에는 서버와 각각의 클라이언트들 사이에 개별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고, 일대다 방식일 경우에는 동일한 컨텐츠를 전송할 클라이언트들에 하나의 그룹 세션 아이디를 할당하여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해 일대다 통신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세션 아이디 전송으로 인한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그룹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와 같은 일대다 통신 방식에서 다수의 세션 ID를 할당할 필요없이 동일한 채널에 가입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 을 위해 생성한 그룹-세션-ID(430)가 할당되었을 때의 DCD 클라이언트-서버와의 관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일한 컨텐츠 A를 제공받기 위해, 동일한 채널에 가입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411, 412, 413, 414, , 41N)에게 동일한 그룹-세션-ID(430)가 할당되어, 상기 도 3과 같이 다수의 세션-ID가 컨텐츠 전달시 사용되어야 하는 부하(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즉, 기존에 N개의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컨텐츠를 수신해야 할 경우에는 N개의 세션-ID가 필요했으나, 도 4에서 제안한 그룹-세션-ID를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세션 아이디는 한 개로 줄어든다. 도 4의 채널 그룹 별로 새로 세션을 구성하는 그룹-세션-ID를 생성하기 위한 채널 가입 메시지의 송수신에 대한 세부 사항은 하기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세션-ID는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단계에서 생성된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서비스 채널에 대한 가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고, 서비스 채널에 대한 가입은 그 후의 채널 가입 메시지 송수신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룹-세션-ID는 컨텐츠를 수신받는 사용자들을 가입한 채널별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세션 아이디 생성은 서비스 채널 가입 요청 단계인 채널 가입 메시지 송수신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그룹 세션 아이디 생성을 위한 채널 가입 송수신 단계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510)는 DCD 서버(520)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을 요청한다. 이 때, DCD클라이언트(510)가 DCD서버(520)에게 보내는 채널 가입 요청 메시지의 일 예는 하기의 <표 4>와 같다.
Figure 112007041954903-PAT00004
상기 <표 4>에서 메시지-타입(Message-Type)은 DCD 클라이언트가 DCD 서버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이고, 메시지-ID(Message-ID)는 DCD클라이언트가 DCD 서버에게 전송하는 채널가입요청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그리고, 세션-ID(Session-ID)는 DCD서비스에 참여하는 DCD 클라이언트와 DCD서버의 인증 관계를 증명하는 것으로, 상기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 사이에 진행된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이다. 채널-ID(Channel-ID)는 컨텐츠가 속해 있는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단말-ID(Device-ID)는 가입자 단말기의 종류 또는 DCD 클라이언트의 버전 등을 구분 해주기 위한 정보이다. 이때, 단말-ID는 해당 단말기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송망인 DVB, 3GPP MBMS, 3GPP2 BCMCS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단말 ID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해당 ID가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려줄 필요가 있으며, 상기 <표 4>와 같이 Type을 통해 메시지에 포함되는 단말-ID가 DVB DeviceID, IMEI, MEID 중 어느 것인지를 구별하게 하여 Device-ID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502 단계에서는 DCD 서버(520)가 DCD 클라이언트(510)로부터의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채널 가입 응답 메시지의 일 예는 하기의 <표 5>와 같다.
Figure 112007041954903-PAT00005
상기 <표 5>의 메시지-타입(Message-Type)은 DCD 클라이언트가 DCD 서버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필드이고, 메시지-ID(Message-ID)는 DCD서버가 DCD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채널가입응답 메시지를 구분하는 식별자이다. 그리고, 세션-ID(Session-ID)는 DCD 서비스에 참여하는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의 인증 관계를 증명하는 것으로, 상기 종래 기술에 언급된 과정에 의해 사전에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 사이에서 생성된 정보이다. 그룹-세션-ID(Group-Session-ID)는 기존의 클라이언트 별로 생성된 세션과는 달리 원하는 컨텐츠를 수신받기 위해 가입한 채널별로 새로이 재구성된 세션이다. 그룹-세션-ID는 일대일 통신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방송 서비스와 같은 일대다의 통신에서 동일한 컨텐츠를 수신받는 사용자들을 채널별로 식별하여 세션-ID대신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태코드(Status Code)는 채널가입 요청에 대한 성공, 실패, 실패 이유 등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502 단계에서 서비스 채널에 대한 가입이 이루어지면, DCD 클라이언트(510)는 503단계에서 Content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 가입한 채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게 된다. 503단계에서 DCD서버(520)가 DCD클라이언트(510)에게 보내는 Content Notification 메시지는 하기 <표 6>과 같다.
Figure 112007041954903-PAT00006
상기 <표 6>에서 메시지-타입(Message-Type)은 DCD 클라이언트가 DCD 서버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항목이다. 그룹-세션-ID(Group-Session-ID)는 컨텐츠를 수신받는 사용자들을 가입한 채널별로 식별하여 세션-ID 대신 사용하기 위하여 할당되는 항목으로, 일대다 통신의 경우에만 사용되고 일대일 통신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세션-ID는 DCD 서비스에 참여하는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의 인증 관계를 증명하는 항목으로 사전에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 사이에 진행된 과정으로 상기 종래 기술에서 기술한 세션-ID와 동일하다. 메시지-ID(Message-ID)는 메시지를 고유하게 트래킹하기 위하여 정보이고, DCD-컨텐츠와 메타데이터(DCD-Content And Metadata)는 실제 컨텐츠와 해당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또는 컨텐츠에 대한 참조 정보이다. 컨텐츠(Content)는 전송을 위해 MIME과 같은 형태로 응답 메시지에 삽입되어 전송이 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서비스 방식에 따라 그룹 아이디 또는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DCD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단말의 동작을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DCD Enabled Application (DECA)은 DCD enabler와 DCD 클라이언트의 DCD-CAR interface를 통해 등록된다. 이에 601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는 DCD-CAR interface을 통해 DCD Enabled Application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DCD 클라이언트는 DCD Enabled Application을 DCD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DCD 서버에게 전달하기에 앞서, 602 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간의 인증 관계 생성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요청 메시지를 DCD 서버에게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을 요청한 DCD 클라이언트는 603 단계에서 DCD 서버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한다. 상기 603 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간에 성공적으로 세션이 생성되었다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DCD 클라이언트는 DCD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 관계를 인증하는 세션-ID를 이용하여, 604단계에서 DCD 서버에게 DCD Enabled Application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응답 메시지를 기다린다. 605단계에서 단말은 DCD 서버로부터 DCD Enabled Application 등록 사항을 수신받는다. 상기 605 단계에서 DCD 서버는 DCD 클라이언트에게 등록 요청을 했던 DCD Enabled 클라이언트 Application이 수신할 수 있는 채널들을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알려준다. 606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표 4>와 같은 원하는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 메시지를 DCD 서버에 요청하고 그 응답 메시지를 기다린다. 607단계에서 단말은 DCD 서버로부터 채널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고, 608단계에서 가입자가 가입한 채널로부터 <표 6>과 같이 Content Notificaiton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때 일대일 통신으로 전달되는 Content Notification 메시지에는 세션-ID가 존재하며, 방송과 같은 일대다 방식으로 전달되는 Content Notification 메시지에는 그룹-세션-ID가 존재한다.
다음으로 통신 서비스 방식에 따라 그룹 아이디 또는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DCD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서버의 동작을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0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DCD 서버는 단계 701에서 DCD 클라이언트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에,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 간 세션을 생성하고 인증 관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세션-ID를 할당한다. DCD 서버는 702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와 DCD 서버 관계를 인증하는 세션-ID를 포함하는 상기 <표 5>와 같은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한다.
703단계에서 DCD 서버는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DCD Enabled Application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DCD 서버는 704 단계에서 해당 DCD Enabled Application을 DCD-서버에 등록하고, 705 단계에서 상기 등록 정보를 DCD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706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DCD 서버는 707단계에서 새로이 사용자가 가입하기 원하는 채널별로 Group-세션-ID를 생성하고 할당하여 <표5>와 같은 채널 가입 응답 메시지를 작성한다. 상기 707단계에서 생성된 채널 가입 응답 메시지는 708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다. 709단계에서 DCD 클라이언트에게 컨텐츠를 전송해야 할 DCD서버는 710단계에서 통신 방법을 결정한다. 상기 710단계에서 일대일 또는 방송과 같은 일대다 통신 방법의 결정에 따라, 서버는 일대일 통신의 경우 711 단계에서 세션-ID를 설정하고 일대다의 통신 경우, 712단계에서 Group-세션-ID를 설정하여 <표 6>과 같은 Content Notificaiton 메시지를 작성한다. 713단계에서는 서버는 상기 작성한 메시지를 DCD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따라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동일한 컨텐츠를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때, 채널별로 재구성된 세션(그룹-세션)을 사용하여 기존의 세션-ID보다 적은 수의 (최대 1/N개) 그룹-세션-ID를 사용하므로 사용되는 세션 정보의 전송 부하(overhead)를 줄이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서버의 컨텐츠 전송을 위한 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액티베이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을 생성하고 인증 관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세션 아이디를 할당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가입하기 원하는 채널별로 그룹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고 할당하여 채널 가입 응답 메시지를 작성하여 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전송 방법에 따라, 세션 아이디 또는 그룹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방법.
  2.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을 위한 세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액티베이션 요청을 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고,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을 하여 그룹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액티베이션 요청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세션을 생성하고 인증 관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로부 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채널 가입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가입하기 원하는 채널별로 그룹 세션 아이디를 생성하고, 컨텐츠 전송 방법에 따라, 세션 아이디 또는 그룹 세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관리 장치.
KR1020070056455A 2007-06-11 2007-06-11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80108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455A KR20080108645A (ko) 2007-06-11 2007-06-11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455A KR20080108645A (ko) 2007-06-11 2007-06-11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645A true KR20080108645A (ko) 2008-12-16

Family

ID=4036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455A KR20080108645A (ko) 2007-06-11 2007-06-11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86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0815A1 (zh) * 2010-09-01 2011-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群组会话的实现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0815A1 (zh) * 2010-09-01 2011-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群组会话的实现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241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edge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 and related device
JP4409602B2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の識別および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529803B (zh) 用于建立多播组的方法和装置
CN101180899B (zh) 在无线电信装置之间的群组通信中分配VoIP数据分组的系统及方法
JP5144541B2 (ja) 携帯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ガイド又はサービスガイドフラグメントを要請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669331B (zh) 在宽带无线接入网络中定位内容的方法及系统
KR100812995B1 (ko) Mbms 멀티캐스트 베어러를 이용한 서비스 공지 방법 및시스템
US106306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scription to a service and use of the service
JP5080479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グループ通信
CN108668178B (zh) 一种组播实现方法及相关网络设备
US8203989B2 (en) Distributing cont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1134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Multicasting Content from Mobile User Equipment over an MBMS Network
GB0506285D0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EP203469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736039B (zh) 一种视频分发方法和设备
CN100563258C (zh) 一种发现流媒体业务的方法和系统以及业务发现装置
US8254976B2 (en) Ranging collision elimination for group cal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8400965B (zh) 一种多媒体会议集成通讯系统及方法
WO2010088815A1 (zh) 广播下载类业务的方法、装置和系统
CN1976292A (zh) 一种发现oma bcast业务指南的方法和系统
CN1960525A (zh) 一种多方通信业务的会话控制方法及系统
KR20080108645A (ko) 동적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세션관리 방법 및 장치
CN101305623B (zh) 用于确定具有控制功能的pt服务器的方法和装置
KR20100052025A (ko) 대역폭 공유 방식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07092B1 (ko)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