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547A -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547A
KR20080107547A KR1020070055432A KR20070055432A KR20080107547A KR 20080107547 A KR20080107547 A KR 20080107547A KR 1020070055432 A KR1020070055432 A KR 1020070055432A KR 20070055432 A KR20070055432 A KR 20070055432A KR 20080107547 A KR20080107547 A KR 20080107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int
mobile terminal
coordinate value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966B1 (ko
Inventor
남기선
양중근
조병기
최근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6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지점의 제1 터치가 인식되어 상기 제1 지점의 좌표값이 제어부로 인입되는 단계와; b) 상기 제1 터치 후 인식되는 제2 지점의 제2 터치가 상기 제1 터치가 계속 인식된 상태에서 인식된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제3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 터치로 재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 터치 패널, 다수 터치, 동시 인식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METHOD FOR SIMULTANEOUSLY RECOGNIZING A PLURALITY OF TOUCHES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로 인식한 좌표값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이동 단말기
210 : 터치 패널
220 : 터치 패널 구동부
230 : 제어부
240 : 연산부
250 : 표시부
260 : 음성신호 처리부
270 : 메모리부
280 : 통신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두 지점이 동시에 인식되거나 또는 제1 지점이 인식된 상태에서 제2 지점이 인식되더라도 정확한 제2 지점이 인식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널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에 대화를 하는 여러 방식 중 하나로서,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부가적인 주변기기 없이 사용자의 손이나 펜(Pen)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기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크게 정전방식과 저항막방식, 초음파방식, 전계방식, 적외선방식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터치 패널(이하 '터치 패널'이라 한다)의 작동 원리에 따라 스크린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를 통해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감압식 터치 패널, 및 스크린 표면에 전하(전류의 흐름)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를 두어 접촉시 전하의 상실된 정보를 감지해 접촉점을 알아내는 정전식 터치 패널이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은 특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서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도 장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즉,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기능 버튼에 의해 외형 사이즈가 커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터치 패널을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 내부 구조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ITO(전극; 103)로 코팅된 유리판(109) 및 필름막(106)에는 일정한 전압이 걸려있다. 이때 터치 패널의 표면에 손 또는 펜으로 힘을 가하여 접촉하면 표면의 필름(106)이 안으로 눌리면서 ITO(103)로 코팅된 유리판(109)에 닿게 된다. 이때 접촉이 일어난 지점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고, 필름막(106) 및 유리판(109)에 연결된 전극을 통해 전압을 계산하여 접촉이 일어난 지점의 좌표값을 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패널에서 제1 지점을 누른 후 동시에 제2 지점을 누르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인식되지 않고, 나중 에 눌린 제2 지점 대신에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중간 지점이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패널에서 두 지점이 동시에 터치 되더라도 뒤에 인식된 지점의 좌표값이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지점이 계속 인식된 상태에서 제2 지점이 인식되더라도 정확한 제2 지점이 인식될 수 있도록 구현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지점이 터치 되어 발생하는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환하기 전에 제2 지점이 터치 되더라도 제2 지점의 정확한 좌표값이 제어부로 인식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 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은,
a)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지점의 제1 터치가 인식되어 상기 제1 지점의 좌표값이 제어부로 인입되는 단계;
b) 상기 제1 터치 후 인식되는 제2 지점의 제2 터치가 상기 제1 터치가 계속 인식된 상태에서 인식된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제3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 터치로 재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제1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이 상기 제어부로 인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Release signal)로 전환된 경우,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중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 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은,
ⅰ)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지점의 제1 터치에 의해 발생한 제1 액티브 신호가 제어부로 인입되는 단계;
ⅱ) 제2 지점의 제2 터치에 의해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단계 ⅱ)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화되지 않은 경우, 멀티 터치로 인식하고 실제 터치인 제3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 터치로 재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ⅱ)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Release signal)로 전환된 경우,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이 상기 제어부로 인입되며,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중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순차로 수신되는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멀티 터치인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의 좌표값을 연산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좌표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터치의 실제 좌표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제1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된 경우,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좌표값은 상기 제1 좌표값 및 상기 실제 좌표값의 중간 지점의 좌표값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통신부(280)는 안테나를 통해 에어(Air)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에어로 방사하며, 안테나를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처리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260)는 마이크로 폰 및 스피커와 연결되어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수행하고, 스피커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의 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는 등, 이동 단말기(200)의 음성 신호 에 대해 변환/복조를 수행한다.
표시부(250)는 제어부(23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상태 데이터, 및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게 알린다.
메모리부(270)는 이동 단말기(200)의 고유의 데이터, 이동 단말기(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 및 무선 인터넷/유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운용 과정에서 액세스되거나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램(RAM; Read Access Memor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터치 패널의 접촉이 다수 회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부(270)는 터치패드 구동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좌표값을 저장하며,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된 좌표값을 제어부(230) 또는 연산부(240)로 전송한다.
터치 패널(210)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및 통화 등의 동작 수행을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터치 패널(210)에서 선택된 포인트의 좌표 정보를 발생시켜 제어부(230)로 전송하는 터치 패드 구동부(220)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230)는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210)을 통해 사용자가 손 또는 펜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며, 포인트 위치 및 선택 여부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거나,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여 해당 모드로 모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순차로 수신되는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의 좌표값을 연산부(240)로 전송한다.
부언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제1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즉, 상기 제1 액티브 신호(Active Signal)가 릴리즈 신호(Release Signal)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패널(210)에서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230)는 이를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한다.
상기 연산부(240)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좌표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터치의 실제 좌표값을 연산한다.
즉, 상기 연산부(240)는 상기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된 경우, 상기 제2 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230)가 인식한 좌표값은 상기 제1 좌표값 및 상기 실제 좌표값의 중간 지점의 좌표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좌표값 및 상기 제2 터치에 의해 인식된 제2 좌표값을 기반으로 실제 좌표값을 연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로 인식한 좌표값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손 또는 펜 등을 이용하여 제1 지점을 누름으로써 제1 터치가 인식되어 상기 제1 지점의 좌표값이 제어부로 인입된다(S310)
상기 제1 터치 후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널의 제2 지점을 누름으로써 인식되는 제2 터치가 상기 제1 터치가 계속 인식된 상태에서 인식된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S330).
상기 터치 패널에서 터치 압력이 가해지면, 터치 패널의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이 터치되었음을 알리는 PEN_IRQ(Interrupt)가 액티브 되어 액티브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터치가 해제되었을 때 즉, 가압했던 손 또는 펜 등을 터치 패널로부터 떼어냈을 때 PEN_IRQ가 디액티브(Deactive)되어 압력/해제를 인식하고 릴리즈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단계 S330에서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제1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한다.
상기 단계 S330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제3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 터치로 재인식한다(S340, S350).
그러나, 상기 단계 S330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이 상기 제어부로 인입된다(S360). 부언하면,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Release signal)로 전환된 경우,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멀티 터치인 경우 실제 좌표값을 연산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가 제1 지점인 A 지점을 터치 한 후 A 지점을 누른 상태에서 제2 지점인 B 지점을 터치한 경우, 실제 제어부에서 인식되는 좌표값은 C 지점이 된다. 이때 상기 C 지점의 좌표값은 상기 A 지점의 좌표값 및 B 지점의 좌표값의 중간 지점이다.
따라서, 실제 좌표값인 B 지점의 X 좌표값은 C지점의 X 좌표값에서 C지점의 X 좌표값과 A 지점의 X 좌표값의 차이만큼 더하면 되고, B 지점의 Y 좌표값도 유사한 방식으로 C 지점의 Y 좌표값에서 A 지점의 Y 좌표값 및 C 지점의 Y 좌표값의 차이만큼 더해주면 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1 및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1287373-PAT00001
Figure 112007041287373-PAT00002
다른 응용 예에서, 멀티 터치의 순서가 반대인 경우 즉, B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A 지점을 터치하게 되면, 실제 좌표값인 A 지점의 X 좌표값은 C지점의 X 좌표값에서 C지점의 X 좌표값과 B 지점의 X 좌표값의 차이만큼 차감하면 되고, A 지점의 Y 좌표값도 유사한 방식으로 C 지점의 Y 좌표값에서 B 지점의 Y 좌표값 및 C 지점의 Y 좌표값의 차이만큼 차감해주면 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3 및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1287373-PAT00003
이때, 상기 Ax는 A 지점의 X 좌표값이고, 상기 Bx는 B 지점의 X 좌표값이며, 상기 Cx는 C 지점의 X 좌표값이다.
또한, 상기 Ay는 A 지점의 Y 좌표값이고, 상기 By는 B 지점의 Y 좌표값이며, 상기 Cy는 C 지점의 Y 좌표값이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서 사용자가 제1 지점인 A 지점을 터치 한 후 A 지점의 누른 상태를 해제한 후 제2 지점인 B 지점을 터치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B 지점의 좌표값 Bx 및 By를 인식하므로, 실제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연산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패널에서 두 지점이 동시에 터치되더라도 뒤에 인식된 지점의 좌표 값이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지점이 계속 인식된 상태에서 제2 지점이 인식되더라도 정확한 제2 지점이 인식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터치 패널에서 제1 지점이 터치되어 발생하는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환하기 전에 제2 지점이 터치되더라도 제2 지점의 정확한 좌표값이 제어부로 인식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 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11)

  1. a)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지점의 제1 터치가 인식되어 상기 제1 지점의 좌표값이 제어부로 인입되는 단계;
    b) 상기 제1 터치 후 인식되는 제2 지점의 제2 터치가 상기 제1 터치가 계속 인식된 상태에서 인식된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제3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 터치로 재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제1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 상기 단계 b)의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이 상기 제어부로 인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Release signal)로 전환된 경우,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중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6. ⅰ) 터치 패널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지점의 제1 터치에 의해 발생한 제1 액티브 신호가 제어부로 인입되는 단계;
    ⅱ) 제2 지점의 제2 터치에 의해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단계 ⅱ)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로 전화되지 않은 경우, 멀티 터치로 인식하고 실제 터치인 제3 지점의 좌표값을 연산하여 상기 제2 터치로 재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액티브 신호가 릴리즈 신호(Release signal)로 전환된 경우, 상기 멀티 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점의 좌표값이 상기 제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3 지점의 중간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9.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순차로 수신되는 제1 터치 및 제2 터치가 멀티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의 좌표값을 연산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좌표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2 터치의 실제 좌표값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에 의해 제1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제2 액티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치로 인식된 경우, 상기 제2 터치에 의한 좌표값은 상기 제1 좌표값 및 상기 실제 좌표값의 중간 지점의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1020070055432A 2007-06-07 2007-06-07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10089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432A KR100894966B1 (ko) 2007-06-07 2007-06-07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432A KR100894966B1 (ko) 2007-06-07 2007-06-07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547A true KR20080107547A (ko) 2008-12-11
KR100894966B1 KR100894966B1 (ko) 2009-04-24

Family

ID=4036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432A KR100894966B1 (ko) 2007-06-07 2007-06-07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9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713A3 (en) * 2009-12-03 2011-09-29 Microsoft Corporation Three-state touch input system
US9001085B2 (en) 2010-08-06 2015-04-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scre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ccurate touch point coordinate pair
KR20160135438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터치 패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468B1 (ko) 2009-01-15 2009-07-28 (주)터치사인 터치패널상에 접촉되는 다중포인트를 스크린상에 구현하기 위한 방법
KR101113966B1 (ko) 2009-11-26 2012-02-22 이창호 터치 스크린의 다중 접촉점 좌표 계산 방법
WO2011081241A1 (ko) * 2009-12-28 2011-07-07 Lee Chang Ho 터치 스크린의 다중 접촉점 사이의 계산 방법 및 다중 접촉점의 좌표 계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220B1 (ko) * 2002-11-13 2005-04-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 패널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469358B1 (ko) * 2002-12-23 2005-02-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713A3 (en) * 2009-12-03 2011-09-29 Microsoft Corporation Three-state touch input system
RU2559749C2 (ru) * 2009-12-03 2015-08-10 МАЙКРОСОФТ ТЕКНОЛОДЖИ ЛАЙСЕНСИНГ, ЭлЭлСи Система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касанием с тремя состояниями
US9001085B2 (en) 2010-08-06 2015-04-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scre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ccurate touch point coordinate pair
KR20160135438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태양씨앤엘 터치 패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966B1 (ko) 200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6158B (zh) 具有两个档位的触敏按钮
EP2332023B1 (en) Two-thumb qwerty keyboard
EP2386935B1 (en) Method of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EP2390766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0894966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를 동시 인식하는 방법 및 멀티터치를 동시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CN103677464A (zh) 信息终端装置和触摸坐标确定方法
EP23203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00315366A1 (en) Method for recognizing touch input in touch screen based device
JP5332519B2 (ja) タッチパネル、操作検出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100265209A1 (e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KR20120120464A (ko) 입력장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WO2014061626A1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28961A (ja) 指紋認識のための方法、電子装置及び格納媒体
CN104461344A (zh) 隔空控制方法及隔空控制装置
US20130257761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WO2021083334A1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JP2020536307A (ja) タスク切り替え方法および端末
EP321151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JP2014176019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20110248931A1 (en) Tactile feedback for touch-sensitive display
JP6291340B2 (ja) タッチ入力装置および入力検出方法
WO2010122825A1 (ja) 携帯端末
WO2016185838A1 (ja) タッチペ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WO2010119713A1 (ja) 携帯端末
CN108427534B (zh) 控制屏幕返回桌面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