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065A -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065A
KR20080107065A KR1020070054922A KR20070054922A KR20080107065A KR 20080107065 A KR20080107065 A KR 20080107065A KR 1020070054922 A KR1020070054922 A KR 1020070054922A KR 20070054922 A KR20070054922 A KR 20070054922A KR 20080107065 A KR20080107065 A KR 20080107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anel
coupling
adhesiv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9043B1 (ko
Inventor
하장홍
Original Assignee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04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이루어진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외로 노출되는 외측패널과 실내를 내장하는 내측패널을 결합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에는 탄성후크를 갖도록 벤딩된 탄성클립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측패널에는 탄성클립의 탄성후크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걸림턱을 갖는 결합요부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클립은, 결합요부로 결합되면서 탄성변형을 유도하도록 벤딩된 인코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변형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질재로 이루어진 내·외측패널을 용이하게 결합하면서 견고히 접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합창호, 내측패널, 외측패널, 탄성클립, 결합요부, 탄성변형홈.

Description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외측패널 310 : 탄성클립
312 : 고정편 313 : 탄성변형홈
314 : 탄성결합편 316 : 안내편
318 : 탄성후크 320, 420 : 접합면
330 : 접착제그루브 400 : 내측패널
410 : 결합요부 414 : 걸림턱
본 발명은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이루어진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질재로 이루어진 내·외측패널을 용이하게 결합하면서 견고히 접합할 수 있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복합창호는 구조물의 창호 외측으로 설치되는 외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에 결합되어 구조물의 실내를 내장하는 내측패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패널은 눈, 비 따위에도 잘 견디도록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패널은 단열성 및 방음성을 갖는 목재 또는 표면으로 마감시트가 코팅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외측패널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결합수단은 내·외측패널이 마주하는 면으로 도포되는 접착제로 구현된다.
상술한 결합수단에 의하면,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각 패널의 수축 및 팽창계수가 다르게 작용하는데, 이에 따라 각 패널이 다르게 변형되면서 어느 한 패널이 수축되거나 늘어나게 되어 패널간의 접합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일반적인 접착제는 합성수지재 및 목재로 이루어진 내측패널에 비교적 접착친화력이 우수한 반면에,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 외측패널과의 접착친화력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내·외측패널의 결합 후, 일정한 시간의 경과 또는 일정한 외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는 다른 종래의 결합수단은, 외측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형성된 후크와, 상기 후크에 후크결합되도록 내측패널에 형성된 후크홈으로 구현된다.
상술한 종래의 다른 결합수단에 의하면, 내·외측패널을 결합하기 위해서 내측패널을 외측패널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큰 힘이 작용하면 후크가 순간적으로 변형되면서 부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후크는 양측으로 벌어 지면서 후크홈에 결합됨에 따라, 후크에 순간적으로 큰 힘이 작용하게 되면 후크가 양측으로 급격히 꺽이면서 부러지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와 같이 꺽인 후크는 복원이 안되므로 내·외측패널 결합력을 견고히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질재로 이루어진 내·외측패널을 용이하게 결합하면서 견고히 접합할 수 있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외로 노출되는 외측패널과 실내를 내장하는 내측패널을 결합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에는 탄성후크를 갖도록 벤딩된 탄성클립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측패널에는 탄성클립의 탄성후크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걸림턱을 갖는 결합요부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클립은, 결합요부로 결합되면서 탄성변형을 유도하도록 벤딩된 인코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변형홈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패널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합되도록 접합면을 구비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접합면에는 채워진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접착제그루브가 형성되어, 접착제그루브가 형성된 패널과 경화된 접착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접착제그루브는 경화된 접착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양측면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클립은, 외측패널의 양측에서 내측패널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내측으로 탄성후크를 갖도록 다단으로 벤딩되어 탄성변형되는 탄성결합편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변형홈은 고정편과 탄성결합편 사이의 벤딩된 인코너에 형성되어 탄성결합편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클립은 탄성결합편과 탄성후크 사이에서 경사지게 벤딩된 안내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요부의 내측 단부는 안내편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탄성변형홈은 탄성결합편과 안내편 사이의 벤딩된 인코너에 형성되어 안내편의 탄성변형을 유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를,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창호는 유리(110)가 장착된 창문프레임(100)과, 이 창문프레임(100)이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창틀프레임(2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복합창호를 구성하는 창문프레임(100)과 창틀프레임(200)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실외(Outdoor; OD)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측패널(300)과, 이 외측패널(300)에 결합되어 구조물의 실내(Indoor; ID)를 내장하는 내측패널(400)로 구성된다.
상술한 외측패널(300)은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따위의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져 압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패널(400)은 표면으로 마감시트가 코팅된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를 향하는 외측패널(30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다단으로 벤딩된 탄성클립(310)이 구비되는데, 이 탄성클립(310)은 외측패널(300)의 일면에서 내측패널(400)로 향하도록 돌출된 고정편(312)과, 이 고정편(312)에서 내측으로 벤딩된 탄성결합편(314)과, 이 탄성결합편(314)에서 외측패널(300)로 경사지게 벤딩된 안내편(316)과, 이 안내편(316)에서 고정편(312)으로 벤딩된 탄성후크(318)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편(312)과 탄성결합편(314) 사이의 벤딩된 인코너에는 탄성변형홈(313)이 형성되어, 탄성결합편(314)과 안내편(316) 및 탄성후크(318)의 탄성변형을 유도하게 된다. 즉, 탄성변형홈(313)이 형성된 벤딩부분의 단면두께가 얇기 때문에, 그 탄성변형홈(313)을 중심으로 탄성결합편(314)과 그 이후 부분이 용이하게 탄성변형되어 내측패널(400)의 결합요부(410)에 탄성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탄성변형홈(313)은 고정편(312)과 탄성결합편(314) 사이의 벤딩된 인코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탄성결합편(314)과 안내편(316) 사이의 벤딩된 인코너에 형성할 수 있다.
이같이 탄성클립(310)이 형성된 외측패널(300)의 일면에는 평평한 접합 면(320)이 구비되어 접착제(G)가 도포되는데, 이 접합면(320)에는 접착제(G)가 채워지도록 접착제그루브(3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제그루브(330)의 양쪽 내측면(332)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접착제그루브(330)에 채워진 접착제(G)가 경화된 후, 외측패널(30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어 외측패널(400)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탄성클립(310)과 접착제그루브(330)는 외측패널(300)과 일체로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널(400)의 이면에는 외측패널(300)의 탄성클립(310)이 탄성결합되도록 결합요부(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형성되는데, 이 결합요부(410)의 내측면에는 탄성클립(310)의 탄성후크(318)가 걸리도록 걸림턱(414)이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요부(410)의 내측면에는 탄성클립(310) 안내편(316)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안내면(41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내면(412)은 걸림턱(414)에 연이어지면서 결합요부(410)의 단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패널(400)의 이면에는 외측패널(300)의 접합면(320)으로 도포되는 접착제(G)에 의해 접합되도록 평평한 접합면(420)이 구비된다. 이러한 내측패널(400)의 접합면(420)으로도 상술한 접착제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외측패널이 결합되는 작용을 첨부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내·외측패널(400)(3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외측패널(300)의 접합면(320)으로 접착제(G)를 도포하는데, 이때 접착제(G)가 접착제그루 브(330)에 채워지도록 충분히 도포한다. 필요에 따라 내측패널(400)의 접합면(420)으로도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이어서, 내측패널(400)의 양측 결합요부(410)가 외측패널(300)의 탄성클립(310)의 고정편(312)에 끼워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외측패널(300) 방향으로 내측패널(400)을 밀면, 도 3b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결합편(314)과 안내편(316) 및 탄성후크(318)는 탄성변형홈(313)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되어, 탄성클립(310)의 안내편(316)은 결합요부(410)의 안내면(412)을 따라 진입이 안내된다. 이때, 고정편(312)은 좌우로 탄성변형되지 않고 결합요부(410)를 가이드함에 따라, 탄성결합편(314) 이후의 부분이 탄성변형홈(313)을 중심으로 탄성변형된다.
계속해서 내측패널(400)을 밀면, 결합요부(410)의 걸림턱(414)으로 탄성후크(318)가 걸리도록 탄성변형홈(313)을 중심으로 탄성결합편(314)과 안내편(316)이 탄성변형되어, 도 3c에서와 같이 탄성클립(310)과 결합요부(410)가 완전히 결합된다.
따라서, 탄성클립(310)은 탄성변형홈(313)으로 인해 탄성결합편(314) 이후의 부분이 작은 힘으로도 탄성변형되어 내측패널(400)을 용이하게 결합하며, 탄성변형홈(313)으로 인해 탄성변형이 우수한 만큼 탄성결합편(314) 이후의 부분이 신속히 복원되도록 탄성변형홈(313)이 탄성을 발휘함에 따라, 걸림턱(414)에 후크결합된 탄성후크(318)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클립(310)과 결합요부(410)의 결합을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내·외측패널(400)(300)의 접합면(420)(320)은 상호 밀착되어 경화되 는 접착제(G)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접착제그루브(330)에서 경화된 접착제(G)는 접착제그루브(33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접착제(G)와 외측패널(300)은 일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내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외측패널(300)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외측패널(300)과 접착제(G)의 친화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내측패널(400)에는 접착친화력이 작용하지만 비철금속재인 외측패널(300)에는 비교적 접착친화력이 약한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접착제그루브(33)에서 경화된 접착되는 외측패널(300)과 일체를 이루게 되어 내측패널(400)과의 접착친화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측패널의 탄성클립이 유연하게 탄성변형되면서 내측패널의 결합요부로 결합되므로 작은 힘으로도 내·외측패널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탄성변형된 탄성클립이 신속히 복원력을 발휘하여 내·외측패널의 결합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그루브로 채워진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외측패널과 일체를 이룸에 따라, 내측패널과의 접착친화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실외로 노출되는 외측패널과 실내를 내장하는 내측패널을 결합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에는 탄성후크를 갖도록 벤딩된 탄성클립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측패널에는 탄성클립의 탄성후크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걸림턱을 갖는 결합요부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클립은, 결합요부로 결합되면서 탄성변형을 유도하도록 벤딩된 인코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변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패널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합되도록 접합면을 구비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접합면에는 채워진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접착제그루브가 형성되어, 접착제그루브가 형성된 패널과 경화된 접착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그루브는 경화된 접착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양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은, 외측패널의 양측에서 내측패널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내측으로 탄성후크를 갖도록 다단으로 벤딩되어 탄성변형되는 탄성결합편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변형홈은 고정편과 탄성결합편 사이의 벤딩된 인코너에 형성되어 탄성결합편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은 탄성결합편과 탄성후크 사이에서 경사지게 벤딩된 안내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요부의 내측 단부는 안내편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홈은 탄성결합편과 안내편 사이의 벤딩된 인코너에 형성되어 안내편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KR1020070054922A 2007-06-05 2007-06-05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KR10087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22A KR100879043B1 (ko) 2007-06-05 2007-06-05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22A KR100879043B1 (ko) 2007-06-05 2007-06-05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065A true KR20080107065A (ko) 2008-12-10
KR100879043B1 KR100879043B1 (ko) 2009-01-15

Family

ID=4036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22A KR100879043B1 (ko) 2007-06-05 2007-06-05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0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81B1 (ko) * 2009-04-16 2009-09-18 주식회사 마이 샤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 방법
CN102995993A (zh) * 2012-10-30 2013-03-27 无锡鸿声铝业有限公司 一种矩形单轨滑道滑移块
KR101364126B1 (ko) * 2012-05-21 2014-02-19 박성준 창프레임과 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364129B1 (ko) * 2012-05-21 2014-02-19 박성준 가이드프레임과 실내측 창문틀프레임의 결합구조
CN104343327A (zh) * 2013-07-29 2015-02-11 广西德骏门窗幕墙有限公司 一种铝合金门窗边框的型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354B1 (ko) 2015-03-09 2016-04-21 주식회사 금강금속 보강프레임 결합홈을 갖는 문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836Y1 (ko) * 1996-12-30 1999-06-15 전주범 카오디오용 테이프 걸림 후크의 탄성 구조
DE10055983C1 (de) * 2000-11-11 2002-09-26 Eckelt Glas Gmbh Steyr Verbindungselement zum Einsetzen in eine Bohrung
KR200283633Y1 (ko) * 2002-04-11 2002-07-27 신일공영(주) 윈도우 고정용 몰딩 어셈블리
KR100510392B1 (ko) * 2003-06-03 2005-08-26 문수용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81B1 (ko) * 2009-04-16 2009-09-18 주식회사 마이 샤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 방법
KR101364126B1 (ko) * 2012-05-21 2014-02-19 박성준 창프레임과 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364129B1 (ko) * 2012-05-21 2014-02-19 박성준 가이드프레임과 실내측 창문틀프레임의 결합구조
CN102995993A (zh) * 2012-10-30 2013-03-27 无锡鸿声铝业有限公司 一种矩形单轨滑道滑移块
CN102995993B (zh) * 2012-10-30 2016-06-08 无锡鸿声铝业有限公司 一种矩形单轨滑道滑移块
CN104343327A (zh) * 2013-07-29 2015-02-11 广西德骏门窗幕墙有限公司 一种铝合金门窗边框的型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043B1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043B1 (ko)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US6745523B2 (en) Fastening member for a window and door assembly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KR101153212B1 (ko)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US9151061B2 (en) Method and a device to attach building trims
US1145403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inforced siding panels
KR101485126B1 (ko) 비접착식 복합 창호 프레임 및 복합 창호
JP5419092B2 (ja) 二重窓
KR100901487B1 (ko) 복합식 이중창호의 패널결합구조
KR101223620B1 (ko) 단열복합의 이중 커튼 월 창
KR101364129B1 (ko) 가이드프레임과 실내측 창문틀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753474B1 (ko) 복합창호새시
KR200423294Y1 (ko) 창틀 마감재 고정 구조
KR100841926B1 (ko) 복합창호의 패널결합구조
KR20110049695A (ko) 복합 창호
JP5322189B1 (ja) 合成樹脂製パネル用枠部材及び内窓装置用キット
KR102002310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WO2005017296A1 (fr) Élément composite alliage d'aluminium et plastique
KR200324248Y1 (ko) 창호틀 조립체
KR101271205B1 (ko)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간판프레임 시스템
KR200411532Y1 (ko) 고층용 복합 개폐식 창호
KR101603309B1 (ko) 자력부착형 난연마감판재의 제조방법
DE50108896D1 (de) Glasleistenbefestigung
KR102206073B1 (ko) 창호 표면마감 커버용 모서리접합부 마감재
KR101914709B1 (ko) 합성수지를 구비한 폴딩도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