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721A - 쌀냉장고 - Google Patents

쌀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721A
KR20080106721A KR1020070054518A KR20070054518A KR20080106721A KR 20080106721 A KR20080106721 A KR 20080106721A KR 1020070054518 A KR1020070054518 A KR 1020070054518A KR 20070054518 A KR20070054518 A KR 20070054518A KR 20080106721 A KR20080106721 A KR 2008010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housing
groove
conta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승원
Original Assignee
설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승원 filed Critical 설승원
Priority to KR102007005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6721A/ko
Publication of KR2008010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기 쌀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쌀통의 무게에 의해 쌀을 투출시키는 투출수단에 영향을 가하여 투출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쌀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쌀냉장고, 지지, 쌀통

Description

쌀냉장고{Rice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쌀냉장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쌀냉장고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쌀냉장고 정면도.
도 4는 쌀통 측단면도.
도 5는 쌀통 정단면도.
도 6은 투출수단 분리사시도.
도 7은 투출수단 분리사시도.
도 8은 투출수단 정단면도.
도 9는 투출수단 측단면도.
도 10은 쌀냉장고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01 : 상부공간
102 : 하부공간 103 : 아우터케이스
104 : 이너케이스 105 : 단열재
106 : 격벽 107 : 걸림턱
110 : 지지수단 111 : 설치부
112 : 지지부 120 : 상부도어
121 : 힌지부재 122 : 가스켓
130 : 프런트판넬 131 : 노브브라켓
132 : 걸림턱 133 : 관통공
140 : 조인트 141 : 플랜지
150 : 연통공 151 : 냉기순환공
160 : 지지브라켓 161 : 내측홈
162 : 내측돌출부 163 : 내측벽
200 : 쌀통 210 : 결합홈
221, 222 : 경사면
230 : 투출구
231 : 개방홈 232 : 경사면
233 : 삽입홈 300 : 서랍
310 : 측벽 320 : 바닥면
321 : 안착홈 322 : 홈
323 : 분할돌출부 330a : 쌀받이
330a : 잡곡보관통 331 : 안내경사면
332 : 절곡부 333 : 홈
340 : 가이드레일 400 : 인출도어
410 : 손잡이 420 : 가스켓
500 : 커넥터 510 : 기어삽입공
520 : 쌀통삽입공 521 : 가이드경사면
522 : 걸이홈 530 : 완충부재
540 : 투출가이드 541 : 절곡부
542 : 안착홈 543 : 경사면
550 : 롤러삽입공 551 : 절개홈
552 : 내측홈 600 : 투출수단
610 : 다이얼노브 620 : 샤프트
630 : 상부기어 631 : 비틀림스프링
632 : 제1절곡부 633 : 제2절곡부
634 : 절개부 640 : 하부기어
650 : 투출롤러 651 : 다각형홈
652 : 관통공 653 : 제1걸림돌기
654 : 제2걸림돌기 655 : 홈
656 : 가이드돌기 657 : 개방홈
한국등록실용 제313073호
본 발명은 쌀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기 쌀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쌀통의 무게에 의해 쌀을 투출시키는 투출수단에 영향을 가하여 투출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쌀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쌀냉장고는 한국등록실용 제313073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쌀통은 외통(10)과 내통(12) 그리고, 덮개(14) 및 냉각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내통(12)에는 쌀이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에는 강화 단층 유리로 된 투시창이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투입부(22)가 설치된다.
상기 외통(10)에는 전면의 하부에 제상수 받이통(32)과, 쌀 배출통, 서랍이 나란히 설치되는데, 상기 쌀 배출통은 내통(12)의 투입부(22)와 대응하게 설치된다.
그 상부에는 쌀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량 조절구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내통(12)의 투시창과 대응하는 투시창이 형성되며, 최 상부의 일측에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기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량 조절구(28)는 내통(12)의 투입부(32)를 조절하는 것으로,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쌀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내통(12)과 외통(10)은 열전도가 잘되게 박판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의 간격 유지구(20)에 의해 일정한 공간이 구비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덮개부(14)는 내부면에 단열재가 충전되어 지며, 둘레면 즉 내통(12)과 외통(10)의 상부 틈 사이에 결합되는 부위에 기밀 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냉각부(42)는 응축기 및 증발기가 일체로 구비되며, 브래킷에 의해 내통(12)의 후면과 외통(10)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외통(10)의 내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냉각부(42)의 하부에는 제상수 집수통(40)의 브래킷에 의해 외통(10)의 내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상수 집수통(40)의 하부와 제상수 받이통(32)으로는 드레인 튜브(36)가 연설되어 제상수 집수통(40)의 제상수가 드레인 튜브(36)를 통해 제상수 받이통(32)에 모이게 되고, 모이는 양이 일정하게 되면 제상수 받이통(32)을 인출하여 제상수를 버리고 다시 삽입하면 된다.
상기 제상수 집수통(40)의 하부에는 압축기(38)가 설치됨과 동시에 통풍 되도록 외통의 일측면이 개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쌀냉장고는 투입부(22)에 투출수단을 설치할 경우 쌀통의 무게로 인해 투출수단에 힘이 가해져서 투출수단에 변형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기 쌀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쌀통의 무게에 의해 쌀을 투출시키는 투출수단에 영향을 가하여 투출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쌀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쌀냉장고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기 쌀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쌀통의 무게에 의해 쌀을 투출시키는 투출수단에 영향을 가하여 투출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쌀통은 측벽과 복수개의 투출구가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투출구에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투출구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투출수단이 설치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상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투출구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하나의 투출구는 일인용 전용으로 투출시키고 또 다른 하나의 투출구는 이인용 전용으로 투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투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함으로써 쌀통과 투출수단의 투출롤러가 결합되어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쌀냉장고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쌀냉장고 정면도이며, 도 4는 쌀통 측단면도이고, 도 5는 쌀통 정단면도이며, 도 6은 투출수단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투출수단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투출수단 정단면도이고, 도 9는 투출수단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쌀냉장고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쌀냉장고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는 쌀통(200)과, 상기 쌀통(200)의 쌀을 투출시키는 투출수단(600)과, 상기 하우징(10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인출도어(400)와, 상기 인출도어(400)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아우터케이스(103)와 상기 아우터케이스(103)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104)를 포함한다.
이너케이스(104) 상단에는 걸림턱(107)이 형성된다.
아우터케이스(103)와 이너케이스(104) 사이에는 단열재(105)가 채워진다.
아우터케이스(103)의 전방에는 프런트판넬(130)이 아우터케이스(103)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우징(100) 전면에는 투출수단(600)의 조절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은 이너케이스(104), 단열재(105), 아우터케이스(103), 프런트판넬(13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이너케이스(104)를 아우터케이스(103)에 연결시키는 조인트(140)를 포함한다.
한편, 실링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조절부와 하우징(100)의 조인 트(140) 사이에 실링부재를 배치시키거나, 프런트판넬(130)과 상기 조절부 사이에 실링부재를 배치시킬 수 있다.
조인트(1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의 샤프트(620)가 삽입되는 삽입공(142)이 형성되며, 양끝단에 플랜지(141)가 각각 형성된다.
두개의 플랜지(141)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너케이스(104)와 아우터케이스(103)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140)를 통해 이너케이스(104)와 아우터케이스(103)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조절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벽에는 쌀통(20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10)이 형성된다.
지지수단(110)은 하우징(100)의 이너케이스(104)에 볼팅체결되는 설치부(111)와, 설치부(111) 하부에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112)를 포함한다.
지지수단(110)은 이너케이스(104) 각각의 내면에 설치되어 총 4개가 설치되며, 각각은 쌀통(200)의 형상에 따라 다른 높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지지수단(110)을 구비하여 쌀통(200)의 무게에 의해 쌀을 투출시키는 투출수단(600)에 영향을 가하여 투출수단(6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수단(110)으로 인해 하우징(100)의 내벽 자체를 쌀통(200)의 형상에 맞게 성형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제조가 용이해지고, 쌀통(200)과 하우징(100) 내벽에 공간이 형성되어 쌀통(200) 전체에 냉기가 고르게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우징(100) 하부 후방에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하우징(100) 이너케이스(104)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상부공간(101)과 하부공간(102)으로 분할하는 격벽(106)이 구비된다.
상부공간(101)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하부공간(102)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부공간(102)은 상기 기계실 전방과 상기 기계실 상부에 형성된다.
격벽(106)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격벽(106)에는 연통공(150)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간(101)과 상기 하부공간(102)은 연통된다.
이와 같이 격벽(106)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공간(102)을 쌀인출을 위해 자주 개폐하게 되더라도 상기 상부공간(101)의 냉기유출 및 외부공기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연통공(150) 내벽에는 전둘레를 따라 지지브라켓(160)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브라켓(160)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브라켓(160)은 상단 둘레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너케이스(104)에 볼팅체결된다.
또한, 지지브라켓(160) 하부 내측에는 내측홈(161)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공간(101)에서 응결수가 발생할 경우 응결수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내측홈(161)에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투출된 쌀에 응결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160)에는 내측홈(161) 내측에 내측돌출부(162)가 형성되며, 내측돌출부(162)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내측벽(163)이 형성된다.
하우징(100)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100) 상부에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공간(101)을 개폐하는 상부도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도어(120)는 힌지부재(121)에 의해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힌지부재(121)에는 캠(미도시) 및 스프링(미도시)이 구비하여, 폴더형핸드폰과 같이 일정각도를 사용자가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상부도어(120)와 하우징(100) 사이에는 가스켓(122)이 배치되어 상부도어(120)를 통해 냉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장치(미도시)는 하우징(100) 후방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에 배치되어 쌀통(400)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냉각장치(400)는 냉각시키는 상부공간(101)과 멀어지도록 하여 냉각장치(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냉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100)의 바닥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쌀냉장고의 위치를 용이하게 바꿀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쌀통(200)은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공간(101) 내부에 배치된다.
쌀통(200)은 측벽과 복수개의 투출구(230)가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벽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이너케이스(104)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쌀통(200)의 모든 부위가 고르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 상단에는 걸림턱(107)에 걸리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가 형성되어 쌀통(200)이 안정적으로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투출구(23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쌀통(200)의 좌측과 후측에는 경사면(221, 22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쌀통(200)은 투출구(230)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투출구(230)는 상기 바닥면에 관형상으로 돌출되어 투출되는 쌀을 가이드한다.
투출구(230)는 두개(복수개) 형성되며, 각각의 투출구(230) 사이에는 삽입홈(23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투출구(230)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하나의 투출구(230)는 일인용 전용으로 투출시키고 또 다른 하나의 투출구(230)는 이인용 전용으로 투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투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삽입홈(233) 상부는 상부로 향할수록 공간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투출구(230) 하단 양측에는 내측으로 경사면(232)이 형성되어 투출되는 쌀을 더욱 효과적으로 가이드한다.
또한, 투출구(230) 하단 전후면에는 각각 개방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방홈(231)으로 인해 커넥터(500)에 투출구(230) 삽입시 샤프 트(620)에 의해 간섭받지 않게 된다.
커넥터(500)는 내부에 투출수단(600)의 투출롤러(650)가 설치되어 투출수단(600)과 투출구(2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커넥터(500)와 투출구(230)는 투출구(230)가 커넥터(500) 내부에 삽입되고, 커넥터(500) 상부가 삽입홈(233)에 삽입되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500)를 상기 삽입홈(233)에 삽입함으로써 쌀통(200)과 투출수단(600)의 투출롤러(650)가 결합되어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커넥터(500)는 상부에 쌀통삽입공(520)이 형성되고, 쌀통삽입공(520)은 투출구(2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쌀통삽입공(520) 하부 양측에는 가이드경사면(52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쌀통(200)을 커넥터(500)에 결합시킬 때 쌀의 무게로 인해 커넥터(500)가 충격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경사면(521) 상부에는 스폰지와 같은 완충부재(530)가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경사면(521)과 경사면(232) 사이에는 안충부재(530)가 배치된다.
커넥터(500)의 쌀통삽입공(520) 전방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샤프트(620)가 삽입된다.
커넥터(500) 하부에는 롤러삽입공(550)이 형성되며, 롤러삽입공(550)은 투출롤러(6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쌀통삽입공(5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롤러삽입공(550) 측면에는 절개홈(551)이 형성되어 롤러삽입공(550)에 투출 롤러(65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절개홈(551) 대항면 내측 상부에는 내측홈(552)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홈(552)으로 인해 투출구(230)로부터 투출롤러(650)로 쌀이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커넥터(500)에서 롤러삽입공(550) 및 쌀통삽입공(520) 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기어삽입공(510)이 형성된다.
커넥터(500)는 기어 조립시 용이해지도록 기어삽입공(510)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기어삽입공(510) 내벽에는 기어삽입공(510)과 쌀통삽입공(5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걸이돌기(5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500)에는 기어삽입공(510) 및 롤러삽입공(550)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투출롤러(650)의 회동축이 삽입된다. 이러한 관통공으로 인해 절개홈(551)을 통해 투출롤러(650)가 삽입된 후에도 안정적으로 커넥터(5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500)와 투출롤러(650)의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500) 및 투출수단(600)의 투출롤러(650)의 전후길이는 연통공(150)의 전후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커넥터(500) 후방과 격벽(106) 사이에 냉기순환공(151)이 형성된다.
이러한 냉기순환공(151)으로 인해 상부공간(101) 뿐만 아니라 하부공간(102) 까지도 냉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커넥터(500) 하부에는 투출가이드(540)가 설치된다.
투출가이드(540)는 상단 양측에는 절곡부(54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커넥터(50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542)이 형성되며, 우측 및 후측에는 경사면(543)이 형성되어 투출되는 쌀을 가이드한다.
절곡부(541)를 통해 이너케이스(104)에 볼팅체결된다.
또한, 투출가이드(540)의 하단의 높이는 격벽(106)의 하단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투출수단(600)은 커넥터(500)를 통해 쌀통(200)에 설치되어 쌀통(200)의 쌀을 투출시킨다.
투출수단(600)은 외주면에 홈(655)이 형성된 투출롤러(650)와, 상기 투출롤러(650)에 축이음된 샤프트(620)와 상기 샤프트(620)에 연결된 다이얼노브(610)를 포함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투출롤러(650)는 드럼형상으로 형성되며, 롤러삽입공(55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홈(655)은 투출롤러(650)에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홈(655)의 크기에 따라 투출롤러(650) 한번 회동시에 투출되는 쌀의 양이 조절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투출롤러(650)가 구비되며, 투출롤러(650)의 홈(655)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회전당 투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두개의 투출롤러(650) 중 하나의 내부에는 가이드돌기(656)가 돌출되 어 형성되며 가이드돌기(656) 끝단에는 개방홈(657)이 형성된다.
투출롤러(650) 전방 또는 후방 외주면에는 제1걸림돌기(653)와 제2걸림돌기(654)가 각각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653) 및 제2걸림돌기(654)는 홈(655)의 개방부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걸림돌기(653) 및 제2걸림돌기(654)는 절개홈(551)에 삽입되어 롤러삽입공(550)에 걸리게 된다.
제1걸림돌기(653)는 투출롤러(650)가 쌀투출시 회전시 최대회전각도를 제한해주고, 제2걸림돌기(654)는 투출롤러(650)가 복귀시 최대회전각도를 제한해준다.
투출롤러(650) 전방에는 다각형홈(651)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와 축이음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투출롤러(650)에는 다각형홈(651)과 연통되도록 회동축이 삽입되는 관통공(652)가 형성된다.
나아가, 투출수단(600)은 투출롤러(650)와 샤프트(620)를 연결하는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는 투출롤러(650)의 다각형홈(651)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하부기어(640)와, 하부기어(64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부기어(640)에 맞물리는 상부기어(630)를 포함한다.
투출롤러(650)의 회동축은 하부기어(640)를 관통하도록 하부기어(640)에도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부기어(630)에는 비틀림스프링(631)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투출롤러(650)를 한번 회동시키면 투출롤러(650)의 위치가 다시 처음 위치로 복귀된다.
비틀림스프링(631)은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곡부(632)와, 상기 코일부의 타단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제2절곡부(633)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는 상부기어(630)의 회동축에 끼워지고 제2절곡부(633)는 걸이돌기(522)에 끼워진다.
상부기어(630)는 상부에 절개부(634)가 형성되어, 비틀림스프링(631)의 제1절곡부(632)가 상부기어(6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틀림스프링(631)이 일단은 커넥터(5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기어(630)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기어(630)의 위치는 복귀된다.
샤프트(620)는 상부기어(630)에 축이음되며, 조인트(140)의 삽입공(142)을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관통공에 삽입된다.
다이얼노브(610)는 샤프트(620) 끝단에 축이음되며, 하우징(100)의 관통공에 된다.
다이얼노브(61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다이얼노브(610)가 하우징(1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프런트판넬(130)과 아우터케이스(103) 사이에는 노브브라켓(131)이 배치된다.
노브브라켓(131)은 판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샤프트(620)가 삽입되는 관통공(133)이 형성되며, 다이얼노브(61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32)이 관통공(13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다이얼노브(610)는 하우징(100)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만 시키면 수동으로 쌀을 투출시킬 수 있게 되어, 쌀냉장고가 사용하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쌀을 투출시키기 위해 노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이 없어지므로 하우징(100)과 다이얼노브(610)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출도어(400)는 상기 하우징(100) 전방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공간(102)을 개폐한다.
인출도어(400) 전면에는 손잡이(4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손잡이(410)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손잡이(410)에는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장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한편, 인출도어(400)는 하부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인출도어(400) 배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인출도어(400)가 이와 같이 형성되면, 인출도어(400)의 상부쪽이 하중이 커짐으로써, 인출도어(400)의 자중에 의해 인출도어(400)와 하우징(100)이 밀착하게 된다.
인출도어(400) 배면에는 인출도어(400)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된다.
가스켓(420)은 인출도어(4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된다.
가스켓(420)은 상기 인출도어(400)의 끼움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가스켓(420)은 전면에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끼움후크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스켓(420)과 인출도어(400)는 끼움홈과 끼움후크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은 가스켓(420)에 의해 쌀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냉기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가스켓(420)에는 자석(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홈 또는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0)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철소재 또는 자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출도어(400)와 상기 하우징(10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가 실수로 인출도어(400)를 완벽하게 닫지 않더라도 인출도어(400)가 하우징(100)에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밀착되어 냉기 유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인출도어(400)에는 서랍(300)이 설치되며, 서랍(300)은 하부공간(102) 내부에 배치된다.
서랍(300)은 바닥면과 측벽을 포함하며, 바닥면에는 인출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321)이 형성된다.
또한, 서랍(300)에는 안착홈(321) 내부에 배치되도록 바닥에 홈(3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홈(322)이 형성되어, 홈(322)에 냉기가 머무를 수 있게 되어 서랍(300)과 상기 인출용기의 바닥 사이에도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인출용기가 다수개 구비될 경우를 위해 안착홈(321)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분할돌출부(323)가 형성된다.
서랍(300)은 하우징(10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340)이 구비된다.
가이드레일(340)은 서랍(300) 상단에 설치되며, 서랍(30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 상부에도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서랍(300)보다 가이드레일(340)이 길게 형성되어, 서랍(3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이 된 후에도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340)의 구조는 한국공고실용 제20-1995-0008339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서랍(150) 내부에는 쌀통(400)으로부터 떨어진 쌀을 외부로 인출하기 쉽도록 인출용기가 배치된다.
상기 인출용기는 편심되게 배치되는 투출수단(600) 하부에 배치되어 투출수단(600)에서 투출되는 쌀을 수납하는 쌀받이(330a)와 잡곡이 보관되는 잡곡보관통(330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출용기가 다수개 구비되어 쌀통(200)의 쌀을 냉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잡곡과 같은 기타품목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인출용기는 좌측 측벽(근접한 인출용기와의 측벽)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의 상단에 안내경사면(331)이 형성된다. 안내경사면(331)을 통해 투출되는 쌀이 다른곳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인출용기 내부로 효과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인출용기에 있는 쌀 또는 잡곡을 다른 용기에 용이하게 옮겨 담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안내경사면(331) 상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부(3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용기 바닥면의 하면에는 홈(322)과 대응되도록 홈(333)이 형성되어 냉기가 머무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인출용기의 측벽과 서랍(300)의 측벽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출용기는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쌀통(200)을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하면서 결합홈(210)에 지지수단(110)을 삽입하여 쌀통(200)을 지지수단(110)에 의해 지지시킨다.
또한, 쌀통(200)을 하우징(100)에 넣는 과정에서 투출구(230)를 커넥터(500)의 쌀통삽입공(520)에 삽입하고, 동시에 삽입홈(233)에 커넥터(500) 상부를 끼워넣어 쌀통(200)과 투출수단(600)은 연결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쌀을 인출할 경우에는 다이얼노브(610)를 회동시키면 샤프트(620)도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부기어(630)와 하부기어(640) 및 투출롤러(650)가 연동된다.
투출롤러(650)가 회동되면 홈(655)이 하부로 향하게 되어 투출가이드(540)를 타고 쌀받이(330a)로 투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다이얼노브(610)를 회동시킨 후 다이얼노브(610)에 가하던 힘을 없애게 되면 비틀림스프링(631)에 의해 상부기어(630) 및 하부기어(640)는 사용자가 회동시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투출롤러(650)도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홈(655)과 투출구(230)가 연통되어 투출구(230)의 쌀이 홈(655) 내부로 유입되며 투출롤러(650)에 쌀이 채워지게 된다.
투출된 쌀은 사용자가 손잡이(410)를 잡고 인출도어(400) 및 서랍(300)을 인출시키면 서랍(300)은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인출된다.
사용자가 쌀을 인출한 후 인출도어(400) 및 서랍을 밀어넣게 되면 인출도어(400)와 하우징(100) 사이에 가스켓(420)이 배치되어 실링효과를 극대화 시킴으로써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쌀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기 쌀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쌀통의 무게에 의해 쌀을 투출시키는 투출수단에 영향을 가하여 투출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쌀통은 측벽과 복수개의 투출구가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투출구에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투출구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투출수단이 설치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상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투출구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하나의 투출구는 일인용 전용으로 투출시키고 또 다른 하나의 투출구는 이인용 전용으로 투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투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함으로써 쌀통과 투출수단의 투출롤러가 결합되어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기 쌀통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통은 측벽과 복수개의 투출구가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투출구에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투출구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투출수단이 설치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상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냉장고.
KR1020070054518A 2007-06-04 2007-06-04 쌀냉장고 KR20080106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518A KR20080106721A (ko) 2007-06-04 2007-06-04 쌀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518A KR20080106721A (ko) 2007-06-04 2007-06-04 쌀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721A true KR20080106721A (ko) 2008-12-09

Family

ID=4036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518A KR20080106721A (ko) 2007-06-04 2007-06-04 쌀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67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7436A (zh) * 2015-06-26 2015-10-28 杨健 智能杂粮存储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7436A (zh) * 2015-06-26 2015-10-28 杨健 智能杂粮存储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731B2 (en) Refrigerator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EP1903288B1 (en) Drawer Type Do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6484529B2 (en) Cabinet construction for an ice maker or other refrigeration appliance
KR200459216Y1 (ko) 냉장고
EP3069090B1 (en) Refrigerator
US6799818B2 (en) Tiltable storage module for refrigerator
US6401478B2 (en) Ice maker with cooperating inner and outer doors
US20120255322A1 (en) Refrigerator with auxiliary basket
KR20080068440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1733500B1 (ko) 냉장고
KR101638191B1 (ko) 냉장고
KR20080106721A (ko) 쌀냉장고
KR20080106720A (ko) 쌀냉장고
US10041727B2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KR20080106722A (ko) 쌀냉장고
KR20170039875A (ko) 냉장고
EP3755957B1 (en) Refrigerator
KR20040049676A (ko) 냉장고의 홈바 설치구조
KR101519136B1 (ko) 냉장고
JPH08121952A (ja) 低温貯蔵庫
KR20090132284A (ko) 냉장고
KR101855738B1 (ko) 냉장고
KR102447436B1 (ko) 냉장고
KR101988308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