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933A -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933A
KR20080105933A KR1020070054129A KR20070054129A KR20080105933A KR 20080105933 A KR20080105933 A KR 20080105933A KR 1020070054129 A KR1020070054129 A KR 1020070054129A KR 20070054129 A KR20070054129 A KR 20070054129A KR 20080105933 A KR20080105933 A KR 20080105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refrigerator
inform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117B1 (ko
Inventor
박형준
강성환
권의혁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11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인식모드 및 목록선택모드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은 음성인식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음성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제1표시 단계와, 표시된 문자 또는 숫자가 사용자의 음성과 불일치할 경우, 사용자가 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제2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INFORMATION INPUT METHOD FOR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초기화면의 실시예이다.
도 5a 내지 5e는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저장모드의 실시예들이다.
도 6a 내지 6e는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찾기모드의 실시예들이다.
도 7a 내지 7c는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삭제모드의 실시예들이다.
도 8은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알림모드의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 제어 장치 20: 디스플레이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인식모드 및 목록선택모드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시키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증발기를 기본부품으로 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최근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 측에는 차가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얼음 취출장치가 일체로 형성되고, 냉장실 도어 측에는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음료나 물 등을 냉장실 도어를 개폐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홈바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본체의 상측에 장착된 메인 마이컴(또는 메인 제어부)과, 냉장고 도어에 고정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냉장고 도어의 수용홈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와,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하단에 소정의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냉장고에 저장할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다만, 종래의 냉장고는 음성 인식을 통한 정보 저장시에, 인식된 정보가 잘못된 경우 즉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내용과 인식된 내용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음성 인식 모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정보 입력 방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른 정보 입력이 수행되도록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모드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을 표시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신속한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냉장고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냉장고 본체(2) 내부에 냉동실 및 냉장실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냉장고 본체(2)의 전면에 각각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냉장실 도어(4a) 전면에는 디스펜서(3)와,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장착된다.
여기서, 냉장고 본체(2)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격벽(미도시)에 의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벽에 증발기(미도시) 및 냉기를 송풍시키는 냉기순환용 팬(미도시)이 내장될 뿐 아니라 냉기공급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증발기 주변의 냉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는 일측 상하단이 냉장고 본체(2)에 힌지 커버(9a, 9b)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냉장실 도어(4a)의 외측 전면에 장방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디스플레이 장치(20)가 탈착 및 장착되도록 위치된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장고에 대한 제어 메뉴(디스펜서의 서비스 형 태의 선택 및 표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의 입력 및 표시 등)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현재 온도, 현재 일시, 날씨 등의 정보을 표시할 뿐 아니라 음향도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냉동실 및 냉장실로 냉기를 생성 및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전체적인 냉장고(1)의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제어장치(10)와,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사용자에 의한 제어 입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로 이루어진다.
이들 메인 제어장치(10)와,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장실 도어(4a)의 힌지축(미도시)을 포함하는 힌지를 관통하는 데이터선(DL1, DL2) 및 전원선(PL1, PL2)으로 각각 연결되어 통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보통 메인 제어 장치(10)는 본체(2)에서 공간 상의 제약이 적은, 본체(2)의 상측에 장착된다.
먼저, 메인 제어장치(10)는 외부상용전원(일반적으로, 220V)을 인가받아 소정의 크기의 구동전압으로 감압하여 이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1)와, 전원부(11)로부터 구동전압을 인가받아 압축기의 운전,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팬의 제어 등을 수행하여 냉각사이클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와, 디스플레이장치(2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와, 디스플레이장치(20)가 전원부(11)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14)와, 디스플레이장치(20)로의 구동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력선(PL1)과 유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선(DL1)이 연결된 연결부(15)와, 구동부(12)를 제어하여 냉각이 수행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9)로 이루어진 다. 다만, 전원부(11)로부터의 구동전압은 메인 제어장치(10)의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에도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명백한 기술에 불과하다.
메인 제어장치(10)에 포함된 전원부(11)는 220V인 외부 상용전원을 예를 들면 12V로 감압하여 전력선(PL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하기도 하며, 메인 제어장치(10) 내의 전압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에게 필요한 크기의 전압을 공급한다.
구동부(12)는 압축기의 제어와 팬모터의 제어를 수행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생성하여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메인 제어 장치(10)와, 디스플레이장치(20) 간에 복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bluetooth나, Zigbee 등과 같은 RF 통신장치이거나, IrDA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메인 제어 장치(10)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탈착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20)와 메인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감지부(14)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 연결부(15)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 연결되어, 전원부(11)의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제공될 경우, 이 구동전압의 공급 및 차단을 감지한다. 감지부(14)의 감지에 의해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될 경우,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 장착된 것으로, 즉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감지부(14)의 감지에 의해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서 탈착된 것으로, 즉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연결부(15)는 전력선(PL1)과 데이터선(DL1)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의 연결부(28)에 결합되어, 전력선(PL1)을 통한 구동전압의 공급과, 데이터선(DL1)을 통한 유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일종의 암/수 커넥터 또는 포트이다.
전력선(PL1)은 전원부(11)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데이터선(DL1)은 유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RS-232 통신 매체일 수 있다.
제어부(19)는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인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습도, 온도 등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전송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운전 형태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9)는 구동부(12)를 제어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저장된 운전정보에 따라 수행한다.
제어부(19)는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예를 들면, 냉동실의 현재온도, 냉장실의 현재 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형태 등)와 운전정보(예를 들면,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 등) 등을 저장하며, 별도의 저장부를 구비하거나 내장할 수 있도 있다.
제어부(19)는 데이터선(DL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와 유선 통신가능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현재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냉동실 도어(2a) 등이 열려있다는 것에 대한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9)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운전 정보(예를 들면,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서비스형태)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와 데이터선(DL1) 또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상술된 바와,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메인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 방법을 설정하여,그에 따른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전원부(11)로부터의 구동전압을 전력선(PL2)을 통하여 수신하여 복수의 크기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제공하는 전원부(21a)와 충전부(21b)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2)와, 백라이트(25)에 의해 생성된 광에 의해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LCD(23)와,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가 LCD(23)에 표시되도록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LCD(23)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24)와,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25)와, 음향을 통하여 발산하는 스피커부(26a)와, 음향 및/또는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26b)로 이루어진 오디오부(26)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신호를 수신하 여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DMB 모듈(27)과,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와 연결되어, 구동전압의 공급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연결부(28)와, 메인 제어장치(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와, 메인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메인 제어 장치(10)로 송신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식품보관관리모드 및 DMB 방송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다만, 전원부(21a)와 충전부(21b)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21)로부터의 구동전압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에도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명백한 기술에 불과하다.
자세하게는, 전원부(21a)는 예를 들면, 12V의 공급전원을 인가받아, 그대로 백라이트(25)에 공급하기도 하고, 복수의 크기(예를 들면, 5V, 3.3V, 1.8V)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공급한다. 충전부(21b)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되어, 전원부(11)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충전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되어 외부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 전원부(21a)와 동일한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2)는 LCD(23) 주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3)는 버튼식이거나 터치패드식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되어 그 버튼의 개수 및 형식이 설정된다.
입력부(22)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 설정을 위한 온도설정수단(22a)과,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 얼음 등)를 설정하기 위한 디스펜서 설 정수단(22b)과, LCD(23)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냉장고의 상태 설정, 냉장고의 제어, 식품보관관리모드 화면, DMB 화면 및 채널 등의 표시화면 등)를 활성화시키고 선택하는 메뉴수단(22c)과,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식품보관버튼(22d)과, DMB 방송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DMB 버튼(22e)와, 현재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이전화면버튼(22f)와, 기타 다른 선택을 위한 수단(22g 내지 22j) 및 LCD(23)에 표시된 정보의 확인 및 선택 등을 위한 메뉴/선택버튼(22k) 등으로 이루어진다.
LCD(23), 화면 제어부(24) 및 백라이트(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DMB 방송, 식품보관관리에 관련된 화면,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제어정보를 표시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배경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 냉장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도 2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23)는 기본화면으로 아바타(곰그림)(33)와, 냉장고의 기본정보(31)를 표시하고, 날씨정보(또는 당일의 기상상황) 및 현재일(32)를 표시한다.
스피커(26a)는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수행 중에 음성인식 안내 등을 음향으로 표출하고, 마이크(26b)는 냉장고(1)의 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획득된 음성 또는 음향을 제어부(30)에 인가한다.
DMB 모듈(27)은 디스플레이장치(20)에 장착된 안테나 등을 통하여 수신된 DMB 신호 중에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22)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DMB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27a)와, 튜너(27a)로부터 전송된 DMB 신 호를 증폭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베이스밴드(27b)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밴드(27b)는 튜너(27a)로부터 수신한 복조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역인터리빙 및 에러정정을 수행한다.
연결부(28)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에 대응하여, 암/수 커넥터 또는 포트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될 때, 연결부(15)와 결합되어, 전력선(PL1)과 (PL2) 간의 결합 및 데이터선(DL1)과 (DL2) 간의 결합을 통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에 대응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30)는 기본적으로, 메인 제어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냉장고의 제어 명령을 메인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제어부(30)는 메인 제어 장치(10)에 의해 설정된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10)가 데이터선(DL1), (DL2)에 의한 유선 통신을 시작하게 되면, 그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에 의한 무선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메인 제어 장치(10)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탈착 및 장착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모든 장치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30)는 DMB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DMB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 이 DMB 화면 정보는 사용자가 DMB 버튼(22e)을 누른 경우, 그에 대응하는 DMB 동작 시작 화면, 채널 선택을 위한 화면, 볼륨 선택을 위한 화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0)는 DMB 모듈(27)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화면 제어부(24)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를 송신하는 디코딩 기능 등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식품보관버튼(22d)을 작동시킨 경우,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냉동실과 냉장실에 저장되는 물품(또는 식품 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식품보관관리정보를 저장한다. 이 식품보관관리정보는 식품정보 저장 모드, 식품정보 찾기 모드, 식품정보 삭제 모드 및 식품정보 알림 모드의 수행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먼저, 식품정보 저장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식품정보(식품명, 보관기한, 개수 또는 양 등)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식품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화면,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식품목록을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사용자가 저장하는 식품의 보관기한을 저장하기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예를 들면, 달력 화면) 등을 포함한다.
식품정보 찾기 모드는 사용자가 현재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식품명에 대응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식품목록리스트 등)를 표시하는 화면과,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식품에 대한 보관기한을 사용자가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식품정보 삭제 모드는 식품정보 찾기 모드 등을 통하여 선택된 식품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경우로, 삭제할 대상의 선택과, 삭제 선택 및, 삭제 취소 등을 포함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식품정보 알림 모드는 제어부(30)가 기저장된 식품정보를 판독하며, 기저장된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이다. 식품정보 알림모드는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을 표시하는 화면과, 이들 식품정보를 삭제할 수 있는 화면과,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에 대한 새로운 보관기한을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상술된 식품정보 저장 모드와, 식품정보 찾기 모드 및 식품정보 삭제 모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것이고, 식품정보 알림 모드는 사용자가 또는 자동적으로 이 알림 모드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제어부(30)이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제어부(30)는 현재 일시 등을 산정하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어서, 식품의 보관기한의 도과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이러한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수행을 위해, 입력부(22)를 통한 입력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2)에 의한 입력은 상술된 바와 같다.
음성 인식 입력을 위해, 제어부(30)는 음성 인식 모듈(또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이 음성 인식 모듈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또는 음성 신호)를 마이크(26b)로부터 제공받아, 이 음성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면, 텍스트, 숫자, 문자 등)로 인식하여 식별하는 수단이다. 이 음성 인식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펌웨어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음성 인식 모듈에 의해 식별된 정보를 LCD(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식품보관버튼(22d)가 작동된 경우, 우선적으로 음성 인식 입력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즉시 음성 인식 기능을 시작함을 스피커(26a)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제어부(30)는 이 음성 인식 기능의 시작을 알린 후,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26b)로부터의 음성을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하여 판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동실 도어(4a)의 디스펜서(3) 상측에 형성된 수용홈(5)에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일측에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연결부(28)를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한다. 수용홈(5)의 일측에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가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5) 내로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연결부(15)와 연결부(28)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메인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통신 방식에 따라, 예를 들면,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수용홈(5)에 적절한 소자가 데이터의 송수 신을 위해 장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도의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에 불과하다.
도 4는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초기화면의 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품보관버튼(22d)를 누르게 된 경우,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식품정보 저장모드, 식품정보 찾기모드, 식품정보 삭제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종료하는 '취소'선택을 버튼(22g 내지 22k)를 통하여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내지 5e는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저장모드의 실시예들이다. 도 5a 내지 5e의 실시예들은 도 4에서 사용자가 식품정보 저장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초기에 음성인식모드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저장할 식품명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음성인식모드 대신에 식품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식품정보 저장모드를 그대로 종료하는 '취소'선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스피커(26a)를 통하여, 음성인식모드를 시작하는 것과, 저장된 식품명을 말하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메시지를 알린 후,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26b)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향 또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음성으로 식품명을 저장할 경우, 다소 입력할 식품을 살피기 위해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연시간 동안에 입력되는 음성 또는 음향에 대해서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하게 제어부(30)가 음성인식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음성인식모드의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인식 결과를 표시한다. 이러한 음성의 인식 결과의 표시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어부(30)가 정확하게 식품명을 인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추가 입력으로, 사용자가 저장되는 식품의 보관기간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음성의 인식 결과에 따라, 정확하게 인식된 경우에는 '확인'을 선택하고, 부정확하게 인식된 경우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목록선택을 통하여 식품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5b에서 '확인'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30)는 확인된 식품명이 저장되었음을 알리고, 식품명을 추가로 저장하거나 식품정보저장모드를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 및 5b에서, 사용자가 식품목록선택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30)는 식품보관관리정보에 포함된 선택가능한 식품명을 리스트해주고, 사용자가 적절한 식품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식품보관관리정보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식품명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이 식품보관선택에서는 사용자가 버튼(22g 내지 22k)를 통하여 리스트된 식품명 중에서 선택하게 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b에서 사용자가 보관기간입력을 선택한 경우, 타이머에 따라 현재일을 포함하는 달력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버튼(22g 내지 22k)를 통하여 보관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음성인식모드로 사용자가 보관기간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e는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찾기모드의 실시예들이다. 도 6a 내지 6e의 실시예들은 도 4에서 사용자가 식품정보 찾기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초기에 음성인식모드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식품명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음성인식모드 대신에 식품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식품정보 저장모드를 그대로 종료하는 '취소'선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음성인식모드의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인식 결과를 표시한다. 이러한 음성의 인식 결과의 표시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어부(30)가 정확하게 식품명을 인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음성의 인식 결과에 따라, 정확하게 인식된 경우에는 '확인'을 선택하고, 부정확하게 인식된 경우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목록선택을 통하여 식품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도 6b에서 확인된 식품명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검색된 식품명에 대응하는 정보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삭제'선택을 하고, 찾기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료'선택을 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도 6b에서 확인된 식품명에 대응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 보관되어 있지 않음을 알린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에서, 사용자가 '식품목록선택'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음성인식이 아닌 버튼입력을 통하여 원하는 식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내지 7c는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삭제모드의 실시예들이다. 도 7a 내지 7c의 실시예들은 도 4에서 사용자가 식품정보 삭제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초기에 음성인식모드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삭제하고자 하는 식품명을 말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음성인식모드 대신에 식품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식품정보 저장모드를 그대로 종료하는 '취소'선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음성인식모드의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인식 결과를 표시한다. 이러한 음성의 인식 결과의 표시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어부(30)가 정확하게 식품명을 인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음성의 인식 결과에 따른 식품명(즉, 식품에 대응하는 정보)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대로 두고자하는 경우에는, '아니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7b의 상태에서, '예'를 선택한 경 우, 제어부(30)는 그에 따라 식품명을 삭제하였음을 알린다.
도 8은 식품보관관리모드에서의 식품정보 알림모드의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식품명과, 보관장소 및 보관기간이 도과된 정도를 표시한다. 제어부(30)는 '수정' 선택을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식품에 대하 보관기한을 새로이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보관기한에 특별한 제한이 없는 식품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보관기한을 설정할 수도 있으므로, '수정'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새로운 보관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수정'선택을 한 경우, 제어부(30)는 도 5e와 유사한 날짜 선택이 가능한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날짜(즉, 보관기간)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삭제'선택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전체삭제'선택을 구비하여, 표시된 모든 식품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11)에서, 제어부(30)는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음성인식모드를 시작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식품정보 저장모드, 식품정보 찾기모드, 식품정보 삭제모드를 수행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음성인식모드를 수행한다.
단계(S12)에서, 제어부(30)는 마이크(26b)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여, 음성인식모듈 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식한다.
단계(S13)에서, 제어부(30)는 인식된 음성을 LCD(23)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등을 LCD(23)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화면을 함께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인식된 음성과,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확인'을 선택할 수 있고,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6b, 7b 및 8b와 유사하게, 제어부(30)는 인식된 음성, 목록선택모드의 선택을 위한 선택화면, 일치 및 불일치의 입력이 가능한 화면을 함께 표시한다.
단계(S14)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식품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식품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하였으면, 단계(S18)로 진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식품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인식된 음성에 대한 불일치 입력을 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취소'선택을 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불일치 입력이 있으면,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일치 선택인 '확인'입력을 하였으면 단계(S16)로 진행한다.
단계(S16)에서, 제어부(30)는 인식된 음성으로, 저장, 찾기 및 삭제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30)는 연속되는 불일치 입력의 횟수를 저장하며, 현재의 불일치 입력 횟수가 설정횟수(N) 이상인 경우, 단계(S1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로 진행한다. 이러한 연속적인 불일치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 상의 문제, 또는 제어부(30)의 음성인식모듈의 문제 등으로, 사용자의 음성 인식의 정확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연속적인 불일치 입력이 설정횟수(N) 이상이 되면, 사용자의 편의와 신속한 입력을 위해 단계(S18)로 사용자의 선택과 상관없이 진행한다.
단계(S18)에서, 제어부(30)는 사용자에게 식품목록을 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목록선택모드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 6d 및 7e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버튼(22g 내지 22k)를 이용하여, 표시된 식품목록에서 원하는 식품명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에 대하여 기술한다.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루며,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의 예들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은 음성인식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음성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제1표시 단계와, 표시된 문자 또는 숫자가 사용자의 음성과 불일치할 경우, 사용자가 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제2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방법은 문자 또는 숫자의 표시와 선택화면의 표시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된 음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방법은 표시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확인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선택화면의 표시 단계는 음성의 입력 선택 또는 목록선택모드의 시작 선택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방법은 목록선택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저장된 식품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정보 입력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불일치 확인 입력이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목록선택모드를 강제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과도하게 음성인식을 시도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선택화면의 표시 단계는 정보 입력의 종료 선택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다양한 정보 입력 방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른 정보 입력이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모드 인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을 대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목록을 표시하여, 용이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적인 입력방법의 전환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신속한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음성인식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음성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제1표시 단계와;
    표시된 문자 또는 숫자가 사용자의 음성과 불일치할 경우, 사용자가 목록선택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화면을 표시하는 제2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 방법은 문자 또는 숫자의 표시와 선택화면의 표시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 방법은 표시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선택화면의 표시 단계는 음성의 입력 선택 또는 목록선택모드의 시작 선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 방법은 목록선택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저장된 식품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불일치 확인 입력이 기준횟수 이상인 경우, 목록선택모드를 강제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선택화면의 표시 단계는 정보 입력의 종료 선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KR1020070054129A 2007-06-01 2007-06-01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KR10130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29A KR101304117B1 (ko) 2007-06-01 2007-06-01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29A KR101304117B1 (ko) 2007-06-01 2007-06-01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33A true KR20080105933A (ko) 2008-12-04
KR101304117B1 KR101304117B1 (ko) 2013-09-05

Family

ID=4036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129A KR101304117B1 (ko) 2007-06-01 2007-06-01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530A (ko) * 2013-08-28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0112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정보 표시 방법
WO2018128317A1 (ko) * 2017-01-03 2018-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정보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983A (ko) * 1999-12-08 2001-07-02 김수희 메뉴와 요리방법을 알려주는 냉장고
JP2003202180A (ja) 2002-01-04 2003-07-18 Venus Japan:Kk ペット型アニメ画像管理ソフト搭載pc付き冷蔵庫
KR200287165Y1 (ko) 2002-04-23 2002-08-30 한국완 단체 어학학습 장치
KR20060119580A (ko) * 2005-05-20 2006-11-24 손광범 냉장고 물품관리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530A (ko) * 2013-08-28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0112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정보 표시 방법
WO2018128317A1 (ko) * 2017-01-03 2018-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정보 표시 방법
US11521606B2 (en) 2017-01-03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117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7169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JP2019124461A (ja) 冷蔵庫
US20170276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ormal operation of refrigerator
US20130327073A1 (en) Refrigerator
KR101304117B1 (ko)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US20040216472A1 (en) Kimchi refrigerator
KR20080105932A (ko) 냉장고
KR101303986B1 (ko) 냉장고
US8303058B2 (en) Refrigerator with TV and radio function
KR101392042B1 (ko) 냉장고
KR101304002B1 (ko)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
US9863688B2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80105929A (ko) 냉장고
KR20080105928A (ko) 냉장고
KR20080105930A (ko) 냉장고용 탈부착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장치
US8572989B2 (en) Avatar Kimchi refrigerator
KR20070021485A (ko) 아바타 냉장고
US8413457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7352B1 (ko) 냉장고
JP6851245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JP2004116862A (ja) 冷却貯蔵庫
KR10036261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756447B1 (ko) 냉장고
KR20000032980A (ko) 냉장고의 홈바룸 온도제어 장치
KR2005005608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