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92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927A
KR20080105927A KR1020070054123A KR20070054123A KR20080105927A KR 20080105927 A KR20080105927 A KR 20080105927A KR 1020070054123 A KR1020070054123 A KR 1020070054123A KR 20070054123 A KR20070054123 A KR 20070054123A KR 20080105927 A KR20080105927 A KR 20080105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display
unit
display de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986B1 (ko
Inventor
박형준
강성환
권의혁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98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에도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항시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냉장고는 물체를 수납하는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본체와, 수납공간을 개폐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용홈이 형성된 냉장고 도어와, 수용홈에 탈착 및 장착되어,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와,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서브디스플레이장치와, 수납공간에 대한 냉각 사이클의 구동 및 제어를 수행하고,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장착시, 메인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고,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시, 서브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메인디스플레이장치가 탈착된 경우에도 냉장고 상태를 서브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냉장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LCD 장치의 전면 표시의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 제어 장치 20, 50: 디스플레이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에도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항시 냉장 고 상태를 표시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시키면서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증발기를 기본부품으로 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최근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 측에는 차가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얼음 취출장치가 일체로 형성되고, 냉장실 도어 측에는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음료나 물 등을 냉장실 도어를 개폐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홈바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본체의 상측에 장착된 메인 마이컴(또는 메인 제어부)과, 냉장고 도어에 고정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LCD 장치의 전면 표시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LCD 장치는 냉장고 도어의 수용홈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 태(각얼음, 물, 조각얼음)와,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하단에 소정의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탈착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어떠한 기술적 구성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탈착하여 냉장고가 설치된 장소 이외의 곳으로 이동한 경우, 다른 사용자가 냉장고를 제어하거나, 냉장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전혀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항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항시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제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있을 경우,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로도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냉장고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냉장고 본체(2) 내부에 냉동실 및 냉장실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냉장고 본체(2)의 전면에 각각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가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냉장실 도어(4a) 전면에는 디스펜서(3)와, 디스플레이 장치(20)(또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50)(또는 서브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다.
여기서, 냉장고 본체(2)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격벽(미도시)에 의해 양측에 구획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벽에 증발기(미도시) 및 냉기를 송풍시키는 냉기순환용 팬(미도시)이 내장될 뿐 아니라 냉기공급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증발기 주변의 냉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는 일측 상하단이 냉장고 본체(2)에 힌지 커버(9a, 9b)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냉장실 도어(4a)의 외측 전면에 장방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디스플레이장치(20)가 탈착 및 장착되도록 위치된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장고에 대한 제어 메뉴(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의 선택 및 표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의 입력 및 표시 등)를 표시할 뿐 만 아니라, 현재 온도, 현재 일시, 날씨 등의 정보을 표시할 뿐 아니라 음향도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냉동실 및 냉장실로 냉기를 생성 및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전체적인 냉장고(1)의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제어장치(10)와,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사용자에 의한 제어 입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고정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50)로 이루어진다.
이들 메인 제어장치(10)와, 디스플레이장치(20) 및, 메인 제어 장치(10)와 디스플레이장치(50)는 냉장실 도어(4a)의 힌지축(미도시)을 포함하는 힌지(미도시)를 관통하는 데이터선(DL1, DL2), (DL1, DL3) 및 전원선(PL1, PL2), (PL1, PL3)으로 각각 연결되어 통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보통 메인 제어 장치(10)는 본체(2)에서 공간 상의 제약이 적은, 본체(2)의 상측에 장착된다.
먼저, 메인 제어장치(10)는 외부상용전원(일반적으로, 220V)을 인가받아 소정의 크기의 구동전압으로 감압하여 이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1)와, 전원부(11)로부터 구동전압을 인가받아 압축기의 운전,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팬의 제어 등을 수행하여 냉각사이클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와, 디스플레이장치(2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와, 디스플레이장치(20)가 전원부(11)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14)와, 디스플레이장치(20)로의 구동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력선(PL1)과 유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선(DL1)이 연결된 연결부(15)와, 디스플레이장치(50)로의 구동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력선(PL3)과, 유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선(DL3)과, 구동부(12)를 제 어하여 냉각이 수행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9)로 이루어진다. 다만, 전원부(11)로부터의 구동전압은 메인 제어장치(10)의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에도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명백한 기술에 불과하다.
메인 제어 장치(10)에 포함된 전원부(11)는 220V인 외부 상용전원을 예를 들면 12V로 감압하여 전력선(PL1) 및 (PL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 (50)에 공급하기도 하며, 메인 제어장치(10) 내의 전압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에게 필요한 크기의 전압을 공급한다.
구동부(12)는 압축기의 제어와 팬모터의 제어를 수행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생성하여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메인 제어 장치(10)와, 디스플레이장치(20) 간에 복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bluetooth나, Zigbee 등과 같은 RF 통신장치이거나, IrDA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 다만, 메인 제어 장치(10)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탈착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20)와 메인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감지부(14)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 장착된 경우, 연결부(15)가 디스플레이장치(20)에 연결되어, 전원부(11)의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제공될 경우, 이 구동전압의 공급 및 차단을 감지한다. 감지부(14)의 감지에 의해 구 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될 경우,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 장착된 것으로, 즉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감지부(14)의 감지에 의해 구동전압이 디스플레이장치(20)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에서 탈착된 것으로, 즉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연결부(15)는 전력선(PL1)과 데이터선(DL1)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의 연결부(28)에 결합되어, 전력선(PL1)을 통한 구동전압의 공급과, 데이터선(DL1)을 통한 유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일종의 암/수 커넥터 또는 포트이다.
전력선(PL1), (PL3)은 전원부(11)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것으로, 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데이터선(DL1), (DL3)은 유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RS-232 통신 매체일 수 있다.
제어부(19)는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인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습도, 온도 등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 (5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전송된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운전 형태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9)는 구동부(12)를 제어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저장된 운전정보에 따라 수행한다.
제어부(19)는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상태(예를 들면, 냉동실의 현재온도, 냉장실의 현재 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형태 등)와 운전정보(예를 들면, 냉동실의 설정온도, 냉장실의 설정온도,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 등) 등을 저장하며, 별도의 저장부를 구비하거나 내장할 수 있도 있다.
제어부(19)는 데이터선(DL1), (DL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 (50)와 각각 유선 통신가능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현재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냉동실 도어(2a) 등이 열려있다는 것에 대한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9)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운전 정보(예를 들면,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설정온도 및 서비스형태)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50)를 통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데이터선(DL3)를 통하여 제어부(55)로 냉장고 상태 정보를 송신하여 표시부(52)를 통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5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와 데이터선(DL1) 또는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상술된 바와, 제어부(19)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메인 제어 장치(10) 간의 통신 방법을 설정하여,그에 따른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는 전원부(11)로부터의 구동전압을 전력선(PL2)을 통하여 수신하여 복수의 크기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제공하는 전원 부(21a)와 충전부(21b)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2)와, 백라이트(25)에 의해 생성된 광에 의해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LCD(23)와,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가 LCD(23)에 표시되도록 표시신호로 변환하여 LCD(23)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24)와,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25)와, 음향을 통하여 발산하는 스피커부(26a)와, 음향 및/또는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26b)로 이루어진 오디오부(26)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30)에 제공하는 DMB 모듈(27)과,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와 연결되어, 구동전압의 공급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연결부(28)와, 메인 제어장치(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와, 메인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메인 제어 장치(10)로 송신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식품보관관리모드 및 DMB 방송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다만, 전원부(21a)와 충전부(21b)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21)로부터의 구동전압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에도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명백한 기술에 불과하다.
자세하게는, 전원부(21a)는 예를 들면, 12V의 공급전원을 인가받아, 그대로 백라이트(25)에 공급하기도 하고, 복수의 크기(예를 들면, 5V, 3.3V, 1.8V)의 사용전원으로 감압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공급한다. 충전부(21b)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되어, 전원부(11)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충전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로부터 탈착되어 외부로부터 구동전압 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 전원부(21a)와 동일한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2)는 LCD(23) 주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3)는 버튼식이거나 터치패드식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되어 그 버튼의 개수 및 형식이 설정된다.
입력부(22)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 설정을 위한 온도설정수단(22a)과,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 얼음 등)를 설정하기 위한 디스펜서 설정수단(22b)과, LCD(23)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냉장고의 상태 설정, 냉장고의 제어, 식품보관관리모드 화면, DMB 화면 및 채널 등의 표시화면 등)를 활성화시키고 선택하는 메뉴수단(22c)과,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식품보관버튼(22d)과, DMB 방송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DMB 버튼(22e)와, 현재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이전화면버튼(22f)와, 기타 다른 선택을 위한 수단(22g 내지 22j) 및 LCD(23)에 표시된 정보의 확인 및 선택 등을 위한 메뉴/선택버튼(22k) 등으로 이루어진다.
LCD(23), 화면 제어부(24) 및 백라이트(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DMB 방송, 식품보관관리에 관련된 화면,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제어정보를 표시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배경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바타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 냉장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도 3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23)는 대기화면으로 아바타(곰그림)(33)와, 냉장고의 기본정보(31)를 표시하고, 날씨정보(또는 당일의 기상상황) 및 현재일(32)를 표시한다.
스피커(26a)는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수행 중에 음성인식 안내 등을 음향으로 표출하고, 마이크(26b)는 냉장고(1)의 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획득된 음성 또는 음향을 제어부(30)에 인가한다.
DMB 모듈(27)은 디스플레이장치(20)에 장착된 안테나 등을 통하여 수신된 DMB 신호 중에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22)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DMB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27a)와, 튜너(27a)로부터 전송된 DMB 신호를 증폭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베이스밴드(27b)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밴드(27b)는 튜너(27a)로부터 수신한 복조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역인터리빙 및 에러정정을 수행한다.
연결부(28)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에 대응하여, 암/수 커넥터 또는 포트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될 때, 연결부(15)와 결합되어, 전력선(PL1)과 (PL2) 간의 결합 및 데이터선(DL1)과 (DL2) 간의 결합을 통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에 대응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30)는 기본적으로, 메인 제어 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냉장고의 제어 명령을 메인 제어 장치(10)로 전송한다. 제어부(30)는 메인 제어 장치(10)에 의해 설정된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10)가 데이터선(DL1), (DL2)에 의한 유선 통신을 시작하게 되면, 그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에 의한 무선통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메인 제어 장치(10)가 디스플레이장치(20)의 탈착 및 장착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모든 장치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30)는 DMB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DMB 화면 정보를 저장한다. 이 DMB 화면 정보는 사용자가 DMB 버튼(22e)을 누른 경우, 그에 대응하는 DMB 동작 시작 화면, 채널 선택을 위한 화면, 볼륨 선택을 위한 화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0)는 DMB 모듈(27)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하여 화면 제어부(24)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DMB 화면)를 송신하는 디코딩 기능 등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식품보관버튼(22d)을 작동시킨 경우,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냉동실과 냉장실에 저장되는 물품(또는 식품 등)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식품보관관리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식품보관관리정보를 저장한다. 이 식품보관관리정보는 식품정보 저장 모드, 식품정보 찾기 모드, 식품정보 삭제 모드 및 식품정보 알림 모드의 수행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먼저, 식품정보 저장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한 식품정보(식품명, 보관기한, 개수 또는 양 등)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식품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화면,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식품목록을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사용자가 저장하는 식품의 보관기한을 저장하기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예를 들면, 달력 화면) 등을 포함한다.
식품정보 찾기 모드는 사용자가 현재 냉장고(1)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식품명에 대응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식품목록리스트 등)를 표시하는 화면과,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식품에 대한 보관기한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식품정보 삭제 모드는 식품정보 찾기 모드 등을 통하여 선택된 식품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경우로, 삭제할 대상의 선택과 삭제 선택 및 삭제 취소 등을 포함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식품정보 알림 모드는 제어부(30)가 기저장된 식품정보를 판독하며, 기저장된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드이다. 식품정보 알림모드는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을 표시하는 화면과, 이들 식품정보를 삭제할 수 있는 화면과, 보관기한을 도과한 식품에 대한 새로운 보관기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등을 포함한다.
상술된 식품정보 저장 모드와, 식품정보 찾기 모드 및 식품정보 삭제 모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것이고, 식품정보 알림 모드는 사용자가 또는 자동적으로 이 알림 모드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제어부(30)이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제어부(30)는 현재 일시 등을 산정하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어서, 식품의 보관기한의 도과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이러한 식품보관관리모드의 수행을 위해, 입력부(22)를 통한 입력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2)에 의한 입력은 상술된 바와 같다.
음성 인식 입력을 위해, 제어부(30)는 음성 인식 모듈(또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이 음성 인식 모듈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또는 음성 신호)를 마이크(26b)로부터 제공받아, 이 음성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면, 텍스트, 숫자, 문자 등)로 인식하여 식별하는 수단이다. 이 음성 인식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펌웨어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음성 인식 모듈에 의해 식별된 정보를 LCD(2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식품보관버튼(22d)가 작동된 경우, 우선적으로 음성 인식 입력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즉시 음성 인식 기능을 시작함을 스피커(26a)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제어부(30)는 이 음성 인식 기능의 시작을 알린 후,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26b)로부터의 음성을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하여 판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장치(50)는 냉장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51)와,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52)와, 메인 제어 장치(10)에 의해 냉장고의 상태 표시 및 제어 명령의 획득을 수행하는 제어부(55)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장치(5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탈착된 경우, 보완적으로 냉장 고의 상태 및/또는 제어 명령의 입력을 위한 것이므로, 메인 제어 장치(1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입력부(51)와 표시부(52)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보다 저사양이거나 단순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입력부(51)는 단순한 버튼 입력수단이고, 표시부(52)는 LED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0)는 냉동실 도어(4a)의 디스펜서(3) 상측에 형성된 수용홈(5)에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일측에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연결부(28)를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일측에 구비한다. 수용홈(5)의 일측에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가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5) 내로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연결부(15)와 연결부(28)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0)의 입력부(51)는 디스펜서(3) 상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입력부(51)는 온도설정버튼(51a)과,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를 선택하는 디스펜서 버튼(51b)과, 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의 선택, 냉동실 및 냉장실의 선택 등을 수행하는 조절버튼(51c), (51d)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장치(50)의 표시부(52)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냉장고 본체(2)에 장착된 경우, 별도로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용홈(5)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표시부(52)는 이때 어떠한 표시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즉, 오프 상태).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5)으로부터 탈착된 경우, 메인 제어 장치(10)가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50)를 구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20)를 지니는 사용자는 냉장고의 상태 및/또는 운전 정보의 표시와, 제어 명령의 송신 등이 제1 및 제2통신부(29a), (29b)를 통하여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사용자의 경우, 냉장고(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상태 확인 등을 하고자 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50)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10)는 디스플레이장치(20) 및 (50)와 모두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1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장착된 경우에도, 입력부(51)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20)가 장착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20)의 모든 기능의 수행과, 디스플레이장치(50)의 입력부(51)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통신부(13a, 13b)는 통신 방식에 따라, 예를 들면,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수용홈(5)에 적절한 소자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장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도의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에 불과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와, 디스플레이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5a)의 일측에는 메인 제어 장치(10)의 연결부(15)가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5a) 내로 삽입되어 장착된 경 우, 연결부(15)와 연결부(28)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50)의 입력부(51')와 표시부(52a)는 수용홈(5a) 내측에 모두 장착되어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5a)에 장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50)는 사용자가 볼 필요가 없으므로, 수용홈(5a) 내측에 구비되며, 입력부(51')와 표시부(52a)가 모두 구동 중지(즉, 오프 상태)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가 수용홈(5a)으로부터 탈착된 경우, 메인 제어 장치(10)는 디스플레이장치(50)를 통한 표시 및 제어 명령의 획득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에 대하여 기술한다.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루며,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예들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냉장고는 물체를 수납하는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본체와, 수납공간을 개폐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용 홈이 형성된 냉장고 도어와, 수용홈에 탈착 및 장착되어,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와,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서브디스플레이장치와, 수납공간에 대한 냉각 사이클의 구동 및 제어를 수행하고,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장착시, 메인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고,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시, 서브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메인디스플레이장치가 탈착된 경우에도 냉장고 상태를 서브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냉장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냉장고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수용홈에 대한 탈착 및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여,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른 서브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서브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수용홈 내측에 장착되어, 메인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경우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서브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여, 냉장고 상태의 표시뿐만 아니라 제어도 가능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제어부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출원시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입력부는 수용홈 내측 또는 수용홈의 부근 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와 연계하여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메인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된 메인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냉장고에 탈착 및 장착되어,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냉장고에 장착되어, 제1디스플레이부의 탈착시에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0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탈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1항에 기재된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장착시에 오프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2항에 기재된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탈착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항시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항시 냉장고 상태의 표시를 표시하고,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및 제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있을 경우,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로도 냉장고 상태의 표시 및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장소에서도 냉장고의 상태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물체를 수납하는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냉장고 본체와;
    수납공간을 개폐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용홈이 형성된 냉장고 도어와;
    수용홈에 탈착 및 장착되어,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와;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서브디스플레이장치와;
    수납공간에 대한 냉각 사이클의 구동 및 제어를 수행하고,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장착시, 메인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고,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시, 서브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냉장고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수용홈에 대한 탈착 및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서브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수용홈 내측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서브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메인디스플레이장치의 탈착시,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입력부는 수용홈 내측 또는 수용홈의 부근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메 인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메인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냉장고에 탈착 및 장착되어,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냉장고에 장착되어, 제1디스플레이부의 탈착시에 냉장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탈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장착시에 오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1디스플레이부의 탈착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70054123A 2007-06-01 2007-06-01 냉장고 KR10130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23A KR101303986B1 (ko) 2007-06-01 2007-06-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23A KR101303986B1 (ko) 2007-06-01 2007-06-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27A true KR20080105927A (ko) 2008-12-04
KR101303986B1 KR101303986B1 (ko) 2013-09-04

Family

ID=4036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123A KR101303986B1 (ko) 2007-06-01 2007-06-0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903A2 (ko) * 2011-01-06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원격 제어기
WO2021107345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96B1 (ko) * 2000-12-13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와 그 터치스크린 착탈방법
KR20060104358A (ko) * 2005-03-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냉장고
KR100683411B1 (ko) 2005-05-19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KR100756697B1 (ko) * 2005-09-29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표시부를 지닌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903A2 (ko) * 2011-01-06 201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원격 제어기
WO2012093903A3 (ko) * 2011-01-06 201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원격 제어기
US9111440B2 (en) 2011-01-06 2015-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remote controller
WO2021107345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986B1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3378B2 (ja) システム
US20190137169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operating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US10281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ormal operation of refrigerator
KR20130137271A (ko) 냉장고
KR20080105932A (ko) 냉장고
KR101303986B1 (ko) 냉장고
KR101304117B1 (ko) 냉장고의 정보 입력 방법
US9863688B2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80105929A (ko) 냉장고
KR20080105928A (ko) 냉장고
KR20080105930A (ko) 냉장고용 탈부착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장치
KR101304002B1 (ko) 냉장고의 착탈형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105926A (ko) 냉장고
KR20070021485A (ko) 아바타 냉장고
KR101357352B1 (ko) 냉장고
KR20070021484A (ko) 아바타 김치냉장고
US8413457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62187A (ko) 냉장고
JP3430089B2 (ja) 冷蔵庫の制御装置及びこの制御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3050078A (ja) 冷蔵庫
KR100281838B1 (ko) 냉장고의 홈바룸 온도제어 장치
KR101070116B1 (ko) 냉장고
KR200347403Y1 (ko) 텔레비전 겸용 냉장고의 전원공급장치
KR20080064054A (ko) 무선 제어 기능을 지닌 냉장고
KR20080025569A (ko) 김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